KR950006206Y1 - 의자의 쿠션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의 쿠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206Y1
KR950006206Y1 KR92016883U KR920016883U KR950006206Y1 KR 950006206 Y1 KR950006206 Y1 KR 950006206Y1 KR 92016883 U KR92016883 U KR 92016883U KR 920016883 U KR920016883 U KR 920016883U KR 950006206 Y1 KR950006206 Y1 KR 9500062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at plate
support
sea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6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028U (ko
Inventor
송창원
Original Assignee
김우황
내쇼날푸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황, 내쇼날푸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우황
Priority to KR92016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206Y1/ko
Publication of KR9400070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0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206Y1/ko

Link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의자의 쿠션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구멍과 작용을 나타낸 도면.
제 3 도는 본 고안 슬라이드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경사각 조절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 5 도는 본 고안 이동편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등판과 연결대의 구성과 작용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좌판 2 : 등판
3 : 연결대 4 : 고정대
4' : 보조편 5 : 지지대
5' : 삽입부 6 : 중심축
6' : 삽입축 7 : 판스프링
8 : 보울트 9 : 손잡이
10 : 나사축 11 : 이동편
12 : 고정판 13 : 작동공
14 : 통공 15 : 조절레버
15' : 고정비스 16 : 연결축
17 : 고정축 18 : 스프링
19 : 돌편 20 : 와이어
21 : 안내공 22 : 판스프링
23 : 고정공 24 : 연결판
25 : 비스 26 : 팔걸이대
27 : 삽입공 28 : 연결관
29 : 체결비스 30 : 고정보울트
31 : 안내판 32 : 안내공
33 : 슬라이드판 34 : 지지돌편
35 : 삽입축 36 : 안내편
37 : 안내홈 38 : 결합비스
39 : 스프링 40 : 승강축
41 : 가스실린더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좌판과 등판을 연결대에 의해 결합하여 제작성과 조립성을 우수하게 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좌판과 등판을 일정한 각도로 재쳐지도록 함으로써 더욱 편안하고 안락한 의자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연결대에 내장되어 있는 판스프링에 의해 항상 자체탄력을 발휘하면서 허리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대처하는 것이므로 허리의 부분부분이 경직되거나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의자의 쿠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등판과 좌판으로 구성되어 바퀴를 결합하고 있는 지지대 상측에 결합되어진다. 상기의 등판과 좌판의 연결은 지지프레임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지는바, 이 지지프레임의 자체 탄력성이 미약한 관계로 허리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대처할 수 없게 된다. 이는 지지프레임이 탄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등판과 좌판을 연결하여주는 역할만을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므로 지지프레임의 탄성을 이용하기에는 적잖은 무리가 뒤따르게 된다.
또한 종래의 의자는 좌판과 등판을 각도별로 재칠 수 있는 기능이 없었기 때문에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는 편안한 휴식이 되지 못하였다. 그리고 종래의 대부분 의자는 눈에 보이는 부분, 즉 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수단에만 많은 노력을 경주할 뿐, 사람의 앉은 자세와 앉아서 허리를 구부리거나 펴는 행동에 따라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등의 안전수단과 편안함 등의 정작 중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등한시 해오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앉은 사람의 행동에 대처하여 항상 은은한 탄력으로 엉덩이와 등 부위를 받쳐줄 수 있고, 휴식 시에는 좌판과 등판의 각도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매우 편안하고 안락한 의자를 얻을 수 있는 목적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좌판과 등판을 연결대에 의해 조립한 것과, 조절레버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판이 전, 후진 작용을 하도록 하여 좌판과 등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과,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이동편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이 이동편과 판스프링에 의해 좌판에 적절한 쿠션력을 부여할 수 있는 것과, 연결대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판스프링에 의해 등판에 적절한 자체탄성력을 갖도록 안출함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1 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제 2 도는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로서, 가스실린더(41)의 승강축(40)에 좌판(1)을 연결시키고, 좌판(1)의 후측에는 등판(2)을 결합시키고 있는 의자에 있어서, 좌판(1)의 저면에 결합 고정되어 있는 고정대(4)의 보조편(4')으로, 연결대(3)의 연결판(24)을 삽입시켜 비스(25)에 의해 체결고정시킨 다음, 연결대(3)상측의 연결판(24)에 등판(2)을 비스(25)에 의해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연결대(3)의 좌, 우측 내부에는 한쌍의 판스프링(22)를 내장시켜, 연결대(3)의 자체적인 탄성력이 유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좌판(1)저면에 고정대(4) 일측에는, 지지대(5)가 중심축(6)에 의해 고정되어지고, 이 지지대(5)의 상부 일측에는 각도 조절을 하기위한 삽입부(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지지대(5)의 일측을 고정하고 있는 판스프링(7)의 타측은 고정대(4)에 결합되어 있는 나사축(10)의 이동편(11)과 접촉을 하게되고, 나사축(10)과 연결된 손잡이(9)의 회전에 의해 이동편(11)이 이동을 함으로서 판스프링(7)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한편, 고정대(4)의 내부에 장착되어있는 안내판(31)의 안내공(32)에는 슬라이드판(33)이 결합되어 지고, 이 슬라이드판(33)이 전진하여 지지대(5)의 삽입부(5')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좌판(1)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게 되고, 슬라이드판(33)이 지지대(5)의 삽입부(5')에서 이탈되어 안내판(31)내에 있을 때에는 좌판(1) 후측으로 일정한 경사를 유지하게 하므로 경사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슬라이드판(33)일측에는 지지돌편(34)이 돌설되어지고, 이 지지돌편(34)에는 와이어(20)의 일단을 스프링(39)과 함께 결속하므로서, 슬라이드판(33)의 전, 후진 작용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판(33)의 삽입축(35)에는, 안내편(36)일단을, 결합시스(38)로 체결시켜 고정한 다음, 저면에 형성된 안내홈(37)을 삽입시켜서, 슬라이드판(33)의 전, 후진 작용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의 와이어(20)타단은, 고정대(4)의 안내공(21)을 통과시켜 고정판(12)의 조절레버(15)에 고정시켜야 하는바, 조절레버(15)를 고정판(12)의 작동공(21)을 통과시켜 일단은 연결축(16)으로 회전용이토록 결합하고, 와이어(20)의 타단을 통공(14)을 통과시켜서 조절레버(15)에 고정비스(15')로 고정시키면, 조절레버(15)의 재치는 동작에 의해 슬라이드판(33)을 후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결축(16)의 일측방에는 스프링(10)을 고정축(17)으로 고정한 뒤 일단은 조절레버(15)의 측면을 탄지하도록 하고, 타단은 고정판(12)의 돌편(19)에 고정시킴으로서 조절레버의 복귀작용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고정대(4)의 중심축(6)과 연결대(3)의 고정공(23)에는 팔걸이대(26)가 결합되어지는 바, 팔걸이대(26)의 연결관(28)을 중심축(6)으로 삽입하여 체결비스(29)로 체결하면, 체결비스(29)가 중심축(6)의 삽입홈(6')으로 삽입되어지면서 견고한 지지를 하게 된다.
또한, 팔걸이대(26)후측의 삽입공(27)은 연결대(3)양측의 고정공(23)에 맞춘 뒤 고정보울트(30)에 의해 고정시키면 팔걸이대(26)의 결합이 용이하여 진다. 상기의 팔걸이대(26)는 착상이나 실내분위기 등의 조건에 맞추어진 착탈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좌판(1)의 자체탄력 작용과, 등판(2)의 탄력작용, 그리고 좌판(1)과 등판(2)의 경사각 조절작용 등을 갖추고 있는 동시에 통상적인 높이조절작용 등이 있게 되는바, 좌판(1)자체의 탄력작용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사람이 좌판(1)에 앉게 되면, 인체의 하중은 좌판(1)의 후측으로 작용을 하게 된다. 이는 좌판(1)저면에 고정대(4)와 지지대(5)의 연결부위인 중심축(6)이 전방으로 편심되어 결합되어지는 이유에 의해 좌판(1)의 후측이 하중을 받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대(4)에 결합되어 있는 나사축(10)의 이동편(11)이 지지대(5)에 고정되어 있는 판스프링(7)과 접촉을 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좌판(1)의 인체하중은, 이 이동편(11)을 통해 판스프링(7)으로 전달되어지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판스프링(7)은 받쳐주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탄성력을 유발시키게 되는 것이므로 좌판(1)의 쿠션력이 매우 우수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좌판(1)에 미치는 쿠션력은, 손잡이(9)에 의해 조절이 가능한 것인바, 손잡이(9)를 회전시키면 나사축(10)이 자회전되면서 이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편(11)을 판스프링(7)의 길이방향으로 제 5 도와 같이 전진 및 후진을 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즉, 이동편(11)이 판스프링(7)의 끝단에 위치되면 그만큼 판스프링(7)의 탄성력이 좋아지게 되고 상당량의 쿠션폭을 갖게 된다.
반면에 이동편(11)이 판스프링(7)의 내측으로 이동되면 될 수록 판스프링(7)의 쿠션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소량의 탄성력과 쿠션폭을 갖게 되는 것이므로 앉은 사람의 취향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등판(2)의 탄력작용이 있는 바, 상기 등판(2)의 탄력작용은 등판(2)자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좌판(1)과 등판(2)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대(3)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좌판(1)과 등판(2)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대(3)에 의해 이루어지면서 등판(2)으로 전달되어지는 것이다. 즉, 연결대(3)의 내부 좌, 우측에는 한쌍의 판스프링(22)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의자에 앉은 사람이 등판(2)에 등을 기대면, 상기의 판스프링(22)이 은은한 탄성력을 제 6 도와 같이 발휘하기 때문에 매우 편안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좌판(1)과 등판(2)의 경사각 조절장치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인바, 본 고안의 경사각 조절장치는, 좌판(1)과 등판(2)을 뒤로 일정각도를 재쳐서 앉은 사람이 매우 안락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제 4 도의 실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좌판(1)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고 있는 정상의 상태는, 슬라이드판(33)이 지지대(5)의 삽입부(5')로 삽입되어 있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좌판(1)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12)의 조절레버(15)를 재치면, 조절레버(15)가 연결축(16)을 중심으로 작동공(13)내에서 회전이동을 하게된다. 이때, 조절레버(15)일측에 고정비스(15')로 고정되어 있는 와이어(20)를 당기게 되는 동시에 고정축(17)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18)을 압축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의 와이어(20)를 당기는 작용에 의해 와이어(20)는 고정대(4)내부의 안내판(31)에 형성된 안내공(32)의 슬라이드판(33)을 당기는 상태가 된다. 이는 와이어(20)의 일단이 슬라이드판(33)의 지지돌편(34)에 결속되어 있는 관계로 이루어지는 동작이며, 슬라이드판(33)이 제 2 도의 가상성 위치로 이동되면서 스프링(39)을 압축을 하는 동시에 삽입축(35)이 안내편(36)의 안내홈(37)을 따라 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태는 슬라이드판(33)이 지지대(5)이 삽입부(5')로부터 이탈된 상태이므로 제 4 도의 가상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고정대(4)가 중심축(6)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는 상태가 되고, 아울러 좌판(1)과 등판(2) 및 연결대(3)모두가 후측으로 회전이동을 하여 재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대(5)의 판스프링(7)은, 좌판(1)의 재쳐지는 작용에 의해 많은 변위량으로 변위가 된 상태에서 이동편(11)을 탄지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므로 재쳐진 상태에서도 이 판스프링(7)의 탄력작용에 의해 매우 안락하고 편안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재쳐진 상태에서 앉은 사람이 일어나면 판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좌판(1)과 등판(2) 및 연결대(3)는 제 4 도 가상선에서 실선 상태로 원위치시키게 되며, 아울러 슬라이드판(33)은 스프링(39)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면서 지지대(5)의 삽입부(5')로 제 3 도 가상선에서 실선위치로 원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좌판(1)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게 되는 정상적인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판(12)의 조절레버(15)도 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도 가상선 위치에서 실선위치로 원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좌판(1)의 높이조절작용은 통상적인 높이조절수단과 동일하게 작용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좌판과 등판을 연결대에 의해 조립시킨 것이므로 의자의 미려함을 얻을 수 있고, 조립시와 제작시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좌판의 쿠션력을 지지대의 판스프링에 의해 좌판의 후측에서 쿠션력이 작용하게 하므로서 탁월한 쿠션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결대의 자체 탄력에 의해 등판도 탄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므로 허리의 움직임시 항상 은은한 탄력으로 사람의 등을 감싸주는 결과에 의해 허리부의 경직부위와 통증의 유발이 없이 편안함과 안락함 그리고 포근함등을 얻을 수 있게 되며, 조절레버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좌판과 등판 및 연결대를 일정한 각도로 재칠 수 있기 때문에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하고 실용적인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좌판(1)과 등판(2)을 연결대(3)에 조립결합한 것과, 상기 좌판(1)의 저면에 고정된 고정대(4)를 가스실린더(41)의 승강축(40)에 연결된 지지대(5)에 중심축(6)으로 결합한 것과, 고정대(4)의 나사축(10)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편(11)을 지지대(5)의 판스프링(7)에 접촉시켜 좌판(1)에 탄성력을 줄 수 있도록 된 것과, 고정판(12)에 결합된 조절레버(15)의 조작에 의해 고정대(4)내부의 슬라이드판(33)이 안내판(31)의 안내공(32)내에서 전, 후진하여 지지대(5)의 삽입부(5')로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함으로서 좌판(1)과 등판(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과, 연결대(3)의 내부 양측에는 한쌍의 판스프링(22)을 내장하여 등판(2)의 자체적인 탄성력을 얻을 수 있도록 된 것과, 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쿠션장치.
KR92016883U 1992-09-05 1992-09-05 의자의 쿠션장치 KR9500062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6883U KR950006206Y1 (ko) 1992-09-05 1992-09-05 의자의 쿠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6883U KR950006206Y1 (ko) 1992-09-05 1992-09-05 의자의 쿠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028U KR940007028U (ko) 1994-04-12
KR950006206Y1 true KR950006206Y1 (ko) 1995-08-04

Family

ID=19339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6883U KR950006206Y1 (ko) 1992-09-05 1992-09-05 의자의 쿠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2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028U (ko) 1994-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4689A (en) Chair having separable back
EP0722283B1 (en) Split back chair
US4703974A (en) Seat furniture
CN210785323U (zh) 用于按摩椅的按摩球组件及按摩椅
EP0971613B1 (en) Arrangement for beds and other reclining or seating furniture
CA2087981A1 (en) Work chair, more particularly an office chair
JPH0315411A (ja) 椅子
US4452449A (en) Office seating with activity features
US6485443B1 (en) Seating products with self powered dynamic massage units
JP3553302B2 (ja) 椅子における背もたれの支持構造
JP4176462B2 (ja)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KR950006206Y1 (ko) 의자의 쿠션장치
CA1324313C (en) Rocking chair
KR200172039Y1 (ko) 자세교정용 의자
JPH10179313A (ja) 椅子における背もたれの支持構造
KR20190047879A (ko) 겨드랑이 지지체
KR200198802Y1 (ko) 전동 마사지용 의자의 구조
KR200298198Y1 (ko) 허리 받침대를 갖는 의자
KR101788642B1 (ko) 의자용 등받이 슬라이드 장치
JPH04748Y2 (ko)
CN206238863U (zh) 一种座背联动椅的限位调节机构
KR102616462B1 (ko) 3d 모션 의자
JP4551918B2 (ja) 椅子
KR102491240B1 (ko) 틸트기능을 갖는 의자
CN220293310U (zh) 一种弹簧伸缩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