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658Y1 - 칼라 브라운관의 인너실드 체결구조체 - Google Patents

칼라 브라운관의 인너실드 체결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658Y1
KR950005658Y1 KR92028166U KR920028166U KR950005658Y1 KR 950005658 Y1 KR950005658 Y1 KR 950005658Y1 KR 92028166 U KR92028166 U KR 92028166U KR 920028166 U KR920028166 U KR 920028166U KR 950005658 Y1 KR950005658 Y1 KR 9500056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inner shield
fastening clip
clip
c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8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735U (ko
Inventor
박동주
Original Assignee
석진철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철,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진철
Priority to KR92028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658Y1/ko
Publication of KR9400177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7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6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6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3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entering the enclo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05Mounting arrangement of assembly to vessel
    • H01J2229/0711Spring and plate (clip) typ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 브라운관의 인너실드 체결구조체
제 1 도는 마스크 프레임과 인너실드의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종래의 칼라브라운관의 인너실드 체결용 클립을 도시하는 도면.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칼라브라운관의 인너실드 체결용 클립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공을 도시하는 일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체결용 클립 12 : 중심부
13 : 체결홈 14 : 파지부
17 : 체결공
본 고안은 칼라 브라운관의 인너실드 체결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칼라 브라운관의 마스크 프레임에 인너실드를 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칼라 브라운관의 인너실드 체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칼라 브라운관에서는 브라운관에 미치는 지자계의 영향을 차폐하기 위해서 마스크 프레임에 인너실드를 장착하게 된다. 이때, 마스크 프레임과 인너실드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마스크 프레임에 인너실드를 맞대어 놓고 마스크 프레임과 인너실드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된 체결공에 인너실드측으로 부터 체결용 클립을 삽입하여 상호 체결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제 1 도는 마스크 프레임과 인너실드의 분해사시도이고, 제 2 도는 종래의 칼라브라운관의 인너실드 체결용 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참조번호 1은 인너실드를 지시한다. 전술한 인너실드(1)는 일정한 각도로 오무러져 있는 스커트부(2)와 전술한 스커트부 하부에 일체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하부림(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림(3)에는 체결공(4)이 적당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5는 마스크 프레임을 지시한다. 전술한 마스크 프레임(5)의 후부에도 하부 림(3)의 체결공(4)에 대응하여 직사각형의 체결공(6)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체결공(4와 6)에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체결용 클립(7)을 삽입하여 마스크 프레임(5)과 인너실드(1)를 상호 체결해 준다. 전술한 종래의 체결용 클립(7)은 평평한 중심부(8), 오목한 체결홈(9), 및 상부로 굴곡된 파지부(10)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인너실드의 스커트부가 내측으로 오무러져 있는 반면에 종래의 체결용 클립은 단부가 상부로 굴곡되어 수직으로 뻗어있기 때문에 체결공에 삽입하기 위해서 파지하기가 어려운 뿐만아니라 체결과정에서 인너실드의 변형을 초래할 염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체결용 클립은 하부의 중심부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공에 삽입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체결과정에서 역시 인너실드의 변형을 초래할 염려가 있다. 한편, 체결공이 직사각형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도 체결용 클립의 삽입, 체결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삽입하기 위해서 파지하기가 용이하고, 삽입이 용이하며, 또한 삽입 과정에서 인너실드의 변형을 초래할 염려가 없는 칼라 브라운관의 인너시리드 체결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탄력성이 있는 얇은 대상의 재료로 구성하되, 중심부는 끝이 작은 곡률을 가지도록 둥글게 성형하고, 그 위에는 체결홈을 오목하게 성형하며, 또한 파지부는 단부를 꺾어서 상부를 향해 뻗어줌과 동시에 후방으로 돌출시킨 체결용 클립(11)과, 凸형으로 성형한 체결공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브라운관의 인너실드 체결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파지하기가 용이하며 작업성이 향상되고, 삽입이 용이하여 역시 작업성이 향상되며 또한 인너실드에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서 정도가 높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칼라 브라운관의 인너실드 체결용 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참조번호 11은 본 고안에 따른 체결용클립을 지시한다. 전술한 체결용 클립(11)은 얇은 대상의 탄력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한다. 한편, 이 체결용 클립(11)은 하부에 곡률이 작고 둥그렇게 성형된 중심부(12)를 성형한다. 상기 중심부(12)의 위쪽에는 오목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체결홈(13)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술한 체결홈(13)의 상측에는 꺽이어 상부로 뻗어있음과 동시에 후방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는 파지부(14)를 형성한다.
제 4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공을 도시하는 일부사시도이다.
참조번호 15는 인너실드를 지시한다. 전기 인너실드(15)는 마스크 프레임(16)에 체결된다. 한편, 전기 인너실드(15)와 전기 마스크 프레임(16)에는 전술한 체결용 클립(11)을 삽입할 수 있는 체결공(17)을 형성해준다. 전술한 체결공(17)은 凸형으로 성형하여 전기 체결용 클립(11)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 다른 칼라 브라운관의 인너실드 체결구조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체결용 클립의 선단부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파지가 용이하고 또한 체결용 클립의 중앙부가 동그랗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이 용이하며 또한 삽입과정에서 인너실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공에 있어서도 체결용 클립의 삽입위치가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체결용 클립의 삽입이 용이하다.

Claims (1)

  1.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금속편으로 하여 중심부(12)를 기점으로 하여 상부로 절곡하고, 상기 절곡된 양측 각각의 판 중간지점 내측으로 절곡되는 체결홈(13)으로 구성된 체결용 클립(11)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클립(11)의 양측 끝단부에 이와 일체로 한 상태에서 일측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하여 체결공(17)의 상면에 걸릴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14)와, 상기 파지부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용 클립이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ㅗ"형상을 갖는 체결공(17)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의 인너실드 체결구조체.
KR92028166U 1992-12-31 1992-12-31 칼라 브라운관의 인너실드 체결구조체 KR9500056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8166U KR950005658Y1 (ko) 1992-12-31 1992-12-31 칼라 브라운관의 인너실드 체결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8166U KR950005658Y1 (ko) 1992-12-31 1992-12-31 칼라 브라운관의 인너실드 체결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735U KR940017735U (ko) 1994-07-28
KR950005658Y1 true KR950005658Y1 (ko) 1995-07-15

Family

ID=1934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8166U KR950005658Y1 (ko) 1992-12-31 1992-12-31 칼라 브라운관의 인너실드 체결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6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735U (ko) 199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5305A (en) Clip for gripping fabric or the like
US3744104A (en) Non-releasable clasp
KR100288956B1 (ko) 슬라이드파스너슬라이더용견인탭커넥터
KR200147268Y1 (ko) 인너시일드와 프레임의 결합용 클립
US5241727A (en) Clip for coupling inner shield with frame
KR950005658Y1 (ko) 칼라 브라운관의 인너실드 체결구조체
US6418595B1 (en) Clothes hanger clasp
JPH02128724U (ko)
US7209345B2 (en) Cathode ray tube clamp
JP2556629B2 (ja) インナシールドとフレーム結合用クリップ
US4765035A (en) Belt buckle attachment clamp
US6058580A (en) Structural improvement of clothes hanger clasp
KR0126581Y1 (ko) 인너실드 장착구조체
JPS6025829Y2 (ja) コネクタ
US4987660A (en) Hook-type clothespin
KR200160911Y1 (ko)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EP0651179A1 (en) Cord fastening device
JPS5810483Y2 (ja) 合成樹脂製ヘヤ−ピン
KR910002845Y1 (ko) 버 클
KR100200520B1 (ko) 선재의 유지구
KR920008289Y1 (ko) 카렌더홀더용 고리
JPS6051Y2 (ja) 紐止金具
US1885806A (en) Snap fastener
JP3016035U (ja) 安全マスクとヘルメットの連接構造
KR890001366Y1 (ko) 가방용 멜빵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