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208Y1 - 폰잭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폰잭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208Y1
KR950005208Y1 KR2019900005893U KR900005893U KR950005208Y1 KR 950005208 Y1 KR950005208 Y1 KR 950005208Y1 KR 2019900005893 U KR2019900005893 U KR 2019900005893U KR 900005893 U KR900005893 U KR 900005893U KR 950005208 Y1 KR950005208 Y1 KR 950005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phone jack
front cabinet
ho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5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1371U (ko
Inventor
양인식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5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208Y1/ko
Publication of KR9100213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13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2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05K7/1428Housings for small modular apparatus with terminal blo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05K7/140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by turn-bolt or screw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폰잭 고정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측면도.
제 4a 도는 본 고안 호울더의 정면도, 4b 도는 본 고안 제 4a 도의 A-A선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론트 캐비넷 2 : 보스
3 : 콘트롤부 4 : 도어
5 : 나사 10 : 호울더
11 : 절곡부 12 : 후크
13 : 돌출편 14 : 통공
15 : 보조기판 16 : 각홀
17 : 폰잭
본 고안은 각종 전자제품에서 헤드폰과 마이크로폰등의 플러그를 연결하는 폰잭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폰잭이 납땜 고정된 기판을 홀울더에 결합시키고 폰잭이 결합된 호울더를 전자제품 프론트 캐비넷의 콘트롤부에 고정함으로서 각종 스위치의 조작과 함께 헤드폰과 마이크로폰을 콘트롤부의 폰잭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폰잭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폰잭은 전자제품의 백커버에 직접 매립사출 하거나 기판에 납땜 고정하여 백커버 외부로 돌출되도록하여 헤드폰과 마이크로폰등에 설치된 플러그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폰잭의 고정구조 중 전자의 경우는 폰잭을 백커버에 매립사출하기 위한 금형의 제조원가가 상승될 뿐만 아니라, 백커버 제작의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었으며, 후자의 경우는 별도의 지지구 업싱 폰잭이 납땜된 기판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고정시켜 사용함으로서 폰잭의 유동이 심하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폰잭이 납땜 고정된 기판까지 유동되는 결점이 있었으며, 전자와 후자의 폰잭은 모두가 백커버에 구성되는 것이므로 폰잭의 사용이 불편해지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감안하여 폰잭을 보조기판에 납땜 고정하고 보조기판은 호울더에 결합한 후 호울더를 프론트 캐비넷의 콘트롤부 내측에 고정함으로서 제작원가를 절감하고 폰잭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폰잭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폰잭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론트캐비넷(1)에 도어(4)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콘트롤부(3)에 있어서, 폰잭(17)이 납땜 고정되는 보조기판(15)에 각홀(16)을 형성시키고 돌출편(13)이 형성된 호울더(10)의 대향측에는 다수개의 통공(14)을 형성시키며 호울더(10)의 중앙에 구성된 절곡부(11)에는 후크(12)를 형성시켜 각홀(16)과 결합되도록 한후 돌출편(13)은 프론트캐비넷(1)의 하측에 삽입하고 상측은 나사(5)로 보스(2)에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폰잭(17)이 납땜 고정된 보조기판(15)을 호울더(10)의 절곡부(11)로 삽입하여 각홀(16)과 후크(12)가 결합되도록 한후 호울더(10)의 돌출편(13)을 프론트캐비넷(1)의 하측에 삽입시키고 호울더(10)의 통공(14)에는 나사(5)를 삽입하여 콘트롤부(3) 내측의 프론트캐비넷(1)에 형성된 보스(2)로 나사(5)를 체결함으로서 폰잭(17)의 고정작업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완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폰잭(17)이 콘트롤부(3)로 돌출 구성되므로 전자제품의 전면에서 편리하게 폰잭(17)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폰잭(17)이 납땜 고정된 보조기판(15)을 호울더(10)의 절곡부(11)로 삽입하면 보조기판(15)에 형성된 각홀(16)이 호울더(10)의 절곡부(11)에 형성된 후크(12)에 결합됨과 동시에 보조기판(15)이 절곡부(11)의 내측에 밀착지지 되므로 보조기판(15)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호울더(10)에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크(12)를 각홀(16)에서 이탈시키기 전에는 보조기판(15)이 호울더(10)에 분리되지 않는 것이다.
이때, 보조기판(15)이 결합된 호울더(10)의 돌출편(13)을 프론트캐비넷(1)의 하측에 삽입하여 폰잭(17)이 콘트롤부(3)로 돌출되도록 하고 통공(14)에는 나사(5)를 삽입하여 콘트롤부(3) 내측의 프론트캐비넷(1)에 형성된 보스(2)로 체결 고정함으로서 보조기판(15)이 결합된 호울더(10)를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울더(10)의 고정상태가 견고해지는 것이므로 헤드폰 또는 마이크로폰등의 플러그를 폰잭(17)에 연결할 때 폰잭(17)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폰잭이 납땜 고정된 보조기판을 호울더에 결합시키고 호울더를 콘트롤부 내측의 프론트 캐비넷에 고정함으로서 폰잭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울더의 돌출편과 나사를 사용하여 프론트 캐비넷에 호울더를 고정함으로서 호울더의 고정상태가 견고해지고 폰잭의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며, 호울더를 사용하여 폰잭을 프론트캐비넷의 콘트롤부에 설치함으로서 폰잭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1)

  1. 프론트캐비넷(1)에 도어(4)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콘트롤부(3)에 있어서, 폰잭(17)이 납땜 고정되는 보조기판(15)에 각홀(16)을 형성시키고 돌출편(13)이 형성된 호울더(10)의 대향측에는 다수개의 통공(14)을 형성시키며 호울더(10)의 중앙에 구성된 절곡부(11)에는 후크(12)를 형성시켜 각홀(16)과 결합되도록 한후 돌출편(13)은 프론트캐비넷(1)의 하측에 삽입하고 상측은 나사(5)로 보스(2)에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폰잭 고정장치.
KR2019900005893U 1990-05-07 1990-05-07 폰잭 고정장치 KR950005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5893U KR950005208Y1 (ko) 1990-05-07 1990-05-07 폰잭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5893U KR950005208Y1 (ko) 1990-05-07 1990-05-07 폰잭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1371U KR910021371U (ko) 1991-12-20
KR950005208Y1 true KR950005208Y1 (ko) 1995-06-26

Family

ID=1929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5893U KR950005208Y1 (ko) 1990-05-07 1990-05-07 폰잭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2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1371U (ko) 199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299723A (ja) 携帯無線機器の音響部品実装構造
KR950005208Y1 (ko) 폰잭 고정장치
JPS645411Y2 (ko)
JP3075926B2 (ja) 端子取付装置
KR880000870Y1 (ko) 휴대용 테레비젼의 전원회로용 기판
JP3451798B2 (ja) Acインレット
JPH0336156Y2 (ko)
JPS6038312Y2 (ja) 筐体装置
JP3012684U (ja) 電子機器用電源配線の取込構造
JPH0214152Y2 (ko)
KR950004873B1 (ko) 무선전화기의 접점단자와 회로기판 조립장치
JP2584992Y2 (ja) コネクタ付ケーブルの壁体貫通部構造
JP3305393B2 (ja) 端子台を有する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S5825625Y2 (ja) 携帯用通信機の筐体構造
JPS62176246A (ja) 電話装置
JPH0238542Y2 (ko)
KR200166421Y1 (ko) 엠디에프를 가진 키폰 시스템
KR200233069Y1 (ko) 차량용 핸즈프리세트 및 이 핸즈프리세트에 사용되는휴대폰
KR200304335Y1 (ko) 전자기기 어셈블리
JPH05159825A (ja) モジュラージャック
KR20010086526A (ko) 폴더형휴대폰의 이어잭 고정 장치
JPS6038938A (ja) ハンディトランシーバのオプションパーツユニット収納装置
KR980006640A (ko) 측전지 단자 취부구조
JPS58169759U (ja) ダイヤル取付構造
JPH03129913A (ja) 埋込型ライン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