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187B1 - 음이온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청정방법과 이들의 장치 - Google Patents

음이온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청정방법과 이들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187B1
KR950005187B1 KR1019920009605A KR920009605A KR950005187B1 KR 950005187 B1 KR950005187 B1 KR 950005187B1 KR 1019920009605 A KR1019920009605 A KR 1019920009605A KR 920009605 A KR920009605 A KR 920009605A KR 950005187 B1 KR950005187 B1 KR 950005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fine
anion
drop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9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0155A (ko
Inventor
요네시로 아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이즈미 겐규소
시모다이라요우이찌
정일건설주식회사
김정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이즈미 겐규소, 시모다이라요우이찌, 정일건설주식회사, 김정한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이즈미 겐규소
Priority to KR1019920009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187B1/ko
Publication of KR940000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1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16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wet type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이온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청정방법과 이들의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음이온제조방법을 구체화한 음이온제조장치의 후로어시이트도.
제2도는 풍도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도.
제3도는 풍도내에서의 노즐로부터의 분사된 물줄기의 비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음이온제조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음이온제조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8도 내지 제10도는 종래의 음이온제조기를 나타내는 후로어시이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이온제조장치 2,2a,2b,2c,2d,40,43,45 : 음이온 제조기
3 : 송풍기 4 : 분리기
7 : 풍도 8 : 일벽면(一壁面)
9 : 대향벽면 10,10a,10b,10c,10d : 노즐
17 : 배수물받이판 18 : 제어판
21 : 음이온 치료실(방) 31 : 공기도입구
본 발명은 공기 1㎥ 중에 음이온을 1.25×109개 이상 발생시키는 음이온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청정방법과 이들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공기중에서 1㎛으로부터 분자정도의 크기까지의 전기를 띈 미립자가 부유하고 있다. 이 중에서 분자가 10개로부터 100개 정도 모여진 크기의 입자를 소이온이라고 하고 특히 음극으로 대전되어 있는 것을 음이온이라고 하는데 이 음이온은 정신을 안정시키고 호흡기의 기능을 높이는 효과를 갖고 있는 것이라 일컬어지고 있다.
이와같이 공기중에 음이온이 부유하는 것은 공기중에서 물방울이 분열할때 물방울은 양극으로 대전되고 주의의 공기는 음극을 대전되는 공기의 이온화현상에 의해서 일어난다. 이 공기의 이온화현상은 일반적으로 레너드효과로서 알려져 있고 자연계에서는 폭포나 하천의 상류등 급류지역, 현저하게 강하게 비가 내리고 있는 지역등 특정한 지역에서만 발생한다.
따라서 수학여행이나 수도를 할 경우는 흔히 폭포가 있는 곳에 가게 되는데 이는 폭포의 물이 낙하해서 물보라가 일어나는 주변에는 음이온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음이온이 인체에 좋다는 것이 알려지게 되었으나 이전에는 보통 공기중의 음이온에 의지하는 수 밖에 없었으나 오랜 여구의 결과 전자공학의 발달과 함께 공기이온의 상황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음이온을 보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음이온(음전위)치료기(A, L, 치제프스키교수의 <국민경제에 있어서의 공기이온화>가 개발되었다. (다찌노저 <해명음이온의 위력> 다께이출판 참조)
본 출원인은 음이온이 자연계에서 발생하는 것과 동일한 원리를 채용한 음이온제조방법을 이미 출원하고 있다. (일본특원평 2-263571호) 그리고 이 음이온제조방법으로 음이온을 발생시킬때, 동시에 발생하는 초미세물방울은 대기중의 각종 물질을 포획하는 것도 공지되었다. 본 출원인은 이를 이용해서 공기중의 각종 먼지, 유해가스, 세균 연기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해서 청정공기로 하는 기술에 대해서도 여러가지 공개하고 있다.
상기한 음이온치료기에 의하면, 음이온을 다량으로 발생하여 세포에 음이온을 쉽게 보급할 수 있어서, 생체내에 음이온 효과를 올려 체액성, 세포성, 신경성을 전신적인 영향을 주므로서 여러가지 종류의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이 음이온발생의 대가로서 오전(O3)이 많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오존은 공기중에 미량 포함되어 있어도 인체에 해롭다고 한다.
또 상기한 본 출원인에 의한 음이온제조방법은 자연계에 있어서의 음이온발생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오존등에 의한 해가 없이 음이온을 생체내에 공급하며 동시에 발생하는 초미세물방울에 의해서 대기를 청정화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음이온제조방법은 단위동력에 대한 음이온발생효율이 낮아서 비경제적인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오존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인체에 유용한 다량의 음이온을 공기중에 효율적으로 발생시키게 된 음이온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청정방법과 이들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음이온제조방법은 풍도(風道)내의 일벽면에서 그의 대향하는 벽면으로 1이상의 분사물줄기를 충돌시켜서 미세물방울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한 퐁도내에 퐁속 0.5∼50m/sec로 공기를 통과시켜 미세물방울혼합공기로 만들고, 이 미세물방울혼합공기를 분리기에 통과시켜서 최소한 입경 1㎛ 보다 큰 미세물방울을 분리하여서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로 만들며 이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 1㎥ 중에 음이온을 1.25×109개 이상 발생시키는 것이며, 풍도의 직경방향에서 소정각도마다 또 풍도의 길이방향상류로부터 하류에 걸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시킨 복수의 분사 물줄기를 퐁도내의 일벽면에서 그의 대향벽면에 충돌시켜 미세물방울을 발생시키고, 동시에 풍도내에 풍속 0.5∼50m/sec로 공기를 통과시켜서 미세물방울혼합공기로 만든후 이 미세물방울혼합공기를 분리기에 통과시켜서 최소한 입경 1㎛ 보다 큰 미세물방울을 분리해서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로 만들며, 이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 1㎥ 중에 음이온을 1.25×109개 이상 발생시키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공기청정방법은 청구범위 1 또는 2에서 발생시킨 음이온을 함유하는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를 방안으로 보내서 이 방안의 청정화하려는 공기와 혼합하고 이 혼합공기를 상기한 풍도내로 풍속 0.5∼50m/sec로 통과시켜서 순환시켜 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음이온제조장치는 풍도내의 일벽면에서 이것에 대향하는 벽면으로 물을 분사하는 1개이상의 노즐을 설치해서 물로부터 미세물방울을 발생시키는 미세물방울제조기와 이 미세물방제조기에 의해 미세물방울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한 풍도내에 풍속 0.5∼50m/sec로 공기를 도입해서 미세물방울혼합공기로 만드는 송풍기와, 상기한 미세물방울혼합공기중에서 최소한 입경 1㎛ 보다 큰 미세물방울을 분리해서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로 만드는 분리기로 되며, 상기한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 1㎥ 중에 음이인올 1.25∼109개 이상 발생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시한 미세물방울제조기는 풍도내에서 각 대향하는 벽면에 물을 상호 분사하도록 하기 위하여 풍도의 직경방향에서 일정한 각도마다 또 풍도의 길이방향에서 일정 간격으로 풍도 내벽면에 복수의 노즐을 설치하여도 좋다.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풍도의 대향벽면에 배수물받이판을 설치해도 좋고, 물의 충돌후의 비산방향을 제어하는 제어판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노즐근방의 일벽면에 공기도입구를 설치하는 것도 좋다. 상기한 구성으로 되는 음이온제조방법에 의해서 음이온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원리는 명확하지는 않으나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가 있다. 즉 풍도내의 일벽면에서 정지상태의 대향벽면으로 1개 이상의 분사물줄기를 충동시킴으로서 대향벽면에는 항상 수분이 거의없는 상태에서 1개이상의 분사물줄기가 닿아서 이 충격으로 미세물방울을 발생시키고 이 미세물방울은 다시 대향벽면으로부터 일벽면방향으로 돌아가는 상태에 있을때 풍도내에 풍속 0.5∼50m/sec로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서 1개이상의 분사물줄기가 미세물방울을 다시 끌어들이는 일 없이 미세물방울을 혼합공기로 만들어지고, 이때 발생하는 레너드효과에 의해 미세물방울의 일부는 양이온으로 되고 이 미세물방울의 주위공기의 일부는 음이온으로 되는데 전기적으로는 밸런스가 취해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양극(兩極)의 공기이온을 함유하는 미세물방울혼합공기는 분리기에 보내져서 입경 1㎛ 보다 큰 양이온으로 대전되어 있는 미세물방울은 물방울로 분리되어서 공기기온은 균형을 잃게되고 따라서 음이온을 많이 함유한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가 얻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술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음이온제조방법을 구체화한 음이온 제조장치의 호로어 시이트로서, 음이온제조장치(1)는 물로부터 미세물방울을 발생시키는 미세물방울제조기(2)와 이 미세물방울제조기(2)에 의해 미세물방울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기내에 풍속 0.5∼50m/sec로 공기를 도입해서 미세물방울혼합공기로 만드는 송풍기(3)와 이 미세물방울혼합공기중에 최소한 입경 1㎛보다 큰 미세물방울은 분리시키고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만을 얻도록 된 분리기(4)로 구성된다.
상기한 미세물방울제조기(2)는 물탱크(5)와 이 물탱크(5)의 위에 설치한 통체(6)내에 들어있는 풍도(7)와 이 풍도(7)내의 일벽면(8)에 설치되어 그 대향벽면(9)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10)과 이들 노즐(10)에 물을 각각 공급하는 물공급관(11)과 이 물 공급관(11)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미세물방울제조기(2)의 물탱크(5)위에는 분리기(4)가 연결되어 풍도(7)와 연통되고 거의 기밀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분리기(4)의 상면에는 공기출구(13)가 설치되고, 풍도(7)의 상면에는 공기입구(14)가 설치되어서 각 파이프나 덕트등에 의해 다른 기기에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물탱크(5)의 측면 하부에는 물탱크(5)내에 고인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인발관(15)이 설치되고 볼탭밸브(16)을 통해 물탱크(5)내의 신선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물탱크(5)의 측면에는 물 공급관(11)이 연결되어 있다.
풍도(7)는 그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실시예에서의 형상은 단면이 구형이다. 그리고 이 풍도(7)는 보통 수직방향으로 통체(6)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노즐(10)은 풍도(7)의 일벽면(8)에 노즐(10)의 축선방향이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4개가 설치되며, 각각(10a,10b,10c,10d)로 되는 이들 노즐(10)로부터 부사된 물은 대향벽면(9)에 거의 수직으로 충돌하고 그 충격으로 비산해서 미세물방울로 된다.
풍도(7)의 대향벽면(9)에는 제2도 도시와 같이 배수물받이판(17)이 설치되어 노즐(10)에서 분사되는 물중 비산되지 않고 대향벽면(9)위를 흐르는 물을 받는 것이다. 이 배수물받이판(17)은 예를들면, 노즐(10a)로부터의 분사된 물줄기가 대향벽면(9)상에 흘러서 수막을 만들고 있는 곳에 다른 노즐(10b)로부터 분사되는 물이 닿는경우, 수막이 쿳션이 되어 충돌에너지가 약해져서 미세물방울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배수물받이판(17)의 상부에 위치하는 대향벽면(9)에는 제어판(18)이 설치되며, 이 제어판(18)은 대향벽면(9)에 충돌한후의 물의 비산방향을 제어하도록 되어서 다른 노즐(10)로부터 분사된 물줄기에 의해서 비산되는 미세물방울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배수물받이판(17)은 제3도에 도시하는 비산상태를 제어판(18)과 똑같이 제어하는 작용도 있다.
그리고 물공급관(11)에는 유량조절밸브(19)를 통해 펌프(12)의 토출측이 접속되어 있고, 물탱크(5)의 인발관(15)에는 펌프(12)의 흡입측이 접소되어 있다. 이 펌프(12)는 소정의 수량과 압력이 만족된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 편흡입 볼류트 펌프가 사용된다.
또 상기한 미세물방울제조기(2)에 공급되는 공급수량은 뒤에 설명하는 음이온치료실(21)등의 용적에 따르지만 충분한 여유가 있는 용량의 펌프(12)에 의해서 공급된다. 물탱크(5)내의 물은 순환사용에 의해서 차츰 오염되므로 상기한 볼탭밸브(16)등에 의해서 몇차례 나누어서 또는 연속적으로 물을 바꿀 필요가 있다.
여기서 사용되고 있는 송풍기(3)는 풍속 0.5∼50m/sec를 확보하기에 충분한 압력과 풍향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분리기(4)는 미세물방울혼합공기로부터 소정입경이상의 주로 양이온으로 되어있는 미세물방울을 제거해서 음이온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를 분리하는 것으로서 그 기능을 만족하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이클론이 사용되고 있으며, 미세물방울의 입경에 다라 적절한 직경과 길이를 갖는 사이클론이 선정된다. 본 실시예의 분리기(사이클론)(4)에서는 미세물방울의 입경이 1.0㎛ 이상인 것을 제거하는 것이 선정된다.
이상의 미세물방울제조기(2)와 송풍기(3) 및 분리기(4)는 다음과 같이 접속된다.
즉 미세물방울제조기(2)의 통체(6)와 분리기(4)는 상술한 바와같이 하부에서 연통되어 있고 분리기(4)의 공기출구(13)에는 송풍기(3)가 접속되어 있다.
이 송풍기(3)는 덕트(20)에 의해서 음이온치료실(21)에 접속되고, 이 음이온치료실(21)은 덕트(12)를 통해 상기한 미세물방울제조기(2)의 풍도(7)의 공기입구(14)에 접속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음이온제조방법에 있어서 음이온제조장치(1)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먼저 미세물방울제조기(2)의 물탱크(5)에 물이 소정의 위치까지 들어있는지, 기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후 송풍기(3)를 회전시킨다. 다음에 물은 물공급관(11)으로부터 각 노즐(10)에 공급되고 각 노즐(10)로부터 풍도(7)내의 일벽면(8)에서부터 대향 벽면(9)으로 분사된다. 분사된 물은 대향벽면(9)이 충돌하고 그 충격으로 비산해서 미세물방울로 된다. 이때 비산된 미세물방울은 제어판(18d)에 의해 그 비산방향이 제어되어 다른 노즐(10)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영향을 주지않고 흡수되는 일이 없다. 도한 대향벽면(9)에 충돌해도 비산되지 않고 대향벽면(9)상에 수막을 만들고 있는 물은 아래쪽으로 흘러 배수물받이판(17)에 받아져서 아래쪽으로 흐르지 않고 다른 노즐(10)로부터 분사된 물이 대향벽면(9)에 닿을때 영향을 주지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상황하에서 발생하는 미세물방울은 송풍기(3)에 의해서 풍도(7)내에 도입된 공기속에 확산되어 레너드효과에 의해서 주로 양이온화된 미세물방울과 그 주위의 공기가 음이온화되고 이들 양이온과 음이온이 혼재하는 미세물방울 혼합공기가 발생한다. 이 미세물방울혼합공기는 즉시 분리기(4)에 들어간다. 분리기(4)에 들어간 미세물방울혼합공기는 선회류로 되어 입경이 큰 즉 1.0㎛ 이상의 미세물방울은 분리기(4)의 내주벽면에 충돌해서 그대로 내주벽을 타고 아래쪽으로 흘러서 물탱크(5)로 들어간다.
따라서 양 이온화된 비교적 입경이 큰 1.0㎛ 이상의 미세물방울 혼합공기는 전기적인 밸런스를 잃고, 음이온화된 공기입자가 우세하게 되어 1㎥중에 음이온을 1.25×109개 이상 포함하는 초미세물방울 혼합공기가 얻어진다.
이 1.0㎛ 미만의 초미세물방울을 함유하고 있는 혼합공기는 공기출구(13)로부터 송풍기(3) 및 덕트(20)를 통해 음이온치료실(21)로 들어간다. 그리고 음이온치료실(21)에서 소정의 역할을 끝낸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는 다시 덕트(22)를 통해 공기입구(14)로부터 미세물방울제조기(2)의 풍도(7)내에 공급되어 순환운전이 일어난다.
이와같이 해서 얻어진 음이온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초미세물방울 혼합공기는 다찌노가 저술한 「해명 음이온의 유력」에서 알 수 있는 것 같이 표 1과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표 1]
또한 입경을 작게해서 실질적으로 10㎛ 미만의 초미세물방울을 공기에 함유시켜서 된 초미세물방울혼합 공기를 송기하면 그 과정에서 공기중의 미세한 먼지등을 부착해서 청정화 및 제균할 수 있다. 또한 이와같은 초미세물방울을 부유시키기 때문에 실내의 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것뿐 아니라, 물방울이 존재하는데도 불구하고 물체가 젖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뚜렷한 효과가 있다.
제4,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미세물방울제조기(2a)인데 제1~3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풍도(7)의 바깥쪽에 통체(30)를 설치해서 2중으로 하고, 또 노즐(10)의 주변에 공기도입구(31)를 설치하고 풍도(7)와 통체(30)와의 사이의 통로(32)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며, 노즐(10)로부터 물을 분사시킬때 애스퍼레이터(aspirator)의 원리로 공기도입구(31)로부터 공기를 도입하게 되며 이와같이 하므로서 공기와 미세물방울과의 혼합을 보다 스므스하게 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송풍기(3)를 생략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 이 미세물방울 제조기(2a)는 상술한 공기도입구(31)로부터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풍도(7)내에 공기를 직접 공급하도록 해도 좋다.
다른 구성작용에 대해서는 제1~3도의 실시예와 같으므로 도면에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6,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미세물방울제조기(2b)인데 제1~3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단면형상이 정4각형인 풍도(7)의 직경방향에서 일정한 각도, 즉 90도 마다 또 풍도의 길이방향으로 상류에서 하류에 걸쳐 일정한 간격으로 풍도(7)의 일벽면(8)에 노즐(10)을 설치하므로서 노즐(10)로부터 분사된 물이 대향벽면(9)에 충돌할때 미세물방울이 빈틈없이 발생하게 되고, 공기와의 혼합도 증진되어서 효율좋게 미세물방울혼합공기를 제조할 수가 있다.
기타 구성, 작용에 대해서는 제1~3도와 같으므로 도면에 부호를 붙여서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6,7도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풍도(7)의 대향벽면(9)에 배수물받이판(17) 및 제어판(18)을 각각 설치하는 것은 당연하고 또한 노즐(10)의 주변에 공기도입구(31)를 설치하는 것도 당연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음이온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음이온의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제1도에 나타내는 음이온 제조장치(1)에 있어서 분리기(4)에 접속한 덕트(20)로부터 0.6m 떨어진 위치에 공기이온카운터, 형식 83-1001A((주) 단과학제품)의 센서를 설치하여 음이온 제조장치(1)를 운전하여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를 제조하고 이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중의 양이온 및 음이온을 20분간 연속측정한다.
펌프 0.11KW
송풍기 2,21KW
노즐 4본
실시예 2
제4,5도에 나타낸 미세물방울제조기(2a)를 장착한 음이온제조장치(1)에 있어서 분리기(4)에 접속한 덕트(20)에서 0.6m 떨어진 위치에서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이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중의 양이온 및 음이온을 측정한다.
실시예 3
제6,7도에 나타낸 미세물방울제조기(2b)를 장착한 분리기(4)에 접속한 덕트(20)에서 0.6m 떨어진 위치에서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이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중의 양이온 및 음이온을 측정한다.
다음에 실시예 1~3과 비교하기 위해서 다음의 측정을 한다.
비교예 1
제8도에 나타내는 것 같이 회전중인 원판(41)에 물을 공급하는 구조의 미세물방울제조기(40)를 장착한 음이온제조장치에 있어서, 분리기(4)에 접속한 덕트에서 0.6m 떨어진 위치에서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이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중의 양이온 및 음이온을 측정한다.
비교예 2
제9도에 나타내는 것 같이 초음파가습기(42)에 의한 미세물방울제조기(43)를 장착한 음이온제조장치에 있어서 분리기(4)에 접속한 덕트에서 0.6m 떨어진 위치에서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이 초미세물방울 혼합공기중의 양이온 및 음이온을 측정한다.
비교예 3
제10도에 나타내는 송풍기를 겸해서 그의 날개(44)에 물을 공급하는 구조의 미세물방울제조기(45)를 장착한 음이온제조장치에 있어서 그의 분리기(4)에 접속한 덕트에서 0.6m 떨어진 위치에서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이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중의 양이온 및 음이온을 측정한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실험실내에서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이 공기이온카운터센서를 설치하고 실험실내의 공기중의 양이온 및 음이온을 측정한다.
비교예 5
상기한 실험실 근방의 옥외에서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이 공기이온 카운터센서를 설치하고 외기중의 양이온 및 음이온을 측정한다.
이하 표 2에 측정결과를 표시한다.
[표 2]
주 1. 실내온도 및 외기온도 25~30도
주 2. 습도 50%~80%
다음에 상기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음이온제조장치의 미세물방울제조기에 암모니아가스용기를 접속하고 압력 0.15kg/㎠로 유지하여 미세물방울제조기에 암모니아가스를 정량 공급한다. 송풍량 12㎥/min 송수량 40L/min로 유지하고 덕트(20)의 출구에 암모니아가스측정기(光明 이화학사 제품 AP-1)를 설치하고 이하의 조건에서 암모니아제거율을 측정한다.
a : 미세물방울제조기에 물을 흘려보내지 않을때의 암모니아가스 농도의 측정치.
b : 다음에 미세물방울제조기에 물을 흘려보낼때(정상운전)의 암모니아가스농도의 측정치.
제거율=a-b/a×100%
[표 3]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음이온 제조방법에 의하면, 풍도내의 일벽면에서 정지상태의 대향벽면으로 1개 이상의 분사물줄기를 충돌시킴으로서 대향벽면에는 항상 물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분사물줄기를 닿고 그의 충격으로 미세물방울이 발생되며 이 미세물방울은 대향벽면에서 충돌되어 일벽면 방향으로 돌아가는데 이와같은 상태에 있을때, 풍도내에 풍속 0.5~50m/sec로 공기를 통과시켜서 분사물줄기가 미세물방울을 다시 받아들이는 일 없이 효율좋게 미세물방울혼합공기가 되고 이때 발생하는 레너드효과에 의해서 미세물방울의 일부는 양이온이 되고 이 미세물방울의 주위공기의 일부는 음이온이 되는데 전기적으로는 균형이 잡힌 상태로 되어있다.
이 양극(兩極)의 공기이온을 함유한 미세물방울혼합공기는 분리기로 보내져서 입경 1㎛ 보다 큰 양이온으로 대전되어 있는 미세물방울은 분리기에 의해서 물방울로서 분리되므로 공기이온은 균형을 잃게되고 따라서 음이온을 많이 함유하는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가 효율좋게 얻어지는 것이다. 이런 구체적인 효율은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표 2에 의해 밝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음이온을 인체의 세포내에 보급하면 체액성, 세포성, 신경성으로 전신적으로 영향을 주고 이에 따라서 여러가지 종류의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와같이 발생된 음이온을 많이 함유한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를 청정화하려는 공기와 혼합하고 이 혼합공기를 다시 상기한 풍도내로 통과시켜서 순환시키면 초미세물방울은 청정화하려는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효율좋게 포획해서 청정기로 만들어 준다.
그의 구체적인 효과는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표 3에 의해서 알 수 있다.
또 이 음이온제조방법을 구체화한 본 발명의 음이온제조장치에 의하면 음이온을 대량으로 함유하는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가 종래보다도 효율좋게 얻어지며 이 음이온을 인체에 도입하거나 이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와 청정화하려는 공기를 혼합하거나 이 혼합공기를 음이온 제조기에 통과시키므로서 상술한 효과를 내기가 용이하게 된다.

Claims (8)

  1. 풍도내의 일벽면으로부터 그의 대향하는 벽면에 1이상의 분사물줄기를 충돌시켜서 미세물방울을 발생시키고 동시에 풍도내의 풍속 0.5~50m/sec로 공기를 통과시켜서 미세물방울혼합공기로 한후 이 미세물방울혼합공기를 분리기에 통과시켜서 최소한 입경 1㎛보다 큰 미세물방울을 분리해서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로 만들고 이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 1㎥중에 음이온을 1.25×109개 이상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분사물줄기가 풍도의 직경방향에서 일정한 각도로 또 길이방향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발생된 음이온함유의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가 음이온치료실의 청정화하려는 공기와 혼합된 다음 상기한 풍도내로 풍속 0.5~50m/sec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방법.
  4. 풍도내의 일벽면에 대향벽면으로 물을 분사하는 1개이상의 노즐이 설치되어서 미세물방울을 발생시키는 미세물방울제조기와 풍도내로 풍속 0.5~50m/sec로 공기를 도입하여 미세물방울혼합공기로 하는 송풍기 및 상기한 미세물방울혼합공기중 최소한 입경 1㎛ 보다 큰 미세물방울을 분리해서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로 만드는 분리기로 구성되고, 상기한 초미세물방울혼합공기 1㎥중에 음이온을 1.25×109개 이상 발생시키는 음이온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미세물방울제조기는 풍도의 직경방향에서 일정한 각도로 또 길이방향에서 일정한간격으로 일벽면에 복수의 노즐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제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풍도의 대향벽면에 배수물받이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제조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수직방향에서 설치된 풍도의 대향벽면에 물의 충돌후 비산방향을 제어하는 제어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제조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풍도의 일벽면에 공기도입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제조장치.
KR1019920009605A 1992-06-03 1992-06-03 음이온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청정방법과 이들의 장치 KR950005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9605A KR950005187B1 (ko) 1992-06-03 1992-06-03 음이온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청정방법과 이들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9605A KR950005187B1 (ko) 1992-06-03 1992-06-03 음이온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청정방법과 이들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155A KR940000155A (ko) 1994-01-03
KR950005187B1 true KR950005187B1 (ko) 1995-05-19

Family

ID=1933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9605A KR950005187B1 (ko) 1992-06-03 1992-06-03 음이온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청정방법과 이들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1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155A (ko) 199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6463C (zh) 用于天然气流湿法净化的方法及设备
US10722606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negative oxygen ions, and method and device for purifying air
JPH10226503A (ja) 空気オゾン混合器及びオゾンフォグ発生装置
KR20180083061A (ko) 다단 탈취 필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2단 세정 탈취 장치
RU2377052C1 (ru) Способ мокрой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JPH02290218A (ja) ガス吸収塔
JP2000334240A (ja) 湿式空気清浄機
KR950005187B1 (ko) 음이온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청정방법과 이들의 장치
JP3621159B2 (ja) 排ガスの処理方法及び装置
JP4022904B2 (ja) 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マイナスイオン発生システム及びマイナスイオン発生方法
JP3334895B2 (ja) 陰イオン製造装置
JPS62210029A (ja) 排ガス浄化装置
CN109758853A (zh) 一种v型多微米孔阵列的静电除尘与除湿系统
KR100610463B1 (ko) 음이온 공급유닛, 음이온 공기발생장치, 음이온 공기발생방법,공기청정화 시스템 및 공기청정화 방법
CN111410253B (zh) 一种脱硫废水浓缩液雾化装置及雾化防堵方法
JP2000220873A (ja) マイナスイオン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空気清浄装置及び空気加湿装置
CN110314620B (zh) 一种高效喷淋气液混合装置
KR102144901B1 (ko) 공기 정화장치
JPH05302736A (ja) 負イオン発生方法とその装置並びに負イオンの発生を利用した空気浄化方法とその装置
CN111306678A (zh) 一种具有清水垢功能的空气加湿器
CN212663134U (zh) 一种气体处理装置
KR100609848B1 (ko)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
KR102579852B1 (ko) 미세먼지용 공기정화기의 필터장치
CN219591835U (zh) 一种气水混合负氧离子发生器
CN212680550U (zh) 一种气体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