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845Y1 - 점멸주기 가변형 경보램프 세트회로 - Google Patents

점멸주기 가변형 경보램프 세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845Y1
KR950004845Y1 KR2019890011083U KR890011083U KR950004845Y1 KR 950004845 Y1 KR950004845 Y1 KR 950004845Y1 KR 2019890011083 U KR2019890011083 U KR 2019890011083U KR 890011083 U KR890011083 U KR 890011083U KR 950004845 Y1 KR950004845 Y1 KR 9500048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alarm
variable
unit
flashing 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1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184U (ko
Inventor
김호
Original Assignee
금성제전 주식회사
백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제전 주식회사, 백중영 filed Critical 금성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1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845Y1/ko
Publication of KR9100031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1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8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8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08B5/38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using flashing ligh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안의 명칭
점멸주기 가변형 경보램프 세트회로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종래의 경보램프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점멸주기 가변형 경보램프 세트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지탈 출력보오드부 20 : 경보표시 펜넬부
30 : 점멸주기 가변설정 회로부 R : 릴레이
SW : 릴레이 스위치 V : 전원부
IC : 타이머 LP : 경보표시램프
S1∼S3 : 디프스위치 C1, C2 : 콘덴서
D1 : 다이오드
[실용신안의 상세한 설명]
본 고안은 공장등의 제어감지판의 경보 및 예고를 위한 모자이크형 램프표시판넬에 플러그 입력타입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경보표시램프에 관한것으로, 특히 램프마다 점멸주기를 가변설정하여 경보상태를 다양하게 표시하는데 적당하도록한 점멸주기 가변형 경보램프 세트회로 관한것이다.
종래에 예고 경보램프 세트회로는 제1도의 회로와 같이 디지탈 입력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릴레이(R)와 상기 릴레이(R)의 구동에 의해 접점이 이루어지는 릴레이스위치(SW)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V)로 된 디지탈 출력보오드(10)와 이 디지탈 출력보오드(10)의 출력측에 램프(LP)가 결선되어 구성된 경보표시판넬(20)을 지고 있으며, 상기 디지탈 출력보오드부(10)의 신호에 따라 램프(LP)가 점등 및 소등되게 되어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경뵤표시 판넬부(20)에는 여러개 램프(LP)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하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회로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각 경보램프(LP)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출력이 디지탈 출력보오드에서 출력되면 이신호가 램프의 구동전원(V)을 릴레이(R)에 의해 온/오프 시키므로 출력하고자 하는 신호를 램프(LP)를 통해 표시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제어감지파느이 경보표시 회로도에서는 디지탈 출력보이드부(10)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 그대로 경보표시판넬부(20)의 램프(LP)를 온/오프시키기 때문에 각 램프가 임의 선택의 점멸주기를 갖도록 설정할수가 없는데 경보레벨에 따라 램프의 점멸주를 변경설정하고자 할때는 디지탈 출력보오드부(10)와 경보표시판넬부(20)와의 접속단(a, a'), (b, b')사이에 별도의 회로를 삽입해야 하고 여러개의 램프를 한꺼번에 점멸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제어회로를 갖는 보오드가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경보 및 예고를 위한 모자이크형 램프표시판넬에 플러그 입력타입으로 설치한 경보표시 램프세트회로에 관한것으로 제2도와 같이, 경보표시판넬부(20)의 각 경보표시램프(LP)에 어스테이블(Astable)멀티 바이브레이터로 작동하는 타이머(IC)와 점멸주기를 가변시키기 위한 저항(R1, R2), 콘덴서(C1, C2) 및 점멸주기 설정용 디프(Dip)스위치(S1∼S3)를 빌트-인(Built-in)형으로 점멸주기 가변회로부(30)를 연결하여 경보표시 판넬세트를 구성하고, 상기 점멸주기 가변호루부(30)의 입력단에 디지탈 출력보오드부(10)의 출력단을 연결한다.
상기 회로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릴레이(R)와 릴레이 스위치(SW) 및 전원부(V)로 된 디지탈 출력보오드(10)의 일단은 C-C'단자를 거쳐 저항(R1)과 타이머(IC)의 Vcc단(8)과 리셋단자(4)로 연결되고 디지탈 출력보오드(10)의 다른 일단은 d-d'단자를 통해 콘덴서(C1,C2) 및 램프(LP)의 일단과 타이머(IC)의 접지단(1)과 콘트롤 단자(5)에 공통연결되며, 콘덴서(C1)의 다른 일단은 디프스위치(S1)와 연결되고 콘덴서(C2)의 다른 일단은 디프스위치(S3)와 연결되며, 디프스위치(S2, S3)의 다른 일단은 공통접속으로 타이머(IC)의 트리거단자(2)의 스레쉬홀드단자(6)(Threshold)에 견결됨과 동시에, 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와 저항(R2)에 연결되고, 다이오드(D1)이 애노우드오 저항(R2)의 다르 일측은 공통접속하여 타이머(IC)의 디프챠지단자(DISCHSRGE)(7)에 연결함과 동시에, 디프스위치(S1)를 거쳐 저항(R1)에 연결하고, 타이머(IC)의 출력단(3)은 램프(LP)와 연결한다.
즉, 상기와 같은 경보표시 램프세트는 모자이크형태로 기본판넬에 삽입할 수 있는 형태로 갖도록 하고, 이때 타이머와 주변소자 및 램프는 램프 케이스내에 한몬체로 구성하며, 각 램프마다 기본판넬로 부터 분해조립이 가능하며 경보종류 및 레벨에 따른 점멸하는 주기의 가변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보를 감지하는 운용자에게 편이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구성회로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디지탈 출력보오드(10)의 디지탈 입력신호에 의해 릴레이(R)이 동작하면 릴레이스위치(SW)가 '온'되어 공급전원(V)이 릴레이스위치(SW)를 거쳐 타이머(IC)의 전원단(Vcc)으로 공급되는데, 이때 점멸주기의 변경설정은 디프스위치에 의해 상시 점등상태의 3종류의 주기변경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디프스위치(S1)만 1 '온'되고 디프스위치(S2, S3)가 '오프'되면, 타이머(IC)의 출력신호에 따라 램프(LP)는 항상 점등상태를 유지하고, 또 디피스위치(S2, S3)의 조합에 따라 3종류의 주기변동이 가능하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램프의 점멸주기는 타이머(IC)에 연결된 저항(R1, R2)과 콘덴서(C1, C2)의 값에 의해 결정되기때문에, 저항(R1)과 저항(R2)의 갑싱 같도록(R1=R2)하고, 콘덴서(C2)의 값보다 콘덴서(C1)의 값이 두배(2C1=C2)가 되도록하여 디프스위치(S1)만 '온'시키면 타이머(IC)의 출력은 항상 경보표시램프(LP)를 점등시키게 된다. 그리고 또한, 디프스위치(S1, S2)는 '온'이고 디프스위치(S3)가 '오프'이면, 저항(R)과 콘덴서(C1)에 의해 결정되는 기본 주기(T)를 지니게 되고, 디프스스위치(S2)는 오프이고, 디프스위치(S1, S3)가 '온'이면 기본주기의 2배이고, 디프스위치(S1∼S2)가 모두 '온'이면 기본 주기의 3배를 갖도록 각각 설명할 수 있다.
타이머(IC)는 저항(R1)과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1, C2)를 통해 충하고 방전시는 콘덴서(C1) 혹은 콘덴서(C2)와 저항(R2)를 통해 타이머(IC)의 디스챠지단자(7)로 방전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튜티 사이클의 50%를 가지며 점멸할 수 있도록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보 및 예고표시판넬에 설치되는 램프에 각 램프마다 독립적으로 램프의 점멸주기를 가변설정하는 장치를 램프와 한몸체화시키므로 경보램프의 점멸주기를 가변시키기 위한 별도의 제어회로부가 필요없으며 각 램프단위로 점멸주기를 필요에 따라 가변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이성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디지탈 입력신호에 의해 릴레이(R)의 구동이 결정되어 릴레이스위치(SW)를 온/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이 릴레이스위치(SW)의 온/오프작동여부에 따라 전원부(V)의 전원을 출력하도록 하는 디지탈 출력보오드부(10)와, 상기 디지탈 출력보오드부(10)이 전원공급에 따라 다수의 램프(LP)를 점등시키도록 하는 경보표시판넬부(20)를 구비한 경보램프 셋트회로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출력보오드부(10)의 전원부(V)로 부터 전원이 공급이 이루어지면 상기 경보표시 판넬부(20)의 각각의 램프(LP)의 경보상태를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점멸주기를 가변설정한 타임펄스를 발생하는 점멸주기 가변설정 회로부(3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주기 가변형 경보램프 세트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녈주기 가변설정 회로부930)는, 경보표시램프(LP)의 점멸주기를 가변시키기 위한 저항(R1, R2) 및 콘덴서(C1, C2)와, 상기 저항(R1, R2) 및 콘덴서(C1, C2)의 값에 의해 가변하여 점멸주기신호를 가변설정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디프스위치(S1∼S3)와, 상기 디프스위치(S1∼S3)의 온/오프조작상태에 따라 점멸주기의 가변설정된 타임펄스를 발생하는 타이머(I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멸주기 가변형 경보램프 세트회로.
KR2019890011083U 1989-07-28 1989-07-28 점멸주기 가변형 경보램프 세트회로 KR9500048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1083U KR950004845Y1 (ko) 1989-07-28 1989-07-28 점멸주기 가변형 경보램프 세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1083U KR950004845Y1 (ko) 1989-07-28 1989-07-28 점멸주기 가변형 경보램프 세트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184U KR910003184U (ko) 1991-02-26
KR950004845Y1 true KR950004845Y1 (ko) 1995-06-16

Family

ID=19288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1083U KR950004845Y1 (ko) 1989-07-28 1989-07-28 점멸주기 가변형 경보램프 세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8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184U (ko) 199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32629A (en) Battery condition indicator
US5143439A (en) High efficiency novelty flasher assembly
US5663614A (en) Lighting circuit module for a shoe
US4339632A (en) Button illumination for repertory dialer with low battery voltage indication
KR950004845Y1 (ko) 점멸주기 가변형 경보램프 세트회로
JPH0713128A (ja) 液晶表示用バックライト輝度制御方法
US20030036412A1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for a mobile phone
JPH0326684Y2 (ko)
JPS5842970B2 (ja) 近接スイッチ
JP2906476B2 (ja) 光電スイッチの投光回路
CN2245319Y (zh) 照明灯具控制器
CN200990708Y (zh) 自适应led倒计时信号灯智能电源控制开关
US20090179598A1 (en) Electronic Ballast with Integral Shutdown Timer
KR100304734B1 (ko) 보안등용 자동 점멸회로
KR19990082996A (ko) 스위칭가능한 동작회로를 갖는 방전 램프용 동작 회로
KR940007435B1 (ko) 전압 분압에 의한 전자식 전등 선택 점등회로
CN218735089U (zh) 镜子灯的控制板及镜子灯
CN2118664U (zh) 电子闪光继电器
JPH0326014U (ko)
JPS6351626B2 (ko)
KR890006041Y1 (ko) 경보램프가 부착된 자동 극성 절환장치
JPS60163531A (ja) 電子スイツチ
KR200188158Y1 (ko) 3색 led 구동회로
SU1376136A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напр жени на химическом источнике тока при разр де
KR900000705Y1 (ko) 냉장고의 급속 냉동, 냉장 시간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