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766B1 - 용기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용기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766B1
KR950004766B1 KR1019910021719A KR910021719A KR950004766B1 KR 950004766 B1 KR950004766 B1 KR 950004766B1 KR 1019910021719 A KR1019910021719 A KR 1019910021719A KR 910021719 A KR910021719 A KR 910021719A KR 950004766 B1 KR950004766 B1 KR 950004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liquid
filling
container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198A (ko
Inventor
요시하루 타나카
마사유끼 하야시
히로유끼 타카가와
가쯔히꼬 콘도
유끼오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코오노 미찌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36575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7721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6670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877266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코오노 미찌아끼 filed Critical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10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7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8Flow-control devices, e.g. u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6Filling-heads; Means for engaging filling-heads with bottle n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6Filling-heads; Means for engaging filling-heads with bottle necks
    • B67C3/2614Filling-heads; Means for engaging filling-heads with bottle necks specially adapted for counter-pressure filling
    • B67C3/2625Filling-heads; Means for engaging filling-heads with bottle necks specially adapted for counter-pressure filling the liquid valve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a given counter-pressure is obtained in the container to be filled
    • B67C3/2628Filling-heads; Means for engaging filling-heads with bottle necks specially adapted for counter-pressure filling the liquid valve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a given counter-pressure is obtained in the container to be filled and the filling operation stopping when the liquid rises to a level at which it closes a v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6Filling-heads; Means for engaging filling-heads with bottle necks
    • B67C2003/2668Means for adapting the filling head to various sizes of containe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기충전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액체충전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동 실시예의 아암부재를 표시한 제1도의 A-A단면도.
제3도는 동 실시예의 충전장치의 충전공정의 설명도.
제4도∼제8도는 동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는 충전장치의 단면도.
제9도는 다른 승강장치를 사용한 상기 제1실시예의 충전장치의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충전장치에 있어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자유상태를 표시한 종단측면도.
제11도는 동 용기충전장치의 액체배출상태를 표시한 종단측면도.
제12도는 제10도의 화살표 A-A선을 따른 횡단평면도.
제13도는 동 제2실시예의 액체충전공정을 표시한 설명도.
제14도는 동 제2실시예의 액체충전공정을 표시한 설명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충전장치에 있어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자유상태를 표시한 종단측면도.
제16도는 동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액체배출상태를 표시한 종단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충전장치 (101) : 하우징
(104) : 밸브보디 (105),(110) : 액체통로
(108) : 제1탄성체 (109) : 플랜지
(132) : 충전액조 (134) : 용기
(136) : 핀축 (137) : 위치결정테이퍼면
(138) : 시일부재 (139) : 회전방지판
(140) : 벨 (144) : 액체밸브
(156) : 벤트튜우브 (157) : 배출로
(180) : 간격 (181) : 액체통로 개폐부
(220) : 중간스프링슈우 (221) : 제2탄성체
(223) : 제3탄성체 (225) : 정지부재
(226)(227) : 중앙플랜지 (350) : 아암부재
(351) : 로울러 (352) : 핀
(353) : 지지아암 (354) : 제4탄성체
(355) : 긴구멍 (357) : 워셔
(360) : 콘트롤캠 (361) : 가이드
(363) : 스토퍼부재 (370): 캠
(401) : 부유체 (402) : 고정지지체
(403) : 잘린부분 (405) : 걸어맞춤축
(408) : 부유체 정지부재
본 발명은 액체등을 용기에 충전하는 용기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빈용기에 충전하는 충전량의 들어간 양의 조정장치로서, 일본국 실공소 58-1535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 장치에 의하면, 들어간 양의 조정은 액체를 용기에 충전하는 주액관 단부에 설치된 누름너트 및 패드누루개의 조작에 의해서 행해지고 있다.
또, 종래 용기충전장치로서는, 일본국 실공소 60-145호 공보에 기재한 것이 널리 알려졌다.
이 용기충전장치는 용기를 수평방향으로 반송하는 한편, 충전밸브를 하강시켜서 용기에 누르고, 액체용로 개폐부를 개방해서 액체를 용기에 충전하는 것이다.
상기한 전자의 종래 들어간 양의 조정장치에서는 다음의 문제점이 있다. 즉 용기는 고속으로 충전할 경우에는 충전장치는 다수환영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여러가지의 용기에 대응해서 들어가는 양을 변경할 경우에는, 모든 충전 장치에 대해서 누름너트 및 패드누르개의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어 작업능률이 나쁘다.
상기 후자의 종래 용기충전장치에서는 용기를 수평으로 반송해서 충전밸브를 하강시키고 용기에 누르므로써, 액체 통로개폐부를 개방해서 액체를 용기에 충전하는 형식의 상기 후자의 종래 충전장치에 있어서는 액체를 배출하는 기구를 용기 교환장치내에 포함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불편을 해결할 수 있는 용기충전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 제1의 발명의 용기충전장치는, 충전액조와 연통하고, 상기 충전액조의 하부에 고정된 속이빈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세워 설치된 벤트튜우브와,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충전액조의 액체를 도입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벤트튜우브에 고정된 벨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와 제1탄성체에 의해서 연결되고, 밸브보디에 대해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벤트튜우브의 외면에 의해서 충전액류통로를 형성하고, 벤트튜우브의 단부와 접촉해서 개폐밸브를 형성한 액체벨브와, 상기 액체밸브와 제3탄성체에 의해서 연결되고, 액체밸브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시일부재를 가지고 액체벨브와의 사이가 시일되어 있는 벨과, 상기 밸브보디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제2탄성체의 중간스프링 슈우와, 밸브보디를 승강시켜 아래쪽으로 가압할 수 있는 승강장치와, 상기 중간 스프링슈우의 정지부재와, 상기 충전액조와 상기 정지부재의 적어도 한쪽을 용기와 재치대(載置臺)에 대해서 상하운동가능한 구동장치를 가진 것이다.
또 본 발명 제2의 발명의 용기충전장치는, 충전액조와 연통하고, 상기 충전 액조의 하부에 고정된 속이 빈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세워 설치된 벤트튜우브와,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충전액조의 액체를 도입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벤트튜우브에 고정된 밸브보디와, 상기 밸브보디와 제1탄성체에 의해서 연결되고, 벨브보디에 대해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벤트튜우브의 외면에 의해서 충전액류통로를 형성하고, 벤트튜우브의 단부와 접촉해서 개폐밸브를 형성한 액체밸브와, 상기 액체밸브와 제3탄성체에 의해서 연결되고, 액체밸브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시일부재를 가지고 액체밸브와의 사이가 시일되어 있는 벨과, 상기 밸브보디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제2탄성체의 중간 스프링슈우와, 밸브보디를 승가시켜 아래쪽으로 가압할 수 있는 승강장치와, 상기 중간스프링슈유의정지부재와, 상기 밸브보디를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다른 탄성체와, 동다른 탄성체의 하단부에 장착한 부유체와, 동부유체의 하강위치를 규제하는 부유체 정지부재를 가지고, 상기 충전액조와 상기 정지부재의 적어도 한쪽을 용기의 재치대에 대해서 상하운동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 제1의 발명은, 재치대에 용기가 없는 경우에는, 승강장치의 아래 방향으로서의 가압에 의해서 밸브보디를 개재해서 벤트튜우브가 아래방향으로 가압된다. 한편, 액체밸브는 제1탄성체를 개재해서 밸브보디에 대해서 이동하여 벤트튜우브의 단부에 접촉하고, 소위 개폐밸브가 폐지된 상태가 된다. 한편 아암부재가 상승할때, 액체밸브는 최초로 중간스프링슈우에 접촉하고, 그후 중간 스프링슈우와 일체가 되어 상승한다. 또 액체밸브가 중간스프링슈우에 접촉한 후에도 제1탄성체 및 제2탄성체를 더한 탄발력에 의해서 액체밸브는 아래방향으로 가압되어 액체밸브와 벤트튜우브의 단부에서 접촉해서 개폐밸브가 폐쇄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재치대에 빈용기가 있을때 아암부재가 하강하면 중간스프링슈우는 정지부재에 접촉하여 하강을 멈출수 있기 때문에, 제2탄성체의 탄발력은 액체밸브를 하강시키는 힘으로서는 작용하지 않게 되어 액체밸브는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정지한다. 한편 벤트튜우브는 아래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액체밸브와 이탈하여 소위 개폐밸브가 개방상태가 된다. 그 결과, 충전액조의 충전액은 하우징내 통로 및 충전액류통로를 개재해서 용기내에 충전된다.
또 용기에 들어간 양의 조절은 충전액조와 중간스프링슈우의 정지부재의 적어도 한쪽을 상하운동가능한 구동장치에 의해서 행한다. 즉, 재치대에 대한 정지부재 또는 충전액조의 위치를 변경하므로써, 용기의 상단과 액체밸브의 하단의 위치 관계를 변경해서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본 발명 제2의 발명에서는, 재치대에 용기가 없는 경우에는, 승강장치의 아래음향으로의 가압에 의해서 밸브보디를 개재해서 벤트튜우브가 아래방향으로 가압된다. 한편 액체밸브는 제1탄성체를 개재해서 밸브보디에 대해서 이동하여 벤트튜우브의 단부에 접촉하고, 소위 개폐밸브가 폐지된 상태가 된다. 한편 아암부재가 상승할때 액체밸브는 최초로 중간스프링슈우에 접촉하고, 그후 중간스프링슈우와 일체가 되어 상승한다. 또 액체밸브가 중간스프링슈우에 접촉한 후에도 제1탄성체 및 제2탄성체를 더한 탄발력에 의해서 액체밸브는 아래 방향으로 가압되어 액체밸브와 벤트튜우브의 단부에서 접촉해서 개폐밸브가 폐쇄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재치대에 빈용기가 있을때 아암부재가 하강하면, 중간스프링슈우는 정지부재에 접촉하여 하강을 멈춤 수 있기 때문에, 제2탄성체의 탄발력은 액체밸브를 하강시키는 힘으로서는 작용하지 않게 되어 액체밸브는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정지한다. 한편 벤트튜우브는 아래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액체밸브와 이탈하여 소위 개폐밸브가 개방상태가 된다. 그결과 충전액조의 충정액을 하우징내 통로 및 충전액류통로를 개재해서 용기내에 충전된다.
이상에 더하여, 본 발명 제2의 발명에서는, 액체통로개폐부를 개방해서 밸브보디내에 액체를 다음과 같이 배출한다. 먼저 외력의 충전밸브에 가해지지 않는 자유상태에서는 밸브보디와 제2탄성체에 의해 위쪽으로의 힘을 받고, 다른 탄성체에 의해 아래쪽으로의 힘을 받는다. 여기서 다른 탄성체에 의한 아래쪽으로의 힘쪽이 제2탄성체에 의한 위쪽으로의 힘보다도 크므로, 밸브보디는 다른 탄성체의 하단에 일체의 부유체를 부유체 정지부재에 접촉시켜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정지부재가 제1탄성체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려지고 있는 액체밸브의 중앙 플랜지에 접촉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제1탄성체의 작용에 의해 액체통로 개폐부가 폐쇄로 되어 있다.
다음에, 밸브보디에 제2탄성체로부터 받는 위쪽으로의 힘보다도 큰 외력을 아래쪽에 가한다. 그렇게 하면 밸브보디가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액체밸브의 중앙플랜지가 정지부재에 접촉하고, 밸브보디를 다시 하강시키면 밸브보디에 고정되어 있는 벤트튜우브가 약체밸브에 대하여 하강하고, 액체통로개폐부가 개방으로 되어 액체통로에 체류하고 있는 액체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다수환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충전장치(1)의 단면도로 표시하고, 도시생략된 용기의 재치대에 대해서 상하운동가능한 구동장치가 설치된 환형상의 충전액조(132)의 하부에는 속이빈 하우징(101)이 도시하지 않은 볼트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동장치로서는, 예를들면 랙피니언기구나 나사기구등 공지의 구동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이 하우징(101)의 중앙에는 배출로를 형성한 벤트튜우브(156)가 단부를 충전액조(132)의 가스층의 위치까지 돌출하고, 타단부를 테이퍼형상의 개구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액체밸브(144)와 접촉하는 위치에 세워 설치되고, 충전액을 용기에 충전하는 개폐밸브를 형성하고 있다. 속이빈 밸브보디(104)는 상기 하우징(101)과 동축하며 또한 하우징(101)에 대해서 기밀을 유지해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밸브보디는 하우징(101)에 바깥끼우기 혹은 안쪽끼우기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본 예에서는 안쪽끼우기되고 슬라이딩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후술하는 제1탄성체(108)를 끼워 장착하는 플랜지(10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충전액조(132)의 가스층을 부압으로하는 진공충전기의 경우에는, 하우징(101)과 밸브보디(104)의 사이의 시일은, 이 부압에 대해서 누설하지 않을 정도의 시일이어도 된다. 또 이 밸브보디(104)는 벤트튜우브(156)에 고착되어 있어 일체로 되어 있다. 또한, 밸브보디(104)에는 속이빈 하우징(101)을 개재해서 상기 충전액조의 액체를 도입하는 통로로서 액체 통로(105)가 형성되고, 충전액체통로(110)를 벤트튜우브(156)의 외벽에 의해서 형성하고 있다. 또 후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나, 하우징(101)에 대해서 밸브보디(104)를 상하운동하는 승강장치로서, 밸브보디(104)에는 아암부재(350)의 긴구멍부(355)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 장착할 수 있는 걸어맞춤부재로서 핀축(136)을 개재해서 1쌍의 아암부재(350)와 연결되어 있다. 속이빈 형상의 액체밸브(144)는 밸브보디(104)에 대해서 기밀을 유지해서 이동가능하게 즉 바깥끼우기 혹은 안쪽끼우기형상으로 형성해도 되나, 본 예에서는 안쪽끼우기해서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밸브보디(104)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109)와 액체밸브(144)의 중앙플랜지(266)에는 제1탄성체(108)가 사이에 끼워져 있다. 또한 충전액조(132)의 가스층을 부압으로 하는 진공충전기의 경우에는, 밸브보디(104)와 액체밸브(144)의 사이의 시일은 이 부압에 대해서 누설하지 않을 정도의 시일 이어도 된다. 또 환형상으로 내경방향의 액체밸브(144)의 중앙플랜지(226) 외경부에도 접해서 안내되는 중앙스프링 슈우(220)와 플랜지(109) 사이에는 제2탄성체(22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탄성체(221)의 탄발력은 플랜지(109)에서 받는 대신에 하우징(101) 혹은 아암부재(350)에서 받아도 된다. 또 중간스프링 슈우(220)의 정지부재(225)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서 상하운동가능하게 설치해도 되나, 본 예에서는 충전액조(132)가 상하운동가능하기 때문에 후술하는 가이드(361)에 고정되어 있다. 액체밸브(144)의 외주부는 이 액체밸브(144)와 제3탄성체(223)를 개재해서 벨(140)이 바깥끼우기 슬라이딩다능하게 또한 시일되어 있다. 또 상기 액체밸브(144)는 중간스프링슈우(220)에 접촉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벨(140)은 용기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단에서 부터 안쪽방향으로 향해서 좁아지는 위치결정테이퍼면(137)을 형성하고 있다. 이 위치결정테이퍼면(137)의 안쪽단부에는 용기에 대한 시일재로서의 시일부재(13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용기(134)(제3도 참조)는 충전기분체에 대해서 고정된 도시하지 않은 수평의 재치대위에 놓여지고, 충전장치(1)에 대해서 중심을 맞춘 위치에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안내부에 의해서 구속되고 있다.
다음에 제2도(제1도의 A-A 단면도)도 참조해서 밸브보디(104)를 상하운동 시키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밸브보디(104)의 중앙외측면에는 하우징(101)에 대해서 밸브보디(104)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기 위한 핀축(136)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핀축(136)은 아암부재(350)의 긴구멍부(335)와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 장착하고, 상기 아암부재(350)에는 일단부에 로울러(351)가, 타단부에는 핀(352)이 배설되고, 이 핀(352)은 충전액조(132)의 하면에 볼트에 의해서 고정되고 지지아암(35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핀축(136)에는 밸브보디(104)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회전방지판(139)이 끼워 맞추어져 있다.
아암부재(350)의 상기 긴구멍(355)과 상기 핀(352)과의 사이의 위치에는,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아암부재(350)를 가압하는 제4탄성체(354)가 아암부재(350)와 지지아암(353) 사이에 끼워지고, 제4탄성체(354) 의 하단은 워셔(357)에 의해서 아암부재(350)에 지지된다. 한편 상기 아암부재(350)의 긴구멍(355)와 상기 로울러(351)와의 사이의 위치에는 하우징(101)에 늘어뜨려 고착된 가이드(361)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361)의 하단부에는 아암부재(350)의 하강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부재(36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울러(351)에 접촉해서 아암부재(350)를 개재해서 밸브보디(104)를 상하운동시키는 콘트롤캠(306)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관한 작용에 대해서 제3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3도는 본 실시예의 회전하는 충전장치의 충전공정을 설명하는 것이며, 용기(134)는 일정한 높이를 유지해서 보내지고, 화살표 B가 표시하는 방향으로 충전을 행한다. 제3도의 ①부는 충전공정이 종료하여 밸브보디(104), 벤트튜우브(156)를 상승시키려고 하고 있는 위치이며, 콘트롤캠(306)을 따라서 로울러(351)에 의해 밸브보디(104)가 상하로 이동한다. ②부는 콘트롤캠(306)을 따라서 로울러(351)에 의해 밸브보디(104)가 완전히 상승해서 용기(134)를 배출하는 위치이다. 다음에 ③부는 충전장치의 외부로부터 공급되어온 용기(134)의 충전개시전의 상태를 표시한 위치이며, 밸브보디(104)는 콘트롤캠(360) 및 로울러(351)에 의해 제어되면서 아래방향으로 이동한다.
제4도는 용기(134)가 존재하지 않고 도시생략한 아암부재(350)가 하강한 상태 즉 아암부재(350)가 스토퍼부재(363)에 접촉하고 있는 도면을 표시한 단면도이다. 아암부재(350)의 완전히 하강해서 제4탄성체(354)가 신장한 상태를 표시하고, 아암부재(350)의 하강과 일체적으로 벤트튜우브(156)도 하강한다. 한편, 제1탄성체(108)에 의해서 액체밸브(144)는 아래방향으로 가압되고 있고, 액체밸브(144)는 벤트튜우브(156)의 단부에는 접촉하여 소위 개폐밸브가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제5도는 반대로 아암부재(350)가 상승하고 있는 단면도이다. 제4도로부터 제5도의 상태로 이행할때, 아암부재(350)의 상승에 따라서 액체밸브(144)는 최초로 중간스프링슈우(220)에 접촉하고, 그후 중간스프링슈우(220)와 일체가 되어 상승한다. 또, 액체밸브(144)가 중간스프링슈우(220)에 접촉한 후에도 제1탄성체(108) 및 제2탄성체(221)를 더한 탄발력에 의해서 액체밸브(144)는 아래방향으로 가압되어 액체밸브(144)와 벤트튜우부(156)의 단부에서 접촉해서 개폐밸브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다음에, 제6도는 아암부재(350)가 하강하여, 용기(134)가 시일부재(138)에 접촉한 순간의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이때 또 제1탄성체(108) 및 제2탄성체(221)의 탄발력에 의해서 개폐밸브는 폐쇄상태이다.
제7도는 아암부재(350)가 다시 하강하여, 중간스프링슈우(220)가 정지부재(225)에 접촉한 순간의 상태를 표시한다. 제6도의 상태로부터 제7도의 상태로 이행하는 동안, 제3탄성체(223)의 탄발력보다도 제1탄성체(108)와 제2탄성체(221)의 탄발력의 합이 크게 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밸브(144)는 벤트튜우브(156) 단부에 눌려져서 개폐밸브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밸브보디(104), 벤트튜우브(156) 및 액체밸브(144)는 일체로 되어, 용기(134)에서 아래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멈추어지고 있는 벨(140)에 대해서 아래방향으로 이동하여 제3탄성체(223)는 압축된다. 제7도의 상태로부터, 다시 아암부재(350)가 하강하면, 중간스프링슈우(220)는 정지부재(225)에 접촉하여 하강이 저지되기 때문에 제2탄성체(221)의 탄발력은 액체밸브(144)를 하강시키는 힘으로서는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때 제3탄성체(223)의 탄발력이 제1탄성체 (108)의 탄발력보다 크게 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밸브(122)는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정지된다. 한편, 벤트튜우브(156)는 아래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액체밸브(144)와 이탈하여 간격(180)이 생기고 개폐밸브가 개방상태로 된다. 아암부재(350)이 하강은 아암부재(350)가 스토퍼부재(363)에 접촉한 상태에서 멈추어지고, 제8도의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충전액조(32)내의 충전액은 하우징(101)내, 통로(105) 및 액체통로(110)를 흘러내려 용기(134)내에 유입된다. 한편 용기(134)내의 공기는 벤트튜우브(156)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로(157)로부터 충전액조(132)의 가스층에 배출되어, 용기(134)에 소정량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제4탄성체(345)의 탄발력은 제2탄성체(221)와 제3탄성체(223)의 탄발력의 합보다도 크게 선정되어 있으며, 용기가 있는 경우에도 아암부재(350)가 스토퍼부재(363)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하강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충전이 완료했을때의 상태는 제3도에서 표시한 ①부에 대응하고, 이 상태로부터 아암부재(350)는 콘트로캠(360) 및 로울러(351)에 의해서 상승된다. 그에 따라서 밸브보디(104) 및 이 밸브보디(104)와 연접되어 있는 벤트튜우브(156)가 상승한다. 단 제3탄성체(223)가 제1탄성체(108)의 탄발력보다 크게 선정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스프링슈우(220), 액체밸브(144) 및 벨(140)은 이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벤트튜우브(156)의 선단부는 액체밸브(144)가 접촉하고 개폐밸브가 폐쇄상태가 된 제7도의 상태로 복귀한다. 또 아암부재(305)가 상승하면, 제1탄성체(108)와 제2탄성체(221)의 탄발력의 합은 제3탄성체(223)의 탄발력보다 크게 선정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스프링슈우(220), 액체밸브(144) 및 벤트튜우브(156)는 일체가 되어 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액체밸브(144)는 벨(140)에 대해서 상승하고, 시일부재(138)가 용기(134)로부터 이탈하는 순간의 상태(제6도)를 거쳐 제3도에 표시한 상태②부, 즉 제5도의 상태가 된다.
다음에 들어간 양의 깊이조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들아간 양의 깊이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액체밸브(144)의 하단위치와 시일부재(138)에 접촉하는 용기(134)의 상단과의 위치(제7도의 치수 a)로 결정한다. 즉 용기(134)내에 충전액을 충전하면 용기(134)내의 공기는 벤트튜우브(156)로부터 충전액조(132)의 가스층에 배출되나, 제7도에 표시한 치수 a 부분의 공기는 빠지지 않기 때문에, 이 치수 a가 들어간 양깊이를 결정하고 있다. 따라서 들어간 양의 깊이를 변경할 경우의 치수 a 를 변경하는 방법으로서, 시일부재(138)의 두께를 변경하거나, 액체밸브(144)의 최하단의 위치를 결정하고 있는 충전액조(132)의 높이 혹은 정지부재(225)의 높이방향의 위치를 비꾸거나, 또는 용기(134)의 상단의 위치를 결정하고 있는 용기(134)의 재치대의 높이를 바꾸면 된다. 시일부재(138)의 두께를 변경하는 것은, 종래와 같이 환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충전장치(개폐밸브)에 대해서 각각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 시일부재(138)의 두께를 변경하는 일없이 들어간 양의 깊이를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충전액조(132)를 상하운동시키는 구동장치를 가동하므로써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혹은 정지부재(225)의 위치를 변경하는 수단으로 스페이서를 사용해도 마찬가지라는 것을 말할 수 있다.
또한,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아암부재(350)가 하강상태로 되었다고 해도 개폐밸브가 개방상태로 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용기없는 상태에서도 충전액이 충전되는 일은 없다. 또, 제3탄성체(223)의 탄발력을 바꾸므로써 여러자기 강도의 용기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용기를 파손하는 일없이 충전할 수 있다. 또 상기에 있어서, 아암부재(350)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서 제4탄성체(354)를 사용하고 있으나, 제9도(충전장치의 단면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콘트롤캠(306)에 대응해서 아암부재(350)를 상하운동할 수 있는 공기압실린더등이어도 된다. 또 상기한 밸브보디(104), 액체밸브(144), 벨(140)은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시일을 목적으로 해서 슬라이딩가능하게 형성하고 있으나, 시일부를 별도로 형성한 벨로우등에 의해서 이동가능하게 형성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10도 내지 제14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동 제2실시예는 충전의 들어간 양깊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타입의 용기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0도, 제11도의 (1)의 용기충전장치, (132)가 용기재치대(도시하지 않음)에 대해서 상하운동가능한 구동장치가 설치된 환형상의 충전액조이며, 동 충전액조(132)의 하부에는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속이빈 하우징(101)이 고정되어 있다. (156)이 배출로를 가진 벤트튜우브이며, 동벤트튜우브(156)가 하우징(101)내의 중앙에 위치하고, 동벤트튜우브(156)의 상단개구부가 충전액조(132)의 가스층에 위치하고, 동벤트튜우브(156)의 하단개구부가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104)가 속이빈 밸브보디이며, 동밸브보디(104)가 하우징(101)의 내주면에 슬라이딩가능(승강가능)하게 끼워져서, 이들 밸브보디(104)와 하우징(101)과의 사이가 액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시일되어 있다. 이 밸브보디(104)는 액체통로(105)를 가진 부분을 개재해서 벤트튜우브(156)에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밸브보디(104)의 하부에는 플랜지(109)가 형성되어 있다. (110)은 밸브보디(104)와 벤트튜우브(156)와의 사이에 형성한 액체통로이다.
(144)가 속이 빈 액체밸브이며, 동액체밸브(144)의 상부외주면쪽이 밸브보디(104)의 하부내주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져서, 이들 액체밸브(144)와 밸브보디(104)와의 사이가 액체누설되지 않도록 시일되어 있다. (226)의 동액체밸브(104)의 상하중간부 외주면에 형성한 중앙플랜지이며, 이 중앙플랜지(226)와 상기 플랜지 (109)와의 사이에 제1탄성체(108)가 삽입되어 있다.
(140)의 벨이며, 동벨(140)의 액체밸브(144)의 하부외주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져서, 이들 벨(140)과 액체밸브(144)와의 사이가 시일부재에 의해 액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시일되어 있다. 또한, 제4도의 용기(134)가 충전기본체에 대해서 고정된 수평재치대(도시하지 않음)위에 놓여지고, 충전장치(1)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는 반원형상의 안내부에 의해 구속되어 있다.
다음에 밸브보디(104)를 상하운동시키는 충전밸브승강장치와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10도 내지 제12도의 (136)의 밸브보디(104)의 중앙외측면에 설치한 핀측이며, 이 핀축(136)이 아암부재(35)의 긴구멍(351)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아암부재(305)의 일단부에는 로울러(351)가 장착되고, 아암부재(305)의 일단부에는 핀(352)이 장착되어 있다. 아암부재(305)는 이 핀(352)과 충전액조(132)의 하면에 고정한 지지아암(35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한 핀축(136)에는 밸브보디(104)의 회전방지판(139)이 장착되어 있다.
(402)가 고정지지체이며, 동고정지지체(402)가 아암부재(350)의 긴구멍(355)과 핀(352)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이 고정지지체(402)가 지지아암(353)를 개재에서 충전액조(132)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408)의 동고정지지체(402)의 아래쪽 축부의 하단부에 장착한 부유체 정지부재, (401)이 동고정지지체(402)의 아래쪽 축부에 승강가능하게 장착한 부유체, (354)가 동부유체(401)와 상기 지지암(353)과의 사에 삽입한 제4탄성체이며, 이 제4탄성체(354)가 부유체(401)를 아래쪽으로 가압하고 있다. (403)이 상기 아암부재(350)에 형성한 잘린부분, (405)가 동잘린부분(403)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축이며, 이 걸아맞춤축(405)이 상기 고정지지체(402)의 아래쪽 축부에 장차되어 있다.
(225)가 정지부재이며, 이 정지부재(225)가 아암부재(35)의 긴구멍(355)과 고정지지체(402)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이 정지부재(225)가 액조(132)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220)이 중간스프링슈우이며, 동중간스프링슈우(220)는 액체 밸브(144)의 중앙플랜지(227)의 주위에 위치해서, 정지부재(225)의 접촉하고 있다. (221)이 제2탄성체로서 중간스프링슈우(220)와 밸브보디(104) 하부의 플랜지(109)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223)이 액체밸브(144)의 중앙플랜지(227)와 벨(140)과의 사이에 삽입한 제3탄성체이며, 동 제3탄성체(223)에 의해 벨(144)이 아래쪽으로 가압되고 있다.
(360)이 콘트롤캠이며, 이 콘트롤캠(360)은 상기 로울러(351)이 접촉하고, 아암부재(350)를 핀(352)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요동시켜 벨브보디(104)를 상하 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용기충전장치의 작용을 제13도, 제14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13도는 회전하는 충전장치의 충전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용기(134)는 일정한 높이를 유지해서 충전장치(1)에 보내져 화살표 B방향으로 충전이 행해진다.
제13도의 ①부는 충전공정이 종료해서 밸브보디(104), 벤트튜우브(156)를 상승시키려고 하고 있는 위치를 표시하고 있으며, 밸브보디(104)가 콘트롤캠(360)와 아암부재(350)에 의해 제어되어 위쪽으로 이동한다.
제13도의 ②부는 밸브보디(104)가 완전히 상승해서 용기(134)를 배출시키려고 하는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제13도의 ③부는 충전장치(1)의 외부로부터 공급되어온 용기(134)의 충전 개시전의 상태를 표시하고 있으며, 밸브보디(104)가 콘트롤캠(360)과 로울러(351)와 아암부재(35)에 의해 제어되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제14도 (a)는 용기(134)가 존재하지 않고, 아암부재(350)가 제1도의 자유상태까지 하강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때 액체밸브(144)는 제1탄성체(108)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압되고 있고, 벤트튜우브(156)의 하단부에 접촉해서 충전밸브가 개방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제14도(b)는 그것과는 반대로, 아암부재(350)가 상승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제14도(a)→제14도(b)로 이행할때, 아암부재(350)의 상승에 따라서 걸어맞춤축(405)이 잘린부분(403)에 걸어맞춘 그대로 상승하므로, 부유체(401)가 부유체 정지부재(408)로부터 떨어져 상승한다. 액체밸브(144)가 최초로, 중간스프링슈우(220)에 접촉하고, 그 후에는 중간스프링슈우(220)와 함께 상승한다. 또 액체밸브(144)가 중간스프링슈우(220)에 접촉한 후에도, 제1탄성체(108) 및 제2탄성체(221)를 더한 탄성력에 의해 액체밸브(144)와 벤트튜우브(156)의 단부에 접촉해서 충전밸브가 폐쇄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제14도(c)는 아암부재(350)가 하강해서 용기(134)가 시일부재(138)에 접촉한 순간의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때도 제1탄성체(108) 및 제2탄성체(221)의 탄성력에 의해 충전밸브가 폐쇄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제14도(d)는 아암부재(350)가 다시 하강해서 중간스프링슈우(220)가 정지부재(225)에 접촉한 순간의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제14도(c)→제14도(d)로 이행하는 동안, 제3탄성체(223)의 탄성력보다 제1탄성체(108)와 제2탄성체(221)와의 탄성력의 합이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밸브(144)는 벤트튜우브(156)의 단부에 눌러져서 충전밸브가 폐쇄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그리고 밸브보디(104) 벤트튜우브(156) 및 액체밸브(144)는 일체가 되어 벨(140) 용기(134)에 의해 아래쪽으로의 움직임이 저지되고 있는 벨(140)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이동해서 제3탄성체(223)가 압축된다. 제14도(d)의 상태로부터, 아암부재(350)가 다시 하강하면, 중간스프링슈우(220)가 정지부재(225)에 접촉해서 하강이 저지된다. 그 때문에, 제2탄성체(221)의 탄성력이 액체밸브(144)를 하강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때 제3탄성체(223)의 탄성력이 제1탄성체(108)의 탄성력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므로, 액체밸브(144)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정지된다.
한편, 벤트튜우브(156)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액체밸브(144)로부터 이탈해서 간격(180)이 생기고 충전밸브가 개방상태로 된다. 아암부재(350)의 하강은 부유체(401)가 부유체 정지부재(408)에 접촉했을 때에 멈추어져 제14도(e)의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충전액조(132)내의 액체가 하우징(101)내→액체통로(105)→액체통로(110)를 흘러내려 용기(134)에 유입한다. 한편 용기(134)내의 공기가 벤트튜우브(156)내의 배출로(157)로부터 충전액조(132)의 가스층에 배출되어 용기(134)에 소정량이 충전이 행해진다.
또한, 탄성체(354)의 탄성력에 의해 아암부재(305)를 핀(352)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시키는 모멘트쪽이, 제2탄성체(221)와 제1탄성체(108)와의 탄성력의 합에 의해 아암부재(350)를 위쪽으로 회전시키는 모멘트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며, 용기(134)가 있는 경우에도, 부유체(401)가 부유체 정지부재(408)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아암부재(350)가 하강가능하게 되어 있다.
충전이 완료한 상태를 제13도의 ①부에 표시한다. 이 상태로부터 컨트롤캠(360) 및 로울러(351)에 의해, 아암부재(350)가 상승한다. 그에 따라서 밸브보디(104)와 동밸브보디(104)에 일체적으로 벤트튜우브(156)가 상승한다. 단 제3탄성체(223)의 탄성력이 제1탄성체(108)의 탄성력보다도 크므로, 중간스프링슈우(220), 액체밸브(144) 및 벨(104)이 이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벤트튜우브(156)의 선단부의 액체밸브(144)가 접촉하여 충전밸브가 폐쇄 상태가 되고 제14도(d)의 상태로 복귀한다. 아암부재(350)가 다시 상승하면, 제1탄성체(108)와 제2탄성체(221)와의 탄성력의 합이 제3탄성체(223)의 탄성력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므로, 중간스프링슈우(220), 액체밸브(144) 및 벤트튜우브(156)가 일체로 되어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액체밸브(144)는 벨(140)에 대해서 상승하고, 시일부재(138)가 용기(134)로부터 이탈하는 순간의 상태(제14도의(c) 참조)를 거쳐 제13도의 ②부의 상태 즉 제14도의 (b) 상태로 된다.
다음에 들어간 양의 깊이조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들어간 양의 깊이는 제14도(d)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액체밸브(144)에 하단위치와, 시일부재(138)에 접촉하는 용기(134)의 상단위치와의 사이의 거리 a에 의해 결정된다. 즉, 용기(134)내에 충전액을 충전하면, 용기(134)내의 공기는 벤트튜우브(156)로부터 충전액조(132)의 가스층에 배출되나, 제14도(d)에 표시한 거리 a의 부분의 공기는 빠지지 않기 때문에, 이 거리 a가 들어간 양의 깊이를 결정하고 있으며, 충전액조(132)를 상하운동시키는 구동장치에 의해 충전액조(132)의 높이를 변경하여 거리 a를 비꾸어 들어간 양의 깊이를 조정한다.
다음에 용기(134)가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벤트튜우브(156)를 액체밸브(144)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액체통로(11)에 체류하고 있는 충전액을 배출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제10도는 제14도(a)와 동일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으며, 용기(134)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 로울러(351)도 콘트롤캠(36), 캠(37)에 접촉하고 있지 않는 자유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중간스프링슈우(22)는 정지부재(225)에 접촉하고 있다. 그 때문에, 아암부재(350)의 긴구멍(355)은, 정지부재(225)와, 중간스프링슈우(220)와, 제2탄성체(221)와, 플랜지(109)와, 핀축(136)을 개재해서 위쪽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 아암부재(350)의 잘린부분(403)은, 제4탄성체(354)와, 부유체(401)와, 걸어맞춤측(405)을 개재해서 아래쪽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상태에서는 제4탄성체(354)에 의해 아암부재(350)에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모멘트쪽이, 제2탄성체(221)에 의해 아암부재(350)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모멘트 보다도 크게 되도록, 이들 제4탄성체(354), 제2탄성체(221)의 탄성력을 선정하고 있으며, 부유체(401)가 부유체 정지부재(408)에 접촉하고, 도한 걸어맞춤축(405)이 잘린 부분(403)에 접촉한 상태에서 아암부재(350)는 정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중앙플랜지(226)는 정지부재(225), 중간스프링슈우(220)에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제10도에 있어서는, 제1탄성체(108)에 의해 액체밸브(144)는 아래쪽으로 가압되고 있으며, 액체밸브(144)는 벤트튜우브(156)의 단부에 접촉해서 시일되어 있으며, 엑체통로개폐부(181)는 폐쇄상태로 되어 있다.
제11도는 용기(134)가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벤트튜우브(156)가 액체밸브(144)에 대해서 하강시키고, 액체통로개폐부(181)를 개방상태로해서, 액체통로(110)에 체류하고 있는 액체를 배출하는 액체배출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 액체배출상태는 제10도의 자유상태에 있는 밸브승강장치의 로울러(351)를 캠(370)등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러내리므로써 실현할 수 있다.
제10도의 자유상태에 있는 밸브승강장치의 로울러(351)를 아래쪽으로 눌러 내려가면, 아암부재(35)가 핀(352)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요동해서 아암부재(35)의 잘린부분(403)이 걸어맞춤측(405)으로부터 떨어진다. 동시에 긴구멍(355)에 의해 핀축(136)이 아래쪽으로 눌려지고, 그 때문에 핀축(136)을 고정한 밸브보디(104) 및 벤트튜우브(156)가 제2탄성체(221)를 압축하면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또 제1탄성체(108)의 작용에 의해 벤트튜우브(156)의 단부에 접촉하고 있는 액체밸브(104)도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로울러(351)를 다시 아래쪽으로 눌러내리면, 액체밸브(144)의 중앙플랜지(226)가 정지부재(225)에 접촉하고, 그후에는, 액체밸브(144)의 아래쪽에의 이동이 저지되고, 벤트튜우브(156)가 제1탄성체(108)를 압축하면서 더욱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그때문에 액체통로개폐부(181)가 개방하여 액체통로(110)에 체류하고 있는 액체가 배출된다.
액체통로개폐부(181)가 다시 개방된 상태에서, 캠(370)등에 의한 로울러(351)에 아래쪽의 이동이 정지한다. 그 때문에 액체통로개폐부(181)가 개방위치로 유지된다.
액체통로개폐부(181)를 다시 폐쇄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캠(370)등을 제거해서 로울러(351)를 아래쪽으로 눌러내리고 있는 힘을 제거하면 된다. 즉 제11도의 상태로부터 로울러(351)를 아래쪽으로 눌러내리고 있는 힘을 해방해가면, 제1탄성체(108)와, 제2탄성체(221)와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보디(104)와, 핀축(136)과 아암부재(350)와, 벤트튜우브(156)가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중앙플랜지(227)는 제1탄성체(108)의 탄성력에 의해 정지부재(225)에 눌려져서, 액체밸브(144)가 정지하고 있다.
로울러(351)가 눌러내리는 힘을 다시 해방해가면, 벤트튜우브(156)가 단부가 액체밸브(144)에 접촉해서, 액체통로개폐부(181)가 폐쇄상태가 되고, 그후 액체 밸브(144)와 벤트튜우브(156)가 일체로 되어 상승해서 중앙플랜지(227)가 정지 부재(225)로 부터 떨어진다.
벤트튜우브(156)의 상승은 잘린 부분(403)이 걸어맞춤축(405)에 접촉해서, 아암부재(350)의 상승이 정지하는 위치에서 멈춘다. 이때 또 로울러(351)를 아래쪽으로 눌러내리는 힘을 완전히 제거하면, 제10도의 자유상태가 되나, 아암부재(350), 벤트튜우브(156), 그 밖의 정지위치는 바꾸지 않고, 액체통로개폐부(181)가 폐쇄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제15도, 제16도에 표시한 제3실시예로부터 설명하면, 동 제3실시예는 충전들어간 양의 깊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타입의 용기충전장치로 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1도에 표시한 액체밸브(144) 및 벨(140)에 제15도, 제1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일체구조의 액체밸브(154)로 되어 있다.
또 제1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2탄성체(221)를 플랜지(109)와 장지부재(225)와의 사이에 설치하고 있다. 또 액체밸브(154)의 중앙플랜지(226)가 아래쪽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정지부재(225)에 의해 정지가능한 구조로 하고 있다.
본 제3실시예에서도,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용기(134)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로울러(351)를 눌러내리므로써, 액체밸브(154)에 대해서 벤트튜우브(156)를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액체통로개폐부(181)에 체류하고 있는 충전액을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15도는 용기(134)가 존재하지 않고, 로울러(351)에도 콘트롤캠(360), 캠(370)등이 작용하지 않고, 액체통로개폐부(181)가 폐쇄로 되어 있는 자유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제16도는 용기(134)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액체밸브(154)에 대해서 벤트튜우브(156)를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액체통로개폐부(181)를 개방상태로해서 액체통로(110)에 체류하고 있는 충전액을 배출하는 액체배출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용기충전장치에 의하면, 충전액조 혹은 정지부재의 적어도 한쪽을 이동조정하므로써 다수 설치되어 있는 충전장치에 대해서 용이하게 들어간 양의 깊이조절을 행할 수 있다.
또, 용기가 없는 경우에도 개폐밸브가 개방상태로 되는 일없이, 또 탄성체의 탄발력을 여러가지로 선정하므로써 용기의 강도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를 파손하는 일없이 충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용기충전장치에 의하면, 외력에 의해 충전밸브를 하강시켜 액체통로개폐부를 개방하므로써 충전밸브의 액체통로내에 체류하고 있는 액체를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충전액조(132)와 연통하고, 상기 충전액조의 하부에 고정된 속이빈 하우징(101)과, 상기 하우징(101)내에 세워 설치된 벤트튜우브(156)와, 상기 하우징(101)에 대해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충전액조(132)의 액체를 도입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벤트튜우브에 고정된 밸브보디(104)와, 상기 밸브보디(104)와 제1탄성체(108)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밸브보디(104)에 대해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벤트튜우브(156)의 외면에 의해서 충전액류통로를 형성하고, 벤트튜우브(156)의 단부와 접촉해서 개폐밸브를 형성한 액체밸브(144)와, 상기 액체밸브(144)와 제3탄성체(223)에 의해서 연결되고, 액체밸브(144)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용기시일부재를 가지고 액체밸브(144)와의 사이가 시일되어 있는 벨(140)과 상기 벨브보디(104)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제2탄성체(221)의 중간 스프링슈우(220)와, 밸브보디(104)를 승강시키고 아래쪽으로 가압할 수 있는 승강장치(350,351,36)와, 상기 중간스프링슈우(220)의 정지부재(225)와, 상기 충전액조(132)와 상기 정지부재(225)의 적어도 한쪽을 용기(134)의 재치대에 대해서 상하운동가능한 구동장치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충전액조에 피벗장착되고 밸브보디에 핀(136)을 개재해서 접속된 아암부재(350)와 동아암부재(350)를 승강시키는 콘트롤캠(3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충전장치.
  3. 충전액조(132)와 연통하고, 상기 충전액조(132)의 하부에 고정된 속이빈 하우징(101)과, 상기 하우징(101)내에 세워 설치된 벤트튜우브(156)와, 상기 하우징(101)에 대해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충전액조(132)의 액체를 도입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벤트튜우브에 고정된 밸브보디(104)와, 상기 밸브보디(104)와 제1탄성체(108)에 의해서 연결되고, 밸브보디(104)에 대해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벤트튜우브(156)의 외면에 의해서 충전액류통로를 형성하고, 벤트튜우브(156)의 단부와 접촉해서 개폐밸브를 형성한 액체밸브(144)와, 상기 액체밸브(144)와 제3탄성체(223)에 의해서 연결되고, 액체밸브(144)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용기의 시일부재를 가지고 액체밸브(144)와의 사이에 시일되어 있는 벨(140)과, 상기 밸브보디(104)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제2탄성체(221)의 중간스프링슈우(220)와, 밸브보디(104)를 승강시키고 아래쪽으로 가압할 수 있는 승강장치(350,351,360)와, 상기 중간스프링슈우(220)의 정지부재(225)와, 상기 벨브보디(104)를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다른 탄성체(354)와, 동다른 탄성체(354)의 하단부에 장착한 부유체(401)와, 동부유체(401)의 하강위치를 규제하는 부유체 정지부재(408)를 가지고, 상기 충전액조(132)와 상기 정지부재(225)의 적어도 한쪽을 용기의 재치대에 대해서 상하운동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충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밸브보디(104) 및 벤트튜우브(156)를 하강시켜서, 용기(134)가 존재하지 않아도 액체통로개폐부(181)를 개방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충전장치.
KR1019910021719A 1990-11-30 1991-11-29 용기충전장치 KR950004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657590A JP2772138B2 (ja) 1990-11-30 1990-11-30 容器充填装置
JP90-336575 1990-11-30
JP19667091A JP2877266B2 (ja) 1991-08-06 1991-08-06 容器充填装置
JP91-196670 1991-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198A KR920010198A (ko) 1992-06-26
KR950004766B1 true KR950004766B1 (ko) 1995-05-10

Family

ID=2650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719A KR950004766B1 (ko) 1990-11-30 1991-11-29 용기충전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282500A (ko)
EP (1) EP0488215B1 (ko)
KR (1) KR950004766B1 (ko)
CN (1) CN1027249C (ko)
AU (1) AU629136B2 (ko)
DE (1) DE69101368T2 (ko)
NZ (1) NZ2407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13788B1 (es) * 1994-07-13 1999-01-01 Berne Goixart Antonio Disposicion para llenado de envases con liquidos.
US6662828B1 (en) * 2001-05-22 2003-12-16 Clifford W. Stover Telescoping filling head
GB0408753D0 (en) * 2004-04-20 2004-05-26 Quip Ltd P Sealing device
US7644741B2 (en) * 2006-09-15 2010-01-12 T & S Brass And Bronze Works, Inc. Glass filler
CN102673815A (zh) * 2012-04-26 2012-09-19 太仓市弧螺机电有限公司 一种自动装罐装置
KR101583766B1 (ko) 2014-10-23 2016-01-11 이화정 지문인식이 추가된 전기 충격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1718510B1 (ko) 2015-07-02 2017-03-21 (주)247코리아 지문인식이 추가된 전기 충격기능 및 가스 분사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ITUB20155375A1 (it) * 2015-11-09 2017-05-09 Cft Spa Riempitrice e metodo di riempimento di un contenitore.
EP3498658B1 (en) * 2017-11-30 2022-07-27 Sidel Participations A filling machine for filling receptacles with a pourable product under pressure
CN110665427A (zh) * 2019-10-30 2020-01-10 鞠成钢 一种高温液态润滑油耦合均匀分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71244A (en) * 1917-07-20 1921-03-15 Crown Cork & Seal Co Filling-head
US2628759A (en) * 1947-10-21 1953-02-17 Cherry Burrell Corp Receptacle filler
US2592846A (en) * 1949-09-27 1952-04-15 Harry D Ayars Filler valve and actuating mechanism therefor
US2676742A (en) * 1950-02-24 1954-04-27 Crown Cork & Seal Co Filling head
US2746663A (en) * 1951-09-24 1956-05-22 Crown Cork & Seal Co Filling nozzle f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id
US2761607A (en) * 1954-02-15 1956-09-04 American Machinery Corp Filler-valve for filling containers
US2913016A (en) * 1957-06-17 1959-11-17 Paul E Luther Liquid filling system
US3605827A (en) * 1969-08-04 1971-09-20 U S Bottlers Machinery Co Rotary filling machine
NL164820C (nl) * 1971-02-11 1981-02-16 Stork Amsterdam Inrichting voor het vullen van houders.
FR2164014A5 (ko) * 1971-12-09 1973-07-27 Graffin Andre
US4442873A (en) * 1981-11-27 1984-04-17 Crown Cork & Seal Company, Inc. Container actuated counterpressure filling valve
DE3514624A1 (de) * 1985-04-23 1986-10-30 Seitz Enzinger Noll Maschinenbau Ag, 6800 Mannheim Gefaessfuellmaschine mit mehreren an einem hoehenverstellbaren maschinenoberteil angeschlossenen fuellelementen
US5139058A (en) * 1988-10-12 1992-08-18 Crown Cork & Seal Company, Inc. Filling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8817091A (en) 1992-06-04
CN1062116A (zh) 1992-06-24
KR920010198A (ko) 1992-06-26
DE69101368T2 (de) 1994-09-01
EP0488215A1 (en) 1992-06-03
EP0488215B1 (en) 1994-03-09
US5282500A (en) 1994-02-01
DE69101368D1 (de) 1994-04-14
AU629136B2 (en) 1992-09-24
NZ240739A (en) 1993-09-27
CN1027249C (zh)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37913B1 (en) Improvements in filler heads of pressurized bottles
KR950004766B1 (ko) 용기충전장치
EP0080774B1 (en) Container actuated counterpressure filling valve
EP1860057B1 (en) Valve unit for filling machines with level reading probe in electrically isolating duct
US5413153A (en) Container filling machine for filling open-top containers, and a filler valve therefor
US4679603A (en) Filling machine for filling liquid under counterpressure
US3519035A (en) Volumetric dosing device
US5150740A (en) Filling valve
US4319613A (en) Valve arrangement for filling containers with gas-containing liquid
CN201923831U (zh) 一种电子式液体灌装装置
WO19930210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aled containers filled with a liquid
US4492259A (en) Apparatus for filling bottles
CN108547986B (zh) 一种用于压力容器的自动排气装置
US5139058A (en) Filling valve
CA1172216A (en) Automatic bottle filling device, and facility using same
US4143674A (en) Valve for continuously and automatically supplying furnaces with molten metal
CN111056519A (zh) 一种用于称重灌装机的灌装阀
US4665957A (en) Liquid filling device
EP1457457A2 (en) Filling head
CN2356987Y (zh) 一种液体灌注阀
EP0665811A1 (en) METHOD FOR FILLING CONTAINERS, ESPECIALLY CAN, WITH LIQUID AND VALVE UNIT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3238182B2 (ja) 充填バルブ
EP0452899A1 (en) Filling apparatus
JP2001072191A (ja) 液体充填装置および方法
JP3556710B2 (ja) 液体充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