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448B1 - 컴퓨터용 좌표위치 검출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좌표위치 검출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448B1
KR950004448B1 KR1019920700719A KR920700719A KR950004448B1 KR 950004448 B1 KR950004448 B1 KR 950004448B1 KR 1019920700719 A KR1019920700719 A KR 1019920700719A KR 920700719 A KR920700719 A KR 920700719A KR 950004448 B1 KR950004448 B1 KR 950004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key
input device
coordinate posi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0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2510A (ko
Inventor
랜덜 스티븐
Original Assignee
에덴 아이.피.리미티드
데이비드 크리스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덴 아이.피.리미티드, 데이비드 크리스프 filed Critical 에덴 아이.피.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20702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2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4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컴퓨터용 좌표위치 검출 입력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좌표위치 검출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그 장치를 사용하는 키보드없는 컴퓨터의 주요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디지타이저(digitiser/)등의 컴퓨터용 좌표 위치 검출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좌표 위치 검출 입력장치와 연동(co-operating)되는 철필(stylus)등의 포인팅(pointing)장치를 사용하여 데이타 또는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좌표위치 겅출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랜드스케이프(landscape)와 포트레이트(port rait) 모드 모두에서 데이타 입력 또는 출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좌표위치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설명)
데이타 입력용으로 키보드만을 구비한 컴퓨터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사용하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페인팅(painting)을 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위 포인팅(pointing)장치가 필요한바, 다양한 포인팅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예를들어 일반적으로 마우스 또는 트랙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디지타이징 타블렛(digitising tablet)과 같은 좌표위치 검출 입력장치와 연동되는 철필도 사용된다. 철필은 포인팅 장치 뿐만 아니라 필기(writing) 장치로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특히 편리한 장치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상에 위치하는 디지타이징 타블렛에 철필을 터치함으로써 모든 제어입력을 대신하는 키보드가 전혀없는 컴퓨터도 널리 알러져 있다. 이러한 컴퓨터는 예를들어 비트 맵 이미지(bit mapped image)로서 저장할 수 있는 필기문(hand writing)같은 그래픽 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어느 경우에나 디지타이저의 공간해상도와 위치 정확도는 일반적으로 디지타이저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감소되므로, 지금까지 저해상도인 디지타이저의 주변영역은 여유 영역으로 간주하여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도록 하여왔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된 디지타이저의 전체영역이 그래픽 데이타 입력을 포함한 모든 요구 기능에 대해 충분한 응답성을 보장하도록 하였다.
때때로, 독립된 디지타이저 패드(즉, 디스플레이 스크린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되지 않은 것)는 통상적인 영숫자 심볼(alpha-numeric symbol) 또는 아이콘(icons)에 의해 식별되는 키를 가진,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기능용 키패드를 구비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키패드는 한 방향에서만 사용될 수 있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패드가 90도로 회전된 경우에는 영숫자 심볼이나 아이콘을 읽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키보드없는 컴퓨터 경우와 같이 디지타이저가 디스플레이 위 또는 아래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자체가 픽셀 회전수단을 이용하여 랜드 스케이프 또는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표시 및 작동하도록 제작되면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제어 인터페이스의 일반적 형태인 메뉴는 어떤 모드에서도 읽을수 있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런 방법에 대한 단점의 하나는 픽셀 회전회로가 고가라는 점이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좌표위치 검출 입력장치의 주변영역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용 좌표 위치 검출 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랜드스케이프 또는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데이타 입력 또는 출력을 편리하게 경제적으로 하는 좌표위치 검출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설명)
본 발명은 사용자의 그래픽 데이타 입력에 부적합한 주변영역을 가지는 컴퓨터용 좌표위치 검출입력장치에 있어서, 이 주변영역에 컴퓨터의 해당동작을 개시시키도록 동작하는 적어도 한 키영역(key reg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싱으로 한다.
그러므로, 충분하게 동작되도록 고해상도 또는 위치 정확도를 제공하지 않던 영역에 비교적 큰 면적의 키영역이 구비되므로 저해상도, 저정확도의 주변영역이 장치의 유용한 영역이 된다.
바람직하기로, 좌표위치 검출 입력장치는 상기 영역에 대응하는 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해 상기 영역에 접근하도록 손으로 움직일 수 있는 철필과 연동되도록 제작된다.
또한, 키 영역은 키 영역의 기능을 식별하는 식별부와 대응하며, 식별부는 터미날이 랜드스케이프 또는 포트레이트 모드일때 쉽게 읽을 수 있는 방향각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식별부라 함은 좌표를 인식할 수있는 전부분, 즉 디지타이저 영역 전체를 말하는데 여기서 "식별부"라 함은 디지타이저 영역 전체에서 액티브(active)영역을 제외한 디지타이저의 가장자리 부분을 말한다. 액티브 영역을 제외한 디지타이저의 가장자리 부분은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일정한 범위를 할당해 그 부분 전체를 하나의 기능으로 설정해 사용한다
이렇게 경사진 키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키 영역기능에 관련된 온 스크린 메뉴 바(on-screen menu bar) 또는 아이콘을 회전시키기 위해 복잡한 픽셀 회전 회로를 사용할 필요가 전혀 없게 된다. 여기서, "키 영역"이라는 용어는 영구적이거나 특수한 기능을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는 장치의 영역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한개 이상의 키영역이 있는 경우 전체 또는 각 키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키 패드의 통상적인 키로 간주된다.
용어 "방향각"은 글자의 진행방향을 일컫는다. 이 용어는 아이콘에 대해서는 아이콘을 통과하는 수평선을 의미한다. 액티브 영역을 제외한 식별부에 키보드 자판의 기능을눈 대신할 수 있도록 여러개의 키 영역을 정의하여 사용하는데 있어서 각 부분에 정의된 키의 문자(글자)를표시하여야 한다. 이 경우 랜드스케이프와 포트레이트 모드중 어느 한가지 경우에 대해 문자를 표시할 경우 다른 모드로 사용시 글자를 인식하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어느 모드로 사용하던지 글자를 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방향각을 두어 사용에 편리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좌표입력 검출 입력장치는 직사각형 스크린을 구비하고 식별부(identifying portion)는 스크린의 일측면에 대해 약 35도와 55도 사이의 한 방향각을 가진다. 그러나 방향각은 45도가 바람직하다. 그러면 양모드에서 가장 읽기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키 자체의 방향각이 식별부의 각도와 같은 점에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식별부가 키상에 있는 경우일 것이다.
비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 장치는 키보드 없는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위 또는 아래에 놓이거나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일체로된 디지타이징 수단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디지타이징 수단보다 작아 실제적으로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 또는 아래에 놓이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와 일체가 되지 않게 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주변영역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위 또는 아래에 중첩되거나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일체되는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가 키의 대용부를 표시하고 이 대용부가 상기 주변영역 및 또는 아래에 놓이게 할 수도 있다. 후자는 사용자가 그자신의 키를 고려 키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키의 원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컴퓨터에 사용하여 원하는 사용자 자신의 키를 만들어 배치할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한 구성이다. 이것을 실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루틴은 당 업계에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여기서 설명하지 않겠다.
일반적으로, 장치는 손으로 움직이는 장치간의 전자기적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구성의 것이다. 이와는 달리 장치를 입력 감지 장치로 함으로써 부재에 의해 장치 상면의 일점에 가해진 압력에 따른 압력점의 위치 측정을 하게 할수도 있다. 전술한 두가지 수단을 포함하여 여러가지 디지타이징 기술이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어 와콤사(wacom co Ltd), 뉴모닉스사(numonic lnc) 또는 서마그래픽스사(summagraphic lnc)등의 제품을 들수 있다. 본 발명은 좌표위치 검출을 할수 있는 모든 종류의 디지타이징 기술을 포함한다.
(상세한 설명)
제1도에서, 1은 바람직하기로는 LCD형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수단(3)9(빗금으로 표시됨)을 포함하는 키보드 없는 컴퓨터이다. 디스플레이(3)는 좌표 위치 검출입력장치(2)(점으로 표시됨)위에 놓여지는데, 본 실시예에서 좌표 위치 검출입력장치(2)는 전자기 유도 디지타이징 매트(mat) 또는 타블렛(tablet)이다. 디지타이징 타블렛(2)은 디스플레이(3)상의 가장자리에로 표시한 주변영역까지 연장된다.
디지타이저(2)의 주변영역(7)은 손으로 쓴 글자입력과 같은 그래픽 데이타 입력을 지원하기 위한 충분한 해상도와 충분한 위치 정확도를 제공하지 못한다. 그러나, 이 영역은 그 영역의 일부에 키영역(5) 및 키영역(6)과 같은 영구 키영역으로 신뢰성 있게 설정할 수 있을 만큼은 정확한다.
키 영역(5)는 스크린의 측면에 대해 45도의 각도를 가져 이 각도로 경사진 키 영역의 데이타 또는 제어기능을 표시하는 표시 아이콘을 구비한다. 키 영역(5)는 철필(4)로 터치치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키 영역(6)은 이렇게 경사되지 않는다. 도시된 터미날은 랜드스케이프 모드에 있는데 이 터미날이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포드레이트모드로 되면 키 영역(5)의 식벽부는 랜드 스케이프 모드에 있을때와 같이 읽을 수 있게된다.
이러한 구성의 키보드 없는 컴퓨터의 입력장치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단하게 설명한다. 컴퓨터(1)은 디스플레이(3) 아래에 놓이고 전자기 철필(4)을 함께가지는 전자기 유도 디지타이징 매트 또는 타블렛(2)을 구비한다. 디지타이징 매트(2)는 X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은 도선들과 그 위에 Y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은 도선들로 된 전기 도전 그리드를 구비한다. 철필(4)은 교류전류에 의해 여자될 수 있는 코일(도시되지 않았음)을 구비한다. 도전그리드에 유도된 전압의 진폭은 X 및 Y축으로 정의되는 직교 좌표계(Cartersian co-ordinate system)상의 철필(4)위치의 표시값을 제공한다 이 형태로 된 디지타이저의 상세한 동작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더 상세한 상황에 대하여는 미국특허공보 4,570,033호를 참조할 수있다. 이런 디지타이징 시스템을 사용하면, 사용지는 그래픽 데이타를 자연스럽게 입력하여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3)상에 거의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키(5) 뜨는 키(6)을 동작시킴으로써 대응동작을 개시시킬수 있다.
제2도에서, 디지타이징 패드(2)는 LCD형 디스플레이(3) 아래에 놓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에 있어서는 LCD형 디스플레이(3)에 내장 또는 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절필(4)은 LCD(3)에 터치되며, 철필(4)및 LCD(3)에 접촉한 위치(XY좌표)를 표시하는 전기적 신호는 A/D변환기(11) 측으로 공급되어 데이타경로 또는 시스템 버스(10)에 공급된다. CPU(12)는 양방향 데이타 흐름이 가능하도록 버스(10)에 접속되며, RAM(7)도 마찬가지로 접속된다. ROM(18)은 버스(10)에 접속되는데, 사용자가 스크린상에 철필을 이용하여 문자 또는 그래픽 정보를 입력, 수정 및 편집하는 통신절차와 워드프로세싱 및 그래픽 소프트 웨어들을 포함하는 장치용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프로그램된다.
CPU(12)는 버스(10)를 통해 모드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CPU(12)는 인텔사(Intel Corporation)가 제작한 80386같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4)는 버스(10)에 접속되어 디스플레이(3)를 구동시킨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4)는 랜드스캐이프 또는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디스플레이(2)를 구동시킬 수 있다. 스크린상의 키 영역(6)을 회전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드라이버(l4)의 픽셀회전회로가 불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장치에는 데이타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버스(10)에 접속된 데이타 인터페이스(19)가 제공된다. 데이타 인터페이스(19)는 필요한 경우, 통신망에 사용되도록 된 모뎀을 구비할 수 있다.

Claims (9)

  1. 사용자의 그래픽 데이타 입력에 부적합한 주변 영역을 가지는 컴퓨터용 좌표위치 검출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변영역에 컴퓨터의 해당동작을 개시시키도륵 동작하는 적어도 한 키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키영역이 상기 키 영역의 기능을 식별하는 식별부와 대응하며 상기 식별부는 터미날의 랜드 스케이프 또는 포트레이트 모드일때 쉽게 읽을 수 있는 방향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좌표위치 검출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키 자체의 방향각은 상기 식별부의 각도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좌표위치 검출 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위 또는 아래에 놓이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일체로된 디지타이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좌표위치 검출 입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크기를 상기 디지타이징 수단의 크기보다 작게하여 상기 주변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위 또는 아래에 놓이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와 일체화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좌표위치 검출 입력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주변영역이 디스플레이 스그린의 위 또는 아래에 놓이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일체가 되는 크기를 가짐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는 키의 대용부를 표시하며 상기 대용부는 상기 주변영역 위 또는 아래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좌표위치 검출 입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사용자가 자신의 키를 그려 상기 키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키에 원하는 기능을 설정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사용자가 자신의 키 영역을 배치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좌표위치 검출 입력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이 직사각형 스크린이며, 상기 식별부는 한 스크린 측면과 약 35도와 55도 사이의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좌표위치 검출 입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각이 4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좌표위치 검출 입력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영역에 관련된 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해 상기 키 영역에 접촉하거나 접근하도록 손으로 움직일 수 있는 철필과 상기 키 영역이 연동될 수 있게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좌표위치 검출 입력장치.
KR1019920700719A 1990-06-01 1991-05-30 컴퓨터용 좌표위치 검출 입력장치 KR950004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09012235A GB9012235D0 (en) 1990-06-01 1990-06-01 Communications terminal
GB9012235.9 1990-06-01
GB90122359 1990-06-01
PCT/GB1991/000867 WO1991019245A1 (en) 1990-06-01 1991-05-30 Co-ordinate position detecting input device for a compu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2510A KR920702510A (ko) 1992-09-04
KR950004448B1 true KR950004448B1 (ko) 1995-05-01

Family

ID=10676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0719A KR950004448B1 (ko) 1990-06-01 1991-05-30 컴퓨터용 좌표위치 검출 입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950004448B1 (ko)
GB (1) GB9012235D0 (ko)
WO (1) WO19910192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4104B1 (fr) * 1992-07-24 1994-10-07 Sextant Avionique Terminal de communication ergonomique et son application à un procédé d'assistance au pilotage d'un aéronef.
JPH0798629A (ja) * 1993-04-28 1995-04-11 Nec Corp ペン入力型情報処理装置
EP0766168A3 (en) * 1995-09-28 1997-11-19 Hewlett-Packard Company Icons for dual orientation display devices
US5757361A (en) * 1996-03-20 1998-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computer systems to selectively map tablet input devices using a virtual boundary
US6639577B2 (en) * 1998-03-04 2003-10-28 Gemstar-Tv Guide International, Inc.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with ergonomic bezel
US6798649B1 (en) 2002-02-25 2004-09-28 Think Outside, Inc. Mobile computer with foldable keyboard
WO2007096688A1 (en) * 2006-02-23 2007-08-30 Alon Lotan A display and actua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2677A (en) * 1984-11-19 1987-06-09 Canon Kabushiki Kaisha Character and figure processing apparatus
US5010323A (en) * 1988-05-09 1991-04-23 Hoffman Clifford J Interactive overlay driven computer display system
US4992630A (en) * 1989-07-11 1991-02-12 Summagraphics Corporation Digitizer tablet with user customization of stylus proximity and pres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1019245A1 (en) 1991-12-12
GB9012235D0 (en) 1990-07-18
KR920702510A (ko) 1992-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2113A (en) Data input device with a display keyboard
US61280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ode handwritten input and hand directed control of a computing device
EP1138014B1 (en) A flexible transparent touch sensing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US5202844A (en) Computer having integral type hand writing input/display device and keyboard
US6473073B1 (en) Digitizer system with on-screen cue indicative of stylus position
JP3209149B2 (ja) 携帯端末装置
US5250929A (en) Interactive overlay-driven computer display system
US200902514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interaction of a virtual keyboard provided through a small touch screen
EP0622723A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labeled touch sensitive buttons in a digitizing display
US20090289902A1 (en) Proximity sensor device and method with subregion based swipethrough data entry
US64661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pointing device of computer system
US20090288889A1 (en) Proximity sensor device and method with swipethrough data entry
EP0725331A1 (en) Information imput/output device using touch panel
KR950004448B1 (ko) 컴퓨터용 좌표위치 검출 입력장치
CN114721541A (zh) 电子纸触控板的控制方法与整合装置及电子系统
US6369802B1 (en) Handwritten data input device having coordinate detection tablet
EP202858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operation inpu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040034915A (ko) 펜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동적 키보드 구현 장치
US6075521A (en) Coordinate input device
CN112083818B (zh) 触摸输入系统、触摸输入装置以及触摸输入辅助工具
JPH1049303A (ja) 情報機器及び該機器におけるデータ入力方法と前記方法を実施する制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により読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0162163B1 (ko) 수기문자 및 도형입력 겸용 키입력장치와 이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수첩
JP2006172367A (ja) 入力装置
JP2991894B2 (ja) ペン入力機能付き文字処理装置
JPH05257606A (ja) 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