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446Y1 -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간이 고장진단기 - Google Patents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간이 고장진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446Y1
KR950004446Y1 KR2019910025063U KR910025063U KR950004446Y1 KR 950004446 Y1 KR950004446 Y1 KR 950004446Y1 KR 2019910025063 U KR2019910025063 U KR 2019910025063U KR 910025063 U KR910025063 U KR 910025063U KR 950004446 Y1 KR950004446 Y1 KR 9500044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regulator
signal
frequency
filter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5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5297U (ko
Inventor
박창수
Original Assignee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백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백덕현 filed Critical 산업과학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2019910025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446Y1/ko
Publication of KR9300152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52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4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4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3/1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간이 고장진단기
제1도는 본 고안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간이 고장진단기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간이 고장진단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상세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초음파센서 2 : 자기센서
3 : 전단증폭기 4 : 여파기
5 : 선택스위치 6 : 주파수분주기
7 : 분주선택스위치 8 : 스피커
9 : 이어폰잭 IC1,IC4: 집적회로
본 고안은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정비할때 간단하게 고장여부를 진단하고 고장부위를 찾아낼 수 있는 진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고장여부와 상태판정을 빠른 시간에 할 수 있는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간이 고장 진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직류전원을 가청주파수 이상의 주기로 스위칭하여 승압 또는 전류증폭하고 다시 직류전원을 만드는 장치로서 컴퓨터나 정밀 시험장치등의 전원장치로 사용되며 독립전원장치로 생산되기도 한다.
그런데,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스위칭 주기를 가청주파수 이상으로 할 경우 효율이 저하되므로 통상적으로 15KHz~20KHz 부근에서 사용하며, 일반인의 가청범위도 15KHz 이상에서 크게 둔화되므로 스위칭잡음으로 인한 환경저해의 문제는 없으나, 정비보수시에 청각을 이용한 고장진단이 불가능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다수의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고장여부와 상태판정을 빠른 시간에 할 수 있는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간이 고장진단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간이 고정진단기는 스위칭 레귤레이터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하는 초음파센서(1)와, 자장을 감지하는 자기센서(2), 상기 초음파센서(1) 또는 자기센서(2)로 감지한 신호를 증폭하는 전단증폭기(3)와, 상기 전단증폭기(3)에서 증폭된 신호중 스위칭 레귤레이터에서 발생하는 주파수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여파기(4), 여파기(4)의 여파대역을 선택하는 선택스위치(5), 상기 여파기(4)를 통과한 신호를 가청주파수의 신호로 분주하는 주파수분주기(6), 분주를 선택하는 분주선택스위치(7), 상기 주파수분주기(6)에서 가청주파수의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8) 및 이어폰잭(9)으로 구성된다.
제1도는 본 고안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간이 고장진단기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간이 고장진단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상세회로도로서, 스위칭 레귤레이터에서 발생하는 음향은 초음파센서(1)가, 자장은 자기센서(2)가 각각 감지하게 된다. 이렇게 초음파센서(2) 또는 자기센서(2)로 감지된 신호는 저항(R1R3)과 콘덴서(C1) 및 집적회로(IC1)로 이루어진 전단증폭기(3)로 인가되어 회로에서의 신호처리가 용이한 수준으로 증폭되는바, 여기서 증폭의 크기는 저항(R1R3)의 저항 값을 조정하여 이루어진다. 이렇게 전단증폭기(3)에서 증폭된 신호는 저항(R4~R8)과 콘덴서(C2~C5), 집적회로(IC2, IC3)로 구성된 여파기(4)로 입력되는데, 여파기(4)는 스위칭 레귤레이터에서 발생하는 주파수의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것으로, 초음파센서(1)를 사용할때는 고역통과 여파기만으로 충분하지만 자기센서(2)를 사용할 경우는 스위칭 주파수 이상의 신호가 많이 혼입되므로 일정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대역통과여파기를 겸비하여 선택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집적회로(IC2, IC3)를 사용하게 되며, 집적회로(IC2)는 고역통과여파기, 집적회로(IC3)는 저역통과 여파기로서 집적회로(IC2)만 통과하면 고역통과여파기로 동작하게 되고, 집적회로(IC2, IC3)를 모두 통과시키면 대역통과여파기로 동작하게 되는 바, 이러한 동작은 스위치(SW)인 선택스위치(5)로서 선택하게 된다.
예컨대, 집적회로(IC2)에서 10KHz 이상만 통과시키고, 집적회로(IC3)에서 20KHz 이하만 통과시키면 대역통과 폭은 15KHz에서 20KHz까지이며, 고역통과 정수는 캐패시터(C2, C3)와 저항(R4, R5)으로 결정되고, 저역통과 정수는 캐패시터(C4, C5)와 저항(R7, R8)으로 결정된다.
이와같이하여 여파기(4)를 통과한 신호는 집적회로(IC4)로 이루어진 주파수분주기(6)로 입력되어 가청주파수의 신호로 분주된다.
주파수분주기(6)는 예컨대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스위칭 주파수가 20KHz 인 경우 분주기의 선택을 2분주로 하면 주파수분주기(6)의 출력은 입력주파수의 1/2인 10KHz로 되고, 4분주시는 5KHz, 8분주시는 2.5KHz, 16분주시는 1.25KHz로 변환된다 이러한 2~16분주는 바이너리 카운터(Binary Counter)로 구성되는 분주선택스위치(7)로 선택하게 된다.
주파수분주기(6)에서 가청주파수의 신호로 분주된 신호는 스피커(8) 또는 이어폰잭(9)을 통하여 음향으로서 출력되며 즉,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스위칭 여부 및 스위칭 상태가 가청 음향으로 출력되므로 정비자는 그 음향을 청취하여 고장여부 및 상태를 진단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은 다수의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고장여부와 상태판정을 빠른시간에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간이 고장진단기를 전자현미경의 정비작업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전자현미경은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다수 채용하는 시스템으로서, 필라멘트(Filament)와 에노드(Anode), 집광렌즈(Condense Lens), 대물렌즈(Objective Lens)등을 스위칭 레귤레이터로 구동시키며, 렌즈의 작용이 상호보완으로 연계동작하여 작용하기 때문에 어떤 렌즈의 레귤레이터가 고장인지의 판단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아니라 레귤레이터의 유니트는 몰드화되어 콘넥터로 접속되기 때문에 분해점검이 어렵다. 이 경우 본 고안 고장진단기를 사용하면 무접점으로 픽업(Pick-up)할 수 있는 센서부와 접근만으로 스위칭 여부와 스위칭 주파수 및 전류등을 청각에 의해 진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점검시간의 단축으로 빠른시간내에 고장유니트로 접근할 수 있으며, 불필요하고 무리한 계기의 접속으로 인한 고장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스위칭 레귤레이터에서 발생하는 음량을 감지하는 초음파센서(1)와, 저장을 감지하는 자기센서(2), 상기 초음파센서(1) 또는 자기센서(2)로 감지한 신호를 증폭하는 전단증폭기(3), 상기 전단증폭기(3)에서 증폭된 신호중 스위칭 레귤레이터에서 발생하는 주파수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여과기(4), 여파기(4)의 여파대역을 선택하는 선택스위치(5), 상기 여파기(4)를 통과한 신호를 가청주파수의 신호로 분주하는 주파수분주기(6), 분주를 선택하는 분주선택스위치(7), 상기 주파수분주기(6)에서 가청주파수의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8) 및 이이폰잭(9)으로 구성되어 빠른시간내에 간단하게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간이 고장진단기.
KR2019910025063U 1991-12-30 1991-12-30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간이 고장진단기 KR9500044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5063U KR950004446Y1 (ko) 1991-12-30 1991-12-30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간이 고장진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5063U KR950004446Y1 (ko) 1991-12-30 1991-12-30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간이 고장진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297U KR930015297U (ko) 1993-07-28
KR950004446Y1 true KR950004446Y1 (ko) 1995-06-01

Family

ID=19326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5063U KR950004446Y1 (ko) 1991-12-30 1991-12-30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간이 고장진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4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297U (ko) 199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0504B2 (ja) 組み込み型自己テスト回路を内蔵するマイクロフォン装置
CN206024113U (zh) 诊断电路、音频系统和集成电路
CN108430026B (zh) 音频设备故障检测方法和点唱设备
US9100760B2 (en) Audio channel fault detection system
US7092533B1 (en) BTL amplifier apparatus
RU2340123C2 (ru) Детект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4209596B2 (ja) スピーカ故障検知装置及びスピーカ故障検知方法
CN103648075A (zh) 一种自动检测功放异常的装置及方法
JPH09307988A (ja) スピーカ装置及びスピーカ断線検査装置
US3997724A (en) Loudspeaker drive mechanism monitoring assembly
KR950004446Y1 (ko)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간이 고장진단기
CN215679619U (zh) 一种医疗设备及其报警音自检电路
JP2507711Y2 (ja) スピ―カ回線監視回路
US4723292A (en) Voice evacuation system
US4270151A (en) Microphone mixer with predistortion indication
US20080063212A1 (en) Circuit testing apparatus
US20050163326A1 (en) Diagnostic circuit for a tweeter ina loudspeaker combination
JP3355065B2 (ja) スピーカラインの検査装置
DE19901288A1 (de)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der Lautsprecher einer elektro-akustischen Übertragungsanlage
CN110557712A (zh) 一种扬声器故障检测装置
CN217687493U (zh) 一种声音检测装置
JP3348182B2 (ja) 異常振動検出装置
CN114567848B (zh) 一种音频输出通道状态检测装置及方法
US20230100592A1 (en) Piezo sounder self-test using feedback pin
KR20230014956A (ko) 스피커 체크 장치, 방송 시스템, 기준 비율 생성과 저장방법 및 동작 감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5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