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039Y1 - 산기관 - Google Patents

산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039Y1
KR950004039Y1 KR92016995U KR920016995U KR950004039Y1 KR 950004039 Y1 KR950004039 Y1 KR 950004039Y1 KR 92016995 U KR92016995 U KR 92016995U KR 920016995 U KR920016995 U KR 920016995U KR 950004039 Y1 KR950004039 Y1 KR 950004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main body
valve body
air
diffus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6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727U (ko
Inventor
박동기
Original Assignee
박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기 filed Critical 박동기
Priority to KR92016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039Y1/ko
Publication of KR9400077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7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0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산기관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확산판 2, 2' : 분사공
3 : 접속나사 4 : 산기관본체
5 : 요홈 6 : 밸브체
6' : 경사면 7 : 경사턱
8 : 구멍 9 : 내측돌환
10 : 덮개
본 고안은 폐수 및 하수등 각종 오수처리조 내에 설치하는 산기관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가지의 산기관이 안출된 바 있으나 이들은 설치후 오수의 슬러지에 의해 쉬이 막히게 됨에 따라 산소공급이 원활치 못하고 사용도중 산기관을 자주 교체해야 되는 불편을 겪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확산판(1)의 직하부에 분사공(2) (2')을 적정간격으로 뚫고 하단에 접속나사(3)를 삭설한 산기관본체(4)의 내부에 십자형 요홈(5)이 상면에 요설되고 산기관본체(4)보다 적은 직경으로 된 단면형상의 밸브체(6)를 하부의 경사면(6')이 산기관본체(4)의 내면에 단설한 경사턱(7)에 접리자재되게 유삽하고 산기관본체(4)의 상단에 구멍(8)이 뚫리고 내측돌환(9)이 형성된 덮게(10)를 복착하여서 되는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1은 오수정화조이고 12는 급기관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오수정화조(11)의 저부에 설치된 급기관(12)에 산기관본체(4)를 하부의 접속나사(3)로서 다수개 연결한 후 공기를 공급하면 분출되는 고압의 공기는 산기관본체(4)의 저부로 유입되어 오수의 수압에 의해 경사면(6')이 산기관본체(4) 내면의 경사턱(7)에 수밀 상태로 접면되어 있는 밸브체(6)를 들어 올리게 되므로 밸브체(6)에 의해 차단된 다수개의 분사공(2) (2')이 일시에 개방되어 이를 통해 강력한 압력으로 분출됨과 동시에 확산판(1)에 의해 확산되면서 폐수중에 공기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밸브체(6)가 공기압력에 의해 상승되면 산기관본체(4)의 상면에 복착된 덮개(10)의 내측돌환(9)에 걸리게 되고 또한 밸브체(6)가 산기관 본체(4)의 직경보다 적어 산기관본체(4)의 내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므로 밸브체(6)가 공기에 의해 들어 올려지면 산기관본체(4)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는 산기관본체(4)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상승되어 밸브체(6) 상면의 십자형 요홈(5)를 통해 덮개(10)의 구멍(8)으로 분출되므로 공기가 공급되지 않을 때 오수의 수압에 의해 밸브체(6)가 하강된 상태에서 밸브체(6)의 상면에 침적된 불순물이 공기에 의해 일시에 덮개(10)의 구멍(8)을 통해 방출되므로 산기관이 막히지 않고 공기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산소의 공급이 중단되면 오수의 압력으로 밸브체(6)가 하강하여 그 하부의 경사면(6')이 산기관본체(4)의 경사턱(7)에 긴밀히 밀착되므로 확실한 수밀상태가 되어 오수가 역류할 우려는 전혀 없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밸브체(6)의 상면에 십자형 요홈(5)을 형성하여 공기를 밸브체(6)의 상면으로도 원활히 배출되게 한 것이므로 불순물의 침적으로 인한 밸브체의 작동이 방해되는 결점이 없어 고장율이 적고 공기배출이 원활하며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확산판(1)의 직하부에 분사공 (2) (2')을 적정간격으로 뚫고 하단에 접속나사(3)를 삭설한 산기관본체(4)의 내부에 요홈(5)이 상면에 요설되고 산기관본체(4)보다 적은 직경으로 된 단면형상의 밸브체 (6)를 하부의 경사면(6')이 산기관본체(4) 내면에 단설한 경사턱(7)에 접리자재 되게 유삽하고 산기관본체(4)의 상단에 구멍(8)이 뚫리고 내측돌환(9)이 형성된 덮개(10)를 복착하여서 되는 산기관.
KR92016995U 1992-09-04 1992-09-04 산기관 KR950004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6995U KR950004039Y1 (ko) 1992-09-04 1992-09-04 산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6995U KR950004039Y1 (ko) 1992-09-04 1992-09-04 산기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727U KR940007727U (ko) 1994-04-15
KR950004039Y1 true KR950004039Y1 (ko) 1995-05-19

Family

ID=19339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6995U KR950004039Y1 (ko) 1992-09-04 1992-09-04 산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03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400B1 (ko) * 2020-11-12 2021-01-22 이영훈 배관용 고정핀 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727U (ko) 199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44924B2 (en) Chemical feed apparatus
CA2398461A1 (en) Multistage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or and high-concentration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using same
JP2009172577A (ja) 散気装置の運転方法および散気装置
CN204981309U (zh) 一种防止管路积泥的穿孔曝气装置
KR950004039Y1 (ko) 산기관
CA2504319C (en) Biological wastewater purification device
EP0523498A1 (en) Sewage treatment apparatus
PL1650169T3 (pl) Biologiczne urządzenie do klarowania z pompą głębinową
DE50006297D1 (de) Notablaufvorrichtung
CN109956554A (zh) 一种无泵自动回流的循环aao水处理方法
CN212504218U (zh) 污水生化处置装置
KR790001181B1 (ko) 염소유입기의 약액 자동공급 장치
KR200261489Y1 (ko) 상향수직폭기형수중산소공급장치
KR200292947Y1 (ko) 수도전 직결형 자연여과식 정수기
KR920005424Y1 (ko) 폐수처리용 산기기
KR102611416B1 (ko)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CN218642577U (zh) 一种高效污水处理生化池
CN209835757U (zh) 一种自回流反应罐
KR100323218B1 (ko) 유량 정량조절용 공기부양펌프
JPH0746325Y2 (ja) 上澄液排出機構
JPS6121600Y2 (ko)
JPH0494796A (ja) 汚水浄化装置
KR200269945Y1 (ko) 오폐수 처리장치의 유량조절장치
KR970003585Y1 (ko) 순환식 아스피레이션(aspiration) 폭기장치
JPH11300176A (ja) 浸漬型膜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8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