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033Y1 - 폐수 여과물의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폐수 여과물의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033Y1
KR950004033Y1 KR92018383U KR920018383U KR950004033Y1 KR 950004033 Y1 KR950004033 Y1 KR 950004033Y1 KR 92018383 U KR92018383 U KR 92018383U KR 920018383 U KR920018383 U KR 920018383U KR 950004033 Y1 KR950004033 Y1 KR 950004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hopper
fastener
suppor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8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718U (ko
Inventor
구판홍
배중석
Original Assignee
구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판홍 filed Critical 구판홍
Priority to KR92018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033Y1/ko
Publication of KR9400077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7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0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폐수 여과물의 탈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지지대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받침대 2 : 관통공
3, 7 : 체결공 4 : 호퍼
5, 5' : 지지대 6 : 경사안내부
8, 8' : 베어링 9, 19 : 고정구
10 : 스크류 11 : 모터
12 : 감속기 13 : 사각파이프
14 : 고정밴드 15 : 이송관
16 : 고정축 17 : 너트
18 : 경사부 20 : 스프링
본 고안은 축산농장등에서 발생하는 폐수와 폐기물을 여과하여 얻어지는 폐기 여과물(스러지)을 탈수하는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폐기 여과물의 처리는 스러지 상태의 여과물을 그대로 운반처리하므로서 여과물에 포함된 다량의 수분 때문에 취급이 곤란하고 또 여과물에 포함된 세균 때문에 위생상 불경함은 물론 토양의 비료로 사용시 토양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폐기 여과물의 탈수 및 살균장치(발명 제57777호, 공고번호 92-948호)를 안출하였다.
즉 상기 발명은 스크류가 체결된 이송장치의 축 하부에 미세통공을 천공하고 배출구에는 전기히터를 장착하여 탈수와 살균을 동시에 할 수 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송장치부의 하부에 천공된 미세통공이 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폐기물에 의하여 막혀 탈수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았으며 막힌 구멍을 자주 청소하여야 하는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한편, 본 출원인의 발명특허 제52777호에 대한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 스크류의 주위에 사각의 파이프를 원형으로 높고 수개의 고정구로서 고정하여서 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의 일측 상부에 호퍼가 설치되고 그 일측에 스크류를 설리하여 폐기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공지의 탈수장치에 있어서, 받침대(1)의 상부 일측에는 관통공(2)가 체결공(3)이 형성된 호퍼(4)를 고정설치하고 타측에는 지지대(5) (5')를 고정 설치하되 지지대(5)의 외측에는 경사안내부(6)를 일체로 형성하고 내측에는 체결공(7)을 형성하며 중앙부에는 전, 후에 베어링(8) (8')이 체결된 고정구(9)를 형성한다.
호퍼(4)에 형성된 관통공(2)과 고정구(9)의 전면 베어링(8)에는 스크류(10)를 고정설치하며 타측에는 모터(11)가 연렬된 감속기(12)축에 고정하고 호퍼(4)와 지지대(5)의 양체결공(3) (7)에는 수개의 사각파이프(13)를 원형으로 놓고 수개의 고정밴드(14)로서 이송관(15)을 고정설치한다.
고정구(9)의 후면에 체결된 베어링(8)에는 고정축(16)을 체결하되 일측에는 너트(17)와 스프링(20)을 체결하고 그 일측에는 경사부(18)가 형성된 고정구(19)를 체결한다.
이때, 너트(17)와 고정구(19)사이에는 스프링(20)을 체결하며 고정축(16)의 하측에는 지지대(5')에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11)를 작동하면 스크류(10)가 회동되게 하고 이 상태에서 호퍼(4)에 폐기여과물을 넣으면 폐기여과물은 스크류(10)를 타고 이송관(15)을 따라 이송하게 되고 이때 폐기여과물에 있는 물은 이송관(15)의 연결홈을 타고 흘러 내리게 되며 폐기여과물이 고정구(19)의 경사부(18)에 닿게되면 지지대(5)의 경사안내부(6)와 고정구(19)의 경사부 사이로 빠져나오게 되는 것이다.
이때 폐기여과물에 덩어리나 나무토막등이 있을 경우 스크류(10)가 덩어리를 계속 압착하게 되면 고정구(19)를 받치고 있던 스프링(20)을 압착하면서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고 덩어리가 외부로 빠져나가면 스프링(20)의 탄성에 의하여 고정구(19)가 원상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사각파이프를 이용하여 이송관을 형성하고 고정구와 너트사이에 스프링을 체결하는 간단한 구성으로서 제작이 간편하고 손쉬우며 이송관이 파이프로 되어 있으므로 물이 배출되는 배수홈이 막힐 염려가 없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본체의 상부 일측에 호퍼가 설치되고 그 일측에 스크류가 설치된 이송장치를 부착하여 폐기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공지의 탈수장치에 있어서, 받침대(1)의 상부일측에는 관통공(2)과 체결공(3)이 형성된 호퍼(4)를 고정설치하고 타측에는 지지대(5) (5')를 고정 설리하되 지지대(5)의 외측에는 경사안내부(6)를 일체로 형성하고 내측에는 체결공(7)을 형성하며 중앙부에는 전, 후에 베어링(8) (8')이 체결된 고정구(9)를 형성하고 호퍼(4)에 형성된 관통공(2)과 고정구(9)의 전면 베어링(8)에는 스크류(10)를 고정설치하며 타측에는 모터(11)가 연결된 감속기(12)측에 고정하고 호퍼(4)와 지지대(5)의 양체결공(3) (7)에는 수개의 사각파이프(13)를 원형으로 놓고 수개의 고정밴드(14)로서 이송관(15)을 고정설치하고 고정구(9)의 후면에 체결된 베어링(8)에는 고정축(16)을 체결하되 일측에는 너트(17)와 스프링(20)을 체결하고 그 일측에는 경사부(18)가 형성된 고정구(19)를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 여과물의 탈수장치.
KR92018383U 1992-09-26 1992-09-26 폐수 여과물의 탈수장치 KR9500040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8383U KR950004033Y1 (ko) 1992-09-26 1992-09-26 폐수 여과물의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8383U KR950004033Y1 (ko) 1992-09-26 1992-09-26 폐수 여과물의 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718U KR940007718U (ko) 1994-04-15
KR950004033Y1 true KR950004033Y1 (ko) 1995-05-19

Family

ID=19340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8383U KR950004033Y1 (ko) 1992-09-26 1992-09-26 폐수 여과물의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0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222B1 (ko) * 1998-02-13 2000-08-16 박재영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의 커팅압착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718U (ko) 199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905087D0 (en) Continuously working automatic apparatus for purifying muds, especially for high-purity clarifying muds
US5185087A (en) Method of concentrating and deodorizing ruminant waste
KR950004033Y1 (ko) 폐수 여과물의 탈수장치
JPS59166396A (ja) 泥状物脱液処理装置
KR100616244B1 (ko) 오폐수 처리 시설용 중력식 탈수장치
KR200353564Y1 (ko) 폐수 슬러지 농축장치
JP2595030Y2 (ja) し渣脱水機におけるし渣の洗浄装置
CN208532405U (zh) 提水式曝气机
JPS6147638B2 (ko)
JPS632641B2 (ko)
CN2514893Y (zh) 自动清洗过滤器
CN215662007U (zh) 一种菜叶用压干装置
CN213427698U (zh) 一种便于调节的猪养殖用饮水装置
KR950002022Y1 (ko) 일회용 정수기
Pierson Sludge Dewatering or Volume Reduction.
KR19980043456A (ko) 음식물쓰레기의 탈수압착처리기
CN111039534A (zh) 一种污水处理用固液分离系统
KR200168050Y1 (ko) 세탁기의급수호오스
KR20000013361U (ko) 드럼식 여과기용 드럼
HAZELSWATTS LIME SLUDGE: SOME PROBLEMS--SOME SOLUTIONS
SU1215646A1 (ru) Обезвоживатель белкового сгустка
EP1078888A3 (de) Vorrichtung zum Eindicken oder Entwässern von Schlämmen, insbesondere von Überschussschlämmen in Kläranlagen
JPS6213756Y2 (ko)
JPS6313765Y2 (ko)
KR950024782A (ko) 오물탈수용 다중 스크류 프래스의 여과원통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