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773B1 -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 가황고무 - Google Patents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 가황고무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773B1
KR950003773B1 KR1019910700558A KR900700558A KR950003773B1 KR 950003773 B1 KR950003773 B1 KR 950003773B1 KR 1019910700558 A KR1019910700558 A KR 1019910700558A KR 900700558 A KR900700558 A KR 900700558A KR 950003773 B1 KR950003773 B1 KR 950003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ethylene
propylene
dien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0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2346A (ko
Inventor
히데나리 나까하마
다까시 미시마
Original Assignee
미쓰이세끼유 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다께바야시 쇼오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세끼유 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다께바야시 쇼오고 filed Critical 미쓰이세끼유 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702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2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7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0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elastic deformation of gauges, e.g. of sp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0001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elastically deformable gauges by electric, electro-mechanical,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Transducers For Ultrasonic Waves (AREA)
  • Flexible Shaft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Prosthese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Actuator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 가황고무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 가황고무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공역디엔계 고무와의 공가황성이 우수한 동시에, 천연고무(N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이소플렌고무(IR) 부타디엔 고무(BR)등의 공역디엔계 고무가 갖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 내마모성, 내동적 피로성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우수한 내후성, 내오존성 및 내열노화성을 부여할 수 있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 이와같은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를 함유하는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이 엘라스토머 조성물로 된 가황고무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EPDM)는, 내후성 내오존성, 내열노화성이 우수한 고무로서, 웨저스트리핑, 도어글라스런채널, 라디에이터 호스등, 자동차부품의 정적인 부분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타이어, 방진고무등 동적인 피로에 대해서 기계적 강도를 필요로 하는 부품의 대부분은, NR, SBR, BR등의 공역디엔계 고무, 또는 이들의 블렌드물이 사용된다.
그런데, 작금의 작동차의 고성능화에 수반되어, 자동차 부품의 내열노화성이나 내후성의 향상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EPDM는 내후성, 내오존성 및 내열노화성이 우수하나, 내동적 피로성이 나쁘므로 EPDM는 타이어나 방진고무등에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었다.
그래서, 종래부터 EPDM에 공역디엔계 고무를 블렌드하여 이들 재료의 장점을 살리기 위해 EPDM과 공역디엔계 고무의 블렌드의 연구가 많이 행히지고 있으나, 공가황성이 우수한 EPDM과 공역디엔계 고무의 블렌드물을 얻을 수 없어 실용화의 영역에는 달하지 못하고 있다.
상기 연구에 있어서 EPDM과 공역디엔계 고무의 블렌드에 관한 기존기술은, 고다야스히로(小田康博), 아오지마 쇼지(靑鳥正志)의 양자에 의해서 「닛뽕고무협회지, 51,685(1978)」에 열거되어 있고, 이 블렌드의 방법으로서, ① 폴리설피드가황, ② 퍼옥시드가황, ③ 예비가황 EPDM의 응용, ④ 고옥소가 EPDM의 응용, ⑤ 할로겐화 EPDM의 응용, ⑥ 장쇄알킬기를 갖는 촉진제의 이용등이 소개되고 있다.
또 상기 기재에 의하면, 70℃의 키실렌중에서 측정한 고유점도가 3.0dl/g 이상, 프로필렌 함량이 35% 이하이고, 또한 고옥소가의 EPDM이 양호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기재는, EPDM의 공역디엔계 고무와의 공가황성이 향상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실제의 제품, 특히 동적인 강도가 요구되는 경우의 품질상 필요한 품질항목의 기재가 없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는 내동적 피로성이 우수한 EPDM과 공역디엔계 고무의 블렌드물은 전혀 얻을 수 없었다.
EPDM를 공역디엔계 고무와 블렌드하는 목적은, 공역디엔계 고무가 갖는 우수한 내마모성이나 내동적 피로성, 내균열성장성을 실용상 저하시키지 않고, 우수한 내열노화성 및 내후성을 부여하는데 있다. 따라서, 공역디엔계 고무의 블렌드하는 상대인 EPDM에도 내동적 피로성을 부여시킬 필요가 있다.
내동적 피로성이 가장 필요한 예로서, 방진고무 재료용 A11-EPDM의 고무늬-EPDM를 사용함으로써, 그 특성을 얻게 됨이 「라바케미스트리 테크롤로지, 44권, 1971년 10월, 1043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고분자량 EPDM를 사용하는 것은 동업자가 누구라도 생각하는 것이며, 가장 연구개발이 필요한 포인트는 가공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EPDM의 가공성과 고분자량화는 상반되는 인자이고, 이 양자를 양립시키는 수단은 종래,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 이제까지의 기술은 파라핀계, 나프텐계등의 신전유를 EPDM에 유전하여 고무늬 EPDM의 가공성을 양호하게 하는 기술이었으나, 단순히 신전유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공역디엔계 고무의 우수한 내마모성, 내동적 피로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우수한 공가황성을 나타내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EPDM)를 함유하는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부터 공역디엔계 고무와의 공가황성이 우수한 동시에, NR, IR, SBR, BR등의 공역디엔계 고무가 갖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 내마모성, 내동적 피로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우수한 내후성, 내오존성 및 내열노화성을 부여할 수 있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 이와같은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를 함유하는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이 엘라스토머 조성물로 된 가황고무의 출현이 요망되고 있다.
또, 특개소 53-22551호 공보에는, 피로 파괴수명을 개량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제 방진 조성물로서, 키실렌 용액에서 70℃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1.0 이하의 에틸렌-프로필렌-에틸리덴 노르보르넨 3원 공중합체 10∼50중량%, 똑같이 측정한 극한점도 [η]가 3.0 이상의 에틸렌-프로필렌-에틸리덴 노르보르넨 3원 공중합체 90∼50중량%, 및 고무 100중량부에 대해서 20∼80중량부의 신전유를 혼합하여 된 유전고무에, 고무성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5∼90중량부의 카본블랙 및 0.1∼2중량부의 황, 또 필요에 따라서 프로세스유를 첨가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황가능한 방진고무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수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공역디엔계 고무와의 공가황성이 우수한 동시에 NR, IR, SBR, BR등의 공역디엔계 고무가 갖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 내마모성, 내동적 피로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우수한 내후성, 내오존성 및 내열노화성을 부여할 수 있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 이와같은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를 함유하는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이 엘라스토머 조성물로 된 가황고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는, 에틸렌 함량이 73∼85몰%이고, 135℃ 데칼린 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2.5∼5.0dl/g이고, 또한 옥소가가 15∼35인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A) : 90∼40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73∼85몰%이고, 135℃ 데칼린 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15∼0.8dl/g이고, 또한 옥소가가 15∼35인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고무(B) : 10∼60중량%로 되고, 무늬점도 ML1+4(100℃)가 50∼120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에틸렌 함량이 73∼85몰%이고, 135℃ 데칼린 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2.5∼5.0dl/g이고, 또한 옥소가가 15∼35인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A) : 90∼40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73∼85몰%이고, 135℃ 데칼린 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15∼0.8dl/g이고, 또한 옥소가가 15∼35인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B) : 10∼60중량%로 되고, 무늬점도 ML1+4(100℃)가 50∼120의 범위내인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I]과, 공역디엔계 고무[II]과, 무기충전제[III]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가황고무는, 상기의 본 발명에 의한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공가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가황고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는 특정의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A)와, 특정의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B)로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이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I]와 공역디엔계 고무[II]와 무기충전제[III]로 구성되어 있다.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I]]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A)는, 에틸렌과 프로필렌과 비공역디엔으로 된 것이다.
상기의 비공역디엔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1,4-헥사디엔등의 쇄상 비공역디엔, 에틸리덴 노르보르넨(ENB), 노르보르나디엔, 메틸렌 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2-메틸노르보르나디엔, 5-비닐-2-노르보르넨등의 환상비공역디엔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ENB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공역디엔계 고무, 예를들면 NR나 SBR과 같은 고무와의 공가황성을 얻기 위해서는, 첫째 이들 공역디엔계 고무와 가황속도, 가황도를 맞추는 것이 필요하고, 이 의미에서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고무의 비공역디엔으로서 ENB가 가장 우수하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A)는 비공역디엔 함량의 1지표인 옥소가가 15∼35, 바람직하기로는 18∼25이다.
EPDM의 비공역디엔량을 높게 하면, 외견상, 즉, 공역디엔계 고무와 EPDM의 블렌드비를 횡축으로 취하여 인장강도를 조사한 경우에, 직선관계에 접근하는 경향으로 되나 동적 피로시험의 하나인 내균열 성장성이 극단적으로 나빠지므로, 이와같은 EPDM는, 동변형이 크며 기계적 강도가 필요한 방진고무, 공기타이어의 트레드, 타이어 사이드웰등에 사용되는 블렌드용 EPDM로서는 실용화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A)는, 135℃ 데칼린 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2.5∼5.0dl/g, 바람직하기로는 3.0∼4.3dl/g이고, 또 에틸렌 함량이 73∼85몰%, 바람직하기로는 75∼82몰%이다.
EPDM과 공역디엔계 고무와의 혼련은 통상 150° 이하에서 행하나, 양자의 SP값(용해도 지수)가 다르므로 이 조건으로는 분자레벨로 혼합되지 않고, 미크로 불균일분산됨이 「제10회 공연회보고」중의 「에틸렌-프로필렌고무의 연구」(1966)에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미크로 불균일 분산상태에 있어서도 실용상 충분한 기계적강도를 나타내고, 또한 디엔계 고무에 대한 공가황성이 극히 우수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미가황상태에 있어서도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를 얻기 위해,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결과, 극한점도[η] 및 에틸렌 함량이 상기와 같은 범위내인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를 특정량 사용하면 좋음을 발견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B)는, 에틸렌과 프로필렌과 비공역디엔으로 된 것이다. 이 비공역디엔은, 상기의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A)에 있어서의 비공역디엔과 같고, 특히 ENB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B)의 옥소가도,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A)의 옥소가와 마찬가지로, 15∼35, 바람직하기로는 18∼25이다.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A)와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공중합체고무(B)와의 비공역디엔 함량의 차, 즉 옥소가의 차가 클수록 커서 가황속도가 불균일하게 되어, 강도물성 및 압축 영구변형(CS)등의 세트에 악영향이 미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B)의 옥소가는, 가급적으로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A)의 옥소가와 동일하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B)는 135℃ 데칼린 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15∼0.8dl/g, 바람직하기로는 0.2∼0.4dl/g이고, 또한 에틸렌 함량이 73∼85%, 바람직하기로는 75∼82몰%이다.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는 극한점도[η]가 0.15dl/g 이하이면, 파라핀계 또는 나프텐계의 연화제의 성상과 같아지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 및 피로수명의 향상 효과는 바랄 수 없다.
[배합비율]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A)는,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A) 및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B)의 합계량 100중량%에 대해서 90∼4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85∼60중량%의 양으로 사용되고,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B)는, 상기 (A) 및 (B)의 합계량 100중량%에 대해서 10∼6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5∼40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A)와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B)로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는, 무늬점도 ML1+4(100℃)가 50∼120, 바람직하기로는 70∼100이다.
무늬점도 ML1+4(100℃)가 상기와 같은 범위내인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는, 반바리믹서에 의한 혼련성이 양호하다. 합성고무는, 카본등의 부자제가 충분히 폴리머내로 분산되어야 비로서 고무로서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되며,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의 무늬점도가 높은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고무점도가 상기와 가은 범위내인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를 사용하면, 우수한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얻게 된다.
본 발명에서, 엘라스토머 조성물중에, 연화제가 다량으로 함유된 경우에는, 피로시험결과에 악영향을 미침을 알게 되었다. 연화제 부분은, 응력이 단속적으로 가해지면, 정진장의 경우에는 완화 작용을 미치므로 효과적이나, 정하중시험의 경우에는, 즉, 실제의 동적용도의 제품에 사용되는 경우와 가까운 시험의 경우에는, 크랙발생이 많이 생긴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는, 비유전 고무로 하고, 또 후첨가용의 연화제는, 고무성분, 즉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I] 및 공역디엔계 고무[II]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30중량부 미만의 양으로 사용한다.
또 상기에서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I]를 구성하는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B)가 그 고유동성의 영향에 의해서 공역디엔계 고무와의 블렌드 효과를 물리적으로 높이고, 또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와 공역디엔계 고무의 분산사이를 선과 선으로 잇는 형태를 취함으로써, 피로완화 효과를 갖고, 내동적피로성, 내마모성을 각별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이 예상된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동적점탄성시험(변형율 10%, 온도 190℃, 시험대 : 파라렐플레이트, 주파수 : 1.58×10-2rad/S-5×102rad/S)에 있어서 횡축으로 주파수를 취하고, 종축으로 복소탄성율 G*를 취하고, G*=1E6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ω2로 하고, 또 G*=1E5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ω1로 하여 ωr21로 정의하고, 이 ωr의 지표로서 EPDM의 가공성이나 물성의 상태를 표현했다.
이 지표 ωr는 EPDM의 측쇄나 얽힘, 조성분포, 분자량 분포에 영향하므로, 이 지표를 사용함으로써, 가공성이나 물성상태를 잘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중에서도, ωr이 50∼150의 범위내인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가, 특히 공역디엔계 고무와의 혼련성 및 공가황성이 우수하다. ωr가 상기와 같은 범위내인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는, 공역디엔계 고무와의 혼련성 및 공가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균열성장성 및 내열노화성이 우수하므로 동적인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라스토머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I]는, 고무성분, 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I] 및 공역디엔계 고무[II]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25∼95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30∼8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I]를 상기와 같은 범위내의 양으로 사용함으로써, 공역디엔계 고무[II]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보지하는 동시에, 우수한 내후성 및 내열노화성을 갖는 엘라스토머 조성물이 얻어진다.
[공역디엔계 고무[II]]
본 발명에 의한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구성하는 공역디엔계 고무[II]로서는, 공역디엔계 고무중에서 가장 기계적 강도의 밸런스가 취해져 있는 이소플렌계 고무, 즉 천연고무(NR), 이소플렌고무(IR)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가 사용되고, 고무성분, 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I] 및 공역디엔계 고무[II]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10∼75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20∼7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소플렌계 고무를 상기와 같은 범위내의 양으로 사용함으로써, 기계적강도가 우수하고 실용에 견디는 엘라스토머 조성물이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서는, 이소플렌계 고무와 함께, 부타디엔고무(BR),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NBR), 클로로플렌고무(CR)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소프렌계 고무의 사용량을 고무성분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10중량부 이상 75중량부 미만의 양으로 하고, 또한 이소플렌계 고무 및 이소플렌계 고무이외의 공역디엔계 고무의 합계 사용량을 75중량부 이하로 한다.
[무기 충전제[III]]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기충전체[III]로서는 구체적으로는, SRF, GPF, FEF, HAF, ISAF, SAF, FT, MT등의 카본블랙, 미분규산, 경질탄산칼슘 중질탄산칼슘, 탈크, 클레이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기충전체[III]는 고무성분, 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I] 및 공역디엔계 고무[II]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20∼150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30∼100중량부, 더 바람직하기로는 40∼8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한다. 무기충전체[III]를 상기와 같은 범위내에서 사용함으로써, 내마모성 및 내동적 피로성이 우수한 엘라스토머 조성물이 얻어진다.
[가황고무의 제조]
본 발명에 의한 엘라스토머 조성물에서 가황고무를 얻으려면, 통상 일반 고무를 가황할때와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방법으로 미가황의 배합고무(엘라스토머 조성물)를 제조하여 이어서 이 배합고무를 의도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후에 가황을 행하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가황고무를 제조할때에, 의도하는 가황고무의 용도, 그 성능에 따라서 상기 성분[I], [II] 및 [III]외에 , 연화제의 종류 및 배합량, 또는 가황제, 가황촉진제, 가황조제등의 가황계를 구성하는 화합물의 종류 및 배합량, 그리고 가황고무를 제조하는 공정이 적의 선택된다.
상기 연화제로서는, 통상, 고무에 사용되는 연화제가 사용되나,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스 오일, 윤활유, 파라핀, 유동파라핀, 석유 아스팔트, 와세린등의 석유계 연화제; 콜탈, 콜탈피치등의 콜탈계 연화제; 피마자유, 아마인유, 유체 기름, 야자유등의 지방유계 연화제; 톨류; 서브; 밀납, 가루나우바납, 라놀린등의 납류, 리시놀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바륨, 스테아린산칼슘, 라우린산아연등의 지방산 및 지방산염; 석유수지, 아택틱폴리프로필렌, 쿠말린인덴수지등의 합성 고분자물질등이 사용된다. 그중에서도 석유계 연화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특히 프로세스 오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황고무를 제조할때에, 가황제로서, 다음과 같은 황계 화합물 또는 유기과산화물이 사용된다. 황계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황, 염화황, 2염화황, 모르폴린디설파이드, 알킬페놀디설파이드, 테트라메틸치우람디설파이드, 디메틸디티오카바민산 세렌등이 사용되고, 그중에서도 황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황계 화합물은,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I] 및 공역디엔계 고무[II]의 합계중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0.1∼10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0.5∼5중량부의 비율로 사용한다.
또, 유기과산화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디쿠밀퍼옥시드, 2,5-디메틸-2,5-디(제3부틸퍼옥시)헥산, 2,5-대메틸-2,5-디(벤조일퍼옥시)헥산, 2,5-디메틸-2,5-디(제3부틸퍼옥시)헥신-3, 디 제3부틸퍼옥시드, 디 제3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제3부틸하이드로퍼옥시드등이 사용되고, 특히, 디쿠밀퍼옥시드, 디 제3부틸퍼옥시드, 디 제3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황고무를 제조할때에, 가황제로서 황계 화합물을 사용할때에는 가황촉진제의 병용이 바람직하다. 가황촉진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N-시클로헥실-2-벤조티아졸-설펜아미드, N-옥시디에틸렌-2-벤조티아졸-설펜아미드, N,N-디이소프로필-2-벤조티아졸-설펜아미드, 2-머캅토벤조티아졸, 2-(2,4-디니트로페닐)머캅토벤조티아졸, 2-(2,6-디에틸-4-모르폴리노티오)벤조티아졸, 디벤조티아딜-디설파이드등의 티아졸계 화합물; 디페닐구아니딘, 트리페닐구아니딘, 디올소트리구아니딘, 올소트릴·바이구아나이드, 디페닐구아니딘·프탈레이트등의 구아니딘계 화합물; 아세토알데하디드-아닐린 반응물, 부틸알데하이드-아닐린 축합물, 헥사메틸렌테트라민, 아세토알데하이드-암모니아 반응물등의 알데하이드-아민 또는 알데하이드-암모니아계 화합물 ; 2-머캅토이미다졸린등의 이미다졸린계 화합물; 티오카바니리드, 디에틸티오우레아, 디부틸티오우레아, 트리메틸티오우레아, 디올소트리티오우레아등의 티오우레아계 화합물; 테트라메틸치우람 모노설파이드, 테트라메틸치우람디설파이드, 테트라에틸치우람디설파이드, 테트라부틸 치우람디설파이드, 펜타메틸렌치우람텐트라설파이드등의 치우람계 화합물; 디메틸디티오카바민산아연, 디에틸디티오카바민산아연, 디-n-부틸디티오카바민산아연, 에틸페닐디티오바카민산아연, 부틸페닐디티오카바민산아연, 디메틸디티오카바민산나트륨디메틸디티오바카민산세린, 디에틸디티오카바민산테르륨등의 디티오산염계 화합물; 디부틸키산토겐산아연등의 산테이트계 화합물; 기타, 안연화등의 화합물이 사용된다.
상기 가황촉진제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I] 및 공역디엔계 고무[II]의 합계중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0.1∼20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0.2∼10중량부의 비율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황고무를 제조할때에, 가황제로서 유기과산화물을 사용할때에는, 가황조제의 병용이 바람직하다. 가황조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황, p-퀴논디옥심등의 퀴논디옥심계 화합물,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등의 메타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디아릴프탈레이트, 트리아릴시아누레이트등의 아릴계 화합물, 기타 말레이미드계 화합물, 디비닐벤젠등의 화합물이 사용된다.
미가황의 배합고무는, 다음 방법에 의해서 제조한다. 즉 반바리믹서를 사용하여, 상기 성분[I],[II] 및 [III], 연화제를 80∼170℃의 온도에서 3∼10분간 혼련하고, 이어서 오픈롤등의 롤류를 사용하여, 가황제, 필요에 따라서 가황촉진제 또는 가황조제를 추가혼합시키고, 롤온도 40∼80℃에서 5∼30분간 혼련시킨 후에, 혼련물을 압출하여, 리본상 또 쉬트상의 배합고무를 제조한다.
이와같이 제조한 배합고무는, 압출성형기, 카렌더롤, 또는 프레스에 의해서 의도하는 형상으로 성형하고, 성형과 동시에 또는 성형물을 가황조내로 도입하여, 150∼270℃의 온도에서 1∼30분간 가열하여, 가황고무로 한다. 이와같이 가황을 행할때에, 금형을 사용해도 되고, 또 금형을 사용하지 아니해도 된다. 금형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성형, 가황의 공정은 통상, 연속적으로 실시한다.
기황조에 있어서의 가열방법으로서는, 열공기, 유리비즈유동상, UHF(극초단파 전자파) 스팀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는 특정의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A)와 특정의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B)를 특정의 비율로 함유하고 또한 무늬점도 ML1+4(100℃)가 50∼120의 범위내이므로 공역디엔계고무와의 공가황성이 우수한 동시에, 천연고무(NR),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이소프렌고무(IR), 부타디엔고무(BR)등의 공역디엔계고무가 갖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 내마모성, 내동적피로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우수한 내후성, 내오존성 및 내열노화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중에서도, ωr가 50∼150범위내인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가 특히 공역디엔계고무와의 혼련성 및 공가황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균열성장성 및 내열노화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동적인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I]와, 공역디엔계 고무[II]와, 무기충전체[III]로 되어 있어, 공가황성이 우수한 동시에, 기계적 특성, 내마모성, 내동적피로성, 내후성, 내오존성 및 내열노화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고, 또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는 가황고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라스토머 조성물에서 얻어지는 가황고무는,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고 있으므로, 타이어, 자동차부품, 일반공업용부품, 토목전재용품등의 용도에 널리 사용된다. 특히, 내동적피로성이 요구되는 용도, 예를들면 타이어트레드, 타이어사이드월, 방진고무, 고무롤, 벨트, 와이퍼블레이드, 각종 패킹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서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가황쉬트의 평가시험 방법은, 이하와 같다.
(1) 공가황도
공가황도는 천연고무(NR)와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EPDM)의 각각 단독에서 얻어진 인장강도에 대한 블렌드비로 상기 평균한 인장강도에 대한 실제의 블렌드재료의 비로서 나타냈다.
(2) 인장시험
가황고무 쉬트를 타발하여 JIS K 6301에 기재된 3호형 덤벨시험편을 얻고, 이 시험편을 사용하여 동 JIS K 6301 3항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측정온도 25℃ 및 80℃, 인장속도 500mm/분의 조건으로 인장시험을 행하여, 인장파단 점응력 TB및 인장파단점 신도 EB를 측정했다.
(3) 굴곡에 의한 균열성장성(굴곡시험)
굴곡에 의한 균열성장성은, ASTM D 813에 준해서 디매처식 시험기(회전수 300rpm)를 사용하여, 측정샘플 3개에 대해서 각각 측정온도 40℃에서 굴곡회수 30,000회시에 있어서의 균열길이를 측정하고, 그 균열길이의 평균치로서 평가했다.
(4) 내구시험(몬산토 피로시험)
가황고무쉬트를 타발하여 JIS K 6301에 기재되어 있는 3호형 덤벨시험편을 얻고, 이 시험편 20개에 대해서 각각 신장율을 150%로 하고, 측정온도 40℃, 회전속도 300rpm의 조건으로 신장피로시키고, 그 덤벨 절단시의 회수의 평균치로서 내구성의 지표로 했다.
(5) 발열시험
ASTM D 623에 준해서 굳리취(Godd rich)의 플렉소미터(Flexometer)를 사용하여 하중 15lb, 스트로크 6.9mm의 조건으로 발열시험을 행하여 상승온도(변화온도) T2-T1=△T를 측정했다.
또 측정에 사용한 시험편의 수는 2개이고 실험개시 온도는 37℃였다.
(6) 마모시험
애크론마모시험(British Standard 903 Part A 9(1957))에 준해서, 하중 45N, 각도 15°의 조건으로 내마모시험을 행하여, 연마원반 1,000의 당의 마모손실 용량[ml]을 측정했다.
(7) 내오존 시험
JIS K 6301에 준해서 오존농도 50ppm, 측정온도 40℃, 신장율(정적 신장) 20%의 조건으로 크랙 발생시간을 측정하여, 크랙 발생시간을 내오존성 내지 내후성의 지표로 했다.
[실시예 1]
에틸렌 함량 78몰%, 135℃ 데칼린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 3.5dl/g, 옥소가 20.5의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공중합체 고무 70중량% 및 에틸렌 함량 78몰%, 135℃ 데칼린 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 0.24dl/g, 옥소가 20.5의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공중합체 고무 30중량%로 된 무늬점도 ML1+4(100℃) 90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 80중량부와, 천연고무(NR)[RSS 1호] 20중량부와, 스테아린산 1중량부와, 아연화 5중량부와 HAF 카본[아사히카본(주)제] 60중량부와, 파라핀계 오일[슉꼬고온상(주)제, 다이나프로세스오일PW 380]5중량부를 용량 4.3ℓ 반바리 믹서[(주)고오베 세이꼬쇼제]로 혼련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혼련물에, 황 3중량부 및 가황촉진제[오오우찌신꼬가가꾸 고오교오(주)제, 노크세라-CZ]3중량부를 첨가하여 롤에서 혼련한 후에, 쉬트상으로 분출하여 150℃에서 30분간 프레스하여, 두께 2mm의 가황쉬트를 얻고, 이 가황쉬트의 공가황도를 구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 1∼4]
실시예 1에서, 실시예 1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 대신에, 표 1에 기재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행하여, 가황쉬트를 얻고, 각각의 가황쉬트르의 공가황도를 구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 5]
실시예 1에서, 실시예 1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 대신에, 에틸렌 함량 79몰%, 135℃ 데칼린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 3.5dl/g, 옥소가 20.5, 무늬점도 M1+4(100℃)170의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공중합체 고무만으로 된 에틸렌-프로필렌-다엔계고무를 사용하고, 파라핀계 오일의 배합량을 50중량부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행하여, 가황쉬트를 얻어, 이 가황쉬트의 공가황도를 구했다.
결과를 표1에 나타냈다.
[비교예 6]
실시예 1에서, 실시예 1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 대신에, 에틸렌 함량 78몰%, 135℃ 데칼린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 2.6dl/g, 옥소가 20.5, 무늬점도 M1+4(100℃)90의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공중합체 고무만으로 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를 사용하고, 파라핀계 오일의 배합량을 50중량부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행하여, 가황쉬트를 얻어, 이 가황쉬트의 공가황도를 구했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표 1]
(주) 고분자량 E-P-ENB :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공중합체 고무
저분자량 E-P-ENB :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공중합체 고무
* 1MS1+4(121℃)의 측정에서 ML1+4(100℃)의 값을 구한다.
표 1 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 고분자량 E-P-ENB와 저분자량 E-P-ENB로 되고, 90부근의 무늬점도 ML1+4(100℃)를 갖고, 또 비공역디엔 함량이 높은 경우에 공역디엔계고무와의 공가황성이 우수하다. 또, 비교예 5의 저분자량 EPDM를 함유하지 않은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는, 실시예 1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와 비교해서, 공역디엔계고무와의 공가황성이 나쁘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와 천연고무의 배합량을 각각 50중량부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행하여 두께 2mm의 가황쉬트를 얻어, 인장시험, 굴곡시험, 내구시험, 발열시험 및 마모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실시예 1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 대신에, 에틸렌 함량 78몰%, 135℃ 데칼린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 3.5dl/g, 옥소가 30.6의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공중합체 고무 70중량% 및 에틸렌 함량 78몰%, 135℃ 데칼린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 0.24dl/g, 옥소가 30.6의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공중합체 고무 30중량%로 되고, 무늬점도 ML1+4(100℃)90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를 사용하여, 이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와 천연고무의 배합량을 각각 50중량부, 50중량부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행하여 두께 2mm의 가황쉬트를 얻어서, 인장시험, 굴곡시험, 내구시험, 발열시험 및 마모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비교예 7]
실시예 1에서, 실시예 1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 대신에, 에틸렌 함량 78몰%, 135℃ 데칼린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 3.5dl/g, 옥소가 37.5의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공중합체 고무 70중량% 및 에틸렌 함량 78몰%, 135℃ 데칼린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 0.24dl/g, 옥소가 37.5의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공중합체 고무 30중량%로 되고, 무늬점도 ML1+4(100℃) 90의 메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를 사용하여,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와 천연고무의 배합량을 각각 50중량부, 50중량부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행하여 두께 2mm 가황쉬트를 얻어서 인장시험, 굴곡시험, 내구시험, 발열시험 및 마모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비교예 8]
실시예 1에서, 실시예 1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 대신에,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아사히가세이고오교오(주)제, 상품명 타프멘 1530]를 사용하여, 이 스티렌-부타디엔고무와 천연고무의 배합량을 각각 30중량부, 70중량부로 하고, 또 HAF 카본60중량부 대신에, FEF-HS 카본[아사히 카본(주)제, 60HG] 30중량부를 사용하고, 파라핀계 오일, 황 및 가황촉진제 노크세라 CZ의 배합량을 각각 10중량부, 0.5중량부, 2.0중량부로 하고, 또 가황촉진제로 하고 노크세라 TT[오우찌신꼬가가꾸 고오교오(주)제] 2.5중량부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행하여 두께 2mm의 가황쉬트를 얻어서, 인장시험, 굴곡시험, 내구시험, 발열시험 및 마모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표 2]
(주) EPDM :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고분자량 E-P-ENB+저분자량 E-P-ENB)
고분자량 및 저분자량 E-P-ENB : 고분자량 및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공중합체 고무
EPDM의 ωr: 80
표 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고분자량 및 저분자량 E-P-ENB 옥소가가 35를 초과하면 급격하게 내균열성장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옥소가가 35를 초과하는 EPDM는, 방진고무나 공기 타이어트레드, 사이드월용 재료에는 수용할 수 없다.
또, 실시예 2 및 3의 EPDM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공가황성 및 내동적 피로성을 갖는 가황고무가 얻어진다.
[실시예 4]
실시에 1에서 HAF 카본대신에 FEF-HS 카본[아사히 카본(주)제 60HG]을 사용하여,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와 천연고무의 배합량을 각각 30중량부, 70중량부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행하여 두께 2mm의 가황쉬트를 얻어서, 인장시험 및 내구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비교예 9]
실시예 1에서, 실시예 1의 ㄹ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 대신에, 에틸렌 함량 79몰%, 135℃ 데칼린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 3.5dl/g, 옥소가 21의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공중합체 고무 48중량% 및 에틸렌 함량 79몰%, 135℃ 데칼린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 0.24dl/g, 옥소가 21의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공중합체 고무 52중량%와 HAF 카본대신에, FEF-HS 카본[아사히 카본(주)제, 60HG]을 사용하여,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와 천연고무의 배합량을 각각 30중량부, 70중량부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행하여 두께 2mm 쉬트를 얻어서, 인장시험 및 내구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비교예 10]
실시예 1에서, 실시예 1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 대신에, 에틸렌 함량 79몰%, 135℃ 데칼린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 4.5dl/g, 옥소가 21의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공중합체 고무 80중량% 및 에틸렌 함량 79%, 135℃ 데칼린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 0.18dl/g, 옥소가 21의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공중합체 고무 20중량%로 되고, 무늬점도 ML1+4(100℃) 150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를 사용하고, 또 HAF 카본대신에 FEF-HS 카본[아사히 카본(주)제, 60HG]를 사용하여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와 천연고무의 배합량을 각각 30중량부, 70중량부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행하여 두께 2mm의 가황쉬트를 얻어서 인장시험 및 내구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실시예 1에서, 실시예 1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 대신에, 오일이 100phr 배합된 폴리사(Polysar)사제의 EPDM 5875를 사용하고, 또 HAF 카본대신에 FEF-HS 카본[아사히 카본(주), 60HG]을 사용하여 EPDM과 천연고무의 배합량을 각각 30중량부, 70중량부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행하여 두께 2mm의 가황쉬트를 얻어서 인장시험 및 내구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표 3]
(주) 고분자량 E-P-ENB :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2-노르보르넨 공중합체 고무
저분자량 E-P-ENB :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2-노르보르넨 공중합체 고무
EPDM :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고분자량 E-P-ENB+저분자량 E-EP-ENB)
표 3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EPDM의 무늬점도 ML1+4(100℃)가 120을 초과하면 혼련성이 악화되어, 카본등의 분산이 나빠지기 때문에 내구성이 나쁘다.
또, 비교예 11의 오일이 100phr 배합된 폴리사(Polysar)사제의 EPDM 5875는 공역디엔계고무와의 공가황성이 양호하지 않고, 또, 동적인 힘에 대한 완화효과를 갖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내피로성이 나쁘다.
[비교예 12∼14]
실시예 1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EPDM)와 천연고무(NR)[RSS 1호]의 배합량을 표 4에 나타낸 배합량으로 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행하여, 두께 2mm의 가황쉬트를 얻어서, 이 기황쉬트의 내오존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실시예 5∼7]
실시예 1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EPDM)와 천연고무(NR)[RSS 1호]의 배합량을 표 4에 나타낸 배합량으로 하고; 실시예 1과 같이 행하여, 두께 2mm의 가황쉬티를 얻어서, 이 가황쉬트의 내오존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표 4]
(주) EPDM : 실시예 1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
NR : 천연고무 RSS 1호
표 4에서,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EPDM)가 20중량부에서 30중량부 사이에서 급격하게 내오존성이 향상되고 또한, 이 경향은 EPDM의 품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디엔계고무와의 블렌드물로서의 엘라스토머 조성물에 내후성, 내오존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EPDM이 고무성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25중량부 이상 필요함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에틸렌 함량이 73∼85몰%이고, 135℃ 데칼린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2.5∼5.0dl/g이고, 또한 옥소가가 15∼35인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
    (A) : 90∼40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73∼85몰%이고, 135℃ 데칼린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15∼0.8dl/g이고, 또한 옥소가가 15∼35인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
    (B) : 10∼60중량%로 되고, 무늬점도 ML1+4(100℃)가, 50∼120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
  2. 제1항에 있어서, 동작점탄성시험에 의하여 구한, 가공성과 물성의 지표인 ωr21)이 50∼150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
  3. 에틸렌 함량이 73∼85몰%이고, 135℃ 데칼린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2.5∼5.0dl/g이고, 또 옥소가가 15∼35인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
    (A) : 90∼40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73∼85몰%이고, 135℃ 데칼린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15∼0.8dl/g이고, 또한 옥소가가 15∼35인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
    (B) : 10∼60중량%로 되고, 무늬점도 ML1+4(100℃)가, 50∼120의 범위내인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I]와, 공역디엔계고무[II]와, 무기충전체[III]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라스토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I]의 함유량이 25∼90중량부이고, 상기 공역디엔계고무[II]의 함유량이 75∼10중량부(단, [I] 및 [II]의 합계량은 100중량부임)이고, 또한 상기 무기충전제의 함유량이,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I] 및 공역디엔계고무[II]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20∼15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라스토머 조성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역디엔계고무[II]가 이소플렌계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라스토머 조성물.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I] 및 공역디엔계고무[II]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30중량부 미만의 연화제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라스토머 조성물.
  7. 제3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의 동적점탄성시험에 의하여 구한, 가공성과 물성의 지표인 ωr21)가, 50∼150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라스토머 조성물.
  8. 에틸렌 함량이 73∼85몰%이고, 135℃ 데칼린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2.5∼5.0dl/g이고, 또한 옥소가가 15∼35인 고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
    (A) : 90∼40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73∼85몰%이고, 135℃ 데칼린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15∼0.8dl/g이고, 또한 옥소가가 15∼35인 저분자량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고무
    (B) : 10∼60중량%로 되고, 무늬점도 ML1+4(100℃)가 50∼120의 범위내인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고무[I]와, 공역디엔계고무[II]와, 무기충전체[III]을 함유한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공가황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황고무.
KR1019910700558A 1988-07-15 1990-10-05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 가황고무 KR950003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816833.1 1988-07-15
GB888816833A GB8816833D0 (en) 1988-07-15 1988-07-15 Three-dimensional lever mechanism(transducer)
PCT/GB1989/000821 WO1990000734A1 (en) 1988-07-15 1989-07-17 Mechanical transducer
JP1-260665 1989-10-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2346A KR900702346A (ko) 1990-12-06
KR950003773B1 true KR950003773B1 (ko) 1995-04-18

Family

ID=10640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0558A KR950003773B1 (ko) 1988-07-15 1990-10-05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 가황고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134889A (ko)
EP (1) EP0351254B1 (ko)
JP (1) JPH03506092A (ko)
KR (1) KR950003773B1 (ko)
CN (1) CN1039481A (ko)
AT (1) ATE107022T1 (ko)
AU (1) AU3972889A (ko)
BR (1) BR8907547A (ko)
CA (1) CA1325345C (ko)
DE (1) DE68915875T2 (ko)
DK (1) DK6991D0 (ko)
ES (1) ES2057130T3 (ko)
GB (1) GB8816833D0 (ko)
WO (1) WO19900007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5607A1 (de) * 2001-11-13 2003-05-15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lektroerosives Abtragen
US8010174B2 (en) 2003-08-22 2011-08-30 Dexc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placing signal artifacts in a glucose sensor data stream
US8260393B2 (en) 2003-07-25 2012-09-04 Dexc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placing signal data artifacts in a glucose sensor data stream
US20140121989A1 (en) 2003-08-22 2014-05-01 Dexc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alyte sensor data
US7223511B2 (en) * 2003-09-02 2007-05-29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carrying member and developing method by using thereof
DE10349285A1 (de) * 2003-10-23 2005-05-25 Hella Kgaa Hueck & Co. Messvorrichtung zum Erfassen von Linearbewegungen
EP2316331B1 (en) 2003-12-09 2016-06-29 Dexcom, Inc. Signal processing for continuous analyte sensor
ITTO20040150A1 (it) * 2004-03-10 2004-06-10 Torino Politecnico Attuatore deformabile a fluido a doppio effetto a tre camere
DE102005003556B4 (de) * 2005-01-26 2009-07-30 Bruno Gruber Schaltvorrichtung
DE102005033468A1 (de) * 2005-07-18 2007-01-25 Klaus Hofmann Spannvorrichtung
DE102013007535B3 (de) * 2013-05-03 2014-06-26 Uniflex-Hydraulik Gmbh Kraft-Messvorrichtung
DE102014017548A1 (de) * 2014-11-28 2016-06-02 Samson Ag Druckanzeige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89761A (fr) * 1949-04-28 1951-09-13 Cellule barométrique à grande sensibilité
US3479081A (en) * 1968-04-22 1969-11-18 Gen Motors Corp Body mount
US4091680A (en) * 1975-06-16 1978-05-30 Diax Force transducer having a linear transfer characteristic
US4123640A (en) * 1976-05-27 1978-10-31 General Motors Corporation Push button type switch having deformable housing sleeve for permanent attachment to conductive panel
JPS62196407A (ja) * 1986-02-24 1987-08-29 Hitachi Ltd アクチユエ−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6991A (da) 1991-01-15
CN1039481A (zh) 1990-02-07
EP0351254A1 (en) 1990-01-17
DE68915875T2 (de) 1994-11-24
AU3972889A (en) 1990-02-05
ES2057130T3 (es) 1994-10-16
GB8816833D0 (en) 1988-08-17
DE68915875D1 (de) 1994-07-14
DK6991D0 (da) 1991-01-15
US5134889A (en) 1992-08-04
ATE107022T1 (de) 1994-06-15
KR900702346A (ko) 1990-12-06
WO1990000734A1 (en) 1990-01-25
JPH03506092A (ja) 1991-12-26
BR8907547A (pt) 1991-06-11
CA1325345C (en) 1993-12-21
EP0351254B1 (en) 1994-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46382B1 (en) Ethylene-propylene-diene rubber, elastomer composition, and vulcanized rubber prepared therefrom
US5710218A (en) Ethylene-propylene-diene rubber, elastomer composition and vulcanized rubber thereof
KR0158498B1 (ko) 에틸렌-알파-올레핀-비공액 디엔 공중합체 고무 조성물
US5964969A (en) Tire with white sidewall
KR100855243B1 (ko) 고무 조성물의 제조 방법, 고무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2434116B1 (ko) 가황 가능한 고무 조성물
EP1186631B1 (en) Rubber composition of high and low molecular weight EPDM
KR950003773B1 (ko)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고무,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 가황고무
JP4286653B2 (ja) ゴム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JP7374648B2 (ja) ゴム組成物および成形体
EP0446380B1 (en) Ethylene-propylene-diene rubber, elastomer composition, and vulcanized rubber prepared therefrom
Barbin et al. The science of rubber compounding
US5504164A (en) Curing systems for compositions containing halogenated copolymers of isobutylene and para-methylstrene
US5216066A (en) Tread compounds containing modified EPDM which exhibit good abrasion resistance and improved hysteresis properties
US4675355A (en) Rubber composition
US4269250A (en) Rubb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adhesion to metal cord
JP4929666B2 (ja) ゴム組成物及び加硫ゴム
JP3551555B2 (ja) スタッドレスタイヤ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
JP2001261846A (ja) 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ゴム組成物
US6834697B2 (en) Tire having sidewall of rubber composition containing functional liquid polymer, polybutadiene, and brominated copolymer of isobutylene and para-methylstyrene
US5698639A (en) Ethylene-propylene-diene rubber, elastomer composition and vulcanized rubber thereof
JP2851939B2 (ja) エチレン‐プロピレン‐ジエン系ゴム、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加硫ゴム
JP2945772B2 (ja) 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加硫ゴム
JPH10195259A (ja)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非共役ジエン共重合体組成物
US20220372183A1 (en) Resin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