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678B1 - 국간 중계선의 아날로그 특성시험을 위한 중계선 시험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국간 중계선의 아날로그 특성시험을 위한 중계선 시험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678B1
KR950003678B1 KR1019910023160A KR910023160A KR950003678B1 KR 950003678 B1 KR950003678 B1 KR 950003678B1 KR 1019910023160 A KR1019910023160 A KR 1019910023160A KR 910023160 A KR910023160 A KR 910023160A KR 950003678 B1 KR950003678 B1 KR 950003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analog
receiving
line
mod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3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5546A (ko
Inventor
김영부
김영섭
김대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10023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678B1/ko
Publication of KR930015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5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6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국간 중계선의 아날로그 특성시험을 위한 중계선 시험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중계선 시험장치의 상세 블럭도.
제2도는 국간 중계선 시험장치의 망구성도.
제3도는 시험 진행 순서도(Sequential Char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시스팀 정합부 3 : 공통제어부
4 : 아날로그 정합부 5 : 디지탈 신호 프로세서부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 수용된 중계선의 전송품질을 검사하기 위한 아날로그 특성시험을 수행하는 중계선 시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 운용중에 있는 자동 중계선 시험 시스팀은 AT&T에서 개발한 CAROT(Centralized Automatic Reporting On Trunks) 시스팀으로서 Toll/Tandem 국사(office)에 있는 ROTL(Remote Office Test Line), 또는 RTTU(Remote Trunk Test Unit)와 대국에 있는 '105 test line'에 56A 타입(type)의 FER(Far End Responder)와 함께 피측정 중계선(TUT : Trunk under Test)을 통한 MF(multifrequency) 명령어 송수신 방식으로 출중계선에 대한 'code 105 test'를 수행하여 중계선 망의 유지보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code 105 시험방식은 제한된 전송 특성만을 시험하고 시험 명령어 및 시험결과의 전송이 피측정 중계선을 통하여 전달되므로 피측정 선로의 상태에 따라 시험 명령어 전달 및 결과 전송이 불확실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아날로그 특정시험을 수행하는 개량된 중계선 시험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전전자 교환기 Toll/Tanddem 교환기에 포함되어 자신에게 수용된 중계선에 대한 아날로그 특성시험을 교반기 운용자에 의한 로컬 터미널로 피측정 중계선이 아닌 별도의 제어루트를 통하여 대국 응답기(responder)를 제어하고 측정 결과를 동일한 제어 루트를 통하여 운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본 발명으로 인하여 시험할 수 있는 기능들은 레벨/주파수 측정, 잡음 측정, 인벨로프 지연 왜곡(envelope delay distortion)측정, 상호 변조 왜곡(intermodulation distortion)측정, 위상 및 진폭 지터(phase and amplitude jitter) 측정, 첨두치 대 평균치 비(peak to average ratio)측정, 과도 현상(transients)측정, 반향 손실(return loss) 측정 등이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중계선 시험장치(7)의 상세 블럭도로서 시스팀 정합부(2), 공통제어부(3), 디지틀 신호 프로세서(DSP part)부(5) 및 아날로그 정합부(4)로 구성되어 있다. 시스팀 정합부(2)는 교환기(1)와 2개의 중계선 실측정부와의 정합을 수행하며, 교환기의 유지보수 프로세서(ASMP)와의 통신을 위하여 TD(Telephony Device) 버스 통신을 한다. 자체 유지보수와 중계선 실측정부와의 정합을 위하여 3개의 Rs-232C 포트를 갖으며, RS-232C 포트 0와 포트 1는 각각의 실측정부의 공통제어부와 접속되고 포트 2는 시스팀 정합부의 자체 유지보수를 위한 로컬 모니터 포트로 사용된다. 유지보수 프로세서와 측정부 사이에 위치하는 시스팀 정합부(2)의 주 기능은 RS-232C 통신의 실측정부와 TD-버스 통신을 하는 유지보수 프로세서간에 인터페이스 컨버터 기능을 수행하며, 측정 데이터나 명령어의 데이터 포맷을 해당 포맷으로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통제어부(3)의 제어를 위해 공통제어부(3)와 디지틀 신호 프로세서부(DSP part)(5) 및 아날로그 정합부(4)는 상호간에 표준 VME 버스 통신과 PCM으로 링크된 내부 시험 버스로 상호 접속되어 시험번호를 송수신한다. 공통제어부(3)는 중계선 시험장치(7)의 모든 부분을 제어하며 시스팀 정합부(2)와는 RS-232C 통신을 하고 그외 유니트와는 표준 VME 버스 통신을 한다. 시험신호(test signal)을 실제 측정하는 디지틀 신호 프로세서(5)와 아날로그 정합부(4)간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내부 시험 버스에 실리는 각 시험신호(test signal)의 착신국을 제어한다. 또한 공통제어부(3)는 모든 외부와의 통신고 수신 메시지 분석 및 오류 검출등을 수행하고 내부 시험 버스인 PCM 링크의 주 주파수(2.048Mhz)와 8KHz의 FS를 발생하며 대국의 중계선 시험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내부 다이얼-업 모뎀포트(dial-up modem port)를 관장한다. 아날로그 정합부(4)는 피측정 중계선을 점유하고 아날로그 특성시험을 수행하여 교환기의 아날로그 회선(VF line)과 접속된다. 내부의 시험 버스를 통하여 디지틀 신호 프로세서로부터 받은 PCM 시험번호(test signal)을 아날로그 신호로 혹은 시험 버스로부터 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PCM 신호로 변경시켜 디지틀 신호 프로세서부(5)로 송신한다. 디지틀 신호 프로세서(5)는 공통제어부(3)의 제어 아래 아날로그 정합부(4)를 통하여 들어오는 모든 신호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며 또한 시험에 필요한 시험번호(test signal)를 PCM 시험신호(test signal)로 생성후 해당 정합부로 송신한다. 미설명부호 6은 공중전화망을 나타낸다.
제2도는 아날로그 특성시험을 위한 중계선 시험장치의 망 구성도로서 대국에 있는 중계선 시험장치와의 구성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대국에 동일한 중계선 시험장치가 설치되어 운용자에 의해 발신 시험장치(originate tester)(21)가 대국의 수신 시험장치(terminate tester)(24)의 일반 공중전화망(PSTN)(25)에 접속되어 있는 내부 다이얼-업 모뎀포트를 호출하고 그 모뎀포트를 통하여 시험 명령어 및 시험결과를 수신 시험장치(terminate tester)(24)와 송수신한다. 발신 시험장치(21)로부터 제어를 받아 수신 시험장치(24)는 발신 시험장치(21로부터 피측정 중계선을 통하여 제공되는 시험호(test call)를 시험포트(test port)로 수신하고 시험포트로 서로 접속된 발신 시험장치와 수신 시험장치간 서로 동기신호(synch. tone)를 송수신하여 동기를 맞춘 다음 발신 시험장치는 모뎀포트를 통하여 수신 시험장치로 시험 명령어를 송출하고 시험결과를 동일한 모뎀포트로 수신한다. 미설명 부호는 22는 발신측 교환기를, 23은 수신측 교환기를 각각 나타낸다.
제3도는 제2도와 같이 구성된 시험망에서 대국의 시험장치(terminate tester)와 연동하여 실제로 동작하는 피측정 중계선에 대한 레벨/주파수 측정을 위한 시험 진행 순서도이다. 운용자에 의한 시험요구가 입력되면 교환기 유지보수 프로세서는 발신측 중계선 시험장치(TTC)로 시험요구를 하여 발신측 시험장치는 공중전화망을 이용하여 피측정 중계선이 수용된 대국의 수신측 시험장치의 모뎀포트를 호출한다.
상호간에 모뎀 회선이 접속되면 발신측 시험장치는 수신측 시험장치로 '시험준비 요구'를 하게 되며 수신측 시험장치는 자신이 발신측 시험장치에 의해 '사용중'임을 교환기로 통보하고, '시험준비 요구'에 대한 응답을 모뎀 회선을 통하여 발신측으로 통보한다.
이때 발신측 시험장치는 시험포트로 교환기에 의해 점유된 피측정 중계선을 점유하여 수신측 시험장치의 시험포트를 호출한다. 수신측 시험장치는 피측정 중계선을 통하여 시험호를 수신하고 발신측으로 모뎀 회선을 통하여 그 결과를 송출한다. 발신측 시험장치는 모뎀 회선을 통하여 그 결과를 송출한다. 발신측 시험장치는 모뎀 회선을 통하여 시험호 수신 결과를 통보받은 후 수신측으로 '시험번호(test tone) 송출요구'를 하고 발신측 시험장치는 시험 포트에 접속된 피측정 중계선으로부터 전송되는 시험신호의 레벨과 주파수를 측정한다.
발신측 시험장치는 측정 결과를 운용자에게 전송하고 모뎀 회선을 통하여 '시험호 해제 요구'를 하고 해제 완료후 모뎀 회선도 해제 요구를 한다. 수신측 시험장치는 모뎀 회선 해제후 교환기로 '시험준비완료'를 통보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다양한 아날로그 전송 특성시험을 제공할 수 있고 시험 명령어 및 측정결과의 전송에 보다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상위 프로세서와 TD-버스로 연결되어 교환기와 중계선 실측정부와의 정합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팀 정합수단(2), 상기 정합수단(2)으로부터 수신 명령어에 따라 아날로그 특성시험을 실시하는 공통제어수단(3), 상기 공통제어수단(3)의 제어하에 피측정 중계선을 점유하고 아날로그 특성시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교환기의 아날로그 회선과 접속되며, 내부의 시험 버스를 통하여 수신된 PCM 시험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혹은 시험 버스로부터 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PCM 신호로 변경시켜 출력하는 아날로그 정합수단(4) 및 상기 공통제어수단(3)의 제어하에 상기 아날로그 정합수단(4)을 통해 들어오는 모든 신호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며 또한 시험에 필요한 시험신호를 PCM 시험신호로 생성후 출력하는 디지탈 신호 프로세서수단(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선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정합수단(4)과 상기 디지틀 신호 프로세서 수단(5)은 상호간에 VME버스와 내부 PCM 시험버스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선 시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제어수단(3)은 내부 다이얼업 모뎀포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선 시험장치.
  4. 발신측 교환기와 수신측 교환기에 각각 위치하고, 내부 다이얼업 모뎀포트와 시험포트를 각각 포함하고 있는 발신측 중계선 시험장치 및 수신측 중계선 시험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양 교환기 사이의 피측정 중계선의 시험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운용자에 의한 시험요구가 입력되면 교환기의 유지보수 프로세서는 상기 발신측 중계선 시험장치로 시험요구를 하며 상기 발신측 중계선 시험장치는 공중전화망을 이용하여 피측정 중계선이 수용된 대국의 수신측 시험장치의 모뎀포트를 호출하는 제1단계, 상호간에 모뎀회선이 접속되면 상기 발신측 시험장치는 상기 수신측 시험장치로 "시험 준비 요구"를 하게 되며 상기 수신측 시험장치는 자신이 상기 발신측 시험장치에 의해 사용중임을 상기 교환기로 통보하고 "시험 준비요구"에 대한 응답을 모뎀회선을 통하여 발신측으로 통보하고 상기 발신측 시험장치는 시험포트로 상기 교환기에 의해 점유된 피측정 중계선을 경유하여 수신측 시험장치의 시험포트를 호출하는 제2단계, 상기 수신측 시험장치는 피측정 중계선을 통하여 시험호를 수신하고 발신측으로 모뎀회선을 통하여 그 결과를 송출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발신측 시험장치는 모뎀회선을 통하여 시험호 수신결과를 통보받은 후 수신측으로 "시험신호 송출요구"를 하고 상기 발신측 시험장치는 시험포트에 접속된 피측정 중계선으로부터 전송되는 시험신호를 측정하는 제4단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선 시험 수행방법.
KR1019910023160A 1991-12-17 1991-12-17 국간 중계선의 아날로그 특성시험을 위한 중계선 시험장치 및 방법 KR950003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3160A KR950003678B1 (ko) 1991-12-17 1991-12-17 국간 중계선의 아날로그 특성시험을 위한 중계선 시험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3160A KR950003678B1 (ko) 1991-12-17 1991-12-17 국간 중계선의 아날로그 특성시험을 위한 중계선 시험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546A KR930015546A (ko) 1993-07-24
KR950003678B1 true KR950003678B1 (ko) 1995-04-17

Family

ID=1932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3160A KR950003678B1 (ko) 1991-12-17 1991-12-17 국간 중계선의 아날로그 특성시험을 위한 중계선 시험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6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885A (ko) * 2001-05-09 2001-08-22 이민상 교환기 국간 중계회선을 컴퓨터를 이용 시험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546A (ko) 199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27158A (ja) 電話回線の自動試験方法および装置
US5559854A (en) Subscriber's line testing apparatus
KR950003678B1 (ko) 국간 중계선의 아날로그 특성시험을 위한 중계선 시험장치 및 방법
US67480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either tone analysis on a local looped-back communications path or utilizing a hybrid reflection based looped-back test to test integrity
US6304633B1 (en) Testing system for voice system equipment in switchboard
KR93000686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선 시험장치
KR970004862B1 (ko) 전전자 교환기의 4선 음성 신호 회로 시험 장치
KR940005861B1 (ko) 전전자 교환기간 중계선 시험장치 및 중계선의 ber 시험을 위한 구성방법.
KR100604564B1 (ko) R2 신호를 이용한tdx-10교환기중계선시험장치(tttu)와axe-10교환기간의 중계회선 시험 방법
JP3096178B2 (ja) Tdma−tdd無線通信装置の送受信装置
KR100261838B1 (ko) 반향제거기능을 갖춘 gsm 이동통신교환기의중계선정합교환 서브시스템
KR95000368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디지틀 중계선의 비트에러율 시험 방법
KR100433880B1 (ko) 광전송시스템의 가입자회선 시험장치 및 방법
US4293738A (en) Analog access arrangement for a digital telephone office
KR20060076619A (ko) 사설 교환기에서의 국선 선로의 불량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434039B1 (ko) 엑세스-게이트의 시험장치
JP3066997B2 (ja) 論理番号によるリソース指定接続方式
KR100251633B1 (ko) 인도형교환기의디지털트렁크레벨시험방법
JPS63220641A (ja) 加入者回路
KR19990024277A (ko) 아날로그 회선의 가입자 선로 및 가입자 회로 시험장치
JPH0451797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接続試験制御方式
JPS6135052A (ja) 中継回線導通試験方式
KR20060064079A (ko) 사설 교환기의 호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JPH0335858B2 (ko)
JPH0267094A (ja) 通話路導通試験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