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606Y1 - 조미료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조미료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606Y1
KR950003606Y1 KR92020188U KR920020188U KR950003606Y1 KR 950003606 Y1 KR950003606 Y1 KR 950003606Y1 KR 92020188 U KR92020188 U KR 92020188U KR 920020188 U KR920020188 U KR 920020188U KR 950003606 Y1 KR950003606 Y1 KR 950003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soning
communication hole
lid member
contain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0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9274U (ko
Inventor
신재익
홍양선
Original Assignee
신춘호
주식회사 농 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춘호, 주식회사 농 심 filed Critical 신춘호
Priority to KR92020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606Y1/ko
Publication of KR9400092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2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6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4Shakers for salt, pepper, suga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미료 보관용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 보관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 보관용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서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본 고안은 조미료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량의 조미료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조미료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미료 보관용기는 파우치형태로 네모서리중 한 모서리를 뜯어서 뿌리는 형과, 뚜껑을 열어서 스푼을 사용하는 형과, 스푼부위와 뿌리는 부위가 반으로 나누어진 형과, 뿌리는 부위만 있는 형으로 나누어진다.
상기와 같은 조미료 보관용기는 두손으로 뚜껑을 열어서 분리시킨 후 스푼으로 대략적인 양의 조미료를 퍼서 음식에 넣은 다음에 맛을 보아 간을 맞추었다. 이에 따라 뚜껑을 분실하는 경우도 있고, 하나의 스푼으로 여러 양념을 담게 되어 양념들이 서로 섞이기도 하며, 사용중에 무의식적으로 뚜껑을 열어놓은 상태로 두게 되어 습기많은 주방에서 습기가 보관용기내로 침투하여 조미료 등이 굳게 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더우기 일정량 이상의 많은 양이 쏟아져 음식의 맛을 완전히 그르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스푼의 사용을 필요로 함이 없이 한손만으로 정량의 조미료 음식에 넣을 수 있도록 하는 조미료 보관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라 통형상의 용기본체(1)와, 상기 용기 본체에 설치되는 뚜껑부재를 구비하는 조미료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20)는 상기 용기 본체(1)와의 사이에 격벽(12)에 의해 한정되는 소정의 공간부를 두고 설치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격벽(12)에 마련된 연통공(14)을 통하여 상기 용기 본체(1)의 내부공간과 연통가능하며, 상기 뚜껑부재(20)는, 상기 연통공(14)의 평면에 수직방향으로 폐쇄할 수 있는 밀폐부(26)를 구비하고, 상기 연통공(14)을 폐쇄하는 위치와 상기 연통공(14)을 개방하는 위치간을 요동가능하며, 상기 뚜껑부재(20)와 상기 용기 본체(1)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뚜껑부재(20)의 연통공(14) 폐쇄위치에서 상기 공간부를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는 조미료 배출공(28)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부재(20)를 상기 연통공(14) 개방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 보관용기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찹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 보관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 보관용기는 조미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 본체(1)와, 상기 용기 본체(1)의 입구부에 설치되는 내부 뚜껑부(10)와 뚜껑부재(2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내부 뚜껑부(1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 뚜껑부(10)의 개방된 상부 및 하부 사이에는 격벽(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격벽의 일측에 용기 본체(1)내에 내용물을 유출할 수 있도록 연통공(14)이 형성되어 격벽(12)은 거의 반원형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 뚜껑부(10)의 상부 내측벽에는 후술하는 덜개부재(20)를 지지하는 선회가능케 하는 축(22)이 장착되어 있고, 이러한 내부 뚜껑부는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탈착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상기 내부 뚜껑부(10)의 축(22)에는 스프링(24)이 삽입되어서 상기 용기 본체(1)와 일정한 공간부를 지며 뚜껑부재(20)가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탄력설치된다. 또한 뚜껑부재(20)는 상기축(22)을 중심으로 일쪽(제2도에서 좌측)이 절곡되어 약간 위로 굽혀져 있고, 뚜껑부재(20)의 일측 하부(예를 들어 제2도에서 좌측)에는 스프링(24)의 탄성에 저항하여 내부 뚜껑부(10)의 연통공(14)을 밀폐하는 밀폐부(26)가 구비되어 있다. 또 축(22)을 중심으로 밀폐부(26)의 반대측에는 밀폐부(26)에 대응하는 조미료 배출공(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조미료 배출공(28)은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하여 내부 뚜껑부(10)의 상부 원통면에 접촉되어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미료 보관용기의 사용방법에 관하여 제2도 내지 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최초 상태에서 용기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 내부 뚜껑부(10)의 연통공(18)은 개구되어 뚜껑부재(20) 하부의 공간부와 연통되고, 뚜껑부재(20)의 조미료 배출공(28)은 내부 뚜껑부(10)의 상부 내측면에 접촉되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기내의 조미료를 사용코자 하는 경우에, 용기를 한 번 뒤집어 주면 적당량의 조미료가 뚜껑부재(20)하부의 공간부인 내부 뚜껑부(10)의 격벽(12)의 상부에 담기게 된다. 이와 같이된 용기를 붙잡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부재(20)의 위로 절곡된 부분(즉 도면에서 좌측부분)을 화살표 A방향으로 누르면 스프링(24)은 압축되고, 조미료 배출공(28)이 내부 뚜껑부(10)에서 위로 돌출되어 개구됨과 동시에 내부뚜껑부(10)의 연통공(14)은 밀폐부(26)에 의해 차단된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용기 본체(1)내의 조미료는 외부대기와 차단되어 용기 본체(1)내로 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기를 일측(도면에서 우측)으로 기울이면 격벽의 상부에 있는 정량의 조미료가 조미료 배출공(2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 보관용기에 의하면 여러번 스푼을 사용하여 맛을 맞출 필요가 없고, 항상 용기 본체내로 습기의 유입을 방지하여 조미료의 고형화를 막아주며 간단한 동작으로 음식의 맛을 맞출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요리하는 데에 편리한 것이다.

Claims (1)

  1. 통형상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설치되는 뚜껑부재를 구비하는 조미료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20)는, 상기 용기 본체(1)와의 사이에 격벽(12)에 의해 한정되는 소정의 공간부를 두고 설치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격벽(12)에 마련된 연통공(14)을 통하여 상기 용기 본체(1)의 내부공간과 연통가능하며, 상기 뚜껑부재(20)는, 상기 연통공(14)의 평면에 수직방향으로 폐쇄할 수 있는 밀폐부(26)를 구비하고, 상기 연통공(14)을 폐쇄하는 위치와 상기 연통공(14)을 개방하는 위치간을 요동가능하며, 상기 뚜껑부재(20)와 상기 용기 본체(1)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뚜껑부재(20)의 연통공(14) 폐쇄위치에서 상기 공간부를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는 조미료 배출공(28)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부재(20)를 상기 연통공(14) 개방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보관용기.
KR92020188U 1992-10-20 1992-10-20 조미료 보관용기 KR950003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0188U KR950003606Y1 (ko) 1992-10-20 1992-10-20 조미료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0188U KR950003606Y1 (ko) 1992-10-20 1992-10-20 조미료 보관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274U KR940009274U (ko) 1994-05-17
KR950003606Y1 true KR950003606Y1 (ko) 1995-05-09

Family

ID=1934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0188U KR950003606Y1 (ko) 1992-10-20 1992-10-20 조미료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6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274U (ko) 199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9192B2 (en) Frying pan
SE8601829D0 (sv) Nursing mug
WO2003006323A3 (en) Ready-made dish disposable packaging with several compartments
CA1260434A (en) Air freshener dispensing apparatus
KR950003606Y1 (ko) 조미료 보관용기
GB2317608A (en) Spill resistant cup
KR950003447Y1 (ko) 조미료 보관용기
EP1494939B1 (en) Dispensing device
KR950003446Y1 (ko) 조미료 보관용기
JPH0748527Y2 (ja) 包装用容器
KR100350158B1 (ko) 구이장치
KR960000527Y1 (ko) 양념용기용 캡
KR200259302Y1 (ko) 발효용 용기뚜껑
KR200436889Y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JPH0123968Y2 (ko)
JP2582747Y2 (ja) 容器用キャップ
JPS5942998Y2 (ja) 容器の安全装置
JPH0454136Y2 (ko)
WO2002010036A1 (en) Device for distributing piled rusks in succession
KR930000359Y1 (ko) 휴대용 도시락
KR19980060825U (ko) 음료용기용 뚜껑의 음료 유출장치
KR910006080Y1 (ko) 안전밸브가 부설된 용기뚜껑
KR200155732Y1 (ko) 음료용기용 뚜껑의 음료 유출장치
JPS594764Y2 (ja) 賦圧充填製品用排出弁のアクチユエ−タ
KR900009713Y1 (ko) 액체 유출레버를 하단에 설치한 샘푸우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0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