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447Y1 - 조미료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조미료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447Y1
KR950003447Y1 KR92020263U KR920020263U KR950003447Y1 KR 950003447 Y1 KR950003447 Y1 KR 950003447Y1 KR 92020263 U KR92020263 U KR 92020263U KR 920020263 U KR920020263 U KR 920020263U KR 950003447 Y1 KR950003447 Y1 KR 9500034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opening
cover member
seasoning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0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9275U (ko
Inventor
신재익
홍양선
Original Assignee
신춘호
주식회사 농 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춘호, 주식회사 농 심 filed Critical 신춘호
Priority to KR92020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447Y1/ko
Publication of KR9400092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2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4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4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4Shakers for salt, pepper, suga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미료 보관용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 보관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 보관용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조미료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량의 조미료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조미료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미료 보관용기는 파우치형태로 네모서리중 한 모서리를 뜯어서 뿌리는 형과, 뚜껑을 열어서 스푼을 사용하는 형과, 스푼부위와 뿌리는 부위가 반으로 나누어진 형과, 뿌리는 부위만 있는 형으로 나누어진다.
상기와 같은 조미료 보관용기는 두손으로 뚜껑을 열어서 분리시킨 후 스푼으로 대략적인 양의 조미료를 퍼서 음식에 넣은 다음에 맛을 보아 간을 맞추었다. 이에 따라 뚜껑을 분실하는 경우도 있고, 하나의 스푼으로 여러 양념을 담게 되어 양념들이 서로 섞이기도 하며, 사용중에 무의식적으로 뚜껑을 열어놓은 상태로 두게 되어 습기 많은 주방에서 조미료등이 굳게 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더우기 일정량 이상의 많은 양이 쏟아져 음식의 맛을 완전히 그르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스푼의 사용을 필요로 함이 없이 한손만으로 일정량의 조미료를 음식에 넣을 수 있도록 하는 조미료 보관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 보관용기는, 조미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 본체(5)와 ; 상기 용기 본체(5)의 상부에 설치되며, 중공의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용기 본체(5)의 내부와 연통하는 제1배출구(14)가 형성된 격벽(12)을 구비하며, 상기 제1배출구(14)의 대향측부의 반구면에 제2배출구(16)가 형성되고, 반구면의 내측면에 수용홈(18)이 마련됨과 동시에 가이드홈(21)이 형성된 커버부재(10)와 ; 상기 상기 커버부재(10)의 수용홈(18)에 수용되면서 반구면을 따라 연장되게 연장편(36a)이 마련되고, 상기 연장편(36a)의 일측에 상기 제2배출구(16)를 차단할 수 있도록 제2밀폐구(36)가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홈(21)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게 손잡이(32)가 마련됨과 동시에 하부에 상기 제1배출구(14)를 차단할 수 있도록 제1밀폐구(34)가 마련되어, 상기 제1배출구(14)가 개구됨과 동시에 상기 제2배출구(16)가 차단되는 제1위치와, 상기 제1배출구(14)가 차단됨과 동시에 상기 제2배출구(16)가 개구되는 제2위치 사이를 가이드홈(21)을 따라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30)와 ; 상기 커버부재(10)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30)를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2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30)에는 상기 연장편(36a)과 대향되게 안내구(38)를 마련하고, 상기 커버부재(30)는 상기 안내구(38)를 미끄럼가능하게 수납하도록 수납홈(2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23)는 상기 커버부재(10)의 반구면의 내측면과 수납홈(20)사이에 설치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 보관용기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 보관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제2도 및 3도는 제1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제2도에서 본 고안인 조미료 보관용기의 커버부재(10)는 중공의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용기 본체(5)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10)는 일측(제2도 및 3도에서 좌측)이 개구되어 거의 반원형으로 형성된 격벽(12)을 반구형상의 최대 직경부에서 구비하고 있다. 즉 일측이 개구되어 격벽(12)에 형성된 제1배출구(14)는 조미료등을 1차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고, 이 제1배출구(14)의 반대측부근에서 반구면에 형성된 제2배출구(16)는 제1배출구(14)를 통하여 격벽(12)위에 담겨진 조미료등을 음식의 조리에 사용하기 위해 2차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 상기 커버부재(10)의 반구면의 중앙 내측면에는 수용홈(18)이 길게 제2배출구(16)를 향하여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18)과 동일 구면선상에 가이드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홈(18)을 중심으로 제2배출구(16)의 반대측에는 상기 수용홈(18)과 유사한 형상의 긴 수납홈(2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부재의 반구면의 외측면과 수납홈(20)의 사이에는 후술될 개폐부재(30)를 제2배출구(16)를 향하여 탄력있게 미는 스프링부재(23)를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홈(22)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인 조미료 보관용기의 개폐부재(30)는 상기 커버부재(10)의 반구면의 내측면에 접하여 미끄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재(30)는 상기 커버부재(10)의 수용홈(18)에 수용되면서 반구면을 따라 연장되게 연장편(36a)이 마련되고, 일측(제2도 및 3도에서 좌측)에는 상기 커버부재(10)의 제1배출구(14)를 밀폐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제1밀폐구(34)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일측(제2도 및 3도에서 우측)에는 상기 커버부재(10)의 제2배출구(16)를 밀폐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제2밀폐구(36)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제1밀폐구(34)와 제2밀폐구(36)를 연결시키는 연장편(36a)은 상기 커버부재(10)의 수용홈(18)에 수용되어 미끄럼 이동가능하도록 좁은 폭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개폐부재(30)는 제1밀폐구(34)와 제2밀폐구(36)의 접속부에서 상기 커버부재(10)의 가이드홈(21)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32)를 구비한다. 상기 개폐부재(30)의 손잡이 (32)를 중심으로 커버부재(10)의 수용홈(18)의 반대측에 형성된 수납홈(20)에는 개폐부재(30)의 미끄럼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구(38)가 수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 보관용기의 사용방법에 관하여 제2도 및 제3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2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용기내의 조미료를 사용코자 하는 경우에 용기 본체(5)를 한번 뒤집어주면 커버부재(10)의 제1배출구(14)가 개구되어 있으므로 적당량의 조미료가 커버부재(10)의 제1배출구(14)를 통하여 커버부재(10)의 격벽(12)의 상부에 담기게 된다.
이때 제2배출구(16)는 개폐부재(30)의 제2밀폐구(36)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으므로 조미료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이와같이 된 용기 본체(5)를 붙잡고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2)를 화살표 A방향으로 스프링의 탄성력에 반대하여 밀어주면 커버부재(10)의 제1배출구(14)는 개폐부재(30)의 제1밀폐구(34)에 의하여 완전히 폐쇄되는 동시에 제2배출구(16)를 폐쇄하고 있던 제2밀폐구(36)는 수용홈(18)을 통하여 뒤로 후퇴하여 제2배출구(16)를 개방시킨다. 이때 용기 본체(5)를 일측(도면에서 우측)으로 기울이면 격벽(12)의 위에 담겨있던 정량의 조미료가 제2배출구(1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가능케 된다. 이때 제2배출구(1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가능케 된다. 이때 용기 본체(5)내부와 연통하는 제1배출구(14)는 개폐부재(30)의 제1밀폐구(34)에 의해 차단되므로 제2배출구(16)가 개구되더라도 용기 본체(5)내부로 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 보관용기에 의하면, 사용시 정량의 조미료만을 외부로 배출시키게되므로 조미료의 낭비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번 스푼을 사용하여 맛을 맞출 필요가 없고, 용기 본체내로 습기의 유입을 방지하여 조미료의 고형화를 막아주며 간단한 동작으로 음식의 맛을 맞출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요리하는 데에 편리한 것이다.

Claims (3)

  1. 조미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 본체(5)와 ; 상기 용기 본체(5)의 상부에 설치되며, 중공의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용기 본체(5)의 내부와 연통하는 제1배출구(14)가 형성된 격벽(12)을 구비하며, 상기 제1배출구(14)의 대향측부의 반구면에 제2배출구(16)가 형성되고, 반구면의 내측면에 수용홈(18)이 마련됨과 동시에 가이드홈(21)이 형성된 커버부재(10)와 ; 상기 커버부재(10)의 수용홈(18)에 수용되면서 반구면을 따라 연장되게 연장편(36a)이 마련되고, 상기 연장편(36a)의 일측에 상기 제2배출구(16)를 차단할수 있도록 제2밀폐구(36)가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홈(21)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게 손잡이(32)가 마련됨과 동시에 하부에 상기 제1배출구(14)를 차단할 수 있도록 제1밀폐구(34)가 마련되어, 상기 제1배출구(14)가 개구됨과 동시에 상기 제2배출구(16)가 차단되는 제1위치와, 상기 제1배출구(14)가 차단됨과 동시에 상기 제2배출구(16)가 개구되는 제2위치 사이를 가이드홈(21)을 따라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30)와 ; 상기 커버부재(10)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30)를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의 보관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30)에는 상기 연장편(36a)과 대향되게 안내구(38)를 마련하고, 상기 커버부재(30)는 상기 안내구(38)를 미끄럼가능하게 수납하도록 수납홈(2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의 보관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23)는 상기 커버부재(10)의 반구면의 내측면과 수납홈(20)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의 보관 용기.
KR92020263U 1992-10-21 1992-10-21 조미료 보관용기 KR9500034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0263U KR950003447Y1 (ko) 1992-10-21 1992-10-21 조미료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0263U KR950003447Y1 (ko) 1992-10-21 1992-10-21 조미료 보관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275U KR940009275U (ko) 1994-05-17
KR950003447Y1 true KR950003447Y1 (ko) 1995-05-02

Family

ID=1934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0263U KR950003447Y1 (ko) 1992-10-21 1992-10-21 조미료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4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100B1 (ko) * 2010-03-04 2012-05-02 나인성 시약오염방지를 위한 스푼 장착식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100B1 (ko) * 2010-03-04 2012-05-02 나인성 시약오염방지를 위한 스푼 장착식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275U (ko) 199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62304B1 (en) Container lid with button release and lock
PL317983A1 (en) Food holding container with a food dispensing device
MY135950A (en) Storage case
PT1421014E (pt) Embalagem descartavel com varios compartimentos para um produto alimentar pronto a comer
KR100806976B1 (ko) 향기보존통
KR20010082685A (ko) 밀봉식 분배 용기
KR950003447Y1 (ko) 조미료 보관용기
KR950003606Y1 (ko) 조미료 보관용기
KR950003446Y1 (ko) 조미료 보관용기
JP3666726B2 (ja) 錠剤容器
AU7423798A (en) Opening/clos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 container with flexible wall and container with flexible wall associated with said device
JP3075984U (ja) 粉状物や粒状物等の収納振り出し容器
KR20170138232A (ko) 진공용기
KR200267719Y1 (ko) 음료용기
KR200184995Y1 (ko) 벽걸이형 용기
GB2068897A (en) Condiment dispensers
KR200259302Y1 (ko) 발효용 용기뚜껑
KR200155732Y1 (ko) 음료용기용 뚜껑의 음료 유출장치
JPS636036Y2 (ko)
KR200321744Y1 (ko) 용기 뚜껑
JP3079363U (ja) 冷水筒
KR200260240Y1 (ko) 분통
JPS6015497Y2 (ja) 振り出し容器
JPH0446686Y2 (ko)
JP2579225Y2 (ja) 液体容器用の栓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0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