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519Y1 - 이동가능한 표지판 지지대 - Google Patents

이동가능한 표지판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519Y1
KR950003519Y1 KR92007467U KR920007467U KR950003519Y1 KR 950003519 Y1 KR950003519 Y1 KR 950003519Y1 KR 92007467 U KR92007467 U KR 92007467U KR 920007467 U KR920007467 U KR 920007467U KR 950003519 Y1 KR950003519 Y1 KR 9500035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crete
sign
support body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74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6322U (ko
Inventor
김관희
Original Assignee
김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희 filed Critical 김관희
Priority to KR92007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519Y1/ko
Publication of KR9300263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63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5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88Free-standing bodies
    • E01F9/692Portable base membe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동가능한 표지판 지지대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구성도로서 받침편이 절첩된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단면구성도로서 받침편이 펼쳐진 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 받침편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지지대 2 : 용기
4 : 표지판 6 : 지주
8 : 삽지홈 10 : 통공
12 : 콘크리트 14 : 손잡이
16 : 이동용 바퀴 18 : 고정편
20 : 핀 22 : 받침편
본 고안은 교통표지판과 같은 각종 표지판용 지지대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제작이 간단하면서도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고, 또한 소정의 설치장소로 쉽게 이동할 수 있게한 것이다.
종래의 표지판 지지대로는 적당량의 콘크리트로 위는 좁고 아래는 넓게 양생한 지지대의 상부에 표지판을 갖는 금속재지주를 고정하여 지지되게 한 것이 있으나 이는 콘크리트 양생한 지지대의 표면이 매우 거친 편이어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 아니라 풍화작용등에 의해 그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으며, 차륜의 휘일(wheel)중앙에 표지판이 고정된 지주의 하부를 용접고정한 것도 있으나 이 또한 외관이 흉하여 도시미관을 헤치고 중량이 비교적 가벼워 지지력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표지판용 지지대의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삽지홈을 종(鐘)형상의 용기를 성형한 다음 그 용기내에 콘크리트를 타설(충전) 및 양생하여 지지대를 구성하고, 지지대의 저면에 이동용 바퀴를 설치하여 설치장소로의 이동이 쉽도록 한 것으로 이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합성수지재로 위가 넓고 아래가 좁으며 하향개방된 용기(2)를 성형하되 중앙에 상부로 개방되는 삽지홈(8)을 수직으로 형성하여 표지판(4)이 고정된 지주(6)를 끼울수 있게 하고, 삽지홈(8)의 저면에 배수용 통공(10)을 형성한다.
용기(2)의 상부 양측에 통공을 형성한 다음 밖으로 돌출되는 경질의 손잡이(14)를 끼우고, 용기(2)내에 콘크리트(12)를 타설 및 양생하여 저부면이 평면이 되게 한다.
콘크리트(12)의 저부면 가장자리에 이동용 바퀴(16)의 고정편과, 받침편(22)이 핀(20) 고정된 고정편(18)을 고정되게 매설하여 제2도와 같이 받침편(22)을 통공(10) 방향으로 접으면 이동용 바퀴(16)가 지면에 닿아 지지대의 이동이 가능토록 하고, 일측 상부 모서리에 만곡부(24)를 갖는 받침편(22)을 펴면 받침편(22)의 상부면(26)이 콘크리트(12)의 저부면에 접하면서 고정되어 이동용 바퀴(16)가 지면으로 부터 들려지도록 지지대(가)를 구성한다.
상기에서 받침편의 고정편(18)은 콘크리트(12)의 서부면 가장자리에 적정간격으로 3개 내지 4개로 빙둘러 설치하고, 이동용 바퀴(16) 또한 콘크리트(12)의 저부면 가장자리에 적정간격으로 3개 내지 4개로 빙둘러 설치하되 절첩되는 받침편(22)과 접촉되지 않는 위치로 비켜 설치한다.
상기에서 받침편의 고정편(18)과 이동용 바퀴(16)는 콘크리트 타설시 매입설치하여 콘크리트(12) 양생과 더불어 각각 고정되게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필요한 위치에 제3도와 같이 받침편(22)을 펴서 지지대(가)를 위치시킨 다음, 표지판(4)이 부착된 지주(6)를 삽지홈(8)에 끼워 고정하면 지지대(가)는 타설된 콘크리트(12)의 중량에 의해 무거우므로 표지판(4)을 안정되게 세울 수 있게 된다.
한편 표지판(4)의 설치위치를 이동시킬 경우에는 제2도와 같이 받침편(22)을 접어서 이동용 바퀴(16)가 지면에 닿도록 한 다음 손잡이(14)를 잡고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소정의 장소로 이동시킨 후 제3도와 같이 받침편(22)을 다시 펴서 설치하면 되므로 중량물인 지지대(가)의 이동이 한결 쉬워진다.
표지판(4)을 교체할 경우에는 지주(6)를 지지대의 삽지홈(8)으로 부터 상승분리시킨 다음 다른 표지판으로 교체하거나 다른 표지판이 부착된 지주를 삽지홈(8)에 삽입하면 되며, 콘크리트(12)가 용기(2)내에 타설되므로 노출되지 않아 미감이 향상되고 또한 풍화작용 등의 영향을 받지 않아 사용수명이 증대된다.
삽지홈(8)의 통공(10)은 삽지홈(8)으로 스며든 빗물 등이 지지대(가) 밑으로 자연 배출되게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교통표지판 뿐만 아니라 각종 표지판의 설치판와 교체가 용이하고 설치시 지지대의 이동이 쉬울 뿐 아니라, 외관이 깨끗하여 도시미관에 일조를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위가 좁고 아래가 넓으며 중앙에 통공(10)을 갖는 삽지홈(8)이 수직형성된 용기(2)내에 콘크리트(12)를 타설하여 양생하고, 콘크리트(12)의 저부면에 이동용 바퀴(16)와 절첩되는 받침편(22)을 다수개 고정하여 이동가능하게 한 표지판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용기(2)의 측부에 손잡이(14)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동가능하게 한 표지판 지지대.
KR92007467U 1992-05-02 1992-05-02 이동가능한 표지판 지지대 KR9500035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467U KR950003519Y1 (ko) 1992-05-02 1992-05-02 이동가능한 표지판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467U KR950003519Y1 (ko) 1992-05-02 1992-05-02 이동가능한 표지판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6322U KR930026322U (ko) 1993-12-28
KR950003519Y1 true KR950003519Y1 (ko) 1995-05-03

Family

ID=1933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7467U KR950003519Y1 (ko) 1992-05-02 1992-05-02 이동가능한 표지판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5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276Y1 (ko) * 2012-06-27 2014-02-19 서진용 간판용 지주의 베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7910B1 (ko) * 1999-12-27 2002-03-15 권영상 최기영 가로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276Y1 (ko) * 2012-06-27 2014-02-19 서진용 간판용 지주의 베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6322U (ko) 199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6496B2 (en) Portable post support
KR20030038405A (ko)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레일 트랙을 구성하는 방법 및 그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임시 타이 플레이트
KR950003519Y1 (ko) 이동가능한 표지판 지지대
KR100374000B1 (ko) 도로에 설치된 지주바의 지지용 기초 보호판
KR200380112Y1 (ko) 맨홀
KR200225257Y1 (ko) 가로안내표지판 부착 설치구조
CN221095209U (zh) 一种具有防坠功能的市政井盖
KR830001664Y1 (ko) 안내표시판 받침대
CN215630157U (zh) 包边不锈钢井盖
GB2203780A (en) Road bollard
KR960007962A (ko) 철근 지지장치
KR20060082438A (ko) 맨홀
GB2208884A (en) Speed reducing hump drainage channel
KR100381110B1 (ko) 하나의 거푸집을 이용한 맨홀의 제조방법
CN213681827U (zh) 一种市政道路用警示装置
KR200255675Y1 (ko) 맨홀용 덮개
KR200217028Y1 (ko) 차선표지병
KR200230826Y1 (ko) 안내용간판대
KR200175363Y1 (ko) 도로에 설치된 지주바의 지지용 기초 보호판
KR930005203Y1 (ko) 조립식 주철제 가로등커버
KR200330841Y1 (ko) 주물재 도로경계석
KR100475614B1 (ko) 액자형 보도블럭 설치틀
JPH027924Y2 (ko)
JP2509268Y2 (ja) 競技場用縁石
JP4536973B2 (ja) 軌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4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