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432Y1 - 튜너의 전원단자 - Google Patents

튜너의 전원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432Y1
KR950003432Y1 KR92021804U KR920021804U KR950003432Y1 KR 950003432 Y1 KR950003432 Y1 KR 950003432Y1 KR 92021804 U KR92021804 U KR 92021804U KR 920021804 U KR920021804 U KR 920021804U KR 950003432 Y1 KR950003432 Y1 KR 950003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ront plate
power supply
chassis front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18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698U (ko
Inventor
안익호
이호관
Original Assignee
이종수
금성알프스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금성알프스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92021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432Y1/ko
Publication of KR9400136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6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4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튜너의 전원단자
제1도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려는 튜너의 전원단자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튜너의 전원단자 설치상태의 분해단면예시도.
제3도는 제2도의 결합단면예시도.
제4도는 제3도의 “A”부 확대도.
제5도의 (a)는 제4도의 “B”부 단자핀 발췌 확대도, (b)는 단자핀을 변형한 상태의 확대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전원단자 설치상태의 분해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전원단자를 샤시 전측판에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a도는 분리형단자를 삽입한 상태의 평면도, b도는 분리형단자를 회전시켜 조립완료한 상태의 평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복합전원단자를 샤시 전측판에 조립완성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샤시 2 : 샤시 전측판
3 : 단자핀관통공 4 : 복합전원단자
5 : 전원단자핀 6 : 몰드부
7 : 록킹체결돌기 8 : 삽입공
9 : 분리형단자 10,10' : 걸림돌기
본 고안은 튜너의 전원단자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관통콘덴서 단자핀을 몰드부에 몰딩시키되 몰드부의 양측하면에는 록킹체결돌기를 일체로 형성한 복합전원단자를 형성하여 샤시전측판에 원터치 록킹결합에 의해 고정하거나 또는 관통콘덴서 단자핀이 몰딩된 몰드부 양측에 체결공을 형성한 복합전원단자를 샤시 전측면에 긴밀히 위치시킨후 상기 체결공에 분리형단자를 삽입하여 샤시 전측판에 회전조임식에 의해 간편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튜너의 전원단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튜너용 전원단자는 제1도에서와 같이 샤시(101) 상측에 단자핀관통공(103)을 수개 형성한 샤시 전측판(102)을 고정한 다음 상기 단자핀관통공(103)에 한개의 전원단자핀(105)이 몰딩된 관통콘덴서 캡(106)을 하나의 전원단지핀(105)만이 관통하는 상태로 삽입한다.
그리고, 단자핀관통공(103)에 전원단자핀(105)이 몰딩된 관통콘덴서 캡(106)을 삽입완료한 후에는 콘베어가 부설된 전기로 이동하여 관통콘덴서 캡(106)과 샤시 전측판(102)의 납땜부(107)를 납땜 고정시키고, 전원단자핀(105)의 끝단은 절곡한후 인쇄회로기판에 납땜연결 복합전원단자(104)를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샤시 전측판(102)에 결합고정되는 전원단자핀(105)은 관통콘덴서 캡(106)에 하나의 전원단자핀(105)만을 몰딩시킨 후 샤시 전측판(102)에 수개 형성된 단자핀관통공(103)의 수작업에 의해 삽입설치하여 전기로등을 이용해 납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로인하여 작업시간 및 작업인원이 과다하게 소요됨으로서, 뉴너의 가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그 목적으로는 샤시 전측판에 결합고정되는 복수개의 전원단자핀을 하나의 몰드부에 몰딩하고, 몰드부 하면 양측에도 록킹체결돌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복합 전원단자를 형성한 후 샤시 전측판에 원터치 록킹결합에 의해 간편용이하게 결합고정하도록 하려는 것이 그 특징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으로는 복수개의 전원단자핀이 하나의 몰드부에 몰딩하고, 몰드부 양측에는 삽입공을 타원형으로 형성한 복합전원 단자를 상기 삽입공을 이용하여 분리형단자가 삽입한 후 90° 회전시킴에 따라 샤시 전측판에 간편용이하게 결합고정 시키도록 함이 특징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와 같이 샤시(1)에 수개의 단자핀관통공(3)이 형성된 샤시 전측판(2)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샤시 전측판(2) 상측으로는 복수개의 전원 단자핀(5)을 하나의 몰드부(6)에 몰딩하고, 몰드부(6)하면 양측에는 록킹체결돌기(7)가 일체로 형성된 복합전원단자(4)를 원터치 결합에 의해 고정시켜서 된 것이다.
이때 상기 몰드부(6) 하면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록킹체결돌기(7)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샤시 전측판(2)에 형성된 단자핀관통공(3)에 삽입되어 록킹되는 상태로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몰드부(6)에 몰딩된 전원단자핀(5)은 몰딩완료후 유동 또는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5도의 (a)(b)에서와 같이 중앙 양측을 요철상태로 하여도 좋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샤시(1)에 고정된 샤시 전측판(2)의 단자핀관통공(3)에 복수개의 전원단자핀(5)이 하나의 몰딩부(6)에 몰딩된 복합전원단자(4)를 체결고정하되, 상기 복합전원단자(4)의 몰딩부(6) 하면 양측에 형성된 탄성력을 갖는 록킹체결돌기(7)를 제3도에서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눌러 록킹되는 상태로 체결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록킹체결돌기(7)는 샤시 전측판(2)의 단자핀관통공(3)에 삽입될시 록킹체결돌기(7)의 자체탄성력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삽입되고, 삽입이 완료된후에는 록킹체결돌기(7)의 자체복원력에 의해 원상복귀되면서 단자핀관통공(3)에 밀착되는 상태로 삽입되어 있어 제4도에서와 같이 복합전원단자(4)는 샤시 전측판(2) 상면에 긴밀히 접촉되는 상태로 조립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몰드부(6)에 몰딩된 전원단자핀(5)의 중앙 양측에는 제5도의 (a)(b)에서와 같이 요철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몰딩부(6)에서 전원단자핀(5)의 빠짐이 전혀 없게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샤시 전측판(2)에 복합전원단자(4)를 원터치 결합에 의해 간편하면서 용이하게 결합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전원단자 설치상태의 분해사시도로서, 복수개의 전원단자핀(5)을 하나의 몰드부(6)에 일체로 몰딩하고, 이 몰드부(6)의 양측에는 삽입공(8)을 일체로 형성한 복합전원단자(4)를 샤시(1)의 함실 상측에 설치되니 샤시 전측판(2)에 재치하되, 상기 복합전원단자(4)의 삽입공(8)과 샤시 전측판(2)의 단자핀관통공(3)과 일치되게 재치한후 분리형단자(9)를 삽입하여 90° 회전시켜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상기 삽입공(8)은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분리형단자(9)는 상하측에는 타원형의 걸림돌기(10)(10′)를 일체로 형성하되 이 분리형단자(9)에 의해 복합전원단자(4)를 샤시 전측판(2)에 견고히 결합고정시키도록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제6도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전원단자핀(5)이 하나의 몰드부(6)에 몰딩되고, 몰드부(6) 양측에 타원형의 삽입공(8)이 일체로된 복합전원단자(4)를 샤시(1)에 설치된 샤시 전측판(2) 상측에 재치하되 샤시 전측판(2)의 단자핀관통공(3)과, 복합전원단자(4) 양측에 형성된 타원형의 삽입공(8)을 일치되는 상태로 재치한 후 상하측에 타원형의 걸림돌기(10)(10′)가 일체로된 분리형단자(9)를 제7a도에서와 같이 타원형이 일치되는 상태로 삽입하고, 삽입이 완료되면 제7b도에서와 같이 분리형단자(9)를 화살표방향으로 90°정도 회전시켜 복합전원단자(4)와, 샤시 전측판(2)을 견고히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분리형단자(9)가 제7b도에서와 같이 90°정도 회전하면 분리형 단자(9)의 상하측에 일체로 형성된 타원형의 걸림돌기(10), (10′)가 샤시 전측판(2)의 하면과, 복합전원단자(4)의 몰드부(6) 상면에 걸리게 되어 복합전원단자(4)를 샤시 전측판(2)에 긴밀하면서 견고히 결합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복수개의 전원단자핀을 몰딩부에 일체로 몰딩하고, 하면 양측에 록킹체결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복합전원단자를 형성한 후 샤시전측판에 한번의 공정에 의해 간편 용이하게 록킹삽입 결합하거나, 또는 복합전원단자를 분리형단자의 결합후 90° 회전시켜 간편 용이하게 복합전원단자와 샤시 전측판을 결합 고정함으로서, 생산공정의 단순화 및 작업인원을 절감함으로서 원가절감을 꾀할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샤시(1)내측에 수개의 단자핀관통공(3)을 갖는 샤시 전측판(2)이 결합된 것에 있어서 상기 샤시전측판(2)의 상측으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전원단자핀(5)을 하나의 몰드부(6)에 몰딩시켜 복합전원단자(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튜너의 전원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복합전원단자(4)의 하면 양측에 록킹체결돌기(7)를 일체로 형성하여 샤시 전측판(2)의 단자핀관통공(3)에 원터치 록킹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튜너의 전원단자.
  3. 제1항에 있어서, 몰딩부(6)에 몰딩된 전원단자(5)의 중앙 양측에 빠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철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튜너의 전원단자.
KR92021804U 1992-11-06 1992-11-06 튜너의 전원단자 KR950003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1804U KR950003432Y1 (ko) 1992-11-06 1992-11-06 튜너의 전원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1804U KR950003432Y1 (ko) 1992-11-06 1992-11-06 튜너의 전원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698U KR940013698U (ko) 1994-06-25
KR950003432Y1 true KR950003432Y1 (ko) 1995-04-28

Family

ID=19343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1804U KR950003432Y1 (ko) 1992-11-06 1992-11-06 튜너의 전원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43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888B1 (ko) * 2001-09-06 2007-1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튜너의 핀 고정용 몰드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698U (ko) 199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8515B1 (en) Socket for an integrated circuit
US20020024800A1 (en) Housing for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in vehicles
KR950003432Y1 (ko) 튜너의 전원단자
KR100214151B1 (ko) 전자기기의 베이스 소켓부 구조
JPH0789507B2 (ja) チップキャリアソケットアセンブリ
JPH10302862A (ja) 電気コネクタ
JP2567212B2 (ja) 個別呼出用受信機の液晶
KR100377390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장치
JP2596663Y2 (ja) 固定金具
JPH0644441B2 (ja) 電磁接触器
KR960006832Y1 (ko) 프린트 배선기판 고정장치
JP3322468B2 (ja) プリント基板用端子台
KR200319538Y1 (ko) 일체형 램프 소켓 및 상기 일체형 램프 소켓이 부착된형광등용 전자식 안정기
JPH01232383A (ja) Led表示モジュール
JP2544592B2 (ja) 電気機器の付属装置
JP3768587B2 (ja) 機構部品
KR200188173Y1 (ko) 컨넥터
KR970004513Y1 (ko) 전기, 전자제품의 기판접지구조
KR0121332Y1 (ko) 회로부품 접지장치
KR970005030Y1 (ko) 모니터의 일체형 시일트 케이스
JPH0334072Y2 (ko)
KR0125424Y1 (ko) 인쇄회로기판의 전자부품모듈 실장구조
JP3056946U (ja) 板状金具の固定構造
KR200144257Y1 (ko) 전자기기의 섀시
JP2544591B2 (ja) 電磁接触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