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385Y1 - 마이컴(micom) 고장 검지회로 - Google Patents

마이컴(micom) 고장 검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385Y1
KR950003385Y1 KR92006794U KR920006794U KR950003385Y1 KR 950003385 Y1 KR950003385 Y1 KR 950003385Y1 KR 92006794 U KR92006794 U KR 92006794U KR 920006794 U KR920006794 U KR 920006794U KR 950003385 Y1 KR950003385 Y1 KR 950003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omputer
transistor
resistor
terminal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6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173U (ko
Inventor
정화영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92006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385Y1/ko
Publication of KR9300241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1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3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이컴(MICOM) 고장 검지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
제2도는 종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 : 마이컴 2 : 마이컴 고장 검지부
3 : 릴레이 구동부 R1~R6: 저항
Q1,Q2: 트랜지스터 C1,C2: 콘덴서
D1,D2: 다이오드 I1~I4: 인버터
Y1~Y3 : 릴레이
본 고안은 마이크로컴퓨터(이하 마이컴이라 약칭함)의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마이컴 고장 검지 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기제품은 다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신호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마이컴을 널리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고, 마이컴의 기능 또한 전문화, 세분화되고 있는 실정이여서 자칫 발생될 수 있는 마이컴의 고장으로 인한 주변회로의 오동작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여 왔고 이런 경향으로 마이컴의 고장을 검지하는 회로가 출현하게 되었다.
이하 종래의 마이컴 고장 검지부가 채용된 마이컴을 제2도를 통해 살펴보면 마이컴(4)은 이미 내장된 펄스발생 수단에 의해 정상상태 일때에는 단자(P1)로 일정한 주파수의 펄스가 출력되어 인버터(I1)를 거치면서 반전되고 저항(R1), 콘덴서(C1), 다이오드(D2), 콘덴서(C2) 및 저항(R3)을 통해 하이레벨 신호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하여 NPN 트랜지스터(Q1)가 턴온하고 그 에미터단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릴레이 구동부(6)에 소오스(SOURCE) 전압을 인가한다. 그리고 마이컴(4)에서는 원하는 단자(P2~P4)를 통해 릴레이 구동부(6)로 일정신호를 출력하여 릴레이가 구동되고 해당되는 각각의 부하(7)가 구동하게 되는바. 이때 마이컴(4)이 고장이나 이상상태를 일으켰을때 마이컴(4)은 단자(P1)로 일정 펄스 신호를 발생하지 못하게 되어 단자(P1)에는 펄스가 출력되지 않고 고장에 의한 로우나 하이신호가 출력된다. 이러한 신호가 마이컴 고장 검지부(5)에 인입되면 NPN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는 고전위가 걸리지 않게되고 트랜지스터(Q1)의 턴오프로 릴레이 구동부(6)에 소오스 전압이 차단되므로 마이컴단자(P2~P4)로 릴레이 구동신호를 출력해도 릴레이는 구동하지 않게되어 마이컴의 고장시 부하의 오동작을 막는 것이다. 그러나 이 종래의 마이컴 고장 검지부(5)는 NPN 트랜지스터(Q1)를 사용함으로 릴레이 동작시 트랜지스터 (Q1)의 VCE의 전압강하가 크고, 마이컴 고장 검지 펄스에 이상이 있어도 트랜지스터(Q1) 베이스단의 풀업 저항(R4)에 의해 마이컴 고장 검지 펄스와 관계없이 트랜지스터(Q1)가 계속 턴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릴레이에 소오스 전원이 계속 인가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마이컴 고장 검지부를 두되 마이컴 고장 검지 펄스 이상시에는 확실하게 릴레이 구동부에 소오스 전원을 차단하고, 릴레이 동작시 트램지스터의 컬렉터-에미터간의 큰 전압 강하 현상을 방지해주고, 큰 부하를 원활히 구동하기 위해 회로를 보강해준 마이컴 고장 검지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 내부에 펄스 발생회로를 내장하여 정상시에는 일정 펄스를 단자(P1)로 출력하고, 고장시에는 펄스가 형성되지 못하여 단자(P1)에는 로우나 하이레벨신혹 걸리게 되는 마이컴(1)의 단자(P1)에는 마이컴 고장 검지부(2)가 접속되어 그 구성은 인버터(I1)를 통하고 저항(R1), 콘덴서(C1), 다이오드(D1), (D2), 콘덴서(C2), 저항(R3)을 거쳐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그 컬렉터에는 저항(R6)을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됨과 동시에 직류전원(Vcc)이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 및 저항(R5)(R4)을 거쳐 저항(R6)의 양단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단은 릴레이 구동부(3)의 릴레이(Y1~Y3)의 코일 일단에 각각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2)의 턴온시에 소오스 전원을 릴레이(Y1~Y3)에 인가한다. 또한, 릴레이(Y1~Y3)의 스위치부는 온,오프 동작을 통해서 미도시된 부하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마이콤(1)의 단자(P2~P4)로 출력되는 제어된 각각의 신호는 인버터(I2~I4)를 거쳐 상기 릴레이 구동부(3)의 코일 타단에 가해져 해당되는 릴레이(Y1~Y3)를 구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시켜서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설명하면, 전원이 인가되고, 마이컴(1)이 정상시에는 단자(P1)를 통해 상용주파수의 일정 펄스를 출력하여 인버터(I1)를 통해 반전된 신호는 풀업 저항(R1)을 거쳐 콘덴서(C1)를 통하면서 직류성분은 차단되며 다이오드(D1)(D2)를 거치고 콘덴서(C2)에 의해 하이레벨로 평활되어 저항(R3)을 거쳐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1)는 턴온되고 그 컬렉터 단에는 저전위가 걸리게 되어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로우신호가 가해져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고 그 컬렉터에 흐르는 하이레벨신호는 릴레이 구동부(3)의 릴레이(Y1~Y3) 코일 일단에 각각 소오스 전원을 인가하고 마이컴 단자(P2~P4)에서 출력되는 하이레벨 신호는 인버터(I2~I4)를 거치면서 반전되어 로우신호가 해당 릴레이(Y1~Y3)의 코일 타단에 가해져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됨과 동시에 스위치 접점이 온되어 미도시된 부하를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릴레이(Y1~Y3)가 온 되는 순간 상기 트랜지스터(Q2)의 VCE전압강하는 극히 미약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정항 동작시가 아닌 마이컴(1)의 고장 및 불량시에는 단자(P1)로 펄스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대신 일정 직류성분(하이 또는 로우)이 출력되어 인버터(I1)를 통과하고 콘덴서(C1)에서 직류성분이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는 저전위가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1)이 턴 온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하이신호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2)도 턴 오프되어 릴레이 구동부(3)로 인가되는 소오스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게 되므로, 마이콤 단자(P2~P4)를 통해 일정 신호가 출력되더라도 릴레이(Y1~Y3)의 코일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되어 부하는 구동을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마이컴(1)의 고장 및 불량시에 릴레이 구동부(3)에 걸리는소오스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여 부하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릴레이 구동시 트랜지스터(Q2)의 VCE전압 강하를 낮게하여 주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정상시에는 일정펄스를 출력하고 고장시에는 펄스대신 직류성분 신호가 출력되는 단자를 적어도 하나 구비한 통상의 마이컴(1)에 있어서, 인버터(I1)의 출력단에 저항(R1), 콘덴서(C1)를 직렬연결하고, 다이오드(D1)(D2)를 접속하고 콘덴서(C2), 저항(R3)를 통해 NPN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그 컬렉터단이 저항(R6)을 거쳐 PNP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그 에미터단이 직류전원(Vcc)과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R5)(R4)(R2)을 통해 저항(R6)의 양단 및 저항(R1)의 일단에 접속되어 구성된 마이컴 고장 검지부(2)의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단이 릴레이 구동부(3)에 접속되고, 상기 인버터(I1)의 입력단을 마이컴(1)의 단자(P1)에 접속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컴 고장 검지 회로.
KR92006794U 1992-04-23 1992-04-23 마이컴(micom) 고장 검지회로 KR9500033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794U KR950003385Y1 (ko) 1992-04-23 1992-04-23 마이컴(micom) 고장 검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794U KR950003385Y1 (ko) 1992-04-23 1992-04-23 마이컴(micom) 고장 검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173U KR930024173U (ko) 1993-11-27
KR950003385Y1 true KR950003385Y1 (ko) 1995-04-27

Family

ID=19332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6794U KR950003385Y1 (ko) 1992-04-23 1992-04-23 마이컴(micom) 고장 검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38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173U (ko) 199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5383B2 (en) Abnormality detection apparatus for a power feed circuit
EP0709961B1 (en) Method and circuit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a load
JPH0340517A (ja) パワーデバイスの駆動・保護回路
US6538480B2 (en) Load driving device
US20080049366A1 (en) Protection circuit
KR940017212A (ko) 전력 트랜지스터에 대한 제어 전극 디스에이블 회로
US6784687B2 (en) Diagnostic device for electric mechanism drive circuits
GB2236919A (en) Overload and short-circuit protection of electric output drivers
KR950003385Y1 (ko) 마이컴(micom) 고장 검지회로
US4599672A (en) Failsafe power-up/power-down switch
JPH06233402A (ja) 電気自動車の駆動制御回路
JPH0317923A (ja) 駆動回路の診断方式
JP2682699B2 (ja) 駆動回路
JP3365808B2 (ja) モータ駆動制御回路、モータ駆動制御回路を備えた装置、及びモータ駆動制御方法
KR100760854B1 (ko) 모터 보호 회로
JP3589273B2 (ja) パワーデバイスの駆動回路
KR100245594B1 (ko) 직류모터의 구동 제어회로
KR100489821B1 (ko) 백라이트 인버터의 오동작 방지회로
KR930007774B1 (ko) 자동차의 부가장치 콘트롤 회로
KR950012195A (ko) 마이컴의 리세트 회로
KR0115906Y1 (ko) 세탁기의 세탁모터 오동작 방지회로
KR850001611Y1 (ko) 마이크로 컴퓨터의 보호회로
JPS6319097A (ja) 線路異常監視装置
KR900009631Y1 (ko) 단락시 시스템 보호회로
JP3555772B2 (ja) 負荷異常検知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