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065Y1 - 테이프카세트 집적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카세트 집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065Y1
KR950003065Y1 KR2019910020848U KR910020848U KR950003065Y1 KR 950003065 Y1 KR950003065 Y1 KR 950003065Y1 KR 2019910020848 U KR2019910020848 U KR 2019910020848U KR 910020848 U KR910020848 U KR 910020848U KR 950003065 Y1 KR950003065 Y1 KR 9500030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assette
conveyor
cylinder
tap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0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938U (ko
Inventor
최윤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 · 케이 · 씨
최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 · 케이 · 씨, 최준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 · 케이 · 씨
Priority to KR2019910020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065Y1/ko
Publication of KR9300119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9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0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0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카세트 집적장치
제1a도는 본 고안 테이프카세트 집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b도는 테이프카세트가 세워지는 상태도를 나타낸다.
제2a도, b도, c도, d도는 본 고안 테이프카세트 집적장치의 작동도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컨베이어 2 : 제2컨베이어
3 : 경사플레이트 4 : 적재판
5 : 제1실린더 6 : 제2실린더
7 : 안내봉 C : 테이프카세트
S1 : 제1센서 S2 : 제2센서
본 고안은 테이프카세트 집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연속적으로 이송되어지는 조립완료된 테이프카세트를 집적하기에 적당한 갯수로 이송되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테이프카세트 집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각 조립라인에서 조립되어 낱개로 이송되어 나오는 테이프 카세트를 일정한 장소에 적재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낱개의 테이프카세트를 일일이 픽업하여 적재하였는바, 이는 많은 작업자를 필요로 하여 생산능률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낱개로 이송되는 테이프 카세트를 적재하기에 적당한 묶음으로 이송되도록 하여 적재작업을 수월하게 함으로써 인원감소 및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테이프카세트의 집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테이프카세트를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와, 상기 테이프카세트를 세우는 전환수단과, 상기 세워진 테이프카세트를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와, 상기 제2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테이프카세트를 밀착되게 이송하는 집적수단과, 상기 직접된 테이프카세트를 이송하는 제2실린더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카세트 집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테이프카세트를 세우는 전환수단과 세워진 카세트를 밀착되게 이송하는 집적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전환수단은, 각 조립공정으로부터 조립완료된 테이프카세트가 이송되어 나오는 제1컨베이어(1)와, 상기 제1컨베이어(1)보다 테이프카세트(C)의 폭(가로폭 또는 세로폭) 만큼 낮게 설치되는 제2컨베이어(2)와, 상기 제1컨베이어(1)로부터 제2컨베이어(2)로 테이프카세트(C)의 낙하지점 일측에 제1컨베이어(1)에서 누워져 이송되어 나오는 테이프카세트(C)가 제2콘베이어(2)에서는 세워져서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경사플레이트(3)를 구비하고, 상기 집적수단은, 상기 제2컨베이어(2)의 이송종료지점에 설치되어 테이프카세트(C)가 상기 적재판(4)에 적재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1센서(S1)와, 상기 제1센서(S1)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2컨베이어(2)의 이송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적재판(4)에 슬라이딩 이송가능한 제1실린더(5)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실린더(5)에 의해 이송된 테이프카세트(C)를 감지하는 제2센서(S2)에 의해서 상기 제1실린더(5)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테이프카세트(C)를 이송시키는 제2실린더(6)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컨베이어(2) 상부에는 상기 경사 플레이트(3)에 의해 세워지는 테이프카세트(C)가 안정되게 세워져 이송되도록 안내봉(7)을 설치하였다. 또한 상기 경사플레이트(3)는 곡면으로 형성하여서 테이프카세트(C)가 곡면에 슬라이딩되면서 세워지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카세트 집적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각 조립공정을 거쳐 조립완료된 테이프카세트(C)가 제1컨베이어(1)를 타고 이송되어 나오면, 제1b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상기 경사플레이트(3)에 의해 제2컨베이어(2)로 미끄러지면서 테이프카세트(C)가 세워지게 되고 안내봉(7)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적재판(4)에 적재되게 된다. 이때 제2a, b, c, d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상기 제1센서(S1)에 의해 테이프카세트(C)가 감지되면 상기 제1실린더(5)가 작동되어 상기 테이프카세트(C)를 상기 제2컨베이어(2)의 이송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송하게 된다. 이와같이 제2컨베이어(2)로부터 이송되어 나오는 테이프카세트(C)를 감지하고 이송시키는 제1센서(S1)와 제1실린더(5)의 작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테이프카세트(C)가 서로 밀착되어 밀리면서 제2센서(S2) 방향으로 일정갯수의 테이프카세트(C)가 집적되어 제2센서(S2)에서 테이프카세트(C)가 감지되면 제2실린더(6)가 작동되어 상기 제1실린더(5)의 이송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일정갯수의 테이프카세트(C)를 소정거리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일정갯수의 테이프카세트(C)를 적재장소에 적재하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카세트 집적장치는 조립완료된 테이프카세트를 경사플레이트(3)에 의해서 테이프카세트(C)를 세워서 이송시켜 일정갯수를단위묶음으로 이송하기까지 작업자의 수작업을 거치지 않고 적재장소까지 이송되어 나오므로 적은 작업자수로 손쉽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 테이프카세트 집적장치는 종래 조립완료되어 이송되어 나오는 테이프카세트를 하나 하나 픽업하여 적재하였던 것과는 달리 일정갯수의 테이프카세트를 한번에 적재할 수 있게 되므로 적은 작업인력으로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테이프카세트(C)를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1)와, 상기 테이프카세트(C)를 세우는 전환수단과, 상기 세워진 테이프카세트(C)를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2)와, 상기 제2컨베이어(2)로부터 이송되는 테이프카세트(C)를 밀착되게 이송하는 집적수단과, 상기 집적된 테이프카세트(C)를 이송하는 제2실린더(6)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카세트 집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이, 상기 제2컨베이어(2) 일측에 경사플레이트(3)를 구비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1)로부터 이송된 테이프카세트(C)가 경사플레이트(3)에 슬라이딩되어 세워지도록 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카세트 집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수단이 ; 상기 제2컨베이어(2)로 부터 이송된 테이프카세트(C)를 감지하는 제1센서(S1)와, 상기 제1센서(S1)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제2컨베이어(2)와 직각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테이프카세트(C)를 소정의 스트로크로 이송하는 제1실린더(5)를 구비하여 테이프카세트(C)가 밀착되어서 이송되도록 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카세트 집적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컨베이어(2)에 이송되는 테이프카세트(C)가 넘어지지 않도록 안내하는 안내봉(7)이 제2컨베이어(2) 상부에 더 구비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카세트 집적장치.
KR2019910020848U 1991-11-29 1991-11-29 테이프카세트 집적장치 KR9500030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0848U KR950003065Y1 (ko) 1991-11-29 1991-11-29 테이프카세트 집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0848U KR950003065Y1 (ko) 1991-11-29 1991-11-29 테이프카세트 집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938U KR930011938U (ko) 1993-06-25
KR950003065Y1 true KR950003065Y1 (ko) 1995-04-19

Family

ID=19323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0848U KR950003065Y1 (ko) 1991-11-29 1991-11-29 테이프카세트 집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06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578B1 (ko) * 2006-08-10 2008-10-28 대명전기주식회사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938U (ko) 199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89025B1 (en) Apparatus for gripping packages
CN108996233B (zh) 软托盘智能码垛系统
ATE490203T1 (de) Ein/aus lastöffnungsförderungssystem
US65885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loading and unloading piece goods
US5129777A (en) Load handling method and system
DE69007584D1 (de) Vorrichtung zum Transport einer vertikalen Last.
CN112455988A (zh) 出库分拣设备及其控制方法
KR950003065Y1 (ko) 테이프카세트 집적장치
US4674940A (en) Package storage system
CN212244893U (zh) 一种具有颠簸功能的传送带
US5454466A (en) Accumulating conveyor
CA2339451A1 (en) Sorting machine for stacks of sheet metal panels
KR960004056B1 (ko) 타이어용 자동 적재장치
CN211594143U (zh) 直线导轨自动码放输送线设备
FR2431445A1 (fr) Dispositif d'entrainement des charges sur des convoyeurs, notamment a rouleaux libres
CN112478757A (zh) 一种具有抓取功能物料传送设备
JP2718750B2 (ja) 円筒状物品の整列集積装置
CN207293308U (zh) 一种带格链条输送机
JPH0474247B2 (ko)
ATE257119T1 (de) Vorrichtung zum be- und entladen von rollenpaletten für fliesen
ATE270241T1 (de) Lagersystem für langgutpaletten
CN220145999U (zh) 一种自动安装卡件桁架机器人
KR19990026150U (ko) 랙컨베이어의 팰릿 이송장치
SU1357317A1 (ru) Вертикальный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KR870001128Y1 (ko) 제품 자동 이송 적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