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945Y1 - 측량기 평판의 원도 고정구 - Google Patents

측량기 평판의 원도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945Y1
KR950002945Y1 KR2019930008242U KR930008242U KR950002945Y1 KR 950002945 Y1 KR950002945 Y1 KR 950002945Y1 KR 2019930008242 U KR2019930008242 U KR 2019930008242U KR 930008242 U KR930008242 U KR 930008242U KR 950002945 Y1 KR950002945 Y1 KR 9500029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ircular
flat plate
map
screw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8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7075U (ko
Inventor
이인용
Original Assignee
이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용 filed Critical 이인용
Priority to KR2019930008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945Y1/ko
Publication of KR9400270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70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9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9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liding j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측량기 평판의 원도 고정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측량기 평판의 측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구 2 : 압착판
3 : 나사봉 4, 4a : 원형간
5 : 결착편 6 : 원형의 너트
본 고안은 일반적인 토목공사시에 사용되는 측량기 평판에 있어, 평판위에 얹혀지는 각종 지적도등의 원도를 고정하는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평판위의 엘리데이드등의 조준기등으로 측정되는 여러수치 및 지형, 위치 등을 기입하는 원도를 간단한 동작으로 평판에 밀착 고정시켜줌으로서 원도가 이탈될 우려가 없으며 여러서류를 중첩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도 고정장치는 통상의 집개 등을 사용하여 평판과 원도를 동시에 물어서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고정장치는 평판의 측면두께를 같이 물어주어야 했으므로 고정상태가 매우 불안정하여 원도 및 집개가 쉽게 이탈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많은 양의 서류를 중첩하여 고정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즉, 원도를 고정시키는 면이 평판 부위와 수평이 되지 못하고 상측방향으로 비스듬이 고정되어 중첩고정이 불가능한 것이다. 또한, 집개의 손잡이 부위가 지나치게 돌출되어 있어 측량작업시 작업자가 평판 주위를 돌며 여러각도로 측량을 할 때 작업복 등에 걸리게 되는 등 여러 폐단이 있어옴이 현실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상기의 결점을 해소코자 본 출원인에 의한 선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1-16685호 "측량기 평판의 원도 고정구"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의 고안은 스프링에 의해 압착판이 압압 및 해제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일측면이 손잡이부로서 일련의 동작을 담당케하는 것으로 평판의 측면에 다수가 고정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의 고안은 간혹 매우 큰 결점을 나타내는바 그것은 측정작업시 조준기등이 평판외부로 돌출될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고정구에 걸리게 되는 폐단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원은 상기의 선행고안이 갖는 이러한 제반결점을 보완코저 안출된 것으로 평판의 사방 측면에 고정구를 결착함에 있어, 나사봉과 결합된 너트를 회전하여 압착판을 상, 하 이동자재하게 하여 원도를 압압 내지 해제시킴이 가능한 것으로 조준기등이 돌출될시에는 압착판을 뒤로 회전하여 하강시킴으로 평판과 평면을 유지하게 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평판의 측면두께에 고정구를 결착함에 있어, 상기 고정구(1)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압착판(2)의 저부면 일측 끝단부에 나사봉(3)을 일체로 고착시키며, 상기 나사봉(3)이 삽지될 수 있게 원형간(4), (4a)이 상, 하 복수로 형성된 결착판(5)을 마련하되, 각 원형간(4), (4a)의 사이공간부를 통공시키고 이에 원형의 너트(6)가 내설되게 하여 나사봉(3)이 원형의 너트(6)와 결합될 수 있게 한 것으로 결착판(5)의 좌, 우측면에는 평판(7)과의 결착용 보울트 구멍(8)을 형성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9)는 평판의 요입부이고 (10)는 원도이다.
상기의 구성은 도면 제1도에 분리사시도로서 도시된 바 있으며 조립완성된 고정구는 도면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구(1)는 첨부도면 제3도의 단면도와 같이 최초, 평판(7)의 사방측면에 적절한 갯수로 결착되는데, 이때 압착판(2)을 뒤로 회전시켜 하향시킬시에 평판(7)과 수평면을 이루도록 평판(7) 측면에 고정시킴이 바람직하며 또한 원형의 너트(6)가 원활히 회전될 수 있게 평판(7) 측면에 요입부(9)가 형성됨이 필히 요망된다.
이후, 평판(7) 상면에 원도(10)를 놓고서 적이 측량 작업을 할시에 원형의 너트(6)를 정회전시키면 나사봉(3)이 상승하여 압착판(2)을 들어올리고 원도(10)가 제대로 위치를 잡으면 다시 역회전시켜 압착판(2)이 원도(10)의 측면을 압압시키게 되는 구성으로 측량작업시 조준기가 외부로 일부 돌출되어 본 고안의 고정구(1)에 걸릴 위험이 발생하면 다시 원형의 너트(6)를 정회전시켜 압착판(2)을 약간 상승시킨후 압착판(2)을 뒤로 회전시켜 재차 하향되게 한 것으로 조준작업이 끝나면 다시 원상복귀시킴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외부로의 돌출을 최소화하면서도 다양한 각도에서의 측량이 가능하게 하여 종래 본인의 선행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적이 해결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평판에 원도를 고정함에 있어, 고정구(1)에는 압착판(2)의 저부면 일측에 나사봉(3)을 제공하며, 나사봉(3)이 삽지될 원형간(4), (4a)을 갖는 결착판(5)을 마련하되, 각 원형간(4), (4a)의 사이에 통공이 형성되고 원형의 너트(6)가 내설되게 하여 나사봉(3)이 나착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측량기 평판의 원도 고정구.
KR2019930008242U 1993-05-17 1993-05-17 측량기 평판의 원도 고정구 KR9500029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8242U KR950002945Y1 (ko) 1993-05-17 1993-05-17 측량기 평판의 원도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8242U KR950002945Y1 (ko) 1993-05-17 1993-05-17 측량기 평판의 원도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7075U KR940027075U (ko) 1994-12-09
KR950002945Y1 true KR950002945Y1 (ko) 1995-04-17

Family

ID=1935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8242U KR950002945Y1 (ko) 1993-05-17 1993-05-17 측량기 평판의 원도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9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7075U (ko) 199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46245Y2 (ko)
US4488844A (en) Floating fastener retainer assembly with removable fasteners
DE68901444D1 (de) Vorrichtung zum fixieren mit einem bolzen an einem beton-konstruktionselement.
KR950002945Y1 (ko) 측량기 평판의 원도 고정구
EP0376111A3 (de) Testträger-Analysesystem
GB2020733A (en) Fasteners
US4041833A (en) Cap assembly for a nut and bolt
FR2356046A1 (fr) Accouplement par emboitement et son application aux organes de vissage
GB2019283A (en) Tool-fastener cooperation to retain fastener
JPS5467158A (en) Quick fastening bolt
ATE16834T1 (de) Vorrichtung zur schraubbefestigung von flachteilen.
JPS6021540Y2 (ja) ボルト固定装置
JPH068328Y2 (ja) 蟻溝用ボルトまたはナット
JPS5811931Y2 (ja) ワッシャ付捻子
JPS5839989Y2 (ja) 自動2輪車のドライブスプロケット取付装置
JPH0135936Y2 (ko)
JPS5830197Y2 (ja) 収納容器の外周面の測温装置
JPS6246752Y2 (ko)
JPS5840322Y2 (ja) 板材の取付け装置
JPS5815300Y2 (ja) パレツト
KR910004887Y1 (ko) 정위치 부착이 가능한 경첩
JPS6230573Y2 (ko)
US4012814A (en) Hose clamp body
JPH0217787Y2 (ko)
JPS5639841A (en) Automatic screw-driver for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