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497B1 - 액체세제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액체세제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497B1
KR950002497B1 KR1019920021535A KR920021535A KR950002497B1 KR 950002497 B1 KR950002497 B1 KR 950002497B1 KR 1019920021535 A KR1019920021535 A KR 1019920021535A KR 920021535 A KR920021535 A KR 920021535A KR 950002497 B1 KR950002497 B1 KR 950002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container
liquid detergent
supply pipe
discharg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2205A (ko
Inventor
장성연
Original Assignee
김영순
장성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순, 장성연 filed Critical 김영순
Priority to KR1019920021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497B1/ko
Publication of KR940012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4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체세제자동판매기
제 1 도는 본 발명의 액체세제자동판매기의 일부절개 개략사시도.
제 2 도a는 본 발명의 토출노즐의 단면도로서 그 내부에 구성된 첵크밸브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도.
제 2 도b는 제 2 도a의 토출노즐의 단면도로서 그 내부에 구성된 첵크밸브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도.
제 3 도a는 본 발명의 용기설치대의 평면도.
제 3 도b는 본 발명의 용기설치대의 평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세제토출장치가 구성된 액체세제자동판매기의 도식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개폐밸브의 다른 일예인 3/2-웨이솔레노이드밸브의 도식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개폐밸브의 또 다른 일예인 3/2-웨이솔레노이드밸브가 구성된 액체세제자동판매기의 도식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세제토출장치가 구성된 액체세제자동판매기의 도식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의 세제토출장치가 구성된 액체세제자동판매기의 도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세제통 B : 토출노즐
C : 세제토출장치 D : 캐비넷트
S : 용기설치공간 1, 1a, 1b, 1c : 세제공급관
1d : 세제복귀관 2 : 용기설치대
2a : 브라켓트 2b : 피봇트
2c : 취부판 2ca : 반원형홈
2cb : 전방안쪽부 2d : 인장스프링
3 : 첵크밸브 4 : 동전투입구
5 : 반출레바 6 : 반출구
7 : 세제선택스위치 8 : 스타트스위치
9 : 스톱스위치 10 : 램프
11 : 펌프 12 : 모타
13 : 개폐밸브 14: 어큐뮤레이터
20 : 첵크밸브 21 : 플런저
21a : 피스톤 22 : 로드
23 : 공압실린더 23a : 피스톤
24 : 첵크밸브 P : 압축공기공급장치
30 : 공기압축기 31 : 압축공기탱크
32 : 공기분배기 33 : 4/2-웨이솔레노이드밸브
34a, 34b, 34c : 공기호스 M : 압력유지장치
40 : 공기호스 41 : 필터
42 : 압력조절밸브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액체세제를 자동으로 판매하는 액체세제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대부분의 가정 및 호텔등의 숙박업소에서 여러 종류의 세제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식기세제, 세탁세제, 린스, 샴푸등의 액체세제는 이제 부유층, 서민층 할 것 없이 대부분의 가정에서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이 되었고, 그 사용량도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액체세제들은 대부분 합성수지로 만든 용기에 넣어져서 판매된다. 세제용기는 내용물을 다 쓰고 난 후에 폐기되는데, 폐기된 세제용기를 처리해야 하는 문제가 사회적으로 큰 골치거리로 대두되고 있다. 폐기된 세제용기를 처리하는 방식으로는 매장방식과 소각방식이 있는데, 매장방식은 세제용기가 합성수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썩지 않을 뿐만 아니라 땅을 오염시킨다는 문제를 안고 있으며, 세제용기가 넓은 매장공간을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소각방식은 소각과정에서 대기중으로 많은 유해가스를 배기시키게 되므로 대기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세제용기 폐기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세제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내용물만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세제제조과정에서는 액체세제를 용기에 담는 공정과 용기를 포장하는 공정이 대단히 어렵고 복잡하여 많은 제조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용기를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원료가 수입에 의존하는 원유로부터 추출하는 고가품이어서 용기가 제품가격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세제를 내용물만 자동으로 판매하는 세제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체세제를 구입하는데에 세제용기를 불필요하도록 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액체세제의 가격을 인하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액체세제자동판매기는,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세제통, 토출노즐, 그리고 세제통과 토출노즐을 연결하는 세제공급관상에 구성된 것으로서 세제판매시 상기 세제통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세제를 토출노즐쪽으로 공급하는 세제토출장치가, 전방에 세제를 담을 용기를 설치하기 위한 용기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용기설치공간에 용기설치대가 구성되어 있는 캐비넷트에 설치되어서 이루어져 있으며 ; 토츨노즐이 용기설치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용기설치대에 설치되면 용기의 세제주입구가 자동으로 토출노즐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 세제판매시 세제토출장치의 작동에 의해서 세제통의 액체세제가 유동하여 토출노즐을 통하여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액체세제자동판매기는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판매할 액체세제를 저장하는 세제통a, 액체세제를 최종적으로 토출하는 토출노즐b, 그리고 세제통a과 토출노즐b을 연결하는 세제공급관(1) 상에 구성된 것으로서 세제판매시 상기 세제통a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세제를 토출노즐b쪽으로 공급하는 세제토출장치(C)가, 전방에 세제를 담을 용기를 설치하기 위한 용기설치공간(S)이 형성되어 있고 용기설치공간(S)에 용기설치대(2)가 구성되어 있는 캐비넷트(D)에 설치되어서 이루어져 있으며 ; 토출노즐b이 용기설치대(2)의 상부에 설치되어 용기가 용기설치대(2)에 설치되면 용기의 세제투입구가 자동으로 토출노즐b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 세제판매시 세제토출장치(C)의 작동에 의해서 세제통a의 액체세제가 유동하여 토출노즐b을 통하여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세제통a, 토출노즐b, 세제공급장치(C) 및 용기설치대(2)는 판매되어질 세제의 종류와 같은 수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들어 판매되어질 세제가 식기세제, 세탁세제, 샴푸와 린스라면 상기 부품들은 각각 4개가 캐비넷트(D)에 설치된다.
토출노즐b의 내부에는 세제토출장치(C)가 세제토출작용을 정지할 때에 세제의 토출을 신속하게 차단하기 위해서 제 2 도a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첵크밸브(3)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도a는 첵크빌브(3)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제 2 도b는 첵크밸브(3)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토출노즐b은 캐비넷트(D)의 용기설치공간(S)상부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액체세제가 그 하부의 용기설치대(2)에 설치된 용기로 흘러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용기설치공간(S)의 용기설치대(2)는 여러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일예의 용기설치대(2)는 제 3 도a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기설치공간(S)의 측벽에 설치된 브라켓트(2a), 각각 상기 브라켓트(2a)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중앙안쪽부에 용기의 넥크(neck)부가 삽입되는 반원형홈(2ca)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안쪽부(2cb)는 용기의 넥크부가 용이하게 반원홈(2ca)쪽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라운드(round)되어 있는 2개의 취부판(2c), 그리고 양단이 상기 2개의 취부판(2c)에 고정되어 취부판(2c)들을 서로 끌어당기도록 하는 인장스프링(2d)으로 이루어져 있다.
용기는 그 넥크부를 취부판(2c)의 라운드된 전방안쪽부(2cb)에서 밀어넣으면 2개의 취부판(2c)이 벌어지면서 넥크부가 반원형홈(2ca)으로 삽입되어서 용기설치대(2)에 설치된다. 용기가 용기설치대(2)에 설치되면 용기의 세제주입구가 자동적으로 토출노즐b의 유출구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용기에 세제가 담겨진 후에 용기를 용기설치대(2)로부터 제거할 때에는 용기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2개의 취부판(2c)이 벌어지면서 용기가 제거된다.
용기설치대(3)는 전술한 형태이외에도 여러 변형예가 있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액체세제자동판매기의 캐비넷트(D)의 전면에는 동전을 투입하는 동전투입구(4), 동전을 반출하는 반출레바(5) 및 반출구(6), 원하는 세제를 선택하기 위한 세제선택스위치(7), 세제공급을 개시하기 위한 스타트스위치(8), 비상시 세제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스톱스위치(9), 토출되는 세제의 종류를 알려주기 위한 램프(10)가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액체세제자동판매기의 구성중에서 동전투입 및 반출, 세제선택, 램프작동, 그리고 동전투입에 의해서 동작하는 주스위치, 스타트스위치(8) 및 스톱스위치(9)의 작동을 위한 전기장치 및 회로, 그리고 기계장치에 대해서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은 세제판매시 액체세제를 세제통a에서 토출노즐b쪽으로 공급하는 세제토출장치(C)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세제토출장치(C)는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제 1 실시예의 세제토출장치가 구성된 본 발명의 액체 세제자동판매기의 도식도가 제 4 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의 세제토출장치는 세제통a에 있는 액체세제를 세제공급관(1a)을 통하여 흡입하여 세제공급관(1b)쪽으로 토출시키는 펌프(11) 및 모타(12), 그리고 펌프(11)에 연결되어 있는 세제공급관(1b)과 토출노즐b에 연결되어 있는 세제공급관(1c)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세제의 유동을 개폐하는 개폐밸브(13)로 이루어져 있다.
개폐밸브(13)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2/2-웨이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할 수도 있고, 제 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3/2-웨이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모타(12)와 펌프(11)가 작동하고 개폐밸브(13)가 개방되어 세제토출작용이 행해지다가 세제토출작용이 끝나 전류가 차단되면 개폐밸브(13)는 세제통로를 신속히 차단하지만 모타(12)와 펌프(11)는 관성에 의해서 계속 회전할려고 하기 때문에 펌프(11), 개폐밸브(13) 및 그 사이의 세제공급관(1b)에 순간적으로 고압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그때의 고압을 흡수하여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어큐뮤레이터(14)를 펌프(11)와 개폐밸브(13) 사이의 세제공급관(1b)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밸브(13)의 차단시 펌프(11), 개폐밸브(13) 및 그 사이의 세제공급관(1b)에 순간적으로 고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어큐뮤레이터(14)를 사용하는 대신에 다른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개폐밸브(13)와 세제통a의 내상부 사이에 세제복귀파이프(1d)를 추가로 설치하고 개폐밸브(13)는 제 6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열림상태에서는 세제공급관(1b)와 세제공급관(1c) 사이를 연통하고 닫힘상태에서는 세제공급관(1b)과 세제복귀관(1d)를 연통하도록 되어 있는 3/2-웨이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면, 개폐밸브(13)의 차단시 세제공급관(1b)에 유입되는 세제를 세제복귀관(1d)을 통하여 세제통a으로 복귀하므로 펌프(11), 개폐밸브(13) 및 그 사이의 세제공급관(1b)에 고압이 걸리지 않는다.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세제토출장치(C)가 구성된 본 발명의 액체세제자동판매기에는 모타(12) 및 펌프(11)의 작동시간과 개폐밸브(13)의 개방동작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머(미도시)가 구성되어 있다. 토출되는 세제의 양, 즉 판매되는 세제의 양은 모타(12) 및 펌프(11)의 작동시간과 개폐밸브(13)의 개방동작시간에 좌우되는데, 모타(12) 및 펌프(11)의 작동시간과 개폐밸브(13)의 개방동작시간은 상기 타이머에 의해서 설정된다.
따라서 예를들면 500원짜리 동전을 한개 투입했을 때 세제토출량이 0.5ℓ라면, 500원짜리 동전을 두개 투입했을 때의 세제토출량은 토출시간이 2배로 증가되어 1ℓ가 된다.
세제토출장치(C)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펌프(11) 및 모타(12)를 이용한 구성이외에도,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세제공급장치(C)의 제 2 실시예의 도식도가 제 7 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의 세제토출장치(c)는 일단이 세제통a의 내저부와 연결된 세제공급관(1a)상에 설치되어 있는 첵크밸브(20), 상기 세제공급관(1a)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 피스톤(21a)이 구성되어 있는 플런저(21), 로드(22)에 의해 상기 플러저(21)의 피스톤(21a)과 연결된 피스톤(23a)이 내장되어 있는 공압실린더(23), 상기 공압실린더(23)의 피스톤(23a)을 작동시키기 위한 압축공기공급장치(P), 그리고 일단이 상기 플런저(21)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이 토출노즐b에 연결되어 있는 세제공급관(1c)상에 설치되어 있는 첵크밸브(24)로 이루어져 있다.
압축공기공급장치(P)는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압축기(30), 공기호스(34a)에 의해서 상기 공기압축기(30)와 연결된 압축공기탱크(31), 상기 압축공기탱크(31)에 연결된 것으로서 작동할 공압실린더(23)쪽으로 공기를 분배하는 공기분배기(32), 공기호스(34b)에 의해서 상기 공기분배기(32)와 연결된 4/2-웨이솔레노이드밸브(33), 그리고 상기 4/2-웨이솔레노이드밸브(33)와 공압실리더(23)를 연결하는 공기호스(34c)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제공급관(1a)상에 설치되어 있는 첵크밸브(20)는 세제가 세제통a으로부터 플런저(21)로 유동하는 것은 가능하나 플런저(21)로부터 세제통a으로 역류하는 것은 방지하는 첵크밸브이고, 세제공급관(1c)상에 설치되어 있는 첵크밸브(24)는 세제가 플런저(21)로부터 토출노즐b로의 유동은 가능하나 토출노즐b로 부터 플런저(21)로의 역류는 방지하는 첵크밸브이다.
따라서 세제공급장치(C)의 작동시 세제공급관(1a)상의 첵크밸브(20)가 개방될 때는 세제공급관(1c)상의 첵크밸브(24)는 폐쇄되고, 첵크밸브(20)가 폐쇄될 때는 첵크밸브(24)는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세제공급관(1a) (1c)의 세제유동을 개폐하는 첵크밸브(20) (24) 대신에 각각 개폐솔레노이드를 설치하고, 전기장치에 의해서 2개의 개폐솔레노이드의 개폐작용이 반대로 행해지도록 구성하여도 첵크밸브(20) (24)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제 2 실시예의 세제공급장치(C)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세제판매시, 먼저 압축공기공급장치(P)의 압축공기의 공급에 의해 공압실린더(23) 및 플런저(21)의 피스톤(23a) (21a)을 후진시킨다. 이때 세제공급관(1a)상의 첵크밸브(20)는 개방되고 세제공급관(1c)상의 첵크밸브(24)는 폐쇄되어 세제통a의 세제가 플런저(21)내부로 유입된다. 다음에 압축공기공급장치(P)의 압축공기의 반대방향공급에 의해서 공압실린더(23) 및 플런저(21)의 피스톤(23a) (21a)을 전진시킨다. 그러면 세제공급관(1a)상의 첵크밸브(20)는 폐쇄되고 세제공급관(1c)상의 첵크밸브(24)는 개방되어 플런저(21)내부에 있던 세제가 토출노즐b을 통하여 토출된다.
판매되는 세제의 양, 토출노즐b을 통하여 토출되는 세제의 양은 피스톤(21a) (23a)의 왕복운동횟수에 의해서 좌우된다. 예를들어 500원짜리 동전 한개를 투입했을 때 피스톤(21a) (23a)이 1회 왕복운동하여 세제토출량이 0.5ℓ가 되면, 500원짜리 동전을 두개 투입했을 때의 세제토출량은 피스톤(21a) (23a)이 2회 왕복운동하여 1ℓ가 된다. 투입된 금액에 따라 피스톤(21a) (23a)의 왕복운동횟수를 설정하는 장치 및 전기 회로는 종래 알려진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의 세제토출장치(C)에 의한 세제토출작용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세제통a의 내부가 일정압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변형예의 도식도가 제 8 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의 세제토출장치(C)의 변형예는 제 2 실시예의 세제토출장치(C)는 그대로 구성되어 있고, 세제통a이 밀폐되어 있으며, 밀폐된 세제통a의 상부에 압력유지장치(M)가 연결되어 있다.
압력유지장치(M)는 압축공기공급장치(P)의 공기분배기(32)와 밀폐된 세제통a의 상부를 연결하는 공기호스(40)와, 상기 공기호스(40)상에 설치된 필터(41) 및 압력조절밸브(42)로 이루어져 있다.
필터(41)는 압축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시키고 압력조절밸브(42)는 세제통a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변형예의 세제토출장치(C)는 세제통a에 일정압력이 가해져 있으므로 공압실린더(23) 및 플런저(21)의 피스톤(23a) (21a)이 후진할 때 플런저(21)로의 세제유압이 원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액체세제자동판매기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액체세제가 판매되도록 되어 있다.
1) 필요한 금액의 동전을 동전투입구(4)에 투입하여 캐비넷트(D) 내부의 주스위치(미도시)를 온(ON)시킨다. 투입한 동전을 반환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출레바(5)를 작동시키면 반출구(6)로부터 동전이 반출된다.
2) 원하는 세제의 세제선택스위치(7)를 누른다. 세제선택스위치(7)를 누르면 해당램프(10)에 불이 들어온다. 또한 세제선택스위치(7)가 눌러지면 제 1 실시예의 세제토출장치(C)가 구성된 액체세제자동판매기의 경우는 투입된 동전의 금액과 선택된 세제의 따라 타이머에 의해서 모타(12) 및 개폐밸브(13)로의 통전시간이 설정되고, 제 2 실시예 및 그 변형예의 세제공급장치(C)가 구성된 액체세제자동판매기의 경우에는 고압실린더(23) 및 플런저(21)의 피스톤((23a) (21a)의 왕복운동횟수가 설정된다.
3) 세제를 담을 용기를 해당세제가 토출되는 토출노즐b 하부의 용기설치대(2)에 설치한다. 용기가 용기설치대(2)에 설치되면 용기의 세제주입구가 자동적으로 토출노즐b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1)항의 동전투입, 2)항의 세제선택, 그리고 3)항의 용기설치는 그 순서를 서로 바꾸어도 된다.
4) 스타트스위치(8)를 누른다. 이때 제 1 실시예의 세제토출장치(C)가 구성된 액체세제자동판매기의 경우는 타이머가 설정한 통전시간동안 모타(12) 및 펌프(11)가 작동하고 개폐밸브(13)가 개방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 2 실시예 및 그 변형예의 세제토출장치(C)가 구성된 액체세제자동판매기의 경우는 설정된 왕복운동횟수만큼 공압실린더(23) 및 플런저(21)의 피스톤(23a) (21a)이 왕복운동하기 때문에 세제통a에 저장된 세제가 토출노즐b을 통하여 토출되어 용기로 흘러들어간다.
5) 만약 용기의 크기가 적어 세제가 넘칠 우려가 있을 때에는 스톱스위치(9)를 눌러 세제토출을 중단시킨다.
6) 용기를 용기설치대(2)로부터 제거한다.
본 발명의 액체세제자동판매기는 소비자가 보유하고 있는 일정용기를 이용하여 반복해서 세제내용물만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수의 세제용기가 소비되지 않으며, 따라서 폐기되는 세제용기가 극히 적어지게 되어 환경오염을 크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제제조과정에서 액체세제를 용기에 담는 공정과 용기를 포장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제조시간이 단축되고 인건비가 절감되며, 용기원료비가 소요되지 않기 때문에 세제가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액체세제자동판매기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이외에도 본 발명의 창작범주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동전을 투입하는 대신에 지폐를 투입하거나 동전 및 지폐를 동시에 투입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개폐밸브(13)의 종류 및 갯수를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액체세제자동판매기가 세제통a, 토출노즐b, 그리고 세제통a의 세제를 토출노즐b로 토출시키는 세제토출장치(C)가 캐비넷트(D)에 설치되어 구성된 것이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Claims (5)

  1. 판매할 액체세제를 저장하는 세제통(A), 액체세제를 최종적으로 토출하는 토출노즐(B), 그리고 세제통(A)과 토출노즐(B)을 연결하는 세제공급관(1)상에 구성된 것으로서 세제판매시 상기 세제통(A)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세제를 토출노즐b쪽으로 공급하는 세제토출장치(C)가, 전방에 세제를 담을 용기를 설치하기 위한 용기설치공간(S)이 형성되어 있고 용기설치공간(S)에 용기설치대(2)가 구성되어 있는 캐비넷트(D)에 설치되어서 이루어져 있으며 ; 토출노즐b이 용기설치대(2)의 상부에 설치되어 용기가 용기설치대(2)에 설치되면 용기의 세제주입구가 자동으로 토출노즐b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 세제판매시 세제토출장치(C)의 작동에 의해서 세제통(A)의 액체세제가 유동하여 토출노즐(B)을 통하여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세제자동판매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세제토출장치(C)는 세제통(A)에 액체세제를 세제공급관(1a)을 통하여 흡입하여 세제공급관(1b)쪽으로 토출시키는 펌프(11) 및 모타(12), 그리고 펌프(11)에 연결되어 있는 세제공급관(1b)과 토출노즐(B)에 연결되어 있는 세제공급관(1c)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세제의 유동을 개폐하는 개폐밸브(13)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세제자동판매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세제토출장치(C)는 일단이 세제통(A)의 내저부와 연결된 세제공급관(1a)상에 설치되어 있는 첵크밸브(20), 상기 세제공급관(1a)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 피스톤(21a)이 구성되어 있는 플런저(21), 로드(22)에 의해 상기 플런저(21)의 피스톤(21a)과 연결된 피스톤(23a)이 내장되어 있는 공압실린더(23), 상기 공급실린더(23)의 피스톤(23a)을 작동시키기 위한 압축공기공급장치(P), 그리고 일단이 상기 플런저(21)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이 토출노즐(B)에 연결되어 있는 세제공급관(1c)상에 설치되어 있는 첵크밸브(2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세제자동판매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세제공급관(1a) (1c)상에 설치된 첵크밸브(20) (24) 대신에 각각 개폐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전기장치에 의해서 2개의 개폐솔레노이드밸브가 반대로 행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세제자동판매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세제통(A)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한 압력유지장치(M)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세제자동판매기.
KR1019920021535A 1992-11-17 1992-11-17 액체세제자동판매기 KR950002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1535A KR950002497B1 (ko) 1992-11-17 1992-11-17 액체세제자동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1535A KR950002497B1 (ko) 1992-11-17 1992-11-17 액체세제자동판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205A KR940012205A (ko) 1994-06-23
KR950002497B1 true KR950002497B1 (ko) 1995-03-20

Family

ID=1934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535A KR950002497B1 (ko) 1992-11-17 1992-11-17 액체세제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4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484B1 (ko) * 2002-01-31 2005-01-24 변현성 헤어 자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205A (ko) 199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1499B1 (en) Air pump bulk dispenser
US5268153A (en) Dispenser for solid-formed chemicals
EP2011913B1 (en) Laundry washing machine
US5507415A (en) Cup-type vending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beverages
RU254174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ирки белья
TR201802786T4 (tr) Bir çamaşır makinesi için bir dozlama düzeneğinin çalıştırılması için yöntem, dozlama düzeneği ve çamaşır makinesi.
US4527713A (en) Coin operated fragrance dispenser
US5074438A (en) Full service car wash fragrance dispensing machine
CA2092307C (en) Dispenser for solid detergents
US3021863A (en) Dispensing mechanism
US5651482A (en) Syrup delivery kit for vending system
KR950002497B1 (ko) 액체세제자동판매기
KR960015981B1 (ko)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KR950002402Y1 (ko) 액체세제자동판매기
EP0913513B1 (en) Device for housing washing agents in a washing machine with built-in air break
US2198811A (en) Liquid dispenser
US20010035436A1 (en) Double opening container
ITTO20111093A1 (it) Macchina distributrice di dosi di sostanze alimentari allo stato fluido
US4173126A (en) Machine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whipped cream
JPH03156177A (ja) 容器入り物品の定量注出装置
JPH03259391A (ja) 液体供給装置
KR200210828Y1 (ko) 세액투출장치
KR200269036Y1 (ko) 액체세제자동판매기
MX9702391A (es) Metodo para el drenado automatico de un producto para una maquina de envasado.
KR100274438B1 (ko) 복합자동판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