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301A -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301A
KR950002301A KR1019940015884A KR19940015884A KR950002301A KR 950002301 A KR950002301 A KR 950002301A KR 1019940015884 A KR1019940015884 A KR 1019940015884A KR 19940015884 A KR19940015884 A KR 19940015884A KR 950002301 A KR950002301 A KR 950002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data
areas
area
po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5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796B1 (ko
Inventor
나오끼 오까무라
노리유끼 다까오
히데또시 다까노
Original Assignee
킴바라 요시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쯔찌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바라 요시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쯔찌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킴바라 요시로
Publication of KR950002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90Buffering arrangements
    • H04L49/9047Buffering arrangements including multiple buffers, e.g. buffer po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90Buffe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90Buffering arrangements
    • H04L49/901Buffering arrangements using storage descriptor, e.g. read or write poin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1Inter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or service data unit [SDU] definitions; Interfaces between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Abstract

통신 채널(12)에서 수신된 데이타는 데이타 영역(200)에 저장된다. 리스트 영역(202)은 데이타 영역(200)에 대응하며 통신 데이타는 비워있는 리스트 관리 영역(204)에서 삭제되어 논리 검사 리스트 관리 영역(206)에 추가된다. 하위층 논리 검사부(40)에 의해 논리적으로 검사된 데이타 영역(200)에 대응하는 리스트 영역(202)은 논리 검사 리스트 관리 영역(206)에서 삭제되어 상위층 프로토콜 분류 리스트 관리 영역(208)으로 추가된다. 상위층 프로토콜 분류 처리부(42)에 의해 분류된 데이타 영역(200)에 대응하는 리스트 영역(202)은 비워있는 리스트 영역(204)에 추가된다. OSI 모델을 가지는 프로토콜에 관련된 데이타가 처리될 때, 데이타 저장에서 실제 데이타의 전송이 필요하지 않다.

Description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통신 제어 유닛에 있는 통신 제어부의 수신가능을 도시한 블럭도.

Claims (20)

  1.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데이타 영역을 가지며 이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 어느 한 영역에 통신 데이타를 저장할 능력이 있는 저장 수단(storage means)과, 다수의 데이타 영역의 통신 데이타에 대한 다층 구조의 처리를 실행하는 다층 구조의 처리 수단(multilayered processing means)으로서,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acture)를 이루는 다수의 층 지정 처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층 지정 처리중의 대응하는 한 수단과 각각 연관된 다수의 층 지정 처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각 다수의 층 지정 퍼리 수단은 처리되어야 할 통신 데이타가 저장된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 적어도 한 영역을 사용하는 동안 통신 데이타에 대한 층 지정 처리를 실행하도록 작동되는 상기 다층 구조의 처리 수단과, 목적지와 같은 다른 수단에 대한 소오스로서 층 지정 처리에 대응하는 다수의 상기 층 지정 처리 수단중 한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타 영역 리스트의 일부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데이타 영역 리스트 전달 수단으로서, 상기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는 통신 데이타가 소오스를 실시하며 목적지의 층 지정 처리를 실시하는 데이타 영역을 관리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다수의 데이타 영역 리스트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통신 매체를 거쳐 송수신 통신 데이타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송수신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다층 구조의 처리는 통신 매체를 거쳐 통신 데이타의 송신부와 수신부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다층 구조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처리이며, 상기 각 다수의 층 지정 프로세싱은 상기 다층 구조의 프로토콜을 규정하는 다수의 층 지정 프로토콜중 하나에 대응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영역 리스트는 상기 비워있는 영역 리스트 및/또는 데이타 영역 리스트에 의해 관리되는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 적어도 한 영역이 차지하는 상기 저장 수단의 메모리 공간을 지정하는 데이타 영역 포인터를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워있는 영역 리스트 및/또는 데이타 영역 리스트는,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 어느 한 영역에 대응하는 저장 수단에서, 자기 자신을 지정하는 자기-리스트 포인터와 관리되어야 할 다수의 리스트 영역중 다른 영역을 각각 지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리스트 포인터와 상기 데이타 영역 포인터를 지정하며, 또한 다수의 리스트 영역의 인접한 리스트 포인터중 적어도 하나를 거쳐 환형으로 순차 연결된 다수의 리스트 영역과, 상기 저장 수단에서, 상기 비워있는 영역 리스트 및/또는 데이타 영역 리스트에 의해 관리되어야 할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는 리스트 체인 포인터와, 상기 비워있는 영역 리스트 및/또는 데이타 영역 리스트에 의해 관리되어야 할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 적어도 하나의 번호를 나타내는 리스트 깊이 포인터를 저장하는 리스트 관리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의 전달과 소오스와의 연결에 대해서, 전달되어야 할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에 관계된 데이타 영역에 대응하는 리스트 영역의 자기-리스트 포인터가 상기 리스트 체인 포인터일때, 리스트 전달 수단은, 전달되어야 할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와 관계있는 데이타 영역에 대응하여 전달되어야 할 각각의 리스트 영역에 직접 연결된 두 리스트 영역중 하나에 있는 인접한 리스트 포인터의 적어도 하나의 내용을 상기 두 리스트 영역중 다른 하나의 자기-리스트 포인터를 지정하는 내용으로 변화시키고, 리스트 깊이 포인터를 하나 감소시키고, 리스트 체인 포인터를 상기 두 리스트 영역중 다른 하나를 지정하는 내용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소오스의 리스트 영역의 체인에서 전달되는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와 관계있는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다수의 리스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를 삭제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의 전달과 소오스와의 연결에 대해서, 리스트 전달 수단은, 수신되어야 할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와 관계있는 데이타 영역의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리스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에 있는 인접한 리스트 포인터의 적어도 하나의 내용을 리스트 체인 포인터에 의해 지정된 리스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는 내용으로 변화시키고, 리스트 깊이 포인터를 하나 증가시키고, 리스트 체인 포인터의 내용을 수신되어야 할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와 관계있는 데이타 영역의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리스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는 내용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목적지의 리스트 영역의 체인으로 수신되어야 할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에 관련하여 데이타 영역의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리스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인접한 포인터와 리스트 체인 포인터는 리스트 영역의 체인 양방향으로 따르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
  8.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데이타 영역을 가지며 이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 어느 한 영역에 통신 데이타를 저장할 능력이 있는 저장 수단(storage means)과, 사용하지 않는 다수의 데이타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수신되거나 또는 전송되는 통신 데이타를 저장하는 제1데이타 전송 수단과, 다수의 데이타 영역의 통신 데이타에 대한 다층 구조의 처리를 실행하는 다층 구조의 처리 수단(multilayered processing means)으로서,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acture)를 이루는 다수의 층 지정 처리를 포함하며, 상기 층 지정 처리중의 대응하는 한 수단과 각각 연관된 다수의 층 지정 처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층 지정 처리 수단은 처리되어야 할 통신 데이타가 저장된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 적어도 한 영역을 사용하여 통신 데이타에 대한 층 지정 처리가 실행되도록 작동하는 상기 다층 구조의 처리 수단과, 제1데이타 전송 수단이 상기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의 어느 한 영역에 통신 데이타를 저장할 때 비워있는 영역 리스트(vacant area list)에서 데이타 영역 리스트로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를 전송하는 새로운 데이타 영역 리스트 전달 수단으로서, 상기 비워있는 영역 리스트는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소오스로서 상기 다수의 층 지정 처리 수단중의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며, 상기 데이타 영역 리스트는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소오스로서 다수의 층 지정 처리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하는 통신 데이타를 저장한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는 상기 새로운 데이타 영역 리스트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통신 매체를 거쳐 송수신 통신 데이타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송수신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다층 구조의 처리는 통신 매체를 거쳐 통신 데이타의 송신부와 수신부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다층 구조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처리이며, 상기 각 다수의 층 지정 처리는 상기 다층 구조의 프로토콜을 규정하는 다수의 층 지정 프로토콜중 하나에 대응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워있는 영역 리스트 및/또는 데이타 영역은 이 비워있는 영역 리스트 및/또는 데이타 영역에 의해 관리되는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 적어도 하나가 차지하는 저장 수단의 메모리 공간을 저장하는 데이타 영역 포인터를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워있는 영역 리스트 및/또는 데이타 영역 리스트는,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 어느 한 영역에 대응하는 저장 수단에서, 자기 자신을 지정하는 자기-리스트 포인터와 관리되어야 할 다수의 리스트 영역중 다른 영역을 각각 지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리스트 포인터와 상기 데이타 영역 포인터를 지정하며, 또한 다수의 리스트 영역의 인접한 리스트 포인터중 적어도 하나를 거쳐 환형으로 순차 연결된 다수의 리스트 영역과, 상기 저장 수단에서, 상기 비워있는 영역 리스트 및/또는 데이타 영역 리스트에 의해 관리되어야 할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는 리스트 체인 포인터와, 상기 비워있는 영역 리스트 및/또는 데이타 영역 리스트에 의해 관리되어야 할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 적어도 하나의 번호를 나타내는 리스트 깊이 포인터를 저장하는 리스트 관리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의 전달과 소오스와의 연결에 대해서, 전달되어야 할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에 관계된 데이타 영역에 대응하는 리스트 영역의 자기-리스트 포인터가 상기 리스트 체인 포인터일때, 리스트 전달 수단은, 전달되어야 할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와 관계있는 데이타 영역에 대응하여 전달되어야 할 각각의 리스트 영역에 직접 연결된 두 리스트 영역중 하나에 있는 인접한 리스트 포인터의 적어도 하나의 내용을 상기 두 리스트 영역중 다른 하나의 자기-리스트 포인터를 지정하는 내용으로 변화시키고, 리스트 깊이 포인터를 하나 감소시키고, 리스트 체인 포인터를 상기 두 리스트 영역중 다른 하나를 지정하는 내용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소오스의 리스트 영역의 체인에서 전달되는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와 관계있는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다수의 리스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를 삭제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의 전달과 소오스와의 연결에 대해서, 리스트 전달 수단은, 수신되어야 할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와 관계있는 데이타 영역의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리스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에 있는 인접한 리스트 포인터의 적어도 하나의 내용을 리스트 체인 포인터에 의해 지정된 리스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는 내용으로 변화시키고, 리스트 깊이 포인터를 하나 증가시키고, 리스트 체인 포인터의 내용을 수신되어야 할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와 관계있는 데이타 영역의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리스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는 내용을 변화시킴으로써, 목적지의 리스트 영역의 체인으로 수신되어야 할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에 관련하여 데이타 영역의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리스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구조의 처리를 시작하기 전에 모든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를 비워있는 영역 리스트에 추가하는 수단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
  15.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데이타 영역을 가지며 이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 어느 한 영역에 통신 데이타를 저장할 능력이 있는 저장 수단과, 통신 데이타가 저장된 다수의 데이타 영역에서 다층 구조의 처리를 실시하는 통신 데이타를 판독하는 제2데이타 전송 수단으로서, 상기 다층 구조의 처리는 계층적 구조를 이루는 다수의 층 지정 처리가 포함된 상기 제2데이타 전송 수단과, 다수의 데이타 영역에서 다층 구조의 처리를 통신 데이타로 실행하는 다층 구조의 처리 수단으로서, 상기 다수의 층 지정 처리중의 대응하는 한 수단과 각각 연관된 다수의 층 지정 처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다수의 층 지정 처리 수단은 처리되어야 할 통신 데이타가 저장된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 적어도 한 영역을 사용하여 통신 데이타에 대한 층 지정 처리가 실행되도록 작동하는 상기 다층 구조의 처리 수단과, 제2데이타 전송 수단이 상기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의 어느 한 영역에 통신 데이타를 판독할 때 데이타 영역 리스트에서 비워있는 영역 리스트로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를 전송하는 비워있는 데이타 영역 리스트 전달 수단으로서, 상기 비워있는 영역 리스트는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소오스로서 상기 다수의 층 지정 처리 수단중의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며, 상기 데이타 영역 리스트는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소오스로서 다수의 층 지정 처리중 하나를 실시하며 또한 다수의 층 지정 처리중의 적어도 하나를 실시하는 통신 데이타를 저장한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는 상기 비워있는 영역 리스트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통신 매체를 거쳐 송수신 통신 데이타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송수신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다층 구조의 처리는 통신 매체를 거쳐 통신 데이타의 송신부와 수신부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다층 구조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처리이며, 상기 각 다수의 층 지정 처리는 상기 다층 구조의 프로토콜을 규정하는 다수의 층 지정 프로토콜중 하나에 대응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비워있는 영역 리스트 및/또는 데이타 영역은 이 비워있는 영역 리스트 및/또는 데이타 영역에 의해 관리되는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 적어도 하나가 차지하는 저장 수단의 메모리 공간을 저장하는 데이타 영역 포인터를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처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워있는 영역 리스트 및/또는 데이타 영역 리스트는,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 어느 한 영역에 대응하는 저장 수단에서, 자기 자신을 지정하는 자기-리스트 포인터와 관련되어야 할 다수의 리스트 영역중 다른 영역을 각각 지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리스트 포인터와 상기 데이타 영역 포인터를 지정하며, 또한 다수의 리스트 영역의 인접한 리스트 포인터중 적어도 하나를 거쳐 환형으로 순차 연결된 다수의 리스트 영역과, 상기 저장 수단에서, 상기 비워있는 영역 리스트 및/또는 데이타 영역 리스트에 의해 관리되어야 할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는 리스트 체인 포인터와, 상기 비워있는 영역 리스트 및/또는 데이타 영역 리스트에 의해 관리되어야 할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 적어도 하나의 번호를 나타내는 리스트 깊이 포인터를 저장하는 리스트 관리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의 전달과 소오스와의 연결에 대해서, 전달되어야 할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에 관계된 데이타 영역에 대응하는 리스트 영역의 자기-리스트 포인터가 상기 리스트 체인 포인터일때, 리스트 전달 수단은, 전달되어야 할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와 관계있는 데이타 영역에 대응하여 전달되어야 할 각각의 리스트 영역에 직접 연결된 두 리스트 영역중 하나에 있는 인접한 리스트 포인터의 적어도 하나의 내용을 상기 두 리스트 영역중 다른 하나의 자기-리스트 포인터를 지정하는 내용으로 변화시키고, 리스트 깊이 포인터를 하나 감소시키고, 리스트 체인 포인터를 상기 두 리스트 영역중 다른 하나를 지정하는 내용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소오스의 리스트 영역의 체인에서 전달되는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와 관계있는 다수의 데이타 영역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다수의 리스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를 삭제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의 전달과 소오스와의 연결에 대해서, 리스트 전달 수단은, 수신되어야 할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와 관계있는 데이타 영역의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리스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에 있는 인접한 리스트 포인터의 적어도 하나의 내용을 리스트 체인 포인터에 의해 지정된 리스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는 내용으로 변화시키고, 리스트 깊이 포인터를 하나 증가시키고, 리스트 체인 포인터의 내용을 수신되어야 할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와 관계있는 데이타 영역의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리스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는 내용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목적지의 리스트 영역의 체인으로 수신되어야 할 데이타 영역 관리 정보에 관련하여 데이타 영역의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리스트 영역의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40015884A 1993-06-30 1994-06-30 통신 데이터 처리 장치 KR9700117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161044A JPH0778113A (ja) 1993-06-30 1993-06-30 通信データ処理装置
JP93-161044 1993-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301A true KR950002301A (ko) 1995-01-04
KR970011796B1 KR970011796B1 (ko) 1997-07-16

Family

ID=15727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5884A KR970011796B1 (ko) 1993-06-30 1994-06-30 통신 데이터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74657A (ko)
EP (1) EP0632628B1 (ko)
JP (1) JPH0778113A (ko)
KR (1) KR970011796B1 (ko)
AU (1) AU664951B2 (ko)
DE (1) DE6943333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1897B2 (ja) * 1996-03-29 2003-06-30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並びに方法
US6775284B1 (en) 2000-01-07 2004-08-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frame and protocol classification
KR101357162B1 (ko) * 2007-03-30 2014-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호스트 장치와 usb 장치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장치,방법 및 시스템
US8782309B2 (en) * 2009-12-04 2014-07-15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Method and apparatus for suggesting data for dele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78113A (ja) 1995-03-20
EP0632628A3 (ko) 1995-01-25
EP0632628A2 (en) 1995-01-04
KR970011796B1 (ko) 1997-07-16
US5774657A (en) 1998-06-30
EP0632628B1 (en) 2003-11-19
DE69433334T2 (de) 2004-08-26
AU664951B2 (en) 1995-12-07
DE69433334D1 (de) 2003-12-24
AU6599894A (en) 199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9220C (zh) 用于单信道双向无线通信的半双工通用异步收发信机控制器
CN101098304A (zh) 路由器和地址标识信息管理服务器
AU200329623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data in communication device
CN110430286A (zh) Cdn系统中获取资源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950002301A (ko) 통신 데이타 처리 장치
US20050065642A1 (en) Transport system, in particular an airport luggage transport system, and a controller for a transport system
KR20020057311A (ko) 배송품의 배송정보 제공방법 및 배송시스템
CN108241934A (zh) 数据查询方法与装置
CN101437018B (zh) 条件式知识即时分享系统及其方法
JPH0784857A (ja) リレー式ファイル転送方式
EP03449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bit streams
JPH05130366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H07111698B2 (ja) セション管理処理方法
JPH01200847A (ja) パケット送信制御方式
JPH02217927A (ja) メッセージ通信管理装置
JPH02105758A (ja) アドレッシングテーブル変更方式
WO1999041879A3 (fr) Telecopieur pour un reseau informatique tel que l'internet
JPH0522306A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
JPH0533862B2 (ko)
JP3233979B2 (ja) データ伝送方式
FI74563B (fi) Kopplingsanordning foer kvittering av anropssignaler genom att ge kvitteringssignaler foer anropet i en oeverfoeringsanordning, speciellt i en data- och teleprinteroeverfoeringsanordning.
JPH07143133A (ja) メモリ共用多層プロトコル処理装置
JP2588171B2 (ja) デ−タ伝送方法
JP2001195320A (ja) 宛先制御方法および宛先制御装置
JPH0662457A (ja) 車両用多重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