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281Y1 - 비데오 카세트 테이크업릴의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오 카세트 테이크업릴의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281Y1
KR950002281Y1 KR2019900005847U KR900005847U KR950002281Y1 KR 950002281 Y1 KR950002281 Y1 KR 950002281Y1 KR 2019900005847 U KR2019900005847 U KR 2019900005847U KR 900005847 U KR900005847 U KR 900005847U KR 950002281 Y1 KR950002281 Y1 KR 9500022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take
brake
lever
brak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58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878U (ko
Inventor
손희철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58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281Y1/ko
Publication of KR9100208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8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2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2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2Stop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6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externally-engaging brak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9/00Brakes with a braking member co-operating with the periphery of a drum, wheel-rim,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데오 카세트 테이크업릴의 브레이크 장치
제l도는 종전 브레이크 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 브레이크 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브레이크 장치가 동작하는 상태를 표시한 브레이크 장치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장치중 테이크업 릴의 분해도.
제5도는 슬라이드 레버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릴디스크 3 : 클러치기어
4 : 마찰면 5 : 기어
8 : 슬라이드레버 7 : 브레이크작동레버
9 : 스프링
본 고안은 비디오 카셋트 데크에서 테이크업 릴이 정회전을 하다가 역회전을 할매 테이크업릴을 잡아주는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비디오 카셋트 데크에서는 테이크업 릴에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테이크업릴 정회전을 하다가 역회전을 하면 테이크업 릴이 지나치게 회전이 되어 비디오 테이프가 지나치게 풀리어 느슨하게되는 폐단을 방지하고자 한것이다.
이와같은 목적하의 종전 브레이크 장치는 제1도와 같이 테이크업 릴이 브레이크(10)가 별도 캠기어의 구동장치에 의해 테이크업릴을 잡아주도록 되어 있는데 이것은 브레이크 이외에 브레이크를 작동시킬수 있는 복잡한 캠기어 구동장치가 필요하고 또 테이크업릴의 역회전과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타이밍이 잘맞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종전과 같은 복잡한 캠기어 구동 장치카 필요 없고 테이크업릴이 역회전 즉시 브레이크가 작동할수 있도록 안출한 것인데,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먼저, 기존의 테이이크 업 릴의 구조를 개량하여 릴디스크의 상부와 하부를 분리하고 그 사이에 별도의 클러치 기어를 설치하되 상단에는 압축 스프링(6)을 삽입하고 릴디스크의 하부면 상단에는 마찰면을 혈성하여, 클러치기어와의 사이에 마찰 저항이 증대되도록 하였다.
또한 브레이크 작동레버의 끝단이 클러치기어의 치와 치사이에 끼워져서 클러치기어가 완전하게 정지 할수있도록 하였으며, 릴디스크 상단부와 접하여서 일정구간 만큼만 정, 역회전시 따라 움직이는 슬라이드레버를설치하고 스프링으로 브레이크 작동레버와 연결하므로서 슬라이드레버가 정, 역회전함에 따라 브레이크 작동레버가 클러치기어와 접하거나 떨어지게 하였다.
이하 본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는 테이크업릴(1)을 릴디스크(2)와 기어부(5)로서 분리한후 그 중간에는 별도의 콜러치기어(3)를 끼워 설치하되 릴디스크(2)와 클러치기어(3)사이에는 압축스프링(6)을 끼우고 기어부(5)의 상면에는 마찰면(4)을 형성한다.
이때, 릴디스크(2), 콜러치기어(3), 기어부(5)는 동일 축상에 설치되며 릴디스크와 기어부(5)는 항시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테이크업릴(1)의 측면에는 클러치기어(3)에 접할수 있고 동일 높이로서 브레이크 작동레버(7)가 설치되며, 이의 측면에는 일측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중앙의 일부만이 테이크업 릴과 접할수 있는 원둘레(B)를갖고 고정설치원 쪽과 타측끝 부분은 테이크업릴과 접할수 없는 원둘레(A)(C)를 가지는 반달형의 슬라이드레버(8)를 회전자재하게 설치하며 슬라이드레버(8)와 브레이크작동레버(7) 사이에는 스프링(9)을 설치하여서 된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2도에서와 같이 테이크업릴(1)이 정회전을 하게되면 슬라이드레버(8)는 중앙부가 테이크업릴과 접촉되어 있으므로 같이 회전이되어 스프링(9)이 압축이되며 브레이크 작동레버(7)를 밀어주게되어 브레이크 작동레버(7)는 클러치기어(3)에서 이격되어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때 슬라이드레버의 중앙부분 즉, 테이크업릴과 접할 수 있는 원둘레 부분이 끝나면 슬라이드레버(8)는 더이상 회전을 하지 못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테이크업 릴(1)이 역회전을 하게되면 제3도와 같이 슬라이드레버(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므로 스프링(9)도 따라 회전을 하고 또 브레이크 작동레버(7)도 따라 회전을 하므로 브레이크 작동레버(7)의 끝단이콜러치 기어(3)에 결합되어 클러치기어(3)의 회전은순간적으로 멈춤과 동시에, 테이프가 당기는 힘에 의하여 릴디스크(2)와 기어부(5)는 기어부(5)의 마찰면(4)이 클러치기어(3)와 접하여 강한 마찰저항을 일으키며 천천히 회전이되어 테이프는 너무 많이 풀리거나 느슨하게 되지 않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종전보다 간편한 구조이면서도 테이크업릴이 역회전할때 정확하게 브레이크 작용을하여 테이프가 지나치게 풀리거나 느슨하게 되는 폐단이 전혀 없으며, 테이크업 릴의 역회전과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타이밍이 잘맞지 않는 폐단도 전혀 없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테이크업릴(1)을 릴디스크(2)와 마찰면(4)이 형성된 기어부(5)로 분리하여 이사이에 클러치기어(3)를 스프링(6)과 함께 결합하고, 테이크업릴(1)의 측면에는 브레이크 작동레버(7)와 둘레면이 테이크업릴(1)의 원둘레면과 접할수 없는 부분, 접할수 있는 부분, 접할수 없는 부분으로 구성된 반달형의 슬라이드레버(8)를 설치하고 양자를 스프링(9)으로 연결시켜서된 비데오 카세트 테이크업 릴의 브레이크 장치.
KR2019900005847U 1990-05-04 1990-05-04 비데오 카세트 테이크업릴의 브레이크 장치 KR9500022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5847U KR950002281Y1 (ko) 1990-05-04 1990-05-04 비데오 카세트 테이크업릴의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5847U KR950002281Y1 (ko) 1990-05-04 1990-05-04 비데오 카세트 테이크업릴의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878U KR910020878U (ko) 1991-12-20
KR950002281Y1 true KR950002281Y1 (ko) 1995-03-30

Family

ID=19298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5847U KR950002281Y1 (ko) 1990-05-04 1990-05-04 비데오 카세트 테이크업릴의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2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878U (ko) 199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5009A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for video cassette recorder
KR950002281Y1 (ko) 비데오 카세트 테이크업릴의 브레이크 장치
KR930006067B1 (ko) 차단기구
US3195362A (en) Unidirectional step clutch
KR940004379Y1 (ko) 카세트 데크의 순간 정지시 자동 정지 방지장치
KR0133879Y1 (ko) 기록/재생장치의 릴
KR920007721Y1 (ko) 워크맨 오토리버스
US4788607A (en) Tape winding end detecting device of tape recorder
KR940001203Y1 (ko) 자기기록 및 재생기용 릴의 일방향 클러치장치
KR0132261Y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릴 제동장치
KR0117900Y1 (ko) 브레이크 작동장치
KR870002528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암 스톱퍼 장치
KR910006343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자동반전장치
KR900000507Y1 (ko) 카트리지(Cartridge) 잠금장치
KR940001108Y1 (ko) 로직데크의 키 오프(Key Off)장치
US3498619A (en) Phonograph pause control
JPS5862480U (ja) カセツト式テ−プレコ−ダ−の動作切換機構
KR940005800Y1 (ko) 브이씨알의 릴 구동 테이블의 소프트 브레이크 장치
KR900008787Y1 (ko) 카세트 테이프 오 장착시 플레이 동작 거부 장치
KR0117892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 구동장치
JPH0245254B2 (ja) Teepuhikidashikiko
KR900005634Y1 (ko) Vtr의 아이들러 클러치 가이드 장치
KR950012188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브레이크 장치
KR870001637Y1 (ko) 비디오테이프 레코오더의 강브레이크 동작장치
KR950002287Y1 (ko) 아이들러(idler)의 2단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