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840Y1 - 주파수측정장치를 갖춘 듀티솔레노이드밸브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주파수측정장치를 갖춘 듀티솔레노이드밸브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840Y1
KR950001840Y1 KR2019890020013U KR890020013U KR950001840Y1 KR 950001840 Y1 KR950001840 Y1 KR 950001840Y1 KR 2019890020013 U KR2019890020013 U KR 2019890020013U KR 890020013 U KR890020013 U KR 890020013U KR 950001840 Y1 KR950001840 Y1 KR 950001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uty
valve
driv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200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825U (ko
Inventor
한성국
Original Assignee
기아산업 주식회사
김선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산업 주식회사, 김선홍 filed Critical 기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200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840Y1/ko
Publication of KR9100118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8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8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파수측정장치를 갖춘 듀티솔레노이드밸브구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배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5 : 일반전원입력부 13, 34 : 출력신호단자
2, 36 : 퓨즈 14 : 출력선택스위치
4 : 정전압회로부 15 : 밸브구동부
5, 29 : 리셋트스위치 16, 28 : 밸브구동표시등
6, 25 : 모드선택스위치 17 : 파형정형부
7, 26 : 측정장치표시등 18 : 센서선택스위치
8, 27 : 구동장치표시등 19, 33 : 입력단
9, 31 : 입력스위치군 20 : 마이크로프로세서
11 : 표시기구동부 12,21 : 표시기
22 : 주파수/차속표시기 24 : 튜티표시기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용 전자장치에 펄스입력신호의 계측 및 솔레노이드밸브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동주파수 및 듀티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된 주파수측정 장치를 갖춘 듀티솔레노이드밸브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종래의 자동차용 펄스신호 측정장치는 센서의 출력신호와 측정장치의 허용신호레벨이 서로 일치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센서의 출력신호와 측정장치의 허용신호 레벨의 측정이 곤란하였고, 또 차속을 측정할 경우 자동차제어장치의 입력센서신호로 부터 차속을 측정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제어장치에서의 입력차속과는 상당한 오차가 발생되게 된다. 또한 듀티솔레노이드밸브구동장치는 특정솔레노이드 밸브의 구동신호만을 출력하여 특정밸브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해서 고안된 것으로 자동차용 듀티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주파수 및 듀티를 측정하거나 구동주파수 및 듀티를 가변시켜 구동시 차량의 센서로부터 펄스신호의 주파수 및 듀티를 측정해서 차속으로 변환시켜 차량 제어장치의 입·출력신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주파수측정장치를 갖춘 듀티솔레노이드밸브구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고안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반전원을 연결하는 일반전원연결부(1, 35)와, 과부하로부터 장치를 보호하는 퓨즈(2, 36), 밧데리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밧데리 전원입력부(3, 37), 전원을 장치의 정격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전압회로부(4), 장치를 초기화시키는 리셋트스위치(6, 25), 측정장치가 작동 중임을 나타내는 측정장치표시등(7, 26), 구동장치가 작동 중임을 나타내는 구동장치표시등(8, 27), 듀티 및 센서의 극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된 입력스위치군(9, 31), 주파수와, 차속, 튜티 및 센서의 극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된 입력스위치군(9, 31), 주파수와, 차속, 듀티 및 극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된 기능선택스위치(10, 32), 표시기를 구동시키는 표시기구동부(12), 장치의 모든 상태를 표시하는 전체 표시부(12, 21), 주파수와 차속을 표시하는 주파수/차속표시기(222), 센서의 극수를 나타내는 센서극수표시기(23), 듀티를 나타내는 듀티표시기(24), 밸브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13, 34), 출력신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된 출력선택스위치(14), 밸브를 구동시키는 밸브구동부(15) 밸브구동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밸브구동단자(38), 밸브의 구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밸브구동표시등(16, 28), 입력신호파형을 정형하는 파형정형부(17), 센서의 종류에 따라 입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된 센서선택스위치(18), 측정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단자(19, 33), 각종 연산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 및,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30)로 구성되어 있다.
(작용)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센서의 종류 및 측정신호에 따라 측정장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구동주파수 및 듀티를 가변시켜 특정 밸브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펄스신호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된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해서 본 고안에 따른 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정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배면도로서, 먼저 장치에 전원을 연결시킨 다음 전원스위치(30)을 온시키면, 정전압회로부(4)에 의해 일정전압으로 변환된 장치에 대한 전원이 마이크로프로세서(20)에 공급되어 주파수 측정장치와 구동장치중 구동장치로 사용할 수 있게 초기화되면서 구동장치표시등(8, 27)이 켜지게 된다. 이때 장치의 초기화에 따른 구동 주파수와 듀티가 주파수/차속표시기(22)와 듀티표시기(24)에 표시되며 밸브구동단자(38)로 출력신호를 출력시키게 되는데, 특정 밸브를 구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밸브구동단자(38)의 연결콘넥터를 빼면 출력신호단자(13, 34)로 펄스신호만을 출력시키게 된다. 또, 구동주파수를 변경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기능선택스위치(10, 32)의 해당키를 누르게 되면 주파수/차속표시기(22)에 표시된 주파수가 점멸되어 새로운 값의 입력에 대해 대기상태로 되게 된다.
그리고 기능선택스위치군(10, 32)의 해당키를 누를 때 마다 기억된 여러주파수가 표시되게 되는데, 이때 원하는 주파수가 표시되었을 때 입력스위치군(9, 31)중 해당되는 키를 누르게 되면 새로운 듀티값으로 출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주파수측정장치로 사용코자 할 때에는 모드선택스위치(6, 25)을 누르게 되면 특정장치표시등이 켜지게 되고, 이후 마이크로프로세서(20)를 초기화시키는 리셋트스위치(5, 29)를 누르면 측정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초기화가 실행된다.
여기서 측정하고자 하는 신호를 연결할 경우 센서의 종류에 따라 입력단자(19, 33)에 신호를 연결하고, 또 센서를 극수를 조정할 경우에는 기능선택스위치군(10, 32)의 해당키를 누른 다음 센서의 극수를 입력시키면 된다. 그리고 측정된 주파수를 차속으로 변환할 경우에는 기능선택스위치군(10, 32)중 해당되는 키를 누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20)에서 센서의 극수와 측정된 주파수의 관계를 이용해서 환산이 이루어져 주파수/차속표시기(22)에 표시되게 된다.
[고안의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본 장치는 자동차센서의 종류 및 측정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신호 및 차속에 대해 제어장치에서의 측정치와 오차를 줄일 수 있고, 또 구동주파수 및 듀티를 가변시켜 특정 밸브를 구동시킴과 더불어 신호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 듀티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동시킬 수 있으면서 측정장치와 구동장치의 기능을 복합화하여 단순히 스위치만으로 측정장치와 구동장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소형 및 다기능화를 도모할 수 있게0된다.

Claims (1)

  1. 일반전원을 연결하는 일반전원연결부(1, 35)와, 과부하로부터 장치를 보호하는 퓨즈(2, 36), 밧데리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밧데리 전원입력부(3, 37), 전원을 장치의 정격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전압회로부(4), 장치를 초기화시키는 리셋트스위치(5, 29), 구동장치와 측정장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된 모드선택 스위치(6, 25), 측정장치가 작동 중임을 나타내는 측정장치표시등(7, 26), 구동장치가 작동 중임을 나타내는 구동장치표시등(8, 27), 듀티 및 센서의 극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된 입력스위치군(9, 31), 주파수의 차속, 듀티 및 극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된 기능선택스위치(10, 32), 표시기를 구동시키는 표시기구동부(12), 장치의 모든 상태를 표시하는 전체 표시부(12, 21), 주파수와 차속을 표시하는 주파수/차속표시기(222), 센서의 극수를 나타내는 센서극수표시기(23), 듀티를 나타내는 듀티표시기(24), 밸브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13, 34), 출력신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된 출력선택스위치(14), 밸브를 구동시키는 밸브구동부(15), 밸브구동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밸브구동단자(38), 밸브의 구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밸브구동표시등(16, 28), 입력신호파형을 정형하는 파형정형부(17), 센서의 종류에 따라 입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된 센서선택스위치(18), 측정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단자(19, 33), 각종 연산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센서(20) 및,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측정장치를 갖춘 듀티솔레노이드밸브 구동장치.
KR2019890020013U 1989-12-27 1989-12-27 주파수측정장치를 갖춘 듀티솔레노이드밸브구동장치 KR950001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013U KR950001840Y1 (ko) 1989-12-27 1989-12-27 주파수측정장치를 갖춘 듀티솔레노이드밸브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013U KR950001840Y1 (ko) 1989-12-27 1989-12-27 주파수측정장치를 갖춘 듀티솔레노이드밸브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825U KR910011825U (ko) 1991-07-29
KR950001840Y1 true KR950001840Y1 (ko) 1995-03-16

Family

ID=19294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20013U KR950001840Y1 (ko) 1989-12-27 1989-12-27 주파수측정장치를 갖춘 듀티솔레노이드밸브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8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825U (ko) 199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701900A (ko) 전기적 부하 활성화 및 모니터 장치와 그 방법
KR970007360A (ko) 내부회로 테스터의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
US4254375A (en) Meter system for indicating a plurality of variables with a single meter
KR950001840Y1 (ko) 주파수측정장치를 갖춘 듀티솔레노이드밸브구동장치
US20050174247A1 (en) Solid state electronic pressure switch
CN211107316U (zh) 一种汽车雨刮器自动档的智能控制装置
CN212111608U (zh) 一种基于时间继电器的测试电路及其测试盒
US5831171A (en) Electronic pressure gaug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fluid pressure of a controlled device with a predetermined range
CN110712624A (zh) 一种汽车雨刮器自动档的智能控制方法和装置
JP2850379B2 (ja) 電子スイッチ
WO2001091278A3 (de) Schaltungsanordnung mit einem leistungsschalter
WO2003015278A3 (de)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s schaltelements und zugehöriges betriebsverfahren
KR960005164Y1 (ko) 기중차단기 검사장치
KR920010486B1 (ko) 입력포트 감소방법
JPH053931Y2 (ko)
SU1551979A1 (ru) Имитатор дискретного приращени сопротивлени тензорезистора
KR900018688A (ko) 포탄 근접 신관의 배터리(battery) 측정장치
JP2004328836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を備える車両用指示計器
KR940001955B1 (ko) 팩/캔 자동판매기 전자식 제어기의 모드 선택방법 및 회로
SU122639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времени размыкани контакта коммутатора
KR0122463B1 (ko) 디지탈멀티미터의 입력회로부 구조
SU162294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ключени электрических цепей
SU500565A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 нагрузки энергосистемы
SU1311420A1 (ru) Электроизмерительный прибор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м выбором пределов измерени
KR920001716B1 (ko) 자동차용 엔진제어장치의 출력신호측정 및 표시용 모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