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840B1 - 자동연주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연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840B1
KR950000840B1 KR1019910019937A KR910019937A KR950000840B1 KR 950000840 B1 KR950000840 B1 KR 950000840B1 KR 1019910019937 A KR1019910019937 A KR 1019910019937A KR 910019937 A KR910019937 A KR 910019937A KR 950000840 B1 KR950000840 B1 KR 950000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cussion
percussion instrument
sound
signal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9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535A (ko
Inventor
구니히꼬 스즈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벨뮤직
구니히꼬 스즈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벨뮤직, 구니히꼬 스즈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벨뮤직
Publication of KR920010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0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5/00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0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8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F1/10Carill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45Special instrument [spint], i.e. mimicking the ergonomy, shape, sound or other characteristic of a specific acoustic musical instrument category
    • G10H2230/251Spint percussion, i.e. mimicking percussion instruments;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with percussion instrument features; Electrophonic aspects of acoustic percussion instruments, MIDI-like control therefor
    • G10H2230/351Spint bell, i.e. mimicking bells, e.g. cow-b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연주장치
제 1 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제어블록도로써, 제 2 도의 콘트롤러유니트(16)의 구성예.
제 2 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전체구성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벨(20)의 정면도.
제 4 도는 그 측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화살표 A-A에서 본 도면.
제 6 도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어블록도.
제 7 도는 벨의 다른 배치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벨의 측면도.
제 9 도는 벨의 다른 구동구성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
제 10 도는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어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96 : 스피커 20, 20',80 : 벨(타악기)
22 : 램프 36, 84 : 솔레노이드플런저(타악기구동수단)
38 : 해머 40 : 음향신호 발생수단 및 타악기연주 정보출력수단
42 : 컴퓨터 또는 시켄서(음악정보 출력수단)
44, 92 : 음원 52, 82 : 변환기(변환수단, 램프구동수단)
54 : 음향신호기록매체 재생수단
56 : 음향기록매체 76 : 구동장치(타악기구동수단)
88 : 진동검출수단
본원 발명은 결혼식장 등의 연회장, 호텔의 라운지, 홀 등의 옥내 공간이나 옥외공간 등의 임의의 장소에 있어서, 생연주의 분위기를 맛볼 수 있는 동시에, 풍부하고 박력있는 음악을 간이하게 언제라도 즐길 수 있는 자동연주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결혼식장 등의 연회장이나 호텔의 라운지 등에 있어서의 백그라운드 뮤직 등의 음악은 (가) CD(콤팩트디스크)나 레코드, 테이프 등을 재생하여 스피커로부터 흘러나오게 하는 것, (나) 피아노나 현악 4중주등의 생연주, (다) 피아노나 캐릴론(carillon) 등의 자동연주가 있었다.
상기 CD, 레코드, 테이프 등의 재생음을 스피커로부터 흘러나오게 하는 것에서는 생연주의 분위기를 맛볼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또, 상기 피아노나 현악 4중주 등의 생연주는 연주자가 필요하므로 언제라도 들어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또 비용이 든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 피아노나 캐릴론 등의 자동연주는 언제라도 생연주의 분위기를 맛볼 수 있으나, 단일 악기의 연주이므로 오케스트라와 같은 풍부하고 박력있는 분위기는 얻을 수 없었다.
본원 발명은 상기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임의의 장소에 있어서 생연주의 분위기를 맛볼 수 있는 동시에, 풍부하고 박력있는 음악을 간이하게 언제라도 즐길 수 있는 자동연주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음향신호 발생수단과, 이 음향 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음향신호를 방음(放音)하는 스피커와, 음계를 구성하는 타악기와, 이 타악기를 울리는 타악기구동수단과, 상기 음향 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타악기구동수단을 구동하는 타악기연주 정보를 출력하는 타악기연주 정보출력수단과, 상기 타악기연주 정보를 대응하는 상기 타악기구동수단의 구동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음계를 구성하는 타악기와, 이 타악기를 울리는 타악기구동수단과, 이 타악기구동수단을 구동하는 타악기연주 정보를 출력하는 타악기연주 정보출력수단과, 상기 타악기연주 정보를 대응하는 상기 타악기구동수단의 구동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상기 타악기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검출수단과, 이 진동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음향신호 발생수단과, 이 음향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음향신호를 방음하는 스피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음향신호가 스피커로부터 방음되는 동시에, 이 음향신호에 동기한 타악기가 자동연주된다. 따라서, 타악기에 의해 생연주의 분위기를 맛볼 수 있는 동시에, 음향신호에 의해 오케스트라 등의 반주음을 흐르게 함으로서 풍부하고 박력있는 음악을 간이하게 언제라도 즐길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실시예 1]
벨로 타악기를 구성하고, 음향신호를 시켄서나 컴퓨터에 의한 합성음으로써 작성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2 도는 자동연주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결혼식장의 연회장, 호텔의 라운지, 홀 등의 벽면(10)에는 벨보드(12) 및 음향신호방음용의 스피커(1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임의의 개소에 콘트롤러유니트(16)가 배치되어 있으며, 벨의 구동신호나 스피커(14)에의 음향신호가 송출된다.
벨보드(12)는 나무, 합성수지, 금속 등의 보드(18)에 다수의 벨(20)을 줄지어 배설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들 벨(20)은 음계를 구성하고, 또한 동일 음고(音高)에 대하여 복수개 배설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음계를 라,시,도,레,미,파,솔,라,시,도,레,미의 12음과 그들 사이에 포함되는 8개의 반음의 합계 20음계로 하고, 각 음에 대해 5개씩 합계 100개의 벨(20)을 음계순으로 규칙적으로 또는 랜덤으로 줄지어 구성할 수 있다. 동일음고로 음색이 다른 벨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각 벨(20)의 근방에는 보드(18) 위에 램프(22)가 각각 배설되어 있으며, 현재 울리고 있는 벨의 위치에 있는 것이 점등되어서 시각적 효과를 준다.
그리고, 벨보드(12)는 4각형에 한하지 않고, 원형, 3각형이나 동물, 식물, 건축물 등의 각종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벨(20)의 구성예를 제 3 도∼제 5 도에 도시한다. 제 3 도는 정면도, 제 4 도는 보드에의 부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화살표 A-A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이 벨(20)은 핸드벨의 형상을 가지며,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24)와 벨체(26)를 가지켜, 이들 사이에 고무 등의 쿠션재(28)를 개재시켜서 벨체(26)의 내측에서 볼트(30)를 손잡이(24)의 하단부에 나사로 조여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24)에는 장식(32)이 부착되어 있다.
이 벨(20)은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24)에 연결된 암(34)을 통하여 보드(18)에 배설되어 잇다.
보드(18)의 배면에는 타악기구동수단으로써 솔레노이드플런저(36)가 장착되어 있다. 솔레노이드플런저(36)의 가동로드(38)는 보드(18)에 형성된 구멍(18a)을 통과하여 벨체(26)의 옆쪽에 면하고 있다.
솔레노이드플런저(36)를 단(短)펄스로 구동하면 가동로드(38)는 해머로써 2점쇄선(38')과 같이 순간적으로 이동하여, 그 전단부의 합성수지체 또는 고무체(38a)가 벨체(26)를 타격하여 벨소리를 나게 한다.
제 2 도의 자동연주장치의 콘트롤러유니트(16)의 구성예를 제 1 도에 도시한다. 콘트롤러유니트(16)는 음향신호 발생수단 및 타악기연주 정보출력수단(40)으로써 컴퓨터 또는 시켄서(42) 및 음원(44)이 장비되어 있다. 컴퓨터 또는 시켄서(42)는 음원(44)을 구동하기 위한 음악정보 및 이 음악정보에 동기하여 벨(20)을 울리기 위한 타악기연주 정보를 미리 입력해 둔 프로그램에 따라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신호로 순차 출력하는 것이다. 시켄서로서는 야마하주식회사 제QX3(상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MIDI 인터페이스를 부착하여 음악시켄서용의 소프트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NEC제 퍼스털컴퓨터 9800 시리즈에 다이나웨어사의 프레류드(상표)를 조합하거나, 애플콤퓨터제 퍼스널컴퓨터의 매킨토시에 퍼포머(상표)를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 또는 시켄서(42)를 타이머에 연동시켜서 시보(時報)로서 이 자동연주장치를 연주시킬 수도 있다.
컴퓨터 또는 시켄서(42)로부터 출력되는 음악정보는 복수의 악기음(즉 채널)에 대해 음의 고저, 장단, 강약 등을 지시하는 정보로 구성되며, 다수의 악기음에 관해 지시함으로써 오케스트라와 같은 연주를 시킬 수 있다.
또, 타악기연주 정보는 음의 고저, 강약 등을 지시하는 정보로 구성되며, 컴퓨터 또는 시켄서(42)의 특정의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음악정보에 동기하여 송출된다. 이 타악기연주 정보는 복수의 벨을 동시에 울리게(예를 들면 화음을 나게)할 수 있다.
음원(44)은 음악정보에 의해 구동되어서, 대응하는 악기음의 음향신호를 개개의 채널로부터 출력한다. 음원(44)으로서는 예를 들면 MIDI 대응을 E-mu 시스템즈사제의 프로테우스(상표), 주식회사 코르그제의 MIR(상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을 병용하면 동시발음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타악기연주 정보는 음원(44)을 그대로 통과한다.
음원(44)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는 MIDI 대응의 에펙터(effector)(46) 및 믹서(48)에서 필요에 따라 에펙트처리, 믹싱처리, 음량조정 등이 이루어져 좌우 2채널에 합성되어 출력된다. 에펙터(46) 및 믹서(48)로서는 예를 들면 야마하주식회사제 DMP11(상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믹서(48)의 출력은 앰프(50)에서 증폭되어서 스피커(14)로부터 방음된다. 앰프(50)에서 필요에 따라 서라운드를 부가하여 임장감(臨場感)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타악기연주 정보는 변환기(52)에 입력된다. 변환기(52)는 에펙터(46) 및 믹서(48)를 통과하여 MIDI 신호의 타악기연주 정보를 대응하는 벨의 솔레노이드플런저 구동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즉, 타악기 연주 정보 중의 음고정보에 대응한 벨의 솔레노이드플런저에 대해, 강약정보에 따른 전압레벨을 가진 펄스전압을 1발 출력한다. 그리고, 이 구동신호 전체의 레벨은 필요에 따라 변환기(52)에 배설된 볼륨 등으로 조정하여 벨을 치는 강도 즉 음량을 전체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변환기(52)의 출력은 대응하는 벨의 솔레노이드플런저에 인가되어서 그 벨을 울린다. 같은 음고의 벨은 동시에 울린다.
이와 같이하여, 타악기연주 정보로 지시된 선율로, 또한 지시된 음량으로, 또한 스피커(14)로부터의 음향에 동기한 벨음이 발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벨(20)로 멜로디를 연주하고, 스피커(14)로부터 오케스트라 등에 의한 반주음을 발하면, 벨에 의한 생연주의 분위기와, 오케스트라에 의한 풍부하고 박력이 있는 음악이 매치되어 종래에는 없는 자동연주가 실현된다.
그리고, 변환기(52)의 출력에 의해 울려지는 벨(20)의 가까이의 램프(22)를 점등함으로서 시각적으로도 즐기게 된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음향신호를 합성음으로 작성하였으나, 음향 재생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의 일실시예를 제 6 도에 도시한다.
음향재생장치(54)는 CD플레이어, 테이프데크 등으로 구성된다. 음향신호기록매체(56)에는 음향신호 및 이에 동기한 타악기연주 정보가 예를 들면 각각 다른 트랙을 이용하여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매체(56)를 재생하면, 음향재생장치(54)로부터는 스테레오의 음향신호 및 타악기연주 정보가 각각 다른 채널로부터 출력된다. 음향신호는 앰프(50)를 통하여 스피커(14)로부터 방음된다. 또, 타악기연주 정보는 변환기(52)에서 벨(20)을 울리는 솔레노이드플런저의 구동신호 및 램프(22)를 점등하는 램프구동신호로 변환되어 벨보드(12)에 공급된다.
이로써, 스피커(14)로부터의 음향에 동기하여 벨리 울려져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기록매체(56)자체에 타악기연주 정보를 기록해 두는 대신에, 기록매체(56)에 싱크(동기)신호를 기록해 두고, 이 기록매체(56)로부터 재생되는 싱크신호로 컴퓨터나 시켄스를 구동하여 타악기 연주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 2에서는 벨보드(12)를 사용하였으나, 제 7 도와 같이 크리스머스트리형상으로 벨(20)을 매어달아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벨트리(58)는 다리(60)의 중앙에 폴(62)이 세워지고, 폴(62)에 소정높이 걸러 원판형의 천판(64)이 부착되고, 천판(64)의 주위에 벨(20)이 배설되어 있다. 벨(20)은 필요에 따라 동일 음고의 것이 복수개씩 배설되어 있다.
벨(20)은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66)을 통하여 천판(64)에 부착되어 있으며, 천판(64)의 이면측에 배설된 솔레노이드플런저(36)의 가동로드(38)에 의해 타격되어서 벨음을 낸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3에서는 벨(20)을 해머(가동로드(38))로 타격하여 울리게 하였으나, 제 9 도의 벨(20')과 같이 벨체(26)내에 코일스프링(68)을 통하여 고무, 합성수지의 볼체(70)를 매어달고, 손잡이(24)의 중앙부를 보드(18)에 부착한 암(72)에 의해 축(74)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고, 플런저 등의 구동장치(76)의 로드(78)를 손잡이(24)의 상부에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구동장치(76)를 구동함으로서, 벨(20)은 전후로 흔들려서 볼체(70)가 벨체(26)를 타격하여 울리게 할 수 있다. 연속해서 흔들면 연속음을 낼 수 있다(타악기 연주정보에 음의 장단의 정보를 넣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벨(20) 자체가 움직이므로 시각적으로도 즐기게 된다.
[실시예 7]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음향신호를 컴퓨터나 시켄서 또는 재생장치로부터 내도록 하였으나, 제 10 도와 같이 타악기의 진동을 검출하여, 그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음향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다. 제 10 도에 있어서, 타악기 연주정보 출력수단(80)은 예를 들면 컴퓨터나 시켄서로 구성되어서, 타악기 연주정보를 출력한다. 이 타악기 연주정보는 변환기(82)에서 솔레노이드플런저 등의 타악기구동수단(84)의 구동신호로 변환된다. 벨보드(85) 위에는 음계를 구성하는 복수의 벨(86)이 배열되어 있다. 타악기구동수단(84)은 상기 구동신호를 구동되어서 벨(86)을 타격하여 연주한다.
각 벨(86)에는 압전소자 등의 진동검출수단(88)이 장착되어, 각각의 진동검출에 의해 각 벨(86)의 타격을 검출한다. 이 검출신호는 MIDI변환기(90)(예를 들면 日本國 赤井電機株式會社 제 ME35T(상표))에 입력되어서 음악신호(MIDI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그 변환출력에 의해 음원(92)을 구동함으로써, 설정된 음색의 음향신호가 발생된다. 이것을 앰프(94)를 통하여 스피커(96)에 공급함으로써 벨(86)의 음에 동기한 음향신호가 방음된다.
[변경예]
본원 발명의 자동연주장치의 상기 실시예 1, 2에서는 벨(20)을 보드(18)에 부착배열하였으나, 보드(18) 대신에 금속등의 프레임 기타 각종 구조물에 부착하여 배열할 수도 있다. 또, 벽면에 직접 부착하여 배열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동일음고의 벨을 동시에 울렸으나, 울리는 개수를 차례차례 가변제어하여 음량조정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음향신호발생수단과 타악기 연주정보 출력수단을 일체구성으로 하였으나, 별체로서 이들을 동기구동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타악기구동수단으로써 솔레노이드플러저를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모터외에 각종 구동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타악기로써 벨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각종 타악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의 자동연주장치는 옥내에 한하지 않고 옥외의 벽면, 구조물 등에 설치할 수도 있다.
옥외나 넓은 옥내등에서 타악기의 음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타악기의 근방에 마이크로폰을 설치하고, 타악기 음을 픽업하여, 앰프로 증폭하여 스피커로부터 방음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음향신호가 스피커로부터 방음되는 동시에, 이 음향 신호에 동기한 타악기가 자동연주되므로, 타악기에 의해 생연주의 분위기를 맛볼 수 있는 동시에, 음향신호에 의해 오케스트라 등의 반주음을 흐르게 함으로서, 풍부하고 박력이 있는 음악을 간이하게 언제라도 즐길 수 있다.
또, 동일 음고의 타악기를 복수개씩 구비하고, 이들을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대음량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타악기구동수단을 솔레노이드로 구동되는 해머로 구성함으로써, 용이하게 타악기를 울릴 수 있다.
또, 상기 타악기연주 정보에 상기 타악기구동수단의 구동력에 강약을 붙이는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타악기음에 강약을 붙일 수 있다.
또, 타악기를 벨로 구성함으로써, 벨의 생연주의 분위기를 얻을 수 있다.
또, 타악기의 개개의 위치 또는 그 근방위치에 램프를 배설하여, 상기 타악기연주 정보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위치의 램프를 구동함으로써 시각적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 음향신호 발생수단을 음악정보를 출력하는 음악정보출력수단과, 이 음악신호에 의해 구동되어서 합성음에 의한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음원으로 구성함으로써 합성음과 타악기음을 동기연주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음향신호 발생수단을 상기 음향신호를 기록한 음향신호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음향신호기록매체 재생수단으로 구성함으로서 재생음과 타악기음을 동기연주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타악기연주 정보를 MIDI신호로 구성함으로써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Claims (10)

  1.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음향신호 발생수단과, 이 음향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음향 신호를 방음(放音)하는 스피커와, 음계를 구성하는 타악기와, 이 타악기를 울리는 타악기구동수단과, 상기 음향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타악기구동수단을 구동하는 타악기연주 정보를 출력하는 타악기연주 정보출력수단과, 상기 타악기연주 정보를 대응하는 상기 타악기구동수단의 구동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연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악기가 동일 음고(陰高)의 것을 복수개씩 구비하는 동시에, 이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타악기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이들 타악기구동수단은 상기 타악기연주 정보에 의거하여 동일 음고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연주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악기구동수단이 솔레노이드플런저로 구동되는 해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연주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악기연주 정보가 상기 타악기 구동수단의 구동력에 강약을 붙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연주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악기가 벨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연주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악기의 개개의 위치 또는 그 근방위에 배설된 램프와, 상기 타악기연주 정보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위채의 램프를 구동하는 램프구동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연주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신호 발생수단이 음악정보를 출력하는 음악정보출력수단과, 이 음악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합성음에 의한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음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연주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신호 발생수단이 음향신호를 기록한 음향신호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음향신호기록매체재생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연주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악기연주 정보가 MIDI 신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연주장치.
  10. 음계를 구성하는 타악기와, 이 타악기를 울리는 타악기구동수단과, 이 타악기구동수단을 구동하는 타악기연주 정보를 출력하는 타악기연주 정보출력수단과, 상기 타악기연주 정보를 대응하는 상기 타악기구동수단의 구동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상기 타악기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검출수단과, 이 진동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음향신호를 발생하는 음향신호 발생수단과, 이 음향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음향신호를 방음하는 스피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연주장치.
KR1019910019937A 1990-11-13 1991-11-11 자동연주장치 KR950000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06700A JPH087576B2 (ja) 1990-11-13 1990-11-13 自動演奏装置
JP90-306700 1990-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535A KR920010535A (ko) 1992-06-26
KR950000840B1 true KR950000840B1 (ko) 1995-02-02

Family

ID=17960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9937A KR950000840B1 (ko) 1990-11-13 1991-11-11 자동연주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266732A (ko)
JP (1) JPH087576B2 (ko)
KR (1) KR950000840B1 (ko)
GB (1) GB22526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0319A (en) * 1991-10-04 1996-08-27 M. H. Segan Limited Partnership Decorative display and ornament therefor
US5461188A (en) * 1994-03-07 1995-10-24 Drago; Marcello S. Synthesized music, sound and light system
DE9410911U1 (de) * 1994-07-07 1994-10-13 Schaefers Ullrich Selbstspielendes, elektronisch gesteuertes, elektromagnetisches Schlag-Musikinstrument
US5744736A (en) * 1996-09-09 1998-04-28 Chang; Ching-Ho Windchimes
US5739457A (en) * 1996-09-26 1998-04-14 Devecka; John R.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a jam session and instructing a user in how to play the drums
KR100240288B1 (ko) * 1997-01-24 2000-01-15 박강정 장식용 발광장치
US5925838A (en) * 1997-06-11 1999-07-20 Mr. Christmas, Inc. Musical device with undamped sound
US6417439B2 (en) * 2000-01-12 2002-07-09 Yamaha Corporation Electronic synchronizer for musical instrument and other kind of instrument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auxiliary equipment with musical instrument
AU2002100205B8 (en) * 2002-03-14 2004-03-25 Wedding Bells Australia Pty Ltd Transportable bell arrangement
US20060227438A1 (en) * 2005-02-06 2006-10-12 Wang Hsien H Tabletop wind chime
US20080078278A1 (en) * 2006-09-20 2008-04-03 Malmark, Inc. Bell ensemble
US8859873B2 (en) * 2009-12-17 2014-10-14 Kasim Ghozali System and apparatus for playing an angklung musical instrument
US9773482B2 (en) * 2015-10-15 2017-09-26 Landscape Structures, Inc. Musical instrument structures for permanent installation in an outdoor environment
USD884251S1 (en) 2018-06-27 2020-05-12 Alan Wurtz Bell light
JP2022069849A (ja) * 2020-10-26 2022-05-12 ヤマハ株式会社 打楽器モーション再現装置
US11404034B1 (en) * 2021-12-31 2022-08-02 Michael Bryan Burns, Jr.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rummi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881A (en) * 1896-06-09 gerry
US2844986A (en) * 1955-08-24 1958-07-29 Ernest J Boda Means for playing a percussion instrument of the vibraphone, etc., type
FR1314352A (fr) * 1957-03-12 1963-01-11 Instrument de musique polyphonique polytone à timbres multiples
US3046826A (en) * 1958-07-07 1962-07-31 Justin A Kramer Single keyboard electronic carillon
US3769870A (en) * 1973-01-12 1973-11-06 A Huber Caroling bells
US4092893A (en) * 1976-10-28 1978-06-06 Schulmerich Carillons, Inc. Multiple selective bell console and instrument
US4250787A (en) * 1979-02-01 1981-02-17 Calfax, Inc. Music tone generator
JPS62138361U (ko) * 1986-02-19 1987-09-01
EP0239917A3 (en) * 1986-03-29 1989-03-29 Yamaha Corporation Automatic sound player system having acoustic and electronic sound sources
JPH01199385A (ja) * 1988-02-03 1989-08-10 Yamaha Corp ソース再生装置
US4854214A (en) * 1988-09-09 1989-08-08 Lowe Donald J Illuminated wind chime
US5079984A (en) * 1989-03-02 1992-01-14 Victor Company Of Japan, Ltd. MIDI signal proc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177397A (ja) 1992-06-24
KR920010535A (ko) 1992-06-26
GB2252658A (en) 1992-08-12
US5266732A (en) 1993-11-30
GB9123741D0 (en) 1992-01-02
JPH087576B2 (ja) 1996-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0840B1 (ko) 자동연주장치
JP5119932B2 (ja) 鍵盤楽器、ピアノおよび自動演奏ピアノ
GB2132402A (en) Drum pad means, drum pad assembly, an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200402445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coustical guitar sounds using an electric guitar
Stockhausen et al. Electroacoustic performance practice
ES2178168T3 (es) Dispositivo de seleccion de microfonos paraa instrumento de cuerda, e instrumento de cuerda.
US4462295A (en) Beam and cylinder sound instrument
Lucier Origins of a form: Acoustical exploration, science and incessancy
JPS6124998Y2 (ko)
US3629483A (en) Multivocal music system
US4018127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H08328555A (ja) 演奏制御装置
Raes A personal story of music and technologies
Platz et al. More Than Just Notes: Psychoacoustics and Composition
JPS6020125Y2 (ja) 音楽教習装置
JPS6020127Y2 (ja) 音楽教習装置
JPH0348799Y2 (ko)
JP2687600B2 (ja) 音響再生装置
Perez A Survey of Performance Practice of Electroacoustic Music for Wind Band Grades 2-3
Criswell The horn in mixed-media compositions through 1991
Sofia An Analysis of Edgard Varése’s Poéme Électronique
JPH0348798Y2 (ko)
Vaughan Orchestral Sound in Concert Halls-1
Lehrman et al. A" Ballet mécanique" for the 21st century: performing George Antheil's Dadaist masterpiece with robots
LUCIER WHEN LINES BECOME BITS: ENGAGING DIGITAL TECHNOLOGY TO PERFORM 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