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807Y1 - 마이컴 폭주 방지 회로 - Google Patents

마이컴 폭주 방지 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807Y1
KR950000807Y1 KR92008483U KR920008483U KR950000807Y1 KR 950000807 Y1 KR950000807 Y1 KR 950000807Y1 KR 92008483 U KR92008483 U KR 92008483U KR 920008483 U KR920008483 U KR 920008483U KR 950000807 Y1 KR950000807 Y1 KR 9500008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t
microcomputer
transistor
circuit
conge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84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6666U (ko
Inventor
정지수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920084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807Y1/ko
Publication of KR9300266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66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8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4Resetting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22Modifications for ensuring a predetermined initial state when the supply voltage has been appl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이컴 폭주 방지 회로
제1도는 종래의 리셋 발생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폭주 방지 회로 블록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4도는 제3도의 각점(A~F)에서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컴 2 : 리셋 발생회로
3 : 폭주 방지회로 31 : 폭주 감지부
32 : 리셋 신호 발생부 Q1~Q2: 트랜지스터
R1~R9: 저항 C1~C3: 콘덴서
D1,D2: 다이오드
본 고안은 마이컴의 폭주 방지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이컴에 인가된 노이즈등에 의해 마이컴이 폭주할시 이를 감지하여 리셋 시키도록 하는 마이컴 폭주 방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컴을 리셋 시키기 위해서 리셋 신호를 발생하는 리셋 발생회로는 제1도와 같이 전압을 안정화 시키기 위하여 트랜지스터(Q3), 저항(R2) 및 제너 다이오드(ZD1)로 구비된 부스트랩 회로(11)와, 상기 부스트랩 회로(11)의 신호에 의해 마이컴(1)을 리셋시키기 위하여 트랜지스터(Q1)(Q2) 및 저항(R3)(R4)으로 구비된 리셋 발생부(12)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리셋 발생회로는 부스트랩 회로(11)에 키-입력 신호가 인가되어 제너 다이오드(ZD1)에 일정량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저항(R1) 양단에 리셋 발생부(12)의 트랜지스터(Q1)동작 전류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는 "온"되고 트랜지스터(Q2)는 오프되어 마이컴(1)의 리셋 단자(Reset)에 "로우"신호가 인가되도록 하여 상기 마이컴(1)을 리셋 헤제시킨다.
한편 상기 부스트랩 회로(11)의 제너 다이오드(ZD1)에 일정량 이하의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저항(R1) 양단에 리셋 발생부(12)의 트랜지스터(Q1)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되고 트랜지스터(Q2)는 "온"되며 결국 마이컴(1)의 리셋 단자(Reset)에는 "하이"신호가 인가되어 마이컴(1)을 리셋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리셋 발생회로는 마이컴이 노이즈나 다른 간섭에 의해 폭주하여 리셋 신호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아무런 대책이 없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불신감을 가중시키고 재사용할 경우 불안감을 조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마이컴 폭주시 이를 감지하여 해소할 수 있도록 마이컴 리셋단자에 통상의 리셋발생 회로와 연동하여 마이컴의 폭주를 방지하도록 하는 마이컴 폭주 방지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3도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마이컴(1)폭주시 발생되는 폭주 신호를 감지하는 폭주 감지부(31)와, 상기 폭주감지부(31)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마이컴(1)을 다시 리셋 시키기 위한 리셋 신호를 발생하는 리셋신호 발생부(32)로 구비된 폭주 방지회로(3)를 제2도와 같이 마이컴(1)과 리셋 발생회로(2)사이에 병열로 연결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마이컴(1)폭주시 발새되는 폭주 신호를 감지하는 상기 폭주 감지부(31)는 저항(R1), 콘덴서(C1)로 이루어진 미분회로와, 저항(R4), 콘덴서(C2)로 구비된 적분 회로와, 다이오드(D1) 저항(R2)(R3)(R5)(R6) 및 트랜지스터(Q1)(Q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폭주 감지부(31)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마이컴을 다시 리셋 시키기 위한 리셋 신호를 발생하는 리셋 신호 발생부(32)느 다이오드(D2) 저항(R7~R9) 및 콘덴서(C3)의 충, 방전에 의해 동작하는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마이컴(1)이 정상적인 상태일 경우에는 마이컴(1)의 단자(P1)에서 감지부(31)에 제4도의 B점과 같은 펄스 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이 신호는 콘덴서(C1)와 다이오드(D1)에 의해 C점과 같은 파형으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는 인가된 펄스 파형(C점 파형)이 "하이" "로우"신호의 주기 적인 신호에 의해 "온" "오프"하게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1)가 "온"되면 정전압(+5V)이 도통하게 되어 되어 적분회로의 콘덴서(C2)는 방전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면 콘덴서(C2)는 충전되어 제3도의 D점과 같이 적분 파형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콘덴서(C2)의 계속적인 충방전 사이클에 의해 트랜지스터(Q2)는 항상 도통되어 "로우"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리셋 신호발생부(32)의 트랜지스터(Q3)는 "오프"상태가 된다.
즉 상기 트랜지스터(Q2)가 도통하게 되면 리셋 신호 발생부(32)의 콘덴서(C2)는 항상 도통되어 "로우"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리셋 신호발생부(32)의 트랜지스터(Q3)는 "오프"상태가 된다.
즉 상기 트랜지스터(Q2)가 도통하게 되면 리셋 신호 발생부(32)의 콘덴서(C3)양단에 걸린 전압은 동전위가 되어 트랜지스터(Q3)는 "오프"상태가되고 마이컴(1)에 제4도의 A점과 같은 파형이 나타나게 되어, 리셋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와 반대로 마이컴(1)이 폭주할 경우에는 제4도의 B와 같이 마이컴(1)에서는 펄스 파형을 발생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로우"신호만을 출력하게 되며 따라서 폭주 감지부(31)의 트랜지스터(Q1)(Q2)는 "오프"되어 마이컴(1)이 폭주하였음을 감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폭주 감지부(31)에서 마이컴(1)의 폭주 상태를 감지하면 리셋 신호 발생부(32)의 콘덴서(C3) 전단의 전압은 상기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되어 순간적으로 OV로 강하 하였다가 콘덴서(C3)가 충전함에 따라 제4도의 E점과 같은 파형이 나타나게 되고, 트랜지스터(Q3)는 상기 콘덴서(C3)가 충전되는 시간동안 잠시 도통하게 되며, 이때 정전압(+5V)이 콜렉터를 통해 제3도의 A점과 같이 출력되어 마이컴(1)을 리셋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리셋 신호 발생부(32)의 콘덴서(C3)가 충전이 완료되면 트랜지스터(Q3)는 "오프"되면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리셋상태를 해제시키고 마이컴을 정상적으로 동작 시키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마이컴의 폭주를 자동감지하여 이를 해제시킴으로써 마이컴의 폭주에 의한 이상현상을 방지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제품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시스템 마이컴(1)의 리셋 단자에 리셋 발생회로(2)가 구비되어져 있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리셋 발생회로(2)와 마이컴(1)의 리셋 단자 사이에 그 출력이 공접되어져 있으면서 그 입력측은 마이컴(1)의 폭주감지 출력포트에 연결되어져서 마이컴(1)의 폭주발생시에 이를 감지하여 리셋트 펄스를 발생시키는 폭주방지회로(3)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이 폭주방지회로(3)는 마이컴(1)의 감지 출력포트가 논리1에서 논리10으로 떨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미분파 출력을 발생시키는 폭주감지부(31)와, 이 폭주감지부(31)에서 출력된 미분파에 의하여 구동되어져서 마이컴(1)의 리셋단자로 구형파의 리셋 신호를 제공하는 리셋 신호 발생부(32)로 이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컴 폭주 방지 회로.
KR92008483U 1992-05-18 1992-05-18 마이컴 폭주 방지 회로 KR950000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8483U KR950000807Y1 (ko) 1992-05-18 1992-05-18 마이컴 폭주 방지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8483U KR950000807Y1 (ko) 1992-05-18 1992-05-18 마이컴 폭주 방지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6666U KR930026666U (ko) 1993-12-28
KR950000807Y1 true KR950000807Y1 (ko) 1995-02-13

Family

ID=19333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8483U KR950000807Y1 (ko) 1992-05-18 1992-05-18 마이컴 폭주 방지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8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6666U (ko) 199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6227B2 (en) Noise immune over current protection with inherent current limiting for switching power converter
US4951171A (en) Power supply monitoring circuitry for computer system
US5563799A (en) Low cost/low current watchdog circuit for microprocessor
US5818237A (en) Apparatus for envelope detection of low current arcs
US6300766B1 (en) Apparatus sensitive to arc amplitude for envelope detection of low current arcs
US4429236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pulses upon decreases in supply voltage
JPS5911871B2 (ja) 過電流感知回路
KR950000807Y1 (ko) 마이컴 폭주 방지 회로
US4567539A (en) Power interruption and brownout detector
US4900951A (en) Latch-up restoration circuit
JP4118496B2 (ja) 電力用半導体装置及び過電流保護回路
KR100232219B1 (ko) 저전압 감지 회로
US6538865B1 (en) Fault-detecting device for communication system
US6320339B1 (e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current passing through a motor
US20040228054A1 (en) Fault detecting circuit
US4999767A (en) System having cup operation al error warning facility using visual indicator and real-time clock interrupt routine
CN210898496U (zh) 电子电路和电子设备
JP2546834B2 (ja) パルス入力の処理回路
JP2558332Y2 (ja) 電圧監視回路
KR950001471Y1 (ko) 교류전원 정전 검출회로
US6498630B1 (en) X-ray protection circuit
KR970001131Y1 (ko) 루프식 차량 감지기의 선로 단락 검출 회로
KR910006451Y1 (ko) 신호축적식 경보장치
JPH066627Y2 (ja) センサの瞬時停電時の誤動作防止回路
RU2078376C1 (ru) Способ сигнализ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