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646Y1 - 선풍기 포장용 내장재 - Google Patents

선풍기 포장용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646Y1
KR950000646Y1 KR92013106U KR920013106U KR950000646Y1 KR 950000646 Y1 KR950000646 Y1 KR 950000646Y1 KR 92013106 U KR92013106 U KR 92013106U KR 920013106 U KR920013106 U KR 920013106U KR 950000646 Y1 KR950000646 Y1 KR 9500006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material
groove
boss
support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3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372U (ko
Inventor
김보연
Original Assignee
김덕현
신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현, 신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덕현
Priority to KR92013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646Y1/ko
Publication of KR9400033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3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6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6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풍기 포장용 내장재
제1도는 본 고안 상, 하부 내장재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선풍기의 분리 내장 상태를 나타낸 상, 하부 내장재의 결합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선풍기의 분리 내장 상태를 나타낸 하부 내장재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 하부 내장재의 분리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 하부 내장재의 결합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내장재의 평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대의 연결부 사시도.
제8도는 종래 연결대 가이드의 사시도.
제9도는 본 고안 연결대 가이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1 : 상, 하부 내장재 3, 4 : 반원홈
5, 6 : 지지대 7 : 안착홈
8 : 받침대 9, 15 : 보스
10 : 자리홈 11 : 관통공
12 : 공간부 13 : 개재홈
14 : 연결홈
본 고안은 선풍기 포장용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풍기를 각 부위별로 분리시켜 스치로폴로 된 내장재에 포장함에 있어서, 좌대인 본체와 모터부를 분리 포장하여 포장부피를 대폭 감축하고 아울러 포장제품의 운반이나 적재, 하역시 이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한 선풍기 포장용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선풍기를 포장함에 있어서는 선풍기를 본체와 연결된 모터부와, 프로펠러와, 보호망으로 각기 분리하여 이를 일정한 형상을 갖는 상,하부 내장재에 수납하고 이와같이된 상, 하부 내장재를 별도의 박스에 넣어 결속시키므로써 선풍기를 포장하게 되는데, 이때의 포장이 완료된 선풍기 포장 제품은 장방형으로서 그 부피가 매우 크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지 않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특히 운송을 위한 포장제품의 적재나 하역시에는 작업이 용이하지 아히하여 그에 따른 부주의로 제품이 낙하 추락 되거나 무리한 작업으로 제품이 파손되는 경우가 있었다.
더욱이 본체와 모터부의 연결부위는 운반중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서 작업에 신중을 기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선풍기의 분리가능한 본체와 모터를 일체로 포장하지 않고 각기 분리된 상태로 내장재에 포장하여 포장박스의 부피를 감축시켜야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포장박스의 부피 감축 문제를 해결하여 운반의 편리성은 물론 부피감축에 따른 무게의 감소와 내장재의 절약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함이 목적인 것으로서, 선풍기의 본체와 모터부를 분리 포장시킬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 하부 내장재의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킨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와 연결된 모터부, 프로펠러, 보호망이 수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상, 하부 내장재에 있어서, 제1도 내지 제3도와 같이 하부 내장재(1)와 이에 대응하는 상부 내장재(2)의 오른쪽 내측부에 반원홈(3)(4)을 각각 요입 형성하여 전, 후의 보호망(34)이 끼워지도록 하고, 하부 내장재(1)의 반원홈(3) 부위의 좌측 중간부에 접하여 지지대(5)(6)를 입설형성하되, 양측지지대(5)(6)의 상단내측에 형성한 안착홈(7)에 프로펠러(35)의 중심 보스부위가 끼워지도록 하며, 이에 대응하는 상부 내장재(2)에는 받침대(8)를 형성하여 플로펠러(35)의 보스상측 모서리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하부 내장재(1)의 좌측부에는 중간으로부터 이격한 거리에 보스(9)를 형성하되, 보스(9)의 상부에 모터부(36)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둥근 자리홈(10)을 형성하며, 자리홈(10)의 중심 하부에는 모터축(37)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11)을 천공 형성하고 그 관통공(11)의 하방에는 모터축(37)의 끝단부가 위치되도록 공간부(12)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내장재(1)의 보스(9)와 지지대(6)의 중간 사이에는 좌대(29)가 끼워지도록 개재홈(13)을 형성한 것이고, 보스(9)의 자리홈(10)과 연통하여 연결홈(14)을 형성하여 좌대(29)에 연결되는 모터부(36)의 하부가 위치되게 한 것이며, 상기 보스(9)와 대응하는 상부 내장재(2)에는 모터부(36)의 후방 몸체가 끼워지도록 보스(15)를 형성하고 상, 하부 내장재(1)(2)의 내부 일측 모서리에 반원홈(3)(4)과 직각으로 베이스(38)가 상, 하로 끼워지도록 고정리브(16)(17)가 형성되도록 한 구성인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된 본 고안은 제2도 및 제3도와 같이 하부 내장재(1)의 반원홈(3)에 전, 후의 보호망(34)을 겹쳐 끼우고 양측 지지대(5)(6) 사이의 안착홈(7)에 프로펠러(35)의 보스부위를 끼운 다음 베이스(38)와 좌대(29)를 하부 내장재(1)의 고정리브(17) 홈과 개재홈(13)에 순차적으로 끼워지게 하면서 이때 베이스(38)와 좌대(29)를 통하여 배선이 연결된 모터부(36)를 보스(9)의 자리홈(10)과 연결홈(14)에 안착시키므로써 일차적으로 조립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상부 내장재(2)를 하부 내장부(1)에 맞추어 끼우게 되는데 즉, 상부 내장재(2)의 보스(9)를 모터부(36)에 맞추어 일치시키고 고정리브(17)의 홈을 베이스(38)의 모서리에 맞추면서 또한 반원홈(3)을 보호망(34)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부 내장재(2)를 하부 내장재(1)측의 하방으로 서서히 밀어 넣음으로써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제4도 내지 제6도는 본 고안의 상, 하부 내장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 하부 내장재(20)(21)의 내부 모서리에 고정리브(16a)(17a)를 형성하여 베이스(38)가 끼워지도록 하면서 베이스(38)의 좌대(29)의 선단부가 안착되도록 하부 내장재(21)의 고정리브(17a) 대향측에 삽지홈(22)을 형성한 것이고, 좌대(29)로부터의 배선과 연결된 모터부(36)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부 내장재(21)의 고정리브(17a)와 대향한 일측 모서리에 보스(9a)와, 그와 연통되도록 연결홈(14a)을 형성한 것이며, 하부내장재(21)의 바닥면 가운데에는 보스(23)를 돌출형성하여 프로펠러(35)의 보스부를 끼울수 있도록 하되, 보스(23)의 상단 둘레면은 톱니면(24)으로 형성하여 날개가 걸려지도록 한 것이고, 프로펠러(35)의 보스부 상단면을 받쳐줄 수 있도록 상부내장재(20)의 저면 중앙에는 받침대(25)를 하방으로 돌출 형성하며, 좌대(29)의 중간부 상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내장재(20)의 받침대(25) 일부를 직각으로 절개하여 지지홈(26)을 형성하고 상부 내장재(20)의 상부는 공간요입부(27)를 형성하여 보호망(34)을 겹쳐 넣을 수 있게 하며, 상기 하부내장재(21)의 삽지홈(22)에 대응하여 상부내장재(20)의 저면부에 지지턱(28)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내장재(21)의 보스(23)와 대응하여 모터축(37)이 위치되도록 상부내장재(20)의 일측 모서리부에 보스(15a)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같은 상, 하부 내장재(20)(21)는 제5도 및 제6도와 같이 우선 하부 내장재(21)의 보스(9a)에 프로펠러(35)의 보스부를 끼워넣고 베이스(38)를 하부 내장재(21)의 고정리브(17a) 홈에 끼우면서 좌대(29)의 선단부와 모터부(36)를 각각 삽지홈(22)과 보스(9a)에 안착시킨 다음, 상부내장재(20)의 보스(15a)와 고정리브(16a)의 홈을 모터축(37) 중심과 베이스(38)의 모서리부에 맞추고 상부 내장재(20)를 서서히 밀어 넣음으로써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 하부 내장재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부내장재(20)의 공간요입부(27)에 보호망(34)을 겹쳐 넣음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제7도는 좌대(29)와 연결대(30)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좌대(29)의 상측에 연결대 상승버튼(31)이 설치된다.
종래의 경우 제8도와 같은 연결대 가이드(32)가 좌대(29)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나, 선풍기의 포장 또는 분해작업시 부주의에 따른 연결대 상승버튼(31)의 접촉 오동작으로 제품에 무리나 충격을 수반하게 되므로, 본 고안은 제9도에서와 같이 연결대 가이드(32)의 일측 하단에 안전편(33)을 일체로 형성하므로써 연결대 상승버튼(31)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풍기의 사용을 위하여 포장을 해체하고 선풍기의 조립이 완료되면 안전편(33)을 상측으로 제쳐 연결대 가이드(32)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선풍기의 분리가능한 각 부위를 모두 분리시켜 포장하므로써 특히 길이가 큰 좌대와 모터부를 분리하여 포장하므로써 상, 하부 내장재의 크기를 대폭 축소시킬 수 있게 되었고, 이로써 자재와 운송비의 절감에 기여하게 됨은 물론 포장제품의 중량과 부피의 감소에 따라 운반작업이 용이하게 되었으며, 모터부와 좌대의 분리된 포장으로써 취급 부주의로 인한 연결부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 산업상 기여하는 바가 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보호망과 프로펠러 베이스와 좌대 및 모터부를 각각 분리하여 상, 하부 내장재에 조립하기 위하여 상, 하부 내장재(2)(1)의 우측 내부에 상호 대응하여 보호망(34)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반원홈(4)(3)와, 하부내장재(1)의 좌측부로 반원홈(3)에 접하여 형성된 지지대(5)(6) 및 지지대(5)(6) 상부에 프로펠러(35)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안착홈(7)과, 지지대(5)에 대응하여 프로펠러(35)의 상측모서리를 받쳐주도록 상부내장재(2)에 형성된 받침대(8)와, 하부내장재(1)의 좌측부에 형성된 보스(9) 및 모터부(36)가 끼워지도록 보스(9)에 형성된 자리홈(10), 연결홈(14)과, 모터축(37)이 위치하도록 자리홈(10)에 형성된 관통공(11) 및 그 하방의 공간부(12)와, 보스(9)에 대응하여 모터부(36) 후방에 끼워지도록 상부 내장재(2)에 형성된 보스(15)와, 베이스(38)가 끼워지도록 반원홈(3)(4)과 직각으로 상, 하부 내장재(2)(1)에 형성된 고정리브(16)(17)와, 좌대(29)가 끼워지도록 하부내장재(1)의 보스(9)와 지지대(6) 사이에 형성된 개재홈(1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포장용 내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 내장재(21)에 베이스(38)가 끼워지는 고정리브(17a)와 대향하여 좌대(29)의 선단부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 삽지홈(22)과, 이에 대응하여 좌대(29)의 선단 상면이 받쳐지도록 상부내장재(20)에 형성된 지지턱(28)과, 모터부(36)가 삽입 되도록 고정리브(17a)의 대향측 모서리부에 형성된 보스(9a) 및 연결홈(14a)과, 이에 대응하여 모터축(37)이 위치 되도록 상부 내장재(20)에 형성된 보스(15a)와, 하부 내장재(21)의 바닥면에 플로펠러(35)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보스(23) 및 그 상단 둘레의 톱니면(24)과, 프로펠러(35)와 좌대(29)의 상측면을 지지토록 상부 내장재(20)의 하부에 돌출 형성한 받침대(25) 및 지지홈(26)과, 상부 내장재(20)의 상측에 보호망(34)을 넣을 수 있도록 형성한 공간요입부(27)로 된 선풍기 포장용 내장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29)의 연결대 가이드(32)의 일측 하부에는 안전편(33)을 형성하여 연결대 상승버튼(31)이 차단되어 오동작을 방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포장용 내장재.
KR92013106U 1992-07-15 1992-07-15 선풍기 포장용 내장재 KR9500006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106U KR950000646Y1 (ko) 1992-07-15 1992-07-15 선풍기 포장용 내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106U KR950000646Y1 (ko) 1992-07-15 1992-07-15 선풍기 포장용 내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372U KR940003372U (ko) 1994-02-18
KR950000646Y1 true KR950000646Y1 (ko) 1995-02-06

Family

ID=19336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3106U KR950000646Y1 (ko) 1992-07-15 1992-07-15 선풍기 포장용 내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6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372U (ko) 199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6327A (en) Composite package
KR950000646Y1 (ko) 선풍기 포장용 내장재
KR200424470Y1 (ko) 다용도 포장용기
MX2012011309A (es) Cajon.
KR200403081Y1 (ko) 소량 배달용 계란 포장 박스
JP2761143B2 (ja) 包装体
KR200496096Y1 (ko) 제과류 포장케이스
KR102013817B1 (ko) 팝업 페이퍼 포장 케이스
JPH0825581B2 (ja) 碍子の梱包容器
KR200485662Y1 (ko) 포장용 종이 박스
KR102425211B1 (ko) 포장상자
KR0122997Y1 (ko) 포장박스
KR200322752Y1 (ko) 선풍기의 포장구조
JP4338531B2 (ja) 包装装置
KR100317293B1 (ko) 제품용 포장박스
KR100442327B1 (ko) 벽걸이형 선풍기의 포장구조
KR101872252B1 (ko) 분리 가능한 난좌
KR20000020627U (ko) 피자 포장용상자
KR200490833Y1 (ko) 파티션이 구비된 포장상자
US3497099A (en) Wirebound container lid
JPH0872938A (ja) 包装構造
JP6754640B2 (ja) ブレーカ梱包箱
KR200345027Y1 (ko)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구조
KR200336321Y1 (ko) 포장용박스에 내설되는 제품보호용 내부포장재
JPS5834071Y2 (ja) 扇風機の羽根およびガ−ドの梱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