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606B1 - 연료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연료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606B1
KR950000606B1 KR1019900019114A KR900019114A KR950000606B1 KR 950000606 B1 KR950000606 B1 KR 950000606B1 KR 1019900019114 A KR1019900019114 A KR 1019900019114A KR 900019114 A KR900019114 A KR 900019114A KR 950000606 B1 KR950000606 B1 KR 950000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hollow body
outlet
upper portion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9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147A (ko
Inventor
알프레도 몬떼마이오르 우세따 루이스
Original Assignee
알프레도 몬떼마이오르 우세따 루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레도 몬떼마이오르 우세따 루이스 filed Critical 알프레도 몬떼마이오르 우세따 루이스
Priority to KR1019900019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606B1/ko
Publication of KR920010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6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료정화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연료정화장치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정화장치의 측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정화장치의 모든 부품을 나타내는 종단사시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정화장치의 분출밸브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통체 20 : 연료흡입구
30 : 내부연료유동관 40 : 연료배출구
50 : 금속예열판 60 : 전기저항기
70 : 하부분출밸브 80 : 상부분출밸브
90 : 연료출구 100 : 연료정화장치
본 발명은 연료정화장치, 특히 디젤연료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계 각지에서 자동차에 사용되는 연료의 정성적 특성(qualitative properties)은 결코 가장 양질의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사실은, 자동차엔진이 조기에 마멸손모되어 결국에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에 사용되는 연료의 질의 저하는, 자동차 내연기관의 유효수명에 유해한 여러가지 성분중에서 유황, 파라핀 및 황산의 고함유량에 기인할 뿐아니라, 통상의 연료충전작업 도중에 연료탱크내로 유입되는 분진이나 오물 등에 기인한다.
또한, 연료저장탱크의 내면상부에 통상 형성되는 물응결층이 디젤연료와 혼합될 때, 저장탱크의 금속부분이 물과 반응하여 산화물을 발생시켜서 연료의 질을 더욱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1차 필터를 통해 엔진의 분사장치내로 들어온 디젤연료가 자동차엔진의 출력을 높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한 정상적 조건을 보유하도록, 디젤연료내에 존재하는 불순물이나 이물질(물, 산화물, 유황 등)을 디젤연료로부터 분리하여 디젤연료를 정제하기 위해, 자동차의 1차 필터와 연료저장탱크 사이에 배치되는 디젤연료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연료정화장치(100)는, 연료저장 탱크로부터의 파이프 또는 호스(점선으로 표시)가 접속되는 연료흡입구(20)를 포함하는 원통체(10)로 구성되어 있다. 일단 연료가 원통체(10)내로 유입되면, 연료는 연료흡입구(20)와 유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내부연료유동관(30)에 의해 인도되어, 내부연료유동관(30)의 하부에 형성된 연료배출구(40)를 통과한다. 내부 연료유동관은 길다란 파이프로서, 연료흡입구의 길이방향축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열되어 연료흡입구를 통해 장치내로 유입되는 연료가 1차적으로 충돌하게 되어 있다.
그후, 연료는 내부연료유동관(30)으로부터 유출되어, 원통체의 내부에 직경방향으로 또한 세로방향으로 뻗어있는 금속예열판(50)(제 3 도에 수직하게 절단도시)에 충돌한다. 이 금속예열판은 엔진시동기키이(engine starter key)에 접속되어 있는 전기저항기(60)에 의해 예열된다. 내부연료유동관(30)과 금속예열판(50)이 이루는 각도와, 금속예열판(50)의 예열에 의하여, 전기한 내부연료유동관(30)을 통과하여 금속예열판(50)에 충돌하는 연료는, 연료(디젤연료)에 비해 비중이 커서 원통체(10)의 바닥면쪽으로 침전되는 경향이 있는 물, 유황, 황산 등과 같은 성분의 분리를 초기에 촉진시키는 난류(turbulence)를 발생시키기 위해 원심방향으로 방출된다.
한편, 디젤연료는 비중이 1미만이므로, 비중이 1인 물 및 비중이 1 이상인 다른 성분에 대해 윗부분에 유지된다.
또한, 연료정화장치(100)는 하부분출밸브(70)와 상부분출밸브(80)로 구성된다. 하부분출밸브(70)는, 원통체의 바닥면으로부터, 디젤연료의 연소에 바람직하지 않은 기능을 행하는 성분이나 불순물을 원통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수동으로 작동되고, 마찬가지로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상부분출밸브(70)는, 연료정화장치의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원통체의 상부에 축적되어 있을 수 있는 공기를 제거한다. 각각의 분출밸브(70) (80)는, 전길이에 걸쳐 그 내부에 형성된 도관(73)과 밸브의 기밀성을 확실히 하기 위한 단부(端部) 패킹(74)을 보유하는 핀 또는 스템(72)이 세로방향으로 끼워지는 밸브체(71)로 구성된다.
상기한 밸브는 밸브체(71)위에 배치되어 스템(72)을 둘러싸고 있는 스프링(75)에 의해 보완되며, 또 볼트(76)가 스템을 가로질러서 끼워져 스프링이 소정압력으로 유지되도록 된다.
마지막으로, 본 정화장치에 의해 이미 정제된 연료는 연료출구(90)를 통과하여 1차 필터쪽으로 들어간 후에, 그곳으로부터 엔진의 분사장치쪽으로 나아간다. 따라서, 이와같이 예열 및 정제된 디젤연료는 더욱 연속가 잘되어, 엔진의 출력 및 유효수명을 증가시킨다.
본 장치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흙, 오물 등과 같은 불순물 뿐아니라, 연료내에 함유된 물과 황산, 저장탱크내에서 생성되는 산화물 등이 각각의 경우에 대해 약 95-98% 정도가 본 장치내에 억류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7)

  1. 상부 및 하부를 보유하는 중공체(中空體) (10)와, 상부에 형성되어 연료공급장치와 유통되는 연료흡입구(20)와, 전기한 중공체(10) 내부에 형성되어 전기한 연료흡입구(20)와 유통되며 전기한 연료흡입구의 아래에 위치하는 연료배출구(40)를 보유하는 내부연료유동관(30)과, 그 세로축이 전기한 중공체의 세로축과 나란하며, 전기한 연료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연료가 충돌하여 연료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는 난류를 발생하는 원심류(centrifugal current)를 생성하도록 전기한 연료배출구와 각을 이루어서, 전기한 연료배출구 근방의 전기한 중공체내에 배치되어 일원에 접속된 평평한 예열판(50)와, 상부에 형성되어 자동차엔진과 전기한 중공체내의 정화된 연료와 유통되는 연료출구(9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엔진용 연료정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한 중공체(10)는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엔진용 연료정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한 예열판(50)은 금속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엔진용 연료정화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한 내부연료유동관(30)은 길다란 파이프로서, 전기한 연료흡입구(20)의 길이방향축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열되어 전기한 연료흡입구를 통해 장치내로 유입되는 연료가 1차적으로 충돌하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엔진용 연료정화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전기한 예열판(50)은 중공체(10)내에 설치되어 전기한 예열판(50)과 접촉되는 전기저항기(60)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엔진용 연료정화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연료로부터 분리된 불순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 1 분출밸브(70)와, 연료정화장치의 내부로부터 가스를 제거하여 연료정화장치의 배출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제 2 분출밸브(8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엔진용 연료정화장치.
  7. 상부 및 하부를 보유하는 중공체(10)와, 상부에 형성되어 연료공급장치와 유통되는 연료흡입구(20)와, 전기한 중공체 내부에 형성되어 전기한 연료흡입구와 유통되고 전기한 연료흡입구의 아래에 위치하는 연료배출구(40)를 보유하며 그 세로축이 전기한 중공체의 세로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내부연료유동관(30)과, 그 세로축이 전기한 중공체의 세로축과 나란하며 전기한 연료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연료가 충돌하여 연료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하는 난류를 발생하는 원심류를 생성하도록 전기한 연료배출구와 각을 이루어서, 전기한 연료배출구 근방에 배치되어 일원에 접속되어 있는 예열판(50)과, 상부에 형성되어 자동차엔진과 전기한 중공체내의 정화된 연료와 유통되는 연료출구(9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엔진용 연료정화장치.
KR1019900019114A 1990-11-24 1990-11-24 연료정화장치 KR950000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9114A KR950000606B1 (ko) 1990-11-24 1990-11-24 연료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9114A KR950000606B1 (ko) 1990-11-24 1990-11-24 연료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147A KR920010147A (ko) 1992-06-26
KR950000606B1 true KR950000606B1 (ko) 1995-01-26

Family

ID=19306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9114A KR950000606B1 (ko) 1990-11-24 1990-11-24 연료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6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147A (ko) 199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6907A (en) Fuel purifying apparatus
US7025048B2 (en) Fuel/air separation system
KR100284846B1 (ko) 확동크랭크케이스환기시스템내의기체처리장치
EP0601683B1 (e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gases in a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US3032968A (en) Engine exhaust gas purifier
US7065962B2 (en) Exhaust gas purifying system
WO1996005903A1 (en) Fuel filter
KR950000606B1 (ko) 연료정화장치
KR100804112B1 (ko) 디젤 연료 정화 장치
MX173353B (es) Mejoras en aparato para purificar combustible
US4495928A (en) Combination fuel heater and fuel filter device
JPH03138445A (ja) 燃料浄化装置
US3778039A (en) Water injection system
KR970001516Y1 (ko) 승용차의 휴대용 lpg 여과기
KR890006057Y1 (ko) 소형차용 습식공기 청정기
KR970002271Y1 (ko) 차량용 공기청정기의 물유입경고장치
KR0139655Y1 (ko)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여과장치
KR19980030633U (ko)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KR100319268B1 (ko) 자동차 연료탱크 크리닝 장치
KR200259619Y1 (ko) 내연기관의 블로우 바이 가스의 정화 및 조연 청정제의자동 분사 시스템
KR200357919Y1 (ko) 자동차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9990046621A (ko) 자동차의배기가스제거장치
RU2052651C1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200246915Y1 (ko) 자동차의매연제거장치
KR200167370Y1 (ko) 흡기장치의 전처리 에어 클리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