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345Y1 - 연소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연소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345Y1
KR950000345Y1 KR2019900010803U KR900010803U KR950000345Y1 KR 950000345 Y1 KR950000345 Y1 KR 950000345Y1 KR 2019900010803 U KR2019900010803 U KR 2019900010803U KR 900010803 U KR900010803 U KR 900010803U KR 950000345 Y1 KR950000345 Y1 KR 9500003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switch
closed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08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698U (ko
Inventor
가나에 아이다
아쓰후미 안도
아키라 안도
Original Assignee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 또오 스스무
린나이 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 또오 스스무, 린나이 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filed Critical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46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6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3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8Regulating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nother medium, e.g. boiler water
    • F23N1/085Regulating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nother medium, e.g. boiler water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소제어장치
제1도는 본 장치의 개략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2도는 제1도의 일부의 확대도.
제3도는 제1도의 계통도.
제4도는 제1도의 일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종래예의 계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水)열교환기 2 : 주버너
3 : 수 통로 5 : 수 밸브
6 : 가스로 7 : 전자식원밸브
8 : 수 응동밸브 9 : 작동회로
10 : 제1스위치 11 : 제2스위치
12 : 전지 16 : 조작자
본 고안은 소형의 순간온수기의 연소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소형의 순간온 수기의 조작은 가스밸브의 조작과 수 밸브의 조작을 각각 별개의 조작자로 향하였다. 그러나 양 조작을 개별적으로 행하는 것은 불편하므로 이것을 1개의 공통조작자로 가스밸브와 수 밸브를 기계적으로 개방시키는 관계로 조작자를 조작할 때 무거운 느낌을 주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제5도에 나타낸것과 같이 수(水) 열교환기(a)의 수 통로(b)에 수동조작으로 개폐되는 수 밸브(c)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수 열교환기(a)를 가열하는 주버너(d)로의 가스통로(e)에 전자식원(元)밸브(f)와, 그 하류에 위치되어 상기 수 열교환기(a)로의 수 통과 동작에 응동하여 열리게 되어 있는 수 응동밸브(g)설치하고, 또한 상기 전자식원밸브(f)의 작동회로(k)에 전원으로서 전지(h)와, 조작자(1)의 온, 오프조작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제1스위치(j)를 설치하여, 가스밸브측이 제1스위치(j)를 폐쇄하도록 가스 밸브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상기1개의 공통조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킨것도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조작자(1)를 오프조작하지 않아도 원수전(元水栓)(m)를 폐쇄한 경우와 단수한 때 등에는 가열 작동이 정지되지만, 제1스위치(i)가 닫혀진 상태로 방지되기 때문에 전자식원밸브(f)가 열린 상태로 있음과 동시에 전지가 소모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 열교환기의 수 통로에 수 밸브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수 열교환기를 가열하는 주버너로의 가스통로에 전자식원밸브와, 상기 수 열교환기로의 수 통과 동작에 응동하여 개방되는 수 응동밸브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전자식원밸브의 작동회로에 전원으로서의 전지와, 조작자의 오프조작에 의해 수 응동밸브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전자식원밸브의 작동회로에 전원으로서의 전지와, 조작자의 오프 조작에 의해 개방되는 제1스위치를 설치하여, 상기 수 밸브와 제1스위치를 1개의 공통조작자로 행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작동회로에 상기 제1스위치를 1개의 공통조작자로 행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작동회로에 상기 제1스위치와 직렬로 수응동밸브의 폐쇄시 개방되는 제2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연소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전자식원밸브의 작동회로에 수 응동밸브의 폐쇄시 개방되는 제2스위치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수 열교환기에 통수되지 않을때는 항상 상기 작동회로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종래 예와 같이 전자식원밸브가 폐쇄된 상태로 있게되거나 전지의 헛된 소모가 없게된다.
도면에서, 부호(1)은 수 열교환기이며, (2)는 수 열교환기(1)을 가열하는 주버너를 나타낸다. 상기 수 열교환기(1)의 수 통로(3)에는 원수전(4)과 수동조작으로 개폐되는 수 밸브(5)가 설치되며, 상기 주버너(2)의 가스 통로(6)에는 전자식원밸브(7)와, 그 하류에 위치하여 상기 수 열교환기(1)로의 통수동작에 응동하여 개방되는 수 응동밸브(8)가 설치된다. 상기 수 응동밸브(8)은 제1도에 나타낸것 같이 수 통로(3)에 설치한 수 응동부재(8a)에 연결되어 개폐동작된다. 부호(9)는 전자식원밸브(7)의 작동회로이며, (10)은 상기작동회로(9)에 설치되어 수 밸브(5)를 조작하는 조작자인 누름보턴(16)의 조작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제1스위치이며, (11)은 상기 제1스위치(10)와 직렬로 연결되어 수 응동밸브(8)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제2스위치르 나타내며, 상기 제1스위치(10)은 상기 수 응동부재(8a)에 연동하여 상기 수 응동밸브(8)가 폐쇄되어 물을 흐르게 하지않을 때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호(12)는 상기작동회로(9)에 설치된 전원으로서의 건전지를 나타낸다.
도시한 구성에서는 파일럿버너(13)을 구비하며, 상기 파일럿버너(13)에는 상기 가스통로(6)에 설치한 거버너(governer)(22)의 하류에서 분기되는 분기로(14)를 통하여 가스가 공급되도록 하였다. 부호(15)는 상기 파일럿버너(13)로 향해있는 점화기를 나타낸다. 누름보턴(16)에는 푸시푸시(pushpush)기구(17)를 연결시켜, 상기 누름보턴(16)를 시단위치(A)로부터 중간위치(B)를 거쳐 종단위치(C)까지 누를때 중간위치(B)근방에서 제1스위치(10)이 폐쇄되게하고, 계속하여 조작자를 풀어 중간위치(B)에 복귀시켜 로크시키면 상기 제1스위치(10)이 폐쇄된 상태에서 레버(18)를 통하여 수 밸브(5)가 눌려 개방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누름보턴(16)을 다시 누름족작하게되면 상기 누름보턴(16)을 다시 누름조작하게되면 상기 누름보턴(16)은 푸시푸시기구(17)에 의한 중간위치(B)에서의 로크상태를 풀어 시단위치(A)로 복귀되고, 이렇게 하여 제1스위치(10)가 개방되게됨과 동시에, 수 밸브(5)는 누름보턴(16)에 의한 압력이 해제되어 스프링(19)에 의하여 폐쇄되게 된다.
다음에 본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누름보턴(16)을 누르면 상기 제1스위치(10)이 닫히며, 계속하여 누름보턴(16)의 가압을 풀면 상기 제1스위치(10)이 폐쇄된 상태로 상기 누름보턴(16)이 중간위치까지 복귀된다. 이 과정에서 수 밸브(5)는 눌러 개방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수 통로(3)에 통수가 이루어지고, 수 응동부재(8a)가 작동하여 수 응동밸브(8)를 개방시키게 되고, 제2스위치(11)가 폐쇄되어 전자식원밸브(7)가 개방된다.
이렇게 하여, 점화기(15)가 작동함과 동시에 파일럿버너(13) 및 주버너(2)에 가수의 공급이 이루어져 상기 파일럿버너(13)가 점화하고, 이에 따라 주버너(2)에 착화가 이루어져 주버너(2)에서의 연소가 시작된다.
또한, 파일럿버너(13)에 착화가 이루어지면, 화염검지기(20)이 이것을 검지하여 점화기(15)를 동작하지 않게한다.
또한, 출타정지시에는 상기 누름보턴(16)을 다시 누름조작하면서 상기 누름보턴(16)은 중간위치에서의 로크상태를 풀어 시단위치로 복귀되고, 수 밸브(5)는 상기 보턴(16)에 의한 압력을 해제하여 스프링(19)에 이하여 폐쇄됨과 동시에 제1스위치(10) 및 제2스위치(11)이 개방되고, 이 때문에 전자식원 밸브(7)의 코일의 자기력이 소실되어 전자식원밸브(7)가 폐쇄되게 된다. 따라서, 양 버너(2,13)으로의 가스공급이 중단된다.
또한, 출탕중에 어떤 원인, 예를들면 단수등으로 물이 흐르지 않게되면 수 응동밸브(8)이 폐쇄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스위치(11)이 개방되므로 상기 전자식원밸브(7)도 폐쇄되게된다. 또한, 부호(21)은 수탕절환용의 절환레버를 나타낸 것으로, 제2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절환레버(21)를 수 위치로 하여 누름보턴(16)을 온 조작하면, 제2스위치(11)은 폐쇄되지만 제1스위치(10)은 폐쇄되지 않고, 이에 따라 전자식 원밸브(7)이 개방되지 않고 양버너(2,13)에는 점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물이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파일럿버너(13)으로의 가스통로를 거버너(22)의 하류로부터 분기시키고 파일럿버너(13)에 공급되는 가스의 가스압을 안정시켜 화염검지기(20)의 출력을 안정시켰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종래예와 같이 전자식원밸브(7)과 수 응동밸브(8)의 사이에서 분기시켜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수 밸브(5)를 수동으로 열리는 방식의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4도와 같이 누름보턴(16)의 온 조작에 의하여 폐쇄되는 스위치(23)에 연동하는 전자식수 밸브(51)로 해도 좋다. 또한, 수 응동밸브(8)은 수 통로(3)에 설치한 프로스위치에 연동하여 개폐하도록 해도 좋다.
본 고안은 상술한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다음에 설명하는 효과를 가진다. 즉, 상기 전자식원밸브의 작동회로에 수 응동밸브의 폐쇄시 개방되는 제2스위치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수 열교환기에 통수되지 않을 때는 항상 상기 작동회로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수 밸브를 폐쇄시킴이 없이 원수전을 닫은 경우 혹은 단수한 때에 조작자의 오프조작없이 제1스위치를 폐쇄된 상태로 방치하여도, 제2스위치가 개방되기 때문에 종래예와 같이 전자식원밸브가 개방된 상태에 있지 않으며, 전지의 헛된 소모가 없다. 게다가, 통수하지 않을 때는 제2스위치에 의하여 작동회로가 개방되어 전자식원 밸브가 폐쇄된게 된다. 따라서, 주버너로의 가스통로(2)는 2개의 밸브가 반드시 폐쇄된 상태가 되어 가스누설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Claims (1)

  1. 수 열교환기(1)의 수 통로(3)에 수 밸브(5)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수 열교환기(1)를 가열하는 주버너(2)로와 가스통로(6)에, 전자식원밸브(7)와, 상기 수 열교환기(1)로의 통수동작에 응동하여 개방되는 수 응동밸브(8)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전자식원밸브(7)의 작동회로(9)에 전원으로서의 전지(12)와, 조작자(16)의 오프조작으로 개방되는 제1스위치(10)를 설치하고, 상기 수 밸브(5)와 제1스위치(10)를 1개의 공통조작자로 행하도록한 연소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회로에 상기 제1스위치(10)와 직렬로 수 응동밸브(8)의 폐쇄시 개방되는 제2스위치(1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제어장치.
KR2019900010803U 1989-08-19 1990-07-21 연소제어장치 KR95000034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096958U JPH073148Y2 (ja) 1989-08-19 1989-08-19 燃焼制御装置
JP1-96958 1989-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698U KR910004698U (ko) 1991-03-19
KR950000345Y1 true KR950000345Y1 (ko) 1995-01-20

Family

ID=1417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0803U KR950000345Y1 (ko) 1989-08-19 1990-07-21 연소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3148Y2 (ko)
KR (1) KR9500003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1721B2 (en) 2002-06-17 2008-10-28 Hyundai Welding Co., Ltd. Device for preventing welding wire from tangl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698B2 (ja) * 1987-04-30 1994-02-02 株式会社ハ−マン 給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3148Y2 (ja) 1995-01-30
KR910004698U (ko) 1991-03-19
JPH0338549U (ko) 199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49383A (en) Gas cooker
KR890002768Y1 (ko) 순간온수기의 연소제어회로
US6082388A (en) Control device for gas burners
KR950000345Y1 (ko) 연소제어장치
US5607294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burner in general
AU2004217797B2 (en) Gas regulating fitting
KR880002969Y1 (ko) 물끓임기의 조작장치
KR870002864Y1 (ko) 순간온수기
KR910000582B1 (ko) 온수기의 압압 버튼식 조작장치
KR870002865Y1 (ko) 순간온수기의 압압조작 제어장치
KR900000927Y1 (ko) 가스기구의 누름버튼식 조작장치
KR910000580B1 (ko) 가스 제어장치
JPH0330705Y2 (ko)
JPH0158418B2 (ko)
KR870003114Y1 (ko) 순간온수기의 압압조작 제어장치
JPH023111B2 (ko)
JPS6119319Y2 (ko)
KR950012160B1 (ko) 가스탕비기
KR930000769Y1 (ko) 가스기기의 자동 점화장치
KR890000103Y1 (ko) 압압 버튼식 점화장치
JPH025273Y2 (ko)
KR890001911Y1 (ko) 가스스토브의 화력조절장치
GB2131943A (en) Gas burner start mechanism
JP3098128B2 (ja) 湯水切替機構付き湯沸器
KR930008371A (ko) 가스기구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