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283B1 - 송수신 데이터의 코딩/디코딩 에러 레이트 채크 팩시밀리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송수신 데이터의 코딩/디코딩 에러 레이트 채크 팩시밀리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283B1
KR950000283B1 KR1019920009203A KR920009203A KR950000283B1 KR 950000283 B1 KR950000283 B1 KR 950000283B1 KR 1019920009203 A KR1019920009203 A KR 1019920009203A KR 920009203 A KR920009203 A KR 920009203A KR 950000283 B1 KR950000283 B1 KR 950000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data
error rate
coding
pseudo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9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429A (ko
Inventor
한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9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283B1/ko
Publication of KR930024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2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송수신 데이터의 코딩/디코딩 에러 레이트 채크 팩시밀리 및 방법
제 1 도는 CCITT 권고안 T.30의 통신 흐름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 데이터의 코딩/디코딩 에러 레이트 채크 팩시밀리의 연결 구성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도시된 팩시밀리의 구성 블록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 데이터의 코딩/디코딩 에러 레이트 채크 제어흐름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의사 이미지 데이터 전송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송수신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코딩/디코딩의 검사 기능을 가지는 팩시밀리(Facsimile)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MH코딩(Modified Huffman Code)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코딩/디코딩시의 에러 레이트를 검사할 수 있는 팩시밀리 및 그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팩시밀리라 함은 송신하여야 할 원화를 주사시켜 화소(畵素)로 분해한 다음 이것을 전기 신호로 바꾸어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원화와 같은 수신 기록을 얻는 통신 장치인 단말을 말한다.
상기와 같읕 팩시밀리는 흑백의 2계조(階調), 또는 농담(濃淡)을 포함하는 수 계조로 된 문자, 도표 등의 원화(原畵)를 화소로 분해한 다음, 이를 이치화(디지탈화)하여 MH 혹은 MR 코딩하여 CCITT 권고안 T.30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대방과 송수신토록 되어 있다.
일반 전화 교환망에서 팩시밀리의 제어 절차를 결정한 CCITT 권고 T.30에서는 팩시밀리의 통신을 호출 설정, 메시지 전(前)절차, 메시지 중(中)절차, 메시지 후(後)절차 호출 복귀의 5단계로 나누어 토널(tonal)제어절차와 바인리(binary) 제어(制御) 절차의 두가지를 규정하고 있으며, 그 팩시밀리의 절차의 일예를 살피면 제 1 도와 같다.
제 1 도는 CCITT 권고안 T.30의 호진행 절차의 흐름도로서, 이는 송신측(Sender FAX)와 수신측(Receiver FAX)간의 진행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송신측(S.FAX)에서 수신측(R.FAX)을 호출하면, 수신측(R.FAX)은CIS(Called Subscriber Identification)과 DIS(Digital Identification Signal)을 송신측(S.FAX)로 송신한다. 송신측(S.FAX)에서는 상기 CIS, DIS의 수신에 응답하여TSI(Transmitting Subscriber Identification)와 DCS(Digtal Command Signal)을 전송후 TCF(Training check)와 MSG(Message ;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한다.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면 MPS(Multi - Page signal) 혹은 EOP(End of page) 신호를 수신측(R.FAX)로 전송한다.
수신측(R.FAX)은 상기 NPS 및 EOP의 수신에 응답하여 MCF(Message confirmation) 혹은 RTP(Retrain positive) 혹은 RTN(Retrain Negative) 신호측(S.FAX)로 전송하여 송수신을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호진행 절차를 가지고 송신측의 팩시밀리와 수신측의 팩시밀리 상호간에 특정 형태로 코딩된 데이터를 송수신시 일반적인 팩시밀리에서는 호진행 절차는 알 수 있으나 범용적인 팩시밀리로서는 자신이 송신한 코딩 데이터를 수신측에서 얼마나 정확하게 수신하였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즉, MH코딩 방식으로 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시 수신측에서 얼마만한 정확도를 가지고 디코딩하여 수신하였는지를 알 수 없어 유럽의 일부국가에서 적용되고 있는 송수신시의 코딩/디코딩 에러율을 검사할 수 없었다.
또한 팩시밀리 시스템을 사후 서비스 하기 위하여 테스트시 원거리에서 상대방의 팩시밀리의 코딩/디코딩 상태를 간단히 진단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형태로의 패턴화된 의사 이미지 데이터(Pseudo Image Data)를 코딩 전송하여 상대방의 시스템으로부터 응답되는 메시지로써 송수신의 에러율을 검사할 수 있는 팩시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형태로 패턴화된 의사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시 이를 디코딩하여 에러율을 계산하고, 이의 상태 메시지를 전송하는 팩시밀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 데이터의 코딩/디코딩 에러 레이트 검사 팩시밀리의 연결 구성도로서, 호출측과 피호출측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통화로 형성장치와, 테스트 모드에 응답하여 내부에 저장된 특정 형태의 의사 이미지 데이터를 포멧팅(Formatting)하고, 상기 포멧팅된 의사 이미지 데이터를 코딩하여 상기 통화로 형성장치를 통해 통화로가 형성된 상대방으로 전송하며, 상기 통화로를 통해 수신되는 응답 메시지를 분석하여 에러율의 상태를 출력하는 S.FAX(Sender Facsimile)(12)와, 상기 통화로 형성장치의 피호자의 통화로에 접속되어 있으며, 코딩되어진 수신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코딩의 에러율을 계산하여 이에 대응하는 에러 메시지를 상기 송신측으로 전송하는 R.FAX(Receive Facsimile)(14)로 구성된다.
제 2 도에 있어, 통화로 형성장치는 여러 예가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PSTN의 일예를 설명한다.
제 3 도는 제 2 도에 도시된 S.FAX(12)와 R.FAX(14)의 상세 블럭도로서, 소정의 제어에 의해 통화로 형성장치와의 통화로를 형성하고, 입출력 데이터 및 신호를 변복조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전송수단과 특정형태로 패턴화된 의사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로리(20)와 키입력에 따른 테스트 모드의 명령을 발생하고 입력 데이터를 표시하는 OPE(operating pannel)(22)와, 상기 테스트 모드의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된 의사 이미지 데이터를 특정 형태로 포멧팅하여 코딩하고 상기 코딩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전송수단을 통해 상대방으로 전송하고,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 분석하여 에러율을 표시하는 의사 이미지 데이터 송수신 및 에러 채크부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 도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수단은 모뎀(16)과 NCU(Network Control Unit)(18)로 구성되어 있으며, 의사 이미지 데이터 송수신 및 에러 채크부는 MPU(Microprocessar)로 구성한 일예이다.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 데이터의 코딩/디코딩 에러 레이트 채크 흐름도로서, 테스트 명령에 응답하여 의사 이미지 데이터를 특정 형태의 데이터로 포멧팅하는 의사 이미지 데이터 포멧팅 과정과 상기 포멧팅된 의사 이미지 데이터를 MH코딩하여 상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하는 에러율을 표시하는 에러 표시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의사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의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의 일예를 제 2 도 내지 제 5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송신측의 팩시밀리와 수신측의 팩시밀리가 제 2 도와 같이 접속되어 있으며, 이들 상호간의 통화로가 형성되었다고 가정하에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키입력이 OPE(22)로부터 발생되면 MPU(24)는 제 4 도 30과정에서 키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하고, 입력된 키가 테스트 키인가를 32과정에서 검색한다.
상기 제 32 과정에서 키입력이 테스트 키가 아니라면 MPU(24)는 입력키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며, 테스트 키 즉, 테스트 명령이라면 상기 MPU(24)는 34과정에서 메모리(20)내에 저장된 의사 이미지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하기와 같이 포멧팅한다.
상기에서 의사 이미지 데이터는 프로그래밍(programing)에 의해 가상적으로 만들어진 데이터이며 사용자가 어떤 데이터임을 먼저 알 수 있다. 이러한 가상 데이터는 모두 400라인(lin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의 세부설명은 다음과 같다.
· 총라인수(Total line)수 : 400라인
· 실제라인(actual line) : 260라인
· 스페이스(space) : 68 x 2 + 2 = 138라인
· 패턴 기준라인(pattern reference line) : 2라인
이때 스페이스, 패턴 기준라인, 실제라인들을 살피면 하기와 같다.
· 스페이스 : 모두 로직 ø의 데이터로 1728화소를 구성하는 화이트 라인(white line)이다.
· 패턴기준라인 : 모두 로직 "1"의 데이터로서 1728화소의 블랙(Black line)이다.
·실제라인 : 실제 데이터 라인이며 이 라인을 변화시켜 코딩의 에러(error)율을 조정할 수 있다. 이의 실제 라인은 모두 10개의 그룹(Group)으로 되어 있으며, 한 그룹당 26라인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4 도 34과정에서의 포멧팅은 MPU(24)가 상기의 의사 이미지 데이터중 실제의 데이터만을 하기와 같이 포멧팅한다.
포멧(format) :
상기의 포멧팅 데이터는 실제 데이터들이며 포멧이 완료되면 MPU(24)는 , 16진수(HEX)값들로써 메모리(20)에 기억시켜 놓는다.
상기 제 4 도는 34과정에서 의사 이미지 데이터의 포멧팅을 완료하면MPU(24)는 상기 포멧팅된 데이터를 36과정에서 코딩된다.
이때 상기 36과정의 데이터 코딩은 1차원 코딩(coding)의 하나인MH(Modified Huffuman Coding)기법을 이용하여 변환할 수 있다.
즉, 위의 데이터들을 백("ø"bit)와 혹("1"bit)의 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연속적인 스트림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의 값은 혹은 백의 연속의 길이(run-length)값으로 처리하여 이에 맞는 코딩값으로 변환시키는 방법에 의해 코딩을 할 수 있으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피면 하기와 같다.
(코딩의 예)
10개의 그룹으로 이루어진 실제 데이터중 첫 번째 그룹(first group)의 첫 번째 라인(first line)인 경우
여기서, W는 화이트 레벨, B는 블랙 레벨이다.
상기 36과정에서 메모리(20)에 저장된 포멧 데이터중의 실제 데이터를 코딩완료하면 MPU(24)는 38과정에서 상기 코딩 데이터와 메시지의 종료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EOL(End of line)을 모뎀(16)과 NCU(18)를 통해 수신측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수신측은 제 5 도와 같이 된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과정에 의해 변환된 코딩 데이터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환되어 통해 상대방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는 즉, 변환된 데이터의 라인중에 일정한 수의 라인에 포함되는 코딩값을 바꾸면 상대방에서 수신하였을 때 에러라인(error line)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상기 38과정에서 포멧팅된 의사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한 MPU(24)는 40과정에서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색한다.
즉, 송신된 데이터에 대응한 수신응답 메시지가 상대국으로부터 전송되었는지를 검색한다.
한편 상기 과정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즉, 일정한 에러(error)율을 갖고 있는 코딩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측에서는 이를 디코딩(decoding)후 하기 식에 의해 계산한다.
이는 에러(error) 상태를 송신쪽에 알려주기 위함이다.
에러라인(error line)에 의해 상기와 같은 에러율이 계산되면 수신측은 에러율이 5% 이하일 때 MCF, 그리고 5∼10% 이상이면 RTN을 송신측에 보낸다.
상기와 같이 수신측에서 에러율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면 송신측의 팩시밀리는 의사 이미지 데이터 송신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MPU(24)는 메시지의 상태(MCF/RTP/RTN)을 분석하여 수신된 메시지에 대응한 에러율을 OPE(22)내 표시 장치를 통해 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고(document)가 없이도 미리 소정의 에러율을 갖도록 설정된 의사 이미지 데이터를 상대방의 팩시밀리로 송신이 가능하고 이를 갖고 상대방의 에러율(error)율의 상태 및 그의 정밀도를 시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의 에러율을 가지는 의사데이터를 전송하고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에 의해 디코딩의 에러율을 인지할 수 있어 프로그램 버그(Bug)에 의한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호출측과 피호출측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통화로 형성장치에 각각 접속되어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코딩/디코딩의 에러 레이트 채크하는 팩시밀리에 있어서, 소정의 제어에 의해 통화로 형성장치와의 통화로를 형성하고, 입출력 데이터 및 신호를 변복조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전송수단과 특정 형태로 패턴화된 의사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20)와 키입력에 따른 테스트 모드의 명령을 발생하고 입력 데이터를 표시하는 입력 및 표시장치(22)와 상기 테스트 모드의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된 의사 이미지 데이터를 특정 형태로 포멧팅하여 코딩하고 상기 코딩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전송수단을 통해 상대방으로 전송하고,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 분석하여 에러율을 표시하는 의사 이미지 데이터 송수신 및 에러 채크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데이터의 코딩/디코딩 에러 레이트 채크 팩시밀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된 의사 이미지 데이터는 실제라인의 데이터와 로직이 각각 화이트와 블랙 레벨을 가지는 스페이스와 패턴 기준 라인의 데이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데이터의 코팅 / 디코딩 에러 레이트 채크 팩시밀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라인의 데이터는 소정의 각 화소 위치에서 블랙으로 나타날 실제 화상 데이터 라인으로 26라인의 하나의 그룹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데이터의 코딩/디코딩 에어 레이트 채크 팩시밀리.
  4. 호출측과 피호출측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통화로 형성장치에 각각 접속되어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코딩/디코딩의 에러 레이트 채크하는 팩시밀리의 에러 레이트 체크 방법에 있어서, 테스트 명령에 응답하여 의사 이미지 데이터를 특정 형태의 데이터로 포멧팅하는 의사 이미지 데이터 포멧팅 과정과 상기 포멧팅된 의사 이미지 데이터를 코딩하여 상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하는 에러율을 표시하는 에러 표시과정으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20009203A 1992-05-28 1992-05-28 송수신 데이터의 코딩/디코딩 에러 레이트 채크 팩시밀리 및 방법 KR950000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9203A KR950000283B1 (ko) 1992-05-28 1992-05-28 송수신 데이터의 코딩/디코딩 에러 레이트 채크 팩시밀리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9203A KR950000283B1 (ko) 1992-05-28 1992-05-28 송수신 데이터의 코딩/디코딩 에러 레이트 채크 팩시밀리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429A KR930024429A (ko) 1993-12-22
KR950000283B1 true KR950000283B1 (ko) 1995-01-12

Family

ID=1933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9203A KR950000283B1 (ko) 1992-05-28 1992-05-28 송수신 데이터의 코딩/디코딩 에러 레이트 채크 팩시밀리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2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429A (ko) 199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52960B1 (en) Image communicating apparatus
US5140439A (en) Facsimile communication method and facsimile machine
KR19980070117A (ko) 팩시밀리장치
EP05413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KR950000283B1 (ko) 송수신 데이터의 코딩/디코딩 에러 레이트 채크 팩시밀리 및 방법
JPH0824235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画像伝送制御方法
US5539537A (en) Facsimile apparatus having a white-line skipping function
JPH0825137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0130874B1 (ko) 팩시밀리의 프로토콜 송수신방법
US7079274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20000009857A (ko) 팩시밀리의 전송시간 단축방법
KR100206316B1 (ko) 팩시밀리의 수신측 원고화질 변경방법
KR100245024B1 (ko) 팩시밀리의 메모리 송/수신방법
JP2606957B2 (ja) Faxデータ伝送装置
JP2003069797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920001188B1 (ko) 팩시밀리 통신시의 프로토콜 실시간 표시방법
KR0165205B1 (ko) 팩시밀리의 수신측 화질농도 조절방법
KR970003408B1 (ko) 컴퓨터-팩시밀리의 문자통신방식
KR100247071B1 (ko) 팩시밀리장치에서 수신결과를 송신국으로 통보하는 방법
JP2823565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773325B2 (ja) ファクシミリ通信方法
JPH07162644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モデム制御方式
JP200314338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8172537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618151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