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060B1 - 완전히 통합된 흡수 구조를 갖는, 몸에 맞으며 자체 조정되는 일회용 의류 - Google Patents

완전히 통합된 흡수 구조를 갖는, 몸에 맞으며 자체 조정되는 일회용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060B1
KR950000060B1 KR1019860007431A KR860007431A KR950000060B1 KR 950000060 B1 KR950000060 B1 KR 950000060B1 KR 1019860007431 A KR1019860007431 A KR 1019860007431A KR 860007431 A KR860007431 A KR 860007431A KR 950000060 B1 KR950000060 B1 KR 950000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over
disposable
disposable garment
garment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7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784A (ko
Inventor
지.볼랜드 레오나
에이.스티븐스 로버트
씨. 윌슨 존
엘.제니 조오지아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코포레이션
케니스 에이.키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50572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5000006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US06/773,744 external-priority patent/US4718900A/en
Priority claimed from US06/773,739 external-priority patent/US4701172A/en
Priority claimed from US06/773,743 external-priority patent/US4710187A/en
Priority claimed from US06/773,741 external-priority patent/US4701173A/en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코포레이션, 케니스 에이.키소우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70002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완전히 통합된 흡수 구조를 갖는, 몸에 맞으며 자체 조정되는 일회용 의류
제 1a 도는 유아에게 착용시킨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의 측면도.
제 1b 도는 유아에게 착용시킨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의 정면도.
제 1c 도는 유아에게 착용시킨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의 배면도.
제 1d 도는 유아에게 일정시간 동안 착용시킨 후의 기저귀 배치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의 정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의 일 실시태양을 중간 제조 상태로 도시한 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선 3-3에 따른 횡단면도.
제 4 도는 완성된 상태이나 체결부를 부착하지 않은 제 2 도에 실시한 일회용 기저귀의 평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선 5-5에 따른 횡단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의 다른 실시태양을 중간 제조 상태로 도시한 평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선 7-7에 따른 횡단면도.
제 8 도는 제 6 도에서 도시한 또 다른 실시태양의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 9 도는 제 8 도의 선 9-9에 따른 횡단면도.
제 10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실시태양의 평면도.
제 10a 도는 제 10 도의 선 10A-10A에 따른 횡단면도.
제 1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의 추가 실시태양의 평면도.
제 12 도는 제 11 도의 선 12-12에 따른 횡단면도.
제 1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실시태양.
제 13a 도는 제 13 도의 선 13A-13A에 따른 횡단면도.
제 14 도는 기저귀에 고정 위치의 체결부를 부착시키는 제 1 방법을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의 일 실시태양의 평면도.
제 15 도는 제 14 도의 선 15-15에 따른 횡단면도.
제 16 도는 제 14 도의 선 16-16에 따른 횡단면도.
제 17 도는 착용자에게 채워졌을 때와 같은 상태의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의 일 실시태양의 사시도.
제 18 도는 제 17 도의 선 18-18에 따른 횡단면도.
제 19 도는 기저귀에 고정 위치의 체결부를 부착시키는 제 2 방법을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의 평면도.
제 20 도는 제 19 도의 선 20-20에 따른 횡단면도.
제 21 도는 제 19 도의 선 21-21에 따른 횡단면도.
제 22 도는 착용자에게 채워졌을 때와 같은 상태의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의 일 실시태양의 사시도.
제 23 도는 제 22 도의 선 23-23에 따른 횡단면도.
제 24 도는 고정 위치의 체결부의 일 부재의 사시도.
제 25 도는 고정 위치의 체결부의 짝 부재의 사시도.
제 26 도는 고정 위치의 체결부의 두 부재를 맞물린 위치로 도시한 사시도.
제 27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의한 흡수 구조물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일회용 기저귀 12 : 허리 개구부
14 : 다리 개구부 20 : 외부 커버
22 : 흡수 구조물 24 : 다리 헴
26 : 후면 허리 플랩 28 : 정면 허리 플랩
38 : 복합 흡수체 42 : 신체측 라이너
44 : 방벽 58, 60 : 허리 탄성 부재
62 : 다리 헴 탄성 부재 64 : 후면 허리 부분
66 : 정면 허리 부분 67 : 신체 횡방향
68 : 가랑이 부분 69 : 신체 횡방향에 수직 방향
70, 72, 74, 76 : 체결 부재 77, 79 : 접합점
80, 82 : 외부 커버 연장 부재 94, 96, 102, 104 : 버클
92, 100 : 구멍 106 : 접착점.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소변 및 기타 신체 분비물을 흡수 및 내포하는데 이용되는 일회용 의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정위치의 체결부를 갖는, 몸에 맞으며, 또한 자체 조정되는 일회용 의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신규 재료를 이용하여 새롭게 구성하여 적합성 및 기능성을 증진시킨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의류는 대개 당 업계에 잘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소변 및 기타 신체 분비물을 흡수 및 내포하기 위해 제공되는 일회용 기저귀가 유아 및 아동용품 분야에서 중요하고 필수 불가결한 위생 보호 품목이 되어 왔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일회용 기저귀는 일반적으로 단일로, 미리 성형되고, 미리 접혀진 것으로서, 다공성 접촉층, 유체 불투과성 배면과 그 사이에 배치된 흡수재로 이루어진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이들 일회용 기저귀는 특정한 요구에 부합되어 점점 대중화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판중인 일회용 기저귀는 효과적이고 유효하긴 하나, 기저귀를 착용하는 유아의 어머니에 의해 몇가지 단점이 지적되었다. 이들 어머니들은 유아 또는 아동에게 착용시켰을때 심미적으로 말쑥하고 매력적인 일회용기저귀를 원하고있다. 심미적으로 말쑥하다는 기준은 말쑥하고, 호리호리하게 맞고, 소변 또는 배설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허리와 다리에 말끔하게 맞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또한, 어머니들은 아동이 구겨지거나, 부피가 크거나, 어질러진 형태로 보이는 것을 원치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들은 보다 큰 유아에게 맞는 일회용 기저귀 또는 보다 큰 크기로 제공되는 일회용 기저귀에 대한 열망을 표하고 있다.
어머니들이 주장한 또 다른 결점은 소변, 배설물 또는 피부에 접하여 괸 수분으로 인한 피부 자극에 관한 문제이다. 이들은 또한 이와 같은 문제가 해소된 일회용 기저귀를 원하고 있다.
또 다른 주요 결점은 유아에게 기저귀를 채우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판중인 일회용 기저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플라스틱 봉합 테이프이다. 초기에는, 일회용 기저귀에 도입된 체결 테이프는 다시 봉할 수 없었는데, 이것은 어머니가 기저귀가 젖었는지를 살피거나, 또는 잘 맞게 조절하고자 할 때, 테이프를 다시 봉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이것은 기저귀를 다시 봉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버릴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는 일회용 기저귀에 다시 봉할 수 있도록 제조된 테이프가 사용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테이프는 유아용 파우더, 유아용 오일 또는 기타 테이프가 다시 봉합되지 못하게 하거나 또는 최악의 경우에는 처음 사용 후 다시 봉합되지 못하게 하는 물질들로 오염되기 쉽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어머니들은 쉽게 오염되지 않고, 언제든지 다시 봉함할 수 있으며, 유아에 의해 쉽게 풀리지 않는 체결부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를 원하고 있다. 테이프에 보다 강력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언제든지 다시 봉함할 수 있는 테이프를 제공하려는 노력이 일부 제조업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보다 강력한 접착제는 외부 커버를 파열하여 기저귀를 사용할 수 없게 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현재 일회용 기저귀에서 사용되는 체결 테이프는 착용 후 유해한 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다. 테이프는 외부 커버의 어느 부분에라도 봉함될 수 있도록 제조되고, 어머니들이 테이프를 어디에 봉해야 하는지가 지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테이프가 잘못된 커버위치에 봉해져서 흔히 일부 유해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 결과, 첫번째로 기저귀가 유아에게 알맞게 착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너무 느슨한 경우에는 기저귀가 허리에서 떨어지거나 쳐지며, 너무 꼭 조이는 경우에는 외부 커버가 잡아 당겨져서 유아가 불편을 느낄 수 있다. 두번째로, 테이프의 부적당한 위치시킴으로 인해 다리 개구부가 벌어져 누출이 유발될 수 있다. 세번째로, 위와 같은 문제점을 바로잡기 위해 테이프의 위치를 다시 잡으려 할 때 테이프가 오염될 가능성이 커지고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어머니들이 발견하였다.
현재의 일회용 기저귀에 따르는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수년간 계속되어 왔으며, 몇가지 상이한 방법이 개발되었다. 착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한가지 방법으로는 가랑이 부분에서 겉보기 폭을 좁히기 위해 직사각형 기저귀를 기하학적으로 접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던컨(Duncan) 등의 미합중국 재발행 특허 제26, 151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직사각형 기저귀에 나란하게 세로로 접은 박스형 주름과 각 측면을 따라 느슨하게 겹쳐진 플랩을 제공한다. 또 다른 방법은 흐루벡키(Hrubecky)의 미합중국 특허 제3, 196, 874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직사각형 기저귀에서 가랑이 부분에 삼각형 주름을 제공한다. 상기 두 방법에 의해 기저귀를 유아에게 더욱 용이하게 착용시킬 수는 있으나, 몇가지 문제점이 남아 있다. 첫번째로, 미리 주름잡은 사각형 기저귀로 인해 다리 사이에 부피가 증가되므로 유아가 불편을 느끼게 된다. 두번째로, 부적합하게 큰 부피로 인하여 기저귀가 다리에 밀착되어 착용되지 못하므로, 틈이 생겨 누출이 일어날 염려가 있다. 세번째로, 부적합한 측면으로, 허리가 측면에서 아래로 당겨짐으로써 기저귀의 허리 정면에 틈이 생겨 누출이 일어날 수도 있다. 또한, 허리 정면에 틈이 생김으로써 기저귀가 부피가 질척거리고 더러워진다.
다리 사이의 부적합하게 큰 부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가랑이 부분에 흡수 패드의 폭을 좁히는 것이 포함된 방법이 고안되었다. 그러나, 일회용 기저귀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재료들이 비교적 부적당하므로, 넓적다리에 꼭 맞게 하기가 어렵고, 여전히 바람직하지 못한 틈이 생기게 된다. 또한, 흡수 패드의 폭을 감소시키면 이용 가능한 흡수 용량이 감소되므로, 누출 가능성이 증가하게 된다. 누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으로서, 부엘(Buell)의 미합중국 특허 제3, 860, 003호에는 기저귀 가장자리에, 탄성 처리된 선과 가랑이의 흡수 패드 가장자리 사이에 탄성처리된 가요성 플랩(flaps)을 제공한다.
또다시, 한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의 결과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탄성 처리된 플랩은 신장된 탄성체가 변형이 용이한 플랩을 다리와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압착하므로 넓적다리에 조이게 봉해진다. 그러나 넓적다리가 조이게 봉해짐으로서 몇가지 부수적인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첫번째로, 조이게 봉하면, 소변이 기저귀 가장자리 근방에 모여 플랩과 피부 사이의 부분에 침투되므로, 피부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두번째로, 요구되는 플랩 폭을 확보하기 위하여 흡수 패드 폭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남아있는 흡수 패드가 과도하게 젖으면 누출이 일어날 수 있다. 세 번째로, 감소된 흡수 패드의 폭이 과도하게 젖는 경우에는 가랑이 하부에서 분리되고 주름잡혀서 유액이 사용되지 않은 흡수 패드 부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탄성 처리한 플랩에 따르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량된 신규의 일회용 기저귀가 운(Woon)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 050, 462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기저귀가 다리에 더 잘 맞고 기능적으로 개량된 흡수 용량을 갖도록, 좁게 만든 가랑이 부분의 가장자리에만 탄성 처리하였다. 이 방법은 탄성체를 흡수패드의 가장자리에 바로 인접하게 부착시키고, 흡수 패드 표면을 이 부분의 배면 재료 또는 정면 재료에 접착시켜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성취된다. 이로써 흡수 패드는 탄성체가 수축하여 가랑이부분에 큰 가로 주름이 잡히는 경우에 수축한다. 이와 같은 큰 가로 주름은 특히 흡수 패드의 분리 경향을 감소시키고, 흡수 패드의 위킹 특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흡수 패드의 유효 흡수 용량을 증가시킨다.
본 출원에는 착용하는 유아에게 매력적으로 홀쭉하고 말쑥한 기저귀를 제공하기 위하여 해부학적으로 몸에 꼭 맞고, 해부학적으로 자체 조정되는 개량된 일회용 기저귀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기저귀는 말쑥하고, 다리 또는 허리에 틈이 생기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반복 체결할 수 있는, 위치가 고정된 방오성 체결부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일회용 기저귀는 통기성인 동시에 누출이 고도로 방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외부 커버와 체액 및 기타 분비물의 흡수 및 내포를 위해 외부 커버 내에 배치된 흡수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해부학적으로 몸에 꼭 맞고, 대체로 자체 조정되는 일회용 흡수 의류가 제공된다. 흡수 수단을 완전하게 배치시키기 위해 부착 수단을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외부 커버 내에 재공함으로써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외부 커버의 신장성은 억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태양에 있어서 흡수 수단은 액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를 포함한 흡수재, 이 라이너에 부착된 액체 불투과성 방벽과, 방벽과 라이너 사이에 배치된 복합 흡수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있어서, 부착 수단에는 포켓 형성 수단이 포함되는데, 여기에는 흡수 구조의 제1단부가 내부에 배치된 외부 커버와 함께 제1포켓을 형성하는 정면 허리 플랩과, 흡수 구조의 제2단부가 내부에 배치된 외부 커버와 함께 제2포켓을 형성하는 후변 허리 플랩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합한 실시태양에 있어서, 의류의 정면 및 후면 허리띠 부분중 적어도 한 부분을 똑바르게 하기 위해 허리를 곧바르게 만드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 적합한 실시태양에 있어서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고, 외부 커버 내에서 신장된 상태로 완전하게 유지됨으로써 흡수 구조가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 컵 모양으로 되도록 하는 액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이점은 외부 커버의 신장성이 억제되지 않고, 그러므로써 착용시 의류가 상당히 개선된 적합성과 매력적인 외형을 나타내도록 흡수 구조물이 외부 커버에 완전하게 부착되어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신장가능한 외부 커버가 목적하는 모든 부분에서 신체를 부드럽게, 그러나 안전하게 감싸고 보호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외부 커버에 의해 의류가 상이한 복부 및 넓적다리의 크기와 같은 상이한 해부학적 외모에 기인한 여러 착용자들의 다양한 외형 및 형태에 맞게 자체 조정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추가 이점은 본 발명의 의류가 상이한 해부학적 외모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여러 가지 수면 자세 및 신체적인 움직임과 같은 착용자의 여러가지 위치 변경 및 활동에 대해 자체조정됨으로써 홀쭉하고 말쑥하며, 심미적으로 말끔한 외관을 나타내는 능력을 지녔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소변 및 기타 신체 분비물을 흡수 및 내포하기 위한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해부학적으로 몸에 꼭 맞고, 대체로 자체 조정되어 착용자의 신체에 심미적으로 잘 맞는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에게 체결시키기 위해 외부 커버에 부착된 고정된 위치의 체결부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이제, 상기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일정 양식에 비추어 서술한다. 당 업계의 숙련자라면 이와 같은 설명이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결코 본 발명의 범위를 구성 용어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것이다.
도면으로 돌아가서, 각 도면에서 유사한 부분은 유사한 참고 번호로 설정하였다. 제1a도에서 제1d도는 일회용 기저귀(10)를 유아에게 착용시킨 상태로서 도시하였다. (12)와 (14)로 표시한 허리 및 다리 개구부는 헴처리되어 있다. 제1a도, 제1b도 및 제1d도는 대체로(16)에서의 체결부 위치를 나타낸다. 제1d도는 유아에게 일정시간 동안 착용시킨 후 기저귀가 점선(18)로 표시한 처음 위치에서 최소로 이동하였음을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일회용 기저귀의 일 실시태양을 나타낸다. 외부 커버(20)과 이 위에 배치된 흡수 구조물(22)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외부 커버(20)에는 다리 헴(24), 후면 허리 플랩(26)과 정면 허리 플랩(28)이 펼친 상태로 나타나 있다. 접는 선(30)은 후면 허리 플랩(26)이 접히는 위치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접는 선(32)는 정면 허리 플랩(28)이 접히는 위치를 나타낸다. 접는 선(34)는 헴(24)가 접히는 위치를 나타낸다. 선(36)은 복합 흡수체(38)의 가장자리를 나타낸다. 제2도와 관련지어 제3도를 살펴보면, 흡수 구조물(22)은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액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42)와 이에 접착된 액체불투과성 방벽(44)와 그 사이에 배치된 복합 흡수체(38)로 된다. 신체측 라이너(42)를 방벽(44)에 접착시키기 위해서는 어떠한 적당한 수단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42)를 방벽(44)에 접착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바람직한 것은 음파 또는 초음파 에너지에 의해 생성된 접합과 같은 임의의 자가 접합(autogenous bond)을 이용하는 것이다. 신체측 라이너(42)와 방벽(44)의 접합 기능은 이 사이에 배치된 복합 흡수체(38)을 유지시키고, 흡수 구조물(22)을 단일 구조로 유지시킨다. 복합 흡수체(38)의 조성에 따라 신체측 라이너(42)와 방벽(44)간의 접합은 연속적이거나 또는 일련의 불연속점일 수 있다.
제 27 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신체적 라이너(42)를 방벽(44)에 접합시키면 흡수 구조물(22)가 목적하는 모양으로 된다. 이것은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신체측 라이너(42)를 신장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방벽(44)에 접합시켜서 성취한다.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신체측 라이너(42)의 선택된 주변 부분에 장력을 가하여 신체측 라이너를 신장시킴으로써 목적하는 모양을 선택적으로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이너(42)를 접합중에 수직 방향으로 신장시키면 장력을 제거하였을 때 흡수 구조물(22)은 접혀진 형태, 즉 각 단부가 서로 향하여 덮혀진 형태로 된다.
접혀진 모양은 제 27 도에 나타내었다. 또한,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신체측 라이너(42)에 제 2의 장력을 가하여 이것을 신체 횡방향으로 신장시키면서 방벽(42)에 접합시키면, 제 2 장력을 제거하였을때 신체측 라이너(42)의 탄력성으로 말미암아 흡수 구조물(22)가 신체 횡방향으로 컵 모양을 이루게 된다. 명료하게 하기 위해, 자가 접합점(40) 몇개만을 나타내었고 부호를 붙였다. 감압성(pressure sensitive) 또는 감열성(heat sensitive) 접착제와 같은 기타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것은 또한 본 발명의 범위로서 간주한다. 제 3 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 구조물(22)는 외부 커버(20) 위에 배치되어 있다. 각 성분을 이루고 있는 재료들은 이후 도면과 연결되어 설명한다.
제 4 도는 흡수 구조물(22) 위로 접혀져서 포켓(29 및 31)을 형성하는 허리 플랩(26 및 28)을 갖는 제 2 도에서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실시 태양을 예시한다. 제 4 도에는 또한 접어서 접합시킨 헴(24)가 나타나 있다. 이때에도, 임의의 접합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자가 접합 방법이 바람직하며, 일련의 불연속 접합을 부호(46)으로써 나타내었다. 또한 플랩(26 및 28)을 외부 커버에 접합시키는 자가 접합(48)이 나타나 있다. 이로써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수 구조물(22)의 양 말단 위로 접혀진 플랩(26 및 28)은 외부 커버(20)의 신장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외부 커버(20)에 대하여 흡수 구조물(22)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제 5 도는 제 4 도의 선 5-5에 따른 횡단면도로서, 허리 플랩(26)이 흡수 구조물(22)의 위에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다. 특히, 흡수 구조물(22)의 끝을 외부 커버(20) 또는 허리 플랩(26 또는 28)에로 유지시키는 직접적인 접합점이 없음을 주목해야 한다. 이로써 외부 커버(20)의 신장성은 흡수 구조물(22)에 의해 억제되지 않는다. 정면 및 후면 허리 플랩(26 및 28) 이외에, (50)으로써 표시한 자가 접합점이 존재하며 기저귀의 가랑이 부분에서 흡수 구조물(22)를 외부 커버(20)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접합점이 외부 커버(20)의 가랑이 부분의 신장성을 억제할 수도 있으나, 가랑이 부분에서는 외부 커버가 신체 횡방향으로 신장되어야 할 필요가 적으므로 이 접합점에 의해 외부 커버(20)의 가능성이 감쇄되지는 않는다.
제 6 도 내지 제 9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실시 태양을 예시한다. 제 6 도 내지 제 9 도를 함께 살펴보면, 흡수 구조물(22)는 외부 커버(20)내에서 완전히 통합되어 있고, 신체측 라이너(42), 액체 불투과성 방벽(44)와 이 사이에 배치된 복합 흡수체(38)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 6 도의 선 7-7에 따른 횡단면도인 제 7 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신체측 라이너(42)는 상기 실시태양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벽(44)가 아닌 외부 커버(20)에 접합되어 있다. 제조 공정 중 복합 흡수체(38)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복합 흡수체를 티슈로 싸거나, 제 7 도 및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벽(44)에 접착된 티슈(43)을 가질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42)는 외부 커버(20)이 신장된 상태에 있을 때 외부 커버(20)에 접합시킨다. 신체측 라이너(42)는 통상의 방법, 바람직하기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으로 (45)로써 표시한 자가 접합점을 사용하여 외부 커버(20)에 접합시킬 수 있다. 제 8 도 및 제 9 도는 제 6 도 및 제 7 도에서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외부 커버(20)이 신장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 도면은 치수적으로 정확한 것이 아니다. 특히 제 8 도의 선 9-9에 따른 횡단면도인 제 9 도에서는 외부 커버(20)이 완화될 때, 외부 커버(20)에 신체측 라이너(42)를 접합시킨 후 신체측 라이너(42)가 외부 커버(20)에 의해 흡수 구조(22) 밑으로 끌어당겨졌음을 알 수 있으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방법은 외부 커버(20)의 신장성을 감쇄시키지 않는다. 제 6 도 내지 제 9 도에서 예시한 일회용 기저귀는 제2도 내지 제5도에서 예시한 허리 플랩(26 및 28)에 의해 형성된 더 넓은 헴 보다 후면 허리 부분 및 정면 허리 부분에서 비교적 좁은 헴(52) 및 (54)를 갖는다.
제 10 도는 탄성 부재(56)이 흡수 구조물(22)의 가랑이 부분 내에 배치된 것을 나타내는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실시태양을 예시한다. 탄성 부재(56)은 신체측 라이너(42) 또는 방벽(44)에 접합된다. 흡수 구조물(22)는 기저귀를 유아에게 채웠을때 탄성 부재(56)의 장력에 의해 컵 모양을 형성하게 되므로 탄성 부재(56)을 신체측 라이너(42)에 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0도는 신체측 라이너(42)를 방벽(44)에 접합시키는 자가 접합점(40)의 일부만 나타내었으며, 또한 자가 접합점(48)이 나타나 있다. 흡수 구조물(22)를 외부 커버(20)에 접합시키는 자가 접합점(50)은 탄성 부재(56)의 안쪽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제 10 도 및 제 10a 도에서는 후면 허리 플랩(26)과 정면 허리 플랩(28)의 최외부에 허리단(57)이 나타나 있다. 이 허리단(57)은 기저귀를 유아에게 채웠을때 허리가 직선으로 가로지르는 것처럼 보이게 하고, 체결부위치 근방에 원만한 윤곽선을 제공한다. 허리단(57)은 정면 및 후면 허리 플랩(26 및 28)의 각 단부 근방에 위치하여 제10도의 선 10A-10A에 따른 횡단면도인 제10A도에서 명백히 나타난 바와 같이 위로 접혀진다. (59)로 나타낸 간격은 약 0.635 내지 약 1.27cm(1/4 내지 1/2인치)이고, (61)로 나타낸 접혀진 간격은 약 0.635cm(약 1/4인치)이다. 허리단(57)은 허리를 유아에 가로질러 직선으로 보이게 하는 것 이외에, 허리를 유아에게 더욱 밀접하게 위치하도록 하여 허리에 틈이 생기는 경향을 제거할 수 있다. 틈이 생기지 않으면, 유아에 대한 기저귀의 외형이 개선되며, 허리 부분에 불필요한 장력을 가하지 않고도 허리 부분이 더욱 꼭 맞게 된다. 허리단은 (63)으로 나타낸 자가 접합점에 의해 적소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타 접합 방법들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로 간주한다.
제 11 도 및 제 12 도는 탄성 부재(58)이 후면 허리 플랩(26) 내에 배치되어 있고, 탄성 부재(60)이 정면 허리 플랩(28) 내에 배치된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의 추가 실시 태양을 예시한다. 또한, (62)로 나타낸 탄성 부재가 다리 헴(24)에 배치되어 있다. 제 12 도는 제 11 도의 선 12-12에 따른 횡단면도로서, 흡수 구조물(22)와 다리 헴(24) 각각에 배치된 탄성 부재(56 및 62)를 나타낸다.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자가 접합점(50)은 액체 불투과성 방벽(44)를 외부 커버(20)에 접합시키는 한편, 자가 접합점(40)은 액체 투과성층(42)를 액체 불투과성 층(44)와의 사이에 배치된 복합 흡수체(38)을 갖는 흡수 구조의 액체 불투과성 층(44)에 접합시킨다. 제12도에서는 또한 헴(24)를 헴(24) 내에 배치된 탄성 부재(62)와 함께 외부 커버(20)에 접합시키는 자가 접합점(46)이 나타나 있다. 헴(24)는 외부 커버(20)의 일부로 이루어진다.
제 13 도 및 제 13a 도는 제 6 도 내지 제 9 도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헴(52)에 탄성 부재(58)을 배치하고, 헴(54)에 탄성 부재(60)을 배치하고, 다리 헴(24)에 탄성 부재(62)를 배치시킨 것이다. 제 13 도의 선13A-13A의 횡단면도인 제 13a 도는 제 10 도 및 제 10a 도에서 서술한 허리단(57)과 유사한 허리단(65)를 예시한다. 제 13 도 및 제 13a 도에서 나타낸 단(65)는 탄성 부재(58)을 포함하여 접혀져 있다. 이로써 탄성 부재(58)이 고정된다. 탄성 부재의 고정에 관한 설명은 이후 제 19 도에 설명한다.
제 14 도 내지 제 16 도는 외부 커버(20)에 부착된 고정 위치의 체결부의 일 실시 태양을 예시한다. 외부 커버(20)은 일반적으로 후면 허리 부분(64), 정면 허리 부분(66)과 이 사이에 배열된 가랑이 부분(68)로 되어 있다. 후면 허리 부분(64)의 최외부에 1쌍의 체결 부재(70 및 72)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 체결 부재는 이후 도면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정면 허리 부분(66)의 최외부에도 1쌍의 체결부재(74 및 76)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또한 이후 도면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체결 부재(70 및 72)는 외부 커버(20)의 안면에 부착되며, 체결 부재(74 및 76)는 외부 커버(20)의 겉면에 부착된다. 그리하여, 체결 부재(70 및 72)는 외부 커버(20)의 겉면에 부착되고, 체결 부재(74 및 76)이 외부 커버(20)의 안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제 14도에는 (78)로 표시된 자가 접합점을 사용해서 외부 커버(20)에 부착시킨 체결 부재(70, 72, 74 및 76)이 나타나 있다. 제 15 도는 제 14 도의 선 15-15에 따른 횡단면도로서, 체결 부재(72)가 자가 접합점(78)에 의해 외부 커버(20)에 부착됨을 보여 준다(일부만 나타나 있음). 체결 부재(72)를 외부 커버(20)에 부착하는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자가 접합점을 예시하며 이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제16도는 제 14 도의 선 16-16에 따른 단면도로서, 체결 부재(76)이 자가 접합점(78)에 의해 외부 커버(20)에 부착되는 것을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체결 부재(76)을 외부 커버(20)에 부착시키는 다른 방법을 이용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제 14 도 내지 16 도는 체결부(70 및 72)쌍이 체결부(74 및 76)쌍과 맞물릴 때, 후면 허리 부분(64)의 최외부와 정면 허리 부분(66)이 겹치게 되는 방법을 예시한다. 이와 같은 겹침 체결 방법은 제 17 도 및 제 18 도에서 명백하게 나타난다.
제 17 도 및 제 18 도를 살펴보면, 제 17 도는 유아에게 채워진 상태의 기저귀를 예시한 것으로서, 여기에서 상대적인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1개의 체결부는 열린 상태로 도시하였다. 제 18 도는 제 17 도의 선 18-18에 따른 횡단면도로서, 체결 부재(70) 및 외부 커버(20)에 (78)로 표시된 자가 접합점에 의해 외부 커버(20)에 부착된 체결 부재(70)과 맞물리는 체결 부재(74)를 나타내며 체결 부재(74)는 자가 접합점(78)을 이용하여 외부 커버(20)에 부착된다. (77)로 표시된 외부 커버(20)의 제1위치는 (79)로 표시된 외부 커버(20)의 제2위치와 겹친다.
제 19 도, 제 20 도 및 제 2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실시 태양을 예시한다. 이 실시 태양에서는, 외부 커버 연장 부재(80 및 82)가 정면 허리 부분(66)의 최외부에 부착되어 있다. 체결 부재(74 및 76)은 연장 부재(80 및 82)에 부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장 부재(80 및 84)을 외부 커버(20)의 정면 허리 부분(66)의 최외부에 부착시키는 방법과 체결 부재(74 및 76)을 연장 부재(80 및 82)에 부착하는 방법으로는 접착제, 스테이플, 리벳, 박음질 등을 포함한 당 업계에 공지된 몇 가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실시 태양에서는 체결 부재(70, 72, 74 및 76)을 연장 부재(80 및 82)에 부착시키고, 연장 부재(80 및 82)를 외부 커버(20)에 부착시키는 것과 관련된 자가 접합점이 점(78)로서 도식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제 19 도는, 제 20 도 및 제 21 도에는 또한 허리 부분과 다리 헴에 탄성을 부여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한 방법은 탄성 부재(58 및 60)을 허리 부분에, 탄성 부재(62)를 다리 헴(24)에 이용하는 것이다. 탄성 부재(58, 60, 62)는 본 발명의 실시 태양 중 어느 것에도 이용할 수 있으나, 분명하게 하기 위해 몇몇 도면만 선택해서 나타냈다. 탄성 부재는 천연 고무의 얇은 리본 등과 같은 기저귀 제조 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탄성체 중 어느 것도 될 수 있다. 허리 부분 및(또는) 다리 헴에 탄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적합한 것은 미합중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풀 소재의 에이치. 비. 풀러 캄파니.(H . B . Fuller Co.)에서 상표명 FULLASTIC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과 같은 가열 용융 감압성 탄성체 접착제를 압착시키는 것이다. 제 19 도에서 허리 탄성 부재는 각 단부에서 각 체결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탄성 부재(58)은 각 단부에서 체결 부재(70 및 7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13 도에 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허리에서 탄성 부재는 단(65)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탄성 부재(60)은 각 단부에서 체결 부재(74 및 76)에 의해 고정된다. 다리 탄성 부재(62) 또한 모두 각 체결 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탄성 부재는 고정하면 힘이 더욱 균일하게 분배되어 기저귀의 일정 부분에 존재하는 유해하거나 또는 미관상 좋지 않은 당김이 배제된다. 이것은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써 소변 및 배설물의 누출 가능성을 제거시켜 준다.
제 22 도는 제 19 도 내지 제 21 도에 도시한 실시 태양을 유아에게 채워진 상태로 예시한 것으로서, 체결 부재의 연관성을 나타내기 위해 한 개의 체결부를 열린 상태로 도시하였다. 제 23 도는 제 22 도의 선 23-23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제 23 도에는 연장 부재(80, 82)를 추가함으로써 형성된(88)에서 끝을 겹쳐 이은 접합점이 도시되어 있다. (88)에서 2개의 외부 커버(20) 부분은 겹치지 않고 만난다.
제 24 도 및 제 25 도는 각각 고정 위치의 체결 부재(70 및 74)의 일 실시 태양을 예시한다. 체결 부재(70 및 74)는 몇 가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체결 부재(70 및 74)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이 체결 부재를 실질적으로 길이로 압출시켜서, 각 부재들이 재료의 실질적인 길이로부터 절단될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것이다. 실질적인 길이는 감아서 다음 공정을 위해 보관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 효율적인 제조 방법은 각 체결부재가 동일한 재료의 로울로부터 절단될 수 있도록 동일한 횡단면을 갖는 체결 부재를 디자인하는 것이다.
체결 부재(70, 74)는 유아의 피부가 쓸려 벗겨지거나 자극 받지 않음과 동시에 쉽게 풀리지 않도록 신중하게 디자인하고 재료 선택을 하여 디자인 및 제조하여야 한다. 체결 부재(70 및 74)의 재료 선택에서 고려해야 할 또 다른 요인은 의류에 부착시키는 방법 또는 체결 부재(70 및 74)를 의류와 접합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예를 들면, 자가 접합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가 접합될 수 있는 재료를 선택해야 한다.
체결 부재(70 및 74)용 재료 선택 및 디자인의 선택 기준은 탄성율(E)와 함께 재료의 관성 모멘트(I)를 고려하는 것이다. (E)(I)의 곱과 관련된 선택 기준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용한다. (E)(I)값을 재료/디자인 조합에 측정하는데, 즉, (E)(I)값을 특정 재료를 이용하는 특정 디자인에 대해 측정한다. 이(E)(I)값을 죠셉 이 시글리(Joseph E. Shigley)의 "Mechanical Engineering Design" 제2판, 맥그로우 힐(McGraw-Hill) 출판사, 1972년 제699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부터 산정한다.
EI=L3M/48
상기 식중, M은 ASTM 시험 D-790으로부터 얻은 값이고, L은 ASTM 시험 D-790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예를 들면, 체결 부재(70 및 74)와 같은 체결 부재에 대해서는, 약 1.46kg-cm2내지 약 1.02kg-cm2(약 0.5파운드-인치2내지 약 3.5파운드-인치2)의 (E)(I)값을 갖는 재료/디자인 조합은 체결 부재(70 및 74)가 맞물리거나 연결되었을 때 정상 조건에서 정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착용자의 피부가 쓸려 벗겨지지 않고 쉽게 풀리지 않는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특히 바람직한 (E)(I)값 범위는 약 2.63kg-㎠ 내지 약 9.95kg-㎠(약 0.9파운드-인치2내지 약 3.4파운드-인치2)이다.
탄성율(E)는 각종 재료에 대하여 표준표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 탄성율이 약 281.2kg/㎠ 내지 약 4, 218, 6kg/㎠(약 4, 000 내지 약 60, 000psi), 바람직하기로는 약 421.8kg/㎠ 내지 약 2, 812, 3kg/㎠(약 6, 000 내지 40, 000psi)인 재료를 선택하는 경우에, 만족스러운 (E)(I)값을 얻는 것이 용이함을 알게 되었다. 하기 표 1은 대표적인 재료와 그의 탄성율을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kpo00002
*PROFAX는 허큘리즈 캄파니(Hercules Co.)의 상표임.
**ESTANE은 비. 에프. 굿리치(B. F. Goodrich)의 상표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적합한 체결 부재의 디자인과 함께 적합한 체결 재료의 선택은 의류에 편안함 및 기능성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체결부 재료가 너무 비가요성인 경우에는 불편하고 착용자에게 상처를 입힐 수 있다. 체결부 재료가 너무 가요성인 경우에는, 체결하기가 어렵고, 정상 상태에서 정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체결된 채로 남지 않고, 의류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즉 의류가 말리거나 주름질 수 있다.
다시 제 24 도를 살펴보면, 체결 부재(70)은 일반적으로 편평한 부분(90), 구멍(92)와 2개로 배열된 버클(94 및 96)으로 되어 있다. 제 24 도에 나타낸 체결 부재(70)은 상기한 바와 같은 재료의 연속된 로울로부터 길이가 "X"인 부분을 절단하여 얻는다. 전체 "X"길이 부분의 횡단면은 선(105)에 의해 표시된다. 구멍 부분(92)는 편평한 부분(90) 및 버클(94 및 96)사이의 바클 재료로부터 재료의 일정 부분을 제거하여 제공한다.
제 25 도에는 체결 부재(74)(체결 부재 76과 동일함)가 나타나 있다. 체결 부재(74)는 상기 체결 부재(70)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체결 부재(74)는 재료의 연속 로울(나타나 있지 않음)로부터 절단한다. 이 재료 로울은 체결 부재(70)을 절단한 재료의 로울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 부재(74)는 일반적으로 편평한 부분(98), 구멍(100)과 2개의 버클(102 및 104)로 된다. 이 부분은 체결 부재(70)의 길이 "X"보다 약간 긴 길이 "X"의 부분으로 절단한다. 또한, 제 25 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구멍(100)길이는 제 24 도에 나타낸 구멍(92)보다 적다. 버클(102 및 104)의 단부는 버클(94 및 96)의 단부가 버클(102 및 104)의 밑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버클(94 및 96)의 단부 보다 충분히 길어야 한다. 버클(102 및 104)의 양쪽은 (10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편평한 부분(98)에 접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접착 방법은 자가 접합법이고, 이 자가 접합점을 (106)으로 표시하였다.
제 24 도는 및 제 25 도를 상기한 (E)(I) 값과 연관지어 살펴보면, 선 105로 표시한 부분(제 24 도)과 선109로 표시한 부분(제 25 도)를 통한 (E)(I)값은 약 1. 46-1.02kg-㎠(0. 5-3. 5파운드-인치2), 바람직하기로는 약 2.63-9.95kg-㎠(0.9-3.4파운드-인치2)의 범위가 되도록 선택한다. 선 103(제 24 도) 및 선 107(제 25 도)로써 표시한 부분을 통한 (E)(I) 값은 약 5.85-29.3g-㎠(0.002-0.010파운드-인치2)의 범위가 되도록 선택한다.
제 26 도는 각 버클(102) 및 (94)가 맞물린 것을 보여준다. 버클간의 상관 관계 및 요구되는 길이 "X"(제 24 도)와 "X"(제 25 도)의 상관 관계가 이제 분명해졌다. 체결 부재는 맞물리기 위해 상보적인 단면을 갖고 다시 풀 수 있도록 맞물린다. 버클(102)의 가장자리를 편평한 부분(98)에 접착시키는 자가 접합점(106)은 2배의 효과를 제공한다. 즉, 첫째로 체결부에 안정성을 제공하고, 둘째로 버클(94)가 버클(102)의 측부로부터 미끌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각 성분들에 사용되는 재료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는 액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42)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부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째로, 신체측 라이너(42)는 건조한 것, 즉 흡수 구조물(22)에 소변이 함유되어 있을 때 건조해야 하고 마른 감촉이 느껴지는 것이어야 한다. 이 기준의 척도는 흡수 구조물에 통상의 소변을 흡수시킨 후 신체측 라이너(42)가 건조한 감촉으로 느껴지는 것이다. 둘째로, 신체측 라이너(42)의 Z-방향(신체측 라이너에서 외부 커버로의 바깥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함) 유액 침투 속도는 소변이 복합 흡수체에 유아의 배뇨 속도로 통과하도록 충분히 커야 한다. 세째로, 감촉 색 및 불투명도가 추가 기준이 되는데, 다른 색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기로는 복합흡수체 내에서 소변 또는 배설물의 색을 은폐시킬 정도로 불투명도가 충분한 백색 재료가 바람직하다. 네째로, 신체측 라이너(42)는 액체 불투과성 방벽(44)에 자가 접합될 수 있어야 한다. 방벽(44)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타 액체 불투과성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신체측 라이너는 유액 이동을 위한 밀접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일정 간격을 둔 부분에서 상부 라이너에 단단히 접합되는 폴리에스테르/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연질의 압축성 재료이다. 이와 같은 웹은 본 출원인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매튜(Mattews)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 397, 644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이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한다. 상부 라이너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합성 섬유가 일정 패턴으로 접착된 스펀본드 웹이다. 신체측 라이너의 전체 기초 중량은 약30-100g/㎡이어야 한다. 이것은 전체적으로 습식으로 최종 처리해야 한다. 신체측 라이너의 하부층은 전형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최대로 100%, 바람직하기로는 폴리에스테르 스테이플을 25-50% 함유하고, 습윤되기에 충분한 계면활성 최종 처리제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카드 웹이다. 다른 습윤성 폴리에스테르 스테이플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특히 습윤성 최종 처리제를 첨가한 이. 아이. 듀판 캄파니.(E. I. duPont Co.) 제품인 5.5데니어의 약 5.08cm(2인치) 폴리에스테르 스테이플, 유형 T 808, 공중 섬유(hollow fiber)가 적합하다. 허큘리즈 인크.(Hercules Inc.) 제품인 폴리프로필렌 타입 T-123은 바람직하기로는 3데니어, 약 2.54-2.22cm(1-7/8인치)스테이플에 습윤성 최종 처리제를 첨가한 것이다. 웹은 단지 라이너에 부착되는 일정 간격을 두는 접합점을 통하여 함께 접합되며, 전형적으로 이것은 열 또는 초음파 접합에 의한다. 하부층은 또한 필라멘트를 접합시키지 않고 와이어 스크린에 방사하고 수집한 후, 이어서 상기 미리 접합된 라이너에 접합시키는 스펀본딩과 같은 기타 부직 공정에 의해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여기에 롬 앤드 하스 캄파니(Rohm and Hass Co. )제품인 TRITON X-102 0.2-0.5% 또는 등가 계면활성제로 처리하여 얻은 습윤성 최종 처리제를 함유시켜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외부 커버(20)은 신장도가 약 20 내지 약 200%인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재료로부터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사용된 신장도란 용어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으로 정의된다.
신장도=[(최종 지수 - 초기 지수)/초기 지수]×100%
외부 커버(20)은 또한 탄력이 있어야 하는데, 즉 신장력이 제거되었을 때 그의 초기 치수까지 효과적으로 복귀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재료는 토니 제이. 위스네스키(Tony J. Wisneski)와 마이클 티.모르맨(Michael T. Morman)의 명의로 출원되어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폴리올레핀-함유 압출 조성물 및 그의 탄성체 제품으로의 형성 방법"이라는 명칭의 미합중국 툭허 출원 제760, 698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이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한다. 이 출원은 압출 후 응고되어 예를 들면, 섬유상 부직 탄성 웹과 같은 탄성체 제품을 형성하는 압출 탄성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압출 탄성체 조성물은 (1) A-B-A' 블록 공중합체[여기에서 "A" 및 "A'"는 각각 폴리(비닐 아렌)과 같은 스티렌 부분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말단 블록이고 "B"는 탄성 폴리(에틸렌-부틸렌) 중간 블록임] 적어도 약 10중량%와, (2) A-B-A' 블록 공중합체와 혼합시켜 승압 및 승온 상태로 조절하면 A-B-A' 블록 공중합체와 혼합된 형태로 압출시킬 수 있는 폴리올레핀 0 내지 약 90중량%와의 혼합물이다. A-B-A' 블록 공중합체는 압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제품에 탄성을 부여하는 작용을 하며, 혼합물 중에 폴리올레핀이 존재하면 깨끗한, 즉 순수한 A-B-A' 블록 공중합체의 점성에 비하여 조성물의 점성이 감소되므로 조성물의 압출성이 증진된다.
블록 공중합체의 스티렌 함유 열가소성 말단 블록 A 및 A'으로서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면, 폴리(알파-메틸스티렌)과 같은 폴리스티렌 및 폴리스티렌 동족체를 함유하는 군 중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스티렌 함유 열가소성 말단 블록인 A와 A'이 동일하다. 폴리올레핀으로서 바람직한 것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 공중합체, 부텐 공중합체 또는 이들 물질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중합체로 되는 군 중에서 선택된다.
혼합물에서는 통상적으로, 블록 공중합체 적어도 약 20 내지 약 95중량%와, 폴리올레핀 적어도 약 5 내지 약 80중량%를 함유시킨다. 예를 들면, 혼합물에는 블록 공중합체 약 30 내지 약 90중량%와 폴리올레핀 약 10 내지 70중량%를 함유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혼합물에 블록 공중합체 약 50 내지 약 90중량%와 폴리올레핀 약 10 내지 약50중량%를 함유시킨다. 예를 들면, 혼합물에는 블록 공중합체 약 50 내지 약 70중량%와 폴리올레핀 약 30 내지 약 50중량%를 함유시킬 수 있다. 혼합물에는 폴리올레핀 약 60중량%를 함유시킨다.
압출 조성물은 압출시키거나 또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적당한, 즉 효과적인 조합의 승압과 승온 조건하에서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시킨다. 이 조건은 사용되는 폴리올레핀에 따라서 변한다. 예를 들면, 압출 조성물은 혼합물 중에 폴리올레핀에서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약 125℃의 온도에서 혼합물중에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약 175℃의 온도에서, 예를 들면 적어도 약 290°내지 약 345℃, 더욱 구체적으로 적어도 약 300°내지 약 335℃의 온도에서, 예를 들면 섬유상 부직 탄성웹으로서 수집될 수 있는 탄성 섬유와 같은 탄성체 제품으로서 압출 또는 성형시켜야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혼합물은 약 21.1kg/㎠(약 300파운드/인치2) 게이지 이하의 압력, 예를 들면 약 1.41kg/㎠(약 20파운드/인치2), 게이지 내지 약 17.6kg/cm2(약 250파운드/인치2), 게이지의 다이 선단부 승압 범위[에를 들면, 직경이 약 0.0368cm(0.0145인치)이고, 길이가 약 0.287cm(0. 113인치)인 각 세관을 갖는 다이 선단 선형 인치에 대하여 30개의 압출 세관을 갖는 다이 선단의 압출 세관 내에서]의 상기한 온도내에서 압출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혼합물은 약 3.52kg/㎠(약 50파운드/인치2), 게이지 내지 약 17.6kg/㎠(약 250파운드/인치2), 게이지, 예를 들면 약 8.79kg/㎠(약 125파운드/인치2), 게이지 내지 약 15.8kg/㎠(약 225파운드/인치2), 게이지의 압력 범위의 상기 온도 내에서 압출시킬 수 있다. 다이 인치 당더 적은 수의 세관을 갖는 다른 다이 디자인을 사용하여 더 높은 압력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대체로 생산률이 낮게 된다.
압출 조성물은 압출 조성물 중의 폴리올레핀 존재에 의해 깨끗한, 즉 순수한 블록 공중합체의 점도에 비하여 압출 조성물의 점도를 만족할 만한 수준까지 감소되므로 만족할 만한 처리 효율로 압출될 수 있다는 중요한 사실이 발견되었다. 다른 파라미터가 모두 일정한 경우에 이와 같이 감소된 점도에 비례하여 다이선단 압력이 감소된다. 예를 들면, 압출 조성물의 점도는 일반적으로, 상기한 승온 및 승압 범위에서 압출시키는 경우에 약 500포이즈 미만이 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압출 조성물의 점도는 상기한 승온 및 승압 범위에서 압출시키는 경우에 약 300포이즈 미만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압출 조성물의 점도는 상기한 승온 및 승압 조건에서 압출시키는 경우에 적어도 약 100 내지 약 200 포이즈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은 블록 공중합체의 점도에 비해 혼합물의 점도를 감소시키므로, 압출 조성물은 예를 들면, 직경이 약 0.0368cm(0.0145인치)이고 길이가 약 0.287cm(0.113인치)인 세관을 다이 선단 인치 당30개를 갖는 다이 선단을 통하여, 세관 당 적어도 약 0.2g/분 내지 세관 당 약 1.7g/분 이상의 속도로 상기한 승온 및 승압 범위 내에서 압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출 조성물은 직경이 약 0.0368cm이고, 길이가 약 0.287cm인 세관을 갖는 상기한 다이 선단을 통하여, 세관 당 적어도 약 0.1g/분 내지 세관 당 약 1.25g/분의 속도로 압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압출 조성물은 직경이 약 0.386cm이고 길이가 0.287cm인 세관을 갖는 상기한 다이 선단을 통하여 세관 당 적어도 약 0.3g/분 내지 세관 당 약 1.1g/분의 속도로 압출될 수 있다.
압출 조성물은 바람직하기로는 평균 직경이 약 100미크론 이하인 미세 섬유를 갖고, 바람직하기로는 평균 기초 중량이 약 300g/m2이하, 예를 들면 약 5g/m2내지 100g/m2이상인 섬유상 부직 탄성체로 제조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평균 기초 중량은 약 10g/m2내지 약 75g/m2이다. 예를 들면, 섬유상 부직 탄성 웹은 압출 조성물을 적당한, 즉 효과적인 승온 및 승압 조건 조합 하에서 압출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압출 조성물은 폴리올레핀으로서 폴리에틸렌을 시용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약 125℃의 온도, 폴리올레핀으로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약 175℃의 온도, 예를 들면, 약 290°내지 약 345℃,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300°내지 약 335℃의 온도에서 압출시킨다. 바람직하기로는, 압출 조성물은 상기한 온도 및 압력 범위 내에서, 약 21.1kg/m2(약 300파운드/인치2), 게이지 이하, 예를 들면약 1.41kg/㎠(약 20파운드/인치2), 게이지 내지 약 17.6kg/㎠(약 250파운드/인치2), 게이지의 다이 선단부 내의[예를 들면, 직경이 약 0.0368cm(0.0145인치)이고 길이가 약 0.287cm(0.113인치)인 각 세관을 다이 선단 선형 인치 당 30개를 갖는 다이 선단의 압출 세관 내의]압력에서 압출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 압출 조성물은 약 3.52kg/㎠(약 50파운드/50인치2), 게이지 내지 약 17.6kg/㎠(약 250파운드/인치2), 게이지, 예를 들면, 약 8.79kg/㎠(약 125파운드/인치2), 게이지 내지 약 15.8kg/㎠(약 225파운드/인치2), 게이지의 상기한 다이 선단 세관 내의 압력에서 압출시킨다.
탄성 부직 웹을 형성시킴에 있어서, 압출 조성물은 상기한 승온 및 승압 조건에서 세관 당 적어도 약 0.02g/분 내지 세관 당 약 1.7g/분 이상, 예를 들면 세관 당 적어도 약0.1g/분 내지 세관 당 약 1.25g/분, 더욱 구체적으로는 세관 당 적어도 약 0.3g/분 내지 세관 당 약 1.1g/분의 속도로 작은 직경의 압출 세관을 다수 갖는 다이를 통하여 용융사를 가늘게 하는 가스 기류에로 용융사로 압출시키는 미세 섬유의 가스기류를 제공한다. 이어서 이것이 수집 장치에서 침착될 때 섬유상 부직 탄성 웹으로 형성된다. 세사(attenuating) 기류는 적어도 약 100°내지 약 400℃, 예를 들면 약 200°내지 약 350℃의 온도와, 적어도 약 0.0352g/㎠(약 0.5파운드/인치2), 게이지 내지 약 1.41kg/㎠(약 20파운드/인치2), 게이지, 예를 들면 적어도 약 0.0703kg/㎠(약1파운드/인치2), 게이지 내지 약 0.703kg/㎠(약 10파운드/인치2), 게이지의 압력으로 용융사에 가한다. 세사 기류는 예를 들면 질소 기류와 같은 불활성, 비산화 기류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태양에서는 세사 기류의 속도 및 온도를 섬유가 직경이 약 10 내지 약 60미크론, 예를 들면 적어도 약 10미크론 내지 40미크론인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섬유로서 수집될 수 있도록 조절한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섬유상 부직 탄성 웹으로는 블록 공중합체 적어도 약 10중량%와 폴리올레핀 0 이상 최대로 약 90중량%로 이루어지는 탄성 섬유가 포함된다. 섬유는 통상적으로 블록 공중합체 적어도 약 20 내지 약 95중량%와, 폴리올레핀 적어도 약 5 내지 약 80중량%로 된다. 예를 들면, 섬유는 블록공중합체 적어도 약 50 내지 약 70중량%와 폴리올레핀 적어도 약 10 내지 약 50중량%로 된다. 예를 들면, 섬유는 블록공중합체 적어도 약 50 내지 약 70중량%와 폴리올레핀 적어도 약 30 내지 약 50중량%로 될 수 있다.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또 다른 재료는 잭 디. 테일러(Jack d. Taylor)와 마이클 제이, 반데어 윌렌(Michael J. Vander Wielen)의 명의로 출원되어,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혼성 탄성체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이라는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760, 437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이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한다. 이 출원은 적어도 1종의 탄성 웹에 접합된 적어도 1종의 개더링 가능한 웹으로 되는 혼성 탄성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a) 탄성 웹(탄성 섬유, 예를 들면, 멜트블로운탄성 섬유와 같은 탄성 섬유의 부직 웹과 같은 섬유상 웹으로 이루어짐)을 연신시켜서 신장시키는 단계, (b) 탄성 웹의 적어도 일부분을 부드럽게 하는 조건하에서, 신장된 탄성 웹을 적어도 1종의 개더링 가능한 웹에 접합시켜서 접착 혼성 웹을 형성하는 단계, (c) 접합 단계 직후 혼성 웹을 이완시켜서 개더링 가능한 웹을 개더링시켜서 혼성 탄성 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로 된다. 섬유상 탄성 웹은 또한 접합시키는 도중에 신장시킨 상태, 즉 접합시키는 도중 적어도 약 25%, 바람직하기로는 약 25 내지 500%, 예를 들면 약 25 내지 550%의 신도로 유지시켜도 좋다. 이 방법은 또한 탄성 웹 및 개더링 가능한 웹을 오버레잉(overlaying)하고 신장된 탄성 웹을 게더링 가능한 웹에 접합시키고, 탄성 웹의 접합 부위를 적어도 약 65°내지 약 120℃, 바람직하기로는 70° 내지 약 90℃로 가열하여 덮힌 웹에 열과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출원은 또한 혼성 재료를 신장 및 이완시킨 후 탄성 웹을 사용하여 신장 및 수축가능한 적어도 1종의 게더링 가능한 웹에 접합된 탄성 웹으로 되는 탄성 혼성 재료를 제공하며, 이 탄성 혼성 재료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출원에 의해 탄성 웹을 반복 패턴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여러 위치에서 반복 패턴으로, 게더링 가능한 웹에 접합시키면, 접합된 위치 사이에 게더링 가능한 웹이 게더링된다. 탄성웹은 탄성 섬유의 부직 웹, 바람직하기로는 예를 들면, 멜트블로운 탄성 섬유 또는 탄성체 필름의 탄성 부직 웹과 같은 탄성체 미세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 혼성 재료는 어떠한 조합으로든지 다음과 같은 것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탄성 섬유(바람직하기로는 멜트블로운 탄성 섬유)는 (i) A-B-A' 블록 공중합체{여기에서 A와 A'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말단 블록이고, 이들 각각은 열가소성 중합체 말단 블록 또는 스티렌 부분(예,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스티렌 동족체)을 함유하는 단편이고, B는 탄성체 중합체 중간 블록 또는 단편,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부틸렌), 폴리이소프렌 및 폴리부타디엔을 포함하는 군 중에서 선택된 중간 블록[폴리(에틸렌-부틸렌)이 적합함]임. (ii)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과, (i)의 A-B-A' 블록 공중합체와의 혼합물[여기에서 B는 폴리(에틸렌-부틸렌) 중간 블록이고, A 및 A' 말단 블록의 각각은 폴리스티렌 및 폴리스티렌 동족체, 예를 들면 폴리(알파메틸스티렌)으로 되는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음]이다.
탄성 섬유가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과 B가 폴리(에틸렌-부틸렌)중간 블록인 A-B-A' 블록 공중합체와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되는 경우, 폴리올레핀은 1종 이상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부텐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며 ; 탄성체 필름과 탄성체 부직 웹, 예를 들면 멜트블로운 미세섬유를 형성하는 탄성체 섬유는 상기 A-B-A' 블록 공중합체의 적어도 10% 이상, 예를 들면, 적어도 20%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 적어도 30% 이상 예를 들면 약 10 내지 90중량%와 폴리올레핀 0중량% 이상, 예를 들면, 약 90 내지 약 10중량%로 구성되며 ; 탄성 웹, 예를 들면 섬유상 탄성 웹은 반복 패턴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여러 위치에서, 개더링 가능한 웹에 접합되고, 개더링 가능한 웹은 접합된 위치 사이에서 개더링되며, 탄성 웹은 비록 그의 기초 중량이 훨씬 높을 수 있을지라도,약 5 내지 약 300gm/㎡, 바람직하기로는 약 5 내지 약 200gm/㎡, 예를 들면 약 5 내지 약 100gm/㎡의 낮은 기초 중량을 가지며 ; 개더링 가능한 웹은 부직 비탄성 재료, 바람직하기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즉 나일론 섬유, 셀룰로오스계 섬유, 즉 면 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 중에서 선택된 재료로부터 형성된 섬유로 되는 것이다. 별법으로서, 개더링 가능한 웹은 적합한 직조물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되는 A-B-A' 중합체의 조성에 있어서 A의 분자량과 A'의 분자량의 합이 A-B-A' 블록 공중합체 분자량의 약 14 내지 31%(B가 폴리(에틸렌-부틸렌)일 경우에는 약 14 내지 29%)로 되게 한다.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또 다른 재료는 마이클 제이, 모르맨의 명의로 출원되어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혼성 부직 탄성 웹"이라는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760, 449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이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한 이 출원은 섬유상 부직포 개더드 웹에 접착된 부직포 탄성 웹으로 된 혼성 부직 탄성 웹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여기에 기재된 방법으로 혼성 부직 탄성 웹이 제공되며, 이 혼성 부직 탄성 웹은 그의 이완, 비신장 상태에서 부직 탄성 웹에 접합된 개더드 부직포 섬유상 웹으로 구성되며, 상기 부직 탄성 웹은 신장되고 편향된 길이로부터 이완되고 비편향된 길이로 이완시켰던 것이고 그로써 섬유상 부직포 개더드 웹을 개더링시킨다. 여기에 기제된 방법 중 중요한 특징은 부직 탄성 웹을 신장, 편향 및 연신시킨 상태로 유지시키면서 개더링 가능한 섬유한 부직 웹을 부직 탄성 웹의 표면에 직접 형성시키는 것이다. 부직 탄성 웹은 예르를면, 멜트블로잉법 또는 부직탄성 웹을 형성하기위한 다른 방법에 의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직 탄성 웹은 멜트블로운 섬유상 부직 탄성 웹과 대향하는 탄성 필름의 구멍이 뚫린 웹이 될 수 있다. 형성된 부직 탄성 웹은 정규의 이완, 비신장 및 비편향된 길이를 갖는다. 그 후에, 부직 탄성 웹을 신장, 편향된 길이로 신장시켜서 연신시킬 수 있다. 다음 단계의 방법에서,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부직 웹을 예를 들면, 멜트블로잉법 또는 스펀본딩법 또는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부직 웹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의해서 수직 탄성 웹의 표면에 직접 형성시키는 한편, 부직 턴성 웹은 그의 연신, 신장 및 편향된 길이로 유지된다.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부직 웹의 형성 도중에, 부직 탄성 웹을 부직 탄성 웹의 이완, 비편향된 길이의 적어도 약 11/4에 해당하는 적어도 약 125퍼어센트의 신장된 길이로 유지시킨다. 예를 들면, 부직 탄성 웹의 신장 편향된 길이는 부직 탄성 웹의 이완 비편향된 길이의 적어도 약 125퍼어센트로부터 부직 탄성 웹의 이완, 비편향된 길이의 약 700퍼어센트 이상까지의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다.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부직웹은 부직 탄성 웹을 그의 연신, 신장 편향된 길이로 유지시키면서 부직 탄성 웹에 접합시킨다. 그 결과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부직 웹에 접합된 부직 탄성 웹을 갖는 혼성 부직 탄성 웹이 형성된다. 부직 탄성 웹은 그의 신장, 편향된 길이로 유지시키면서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부직 웹을 부직 탄성 웹의 표면에 직접 형성시키기 때문에, 이 단계의 공정에서 부직 탄성 웹은 연신, 신장 및 편향되고,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부직 웹은 개더링되지는 않았으나 개더링 가능한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출원의 일례에서,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부직 웹을 부직 탄성 웹에 접합시키는 것은 2개의 웹을 서로 융합시키기 위해서 가열- 접착시켜서 성취할 수 있다. 이 가열-접합은 2개의 웹중 적어도 1개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적어도 1종의 용융 온도 이하인 약 50℃로부터 2개의 웹중 적어도 1개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재료중 적어도 1종의 용융 온도 사이의 온도 범위 내에서 행할 수 있다. 대량 처리에서, 가열-접합은 웹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재료중 1종 이상의 용융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행할 수 있다. 대량 처리에서, 가열 -접합은 웹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재료중 1종 이상의 용융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행할 수 있다. 이 가열-접합은 또한 적당한 종래의 가압 조건 하에서 행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종래의 음파 접착 기술을 가열-접합 단계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에는 또한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부직 웹을 신장된 부직 탄성 웹에 접합시키는 것이, 탄성 웹의 표면에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웹을 형성시키는 도중에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부직 웹의 개개의 섬유들을 부직 탄성 웹과 얽히게 함으로써 간단히 성취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 태양이 기재되어 있다. 부직 탄성 웹이 예를 들면 멜트블로잉에 의해서 형성된 섬유상 부직 탄성 웹인 경우에,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부직 웹의 개개의 섬유들과 섬유상 부직 탄성 웹의 얽힘은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웹의 개개의 섬유들과 섬유상 탄성웹의 개개의 섬유를 얽히게 하여 성취할 수 있다. 부직 탄성 웹이 구멍 뚫린 필름인 경우에, 섬유상 부직웹을 필름과 접합시키는 것을 필름의 틈 안에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웹의 개개의 섬유를 엉키게 하여 성취할 수 있다. 2개의 웹의 접합은 본 명세서에서 이후에 기재할 공정인, 점착성 탄성 재료로부터 부직 탄성 웹을 형성해서 성취할 수도 있다. 또한, 2개의 웹을 서로 접합시키는 것은 개더링 가능한 웹을 탄성 웹의 표면에 형성시킨 후 2개의 웹에 압력을 가해서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웹의 접합은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부직 웹을 형성하기 전에 접합 재료를 부직 탄성 웹의 상부 표면에 도포하여 개선시킬 수 있다.
2개의 웹을 서로 접합시켜서 혼성 탄성 웹을 형성한 후에, 혼성 부직 탄성 웹으로부터 편향력을 제거하고, 혼성 탄성 웹을 그의 정규 이완, 비편향된 길이로 이완시킨다. 부직 탄성 웹을 신장시켜서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부직 웹을 부직 탄성 웹에 접합시키기 때문에, 혼성 부직 탄성 웹을 이완시키면 부직 탄성 웹이 수축되어 모이므로 개더링가능한 웹을 생성하게 된다. 혼성 부직 탄성 웹상에서 편향력을 감소시켜서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부직 웹을 개더링시킨 후, 혼성 부직 탄성 웹을 보관 및 선적하기 위해서 로울에 감아두거나, 본 출원에 기재된 일회용 의류와 같은 제품의 제조 공정으로 보낸다.
상기한 바와같이,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760,449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은 점착성 섬유상 부직 탄성 웹을 이용하여 증진시킬 수 있는데, 이 점착성 섬유상 부직포 탄성 웹을, 예를 들면 점착성 탄성재료, 예를들면 A-B-A' 블록 공중합체 또는 A-B-A' 블록 공중합체와 폴리(알파-메틸스티렌)과의 혼합물(여기에서, A 및 A'은 각각 열가소성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스티렌 동족체 말단 블록이고, B는 탄성 폴리이소프렌 중간 블록임)의 미세 섬유를 멜트블로잉시켜서 형성한다. 몇 개의 실시 태양에서, A는 A'와 같은 열가소성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스티렌 동족체 말단 블록이어도 좋다. 이어서, 점착성 섬유상 부직 탄성 웹을 연신, 신장된 길이로 신장시켜서 연신시키고,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부직 웹은 예를 들면,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부직 웹을, 섬유상 부직 탄성 웹을 그의 신장된 길이로 유지시키면서, 점착성 섬유상 부직 탄성 웹의 표면 위에 직접 멜트블로잉 또는 스펀본딩시켜서 형성한다. 섬유상 부직 탄성 웹이 점착성이므로,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부직 웹을 동시에 형성시켜 점착성 섬유상 부직 탄성 웹의 표면 상에 접합시킨다. 이 실시방법으로 점착성 섬유상 부직 탄성 웹에 접합된 개더링시키지 않은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웹을 갖는 혼성 부직 탄성 웹이 형성되게 되며, 여기에서 2개의 웹의 접합은 섬유상 부직 탄성 웹의 표면상에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부직 웹을 형성시키는 도중에 일어나는 접착제 접합에 의해서 성취된다. 2개의 웹의 접착제 접합은 혼성 부직 탄성 웹을 로울러 사이의 닙(nip)에 통과시켜서 혼성 부직 탄성 웹에 압력을 가하여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로울러는 혼성 웹을 형성한 후에 단, 섬유상 점착성 부직 탄성 웹이 이완되기 전에 가열시키지 않는다. 접착제 접합은 개더링 가능한 웹을 점착성 섬유상 부직 탄성 웹의 표면 위에 형성시키기 전에 접착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이어서, 혼성 부직 탄성 웹을 그의 정규 이완, 비편향된 길이로 이완시킬 수 있다. 점착성 섬유상 부직 탄성 웹을 신장시킨 상태에서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부직 웹이 점착성 섬유상 부직 탄성 웹에 접합되므로 혼성 부직 탄성 웹과 점착성 섬유상 부직 탄성 웹의 이완은 섬유상 부직 탄성 웹을 수축시켜서 개더링가능한 웹을 형성하므로, 개더링 가능한 웹을 얻을 수 있다. 개더링 가능한 섬유상 부직 웹의 개더링이 일어난후, 혼성 부직 탄성 웹은 로울에 감아서 저장하거나 또는 본출원에 기재된 일회용 의류와 같은 일회용 의류 제조를 위한 제조 공정에 직접 사용한다.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760,449호에는 또한 개더링시킨 섬유상 부직 웹에 접합된 부직포 탄성 웹으로된 혼성 부직 탄성 웹이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혼성 웹은 상기 방법중 어느 방법으로든지 형성된다. 특히, 이완되고, 신장되지 않은 상태의 혼성 부직 탄성 웹은 부직 탄성 웹은 부직 탄성 웹을 연신, 신장, 편향된 길이로부터 이완, 비편향된, 비신장된 길이로 이완시킨 결과로서 개더링시킨 섬유상 부직 웹에 접착된 부직 탄성 웹으로 구성된다. 섬유상 부직포 탄성 웹의 형성에 사용하기 위한 탄성체 재료의 예로서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재료, 폴리우레탄 탄성체 재료 및 몰리아미드 탄성체 재료를 들 수 있다. 섬유상 부직포 탄성 웹의 형성에 사용하기 위한 기타 탄성체 재료로서 (a) A-B-A' 블록 공중합체 [여기에서, A 및 A'는 각각 스티렌계 부분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말단 블록이고, A는 A'와 동일한 열가소성 중합체 말단 블록(예, 폴리(비닐 아렌))이어도 좋고, B는 공액 디엔 또는 저급 알켄과 같은 탄성체 중합체 중간 블록임)] 또는 (b)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알파-메틸스티렌)과 A-B-A' 블록 공중합체와의 혼합물[여기에서, A 및 A'는 각각 스티렌계 부분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말단 블록이고, A는 A'와 동일한 열가소성 중합체 말단 블록(예, 폴리(비닐 아렌))이어도 좋고, B는 공액 디엔 또는 저급 알켄과 같은 탄성체 중합체 중간 블록임]을 예시할 수 있다. A 및 A'종단 블록은 폴리스티렌 및 폴리스티렌 동족체를 포함하는 군으로 부터 선택할 수 있고, B중간 블록은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또는 폴리(에틸렌-부틸렌)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A와 A'를 폴리스터렌, 폴리스티렌 동족체로 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하고, B가 폴리(에틸렌-부틸렌)인 경우, 이들 블록 공중합체와 혼합시킬 수 있는 재료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기타 저급 알켄 또는 이들 재료중 1종 이상으로 함유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들이다. A와 A'이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스티렌 동족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B가 폴리이소프렌 중간 블록인 경우, 이와같은 유형의 블록 공중합체와 혼합시키기 위한 재료는 폴리(알파-메틸스티렌)이다.
외부 커버(20)으로서 적합한 재료의 제조 방법 및 외부 커버(20)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의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밖에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재료들을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 할 수 있다.
각종 재료들은 섬유상 재료, 발료체, 입자 등을 포함한 복합 흡수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하기에 가장 경제적인 액체 흡수 재료는 흡수성 섬유이다.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흡수 섬유는 당 업계에서 흔히 "펄프 플러프" 또는 단순히 "플러프"로서 알려진 마쇄시킨 목재 펄프와 같은 셀룰로오스 섬유이다. 이 섬유로 제조한 복합 흡수체는 일반적으로 밀도가 낮고, 흡수되는 유액의 용량이 높으나, 위킹능은 비교적 미약하다. 비교적 미약한 위킹능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이 시글(Sigl)에 의해 출원되어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4,213,459호에 기재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213,459호에는 복합 흡수체의 흡수공 크기를 개선시킴으로써 흡수공의 모세관 작용이 중력을 능가하여 폐기액이 복합 흡수체의 다른 부분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미약한 위킹능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은 상이한 밀도 또는 상이한 평균 흡수공 크기를 갖는 적어도 2개의 셀룰로오스 섬유층을 갖는 복합 흡수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복합 흡수체는 제 1 층으로서 신체측 라이너(42) 바로 밑에 놓이는 플러프와 같은 낮은 밀도의 셀룰로오스 섬유층과, 제 2 층으로서 제 1 층 하부에 존재하는 보다 높은 밀도의 플러프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각 층으로서는 주로 연질 목재로된 펄프의 플러프를 사용한다. 별법으로, 제 1 층에는 주로 연질 목재 플러프 층을 사용하고, 제 2 층에는 압도적으로 경질 목재 플러프 층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제 1 층과 제 2 층을 변화시키는 것은 평균 흡수공 크기이며 반드시 밀도는 아니다. 이 명세서의 목적을 위해 "주로"란 용어는 적어도 약 80% 이상을 의미하고, "압도적으로"란 용어는 적어도 약 50%를 의미한다. 또 다른 방법은 필수적으로 밀도를 변화시키지 않고, 흡수공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경질 목재 플러프가 연질 목재로된 플러프 보다 작은 흡수공 크기를 가지므로 더 높은 밀도의 연질 목재 플러프 섬유 대신에 경질 목재 플러프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층의 밀도가 동일하더라도 2개의 상이한 흡수공 크기 분포를 얻을 수 있으므로 가능하다. 그리하여, 예를 들면 주로 연질 목재로된 플러프 펄프로 이루어진 제 1 층 중의 거친 흡수공 구조와 압도적으로 경질 목재 플러프로 이루어진 제 2 층 중의 미세 흡수공 구조로 되고, 각 층이 한 밀도로 밀집되는 2개 성분의 플러프 샌드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복합 흡수체에 관한 다른 일면은 복합 흡수체의 일부로서 히드로겔 일부를 포함시키는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히드로겔"이란 용어는 물 또는 수용액을 자체 중량의 수 배로 흡수할 수 있는 1종 이상의 히드로콜로이드 재료를 의미한다. 이들 재료는 일반적으로 통상의 방법으로 호모 중합시키는 경우에 수용성 중합체를 형성하는 1종의 이상의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한다. 이것을 본 발명에 적합하게 수불용성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이들 중합체 또는 중합체의 혼합물을 전형적으로 흔히 가교제와 반응시켜서 가교 중합체를 형성시킴으로써 수불용성을 제한하는 동시에 물 및 물-함유 유액 중에서의 팽윤에 대한 감수율을 유지하게 한다. 또한, 고분자량의 중합체 사슬을 헝클어서 유사 가교시켜서 수불용성의 효과를 얻는다. 이들 히드로콜로이드로서 전형적인 것은 메타크릴산과 같은 폴리아크릴산염 및 그의 변형물이다. 이것은 그레인 프로세싱 캄파니(Grain Processing Company)에서 상표 WATER LOCK, 아라카와 케미칼, 인크. (Arakawa Chemical, Inc. 미합중국)에서 상표 ARASORB 720으로, 니뽄 샤꾸바이/제패니즈 캐탈리틱 케미칼 캄파니(Nippon Shakubai/Japanese Catalytic Chemical Company)에서 상표 AQUALIC-CA로 시판되고 있다. 또 다른 히드로겔로는 전분 또는 셀룰로오스 골격 상에 그라프트된 친수성 중합체 및 가교 카르복실화 셀룰로오스가 포함될 수도 있다.
히드로겔은 보다 높은 밀도의 제 1 층과 보다 높은 밀도의 제 2 층사이, 또는 낮은 밀도의 층과 높은 밀도의 층 사이에 삽입시킬 수 있다. 히드로겔은 또한 보다 높은 밀도의 층에 인접하여 배열하여 보다 낮은 밀도의 층으로 피복시킬 수도 있다. 층을 구성하는 복합 흡수체 이외에, 히드로겔 재료를 분말, 섬유 등으로서 혼합하여 복합 흡수체에 배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복합 흡수체는 모든 층이 약 0.1g/cc까지, 또는 0.1g/cc 내지 약 0.35g/cc 범위내에서 일정하게 밀집화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밀도"란 용어는 실제 섬유 밀도가 아니라, 더 낮은 밀도 층 또는 더 높은 밀도 층의 혼성 구조의 밀도를 의미한다(실제 섬유의 밀도는 약 1.5g/cc임). 더 낮은 밀도 층의 밀도는 약 0.03 내지 약 0.14g/cc, 바람직하기로는 약 0.7 내지 약 0.11g/cc의 범위이어야 한다. 지나치게 경직되지 않고 목적 모세관 현상을 제공하기 위한 더 높은 밀도 층의 밀도는 약 0.14 내지 약 0.35g/cc, 바람직하기로는 약 0.16 내지 약 0.3g/cc의 범위이어야 한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범위의 밀도는 약 0.014kg/㎠(0.2psi)의 하중 하에 측정한 밀도이다.
흡수 섬유로서는 분쇄한 목재 펄프(플러프)가 바람직하나, 무명린터와 같은 기타 셀룰로오스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플러프는 인터내셔날 페이퍼 캄파니(International Paper Company)제품과 같은, 표백한 서던 크라프트 목재 펄프(당 업계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황산염 방법에 따라서 제조함)이다. 적합한 경질 목재 플러프 펄프는 웨어하우저 캄파니(Weyerhaueser Company)에 의해 "New Bern 309"로서 시판되고 있는 서던 경질 목재 크라프트이다.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또 다른 실시 태양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밀집화 플러프 층은 공형(목재 펄프 및(또는) 스테이플 섬유와 결합시킨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 웹, 카드 웹, 공기 성형(스테이플 목재 펄프 혼합물)웹 등과 같은 기타 흡수제와 함께 더 낮은 밀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의하면, 복합 흡수체는 히드로겔 재료와 충전재 2-98중량%의 혼합물로 될 수 있다. "충전재"로는 흡수 섬유가 셀룰로오스 섬유(상기 정의한), 친수성 재료 또는 소수성 재료일 수 있는 흡수 섬유와 같은, 분말, 섬유 또는 미립자 형태의 각종 재료가 포함될 수 있다. 충전재는 계면활성제로 처리하여 표면 습윤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폴리올레핀(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스티렌), 천연, 소흡수성 점토, 운모 또는 식물성(예, 옥수수 속) 부스러기 및 이들 재료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마주락(Mazurak)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381,782호를 참조하고, 이 명세서를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로는 AEROSOL O.T.[아메리칸 사이아나미드(American Cyanamid)제품], TEEPOL 610[파티클 데이타 레보러토리즈, 엘티디.(Particle Data Laboratories, Ltd.)제품], NEODOL-27[쉘 케미칼 캄파니(Shell Chemical Company)제품], DUOMEEN-361[아모 인더스트리얼 케미칼 캄파니(Armour Industrial Chemical Company)제품] 및 TRITON X-102[롬 앤드 하스 캄파니.(Rohm and Hass Co.)제품]와 같은 이온성 및 비이온성 재료가 포함된다.
충전재는 먼저 계면활성제 약 0.5 내지 2.5중량%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용액 최대 약 20%를 사용하여 일정하게 습윤시킨다. 이어서 히드로겔 분말을 첨가한 후, 이 혼합물을 완전히 혼합하여 본질적인 혼합물을 제공하고, 각 성분들 전체가 하나로 되게 한다. 히드로겔 미립자를 약간 팽윤시킨 후, 충전재에 점착시킨다. 이 혼합물을 건조시킨 후, 바람직하기로는 약간의 기계적 작용을 가하여 덩어리를 분쇄시킨다. 충전재의 작용으로 혼합물 전체에 액체가 신속하게 위킹되고, 겔 블록을 형성하려는 경향이 실제로 제거된다. 본 발명을 특정 이론에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계면활성제 액체가 건조 히드로겔을 약간 팽윤시켜서, 이것을 점착성으로 만들어 충전재 미립자에 점착시킨다고 여겨진다. 이런 이유로 인하여, 충전재는 계면활성제 용액과 혼합하기 전에 최대로 물 10중량%를 첨가하여 축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재의 양은 히드로겔 재료의 중량에 기초해서 2-98중량%, 바람직하게로는 5 내지 95중량%, 특히 바람직 하기로는 25 내지 75중량%이다. 계면활성제는 비흡수성 충전재의 양에 기초해서 약 0.05 내지 0.5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0.2중량%의 양으로 충전재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재는 평균 히드로겔 미립자 직경의 1-10,000배, 바람직하기는 1-1,000배, 특히 바람직 하기로는 10-100배의 비교적 큰 평균 미립자 직경을 가져야 한다.
지금까지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태양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 몇가지 임의의 특성에 관하여 예시하였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각종 대체, 생략, 변형 및 변화가 수행될 수 있음을 알것이다. 따라서,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의 예시로 여겨지며 이것에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Claims (53)

  1.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외부커버 체액 및 기타 분비물을 흡수 및 내포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커버내에 배치된 흡수 수단 및 상기 흡수 수단을 상기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외부 커버 내에 통합적으로 배치하여, 상기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외부 커버의 신장성이 억제되지 않도록 하는 부착 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부학적으로 몸에 맞고, 대체로 자체 조정되는 일회용 의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수단이 독립적인 흡수 구조물, 액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 상기 라이너에 부착된 액체 불투과성 방벽 및 상기 방벽과 상기 라이너 사이에 배치된 복합 흡수체로 이루어진 일회용 의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수단이 상기 신체측 라이너를 상기 신장 가능한 외부 커버에, 상기 외부 커버를 신장된 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접합시키기 위한 자가 접합 수단으로 이루어진 일회용 의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구조물이 추가로 복합 흡수체의 일부를 둘러싼 티슈 싸개로 이루어진 일회용 의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접합 수단이 초음파에 의해 생성된 접착제로 이루어진 일회용 의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가 적어도 한 방향으로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일회용 의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방향이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 횡방향인 일회용 의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가 20 내지 200% 범위내에서 신장될 수 있는 일회용 의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의 주변 가장자리가 헴 처리된 일회용 의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가 통기성인 일회용 의류.
  11.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의류가 추가로 착용자 둘레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 수단으로 이루어진 일회용 의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이 고정 위치 체결 수단으로 이루어진 일회용 의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이 전장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 일회용 의류.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가 탄성체 부직포 섬유로 이루어진 일회용 의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가 액체 투과성인 일회용 의류.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수단이 상기 외부 커버내에 배치된 흡수 수단을 유지하기 위한 포켓 형성 수단을 포함하는 일회용 의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형성 수단이 상기 흡수 구조물의 제 1 단부가 그 내부에 배치된 외부 커버와 함께 제 1 포켓을 형성하는 정면 허리 플랩 및 상기 흡수 구조물의 제 2 단부가 그 내부에 배치된 외부 커버와 함께 제 2 포켓을 형성하는 후면 허리 플랩으로 이루어진 일회용 의류.
  1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및 후면 허리 플랩이 상기 외부 커버 위로 접혀서 접합된 상기 외부 커버의 일부로 이루어진 일회용 의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가 착용자의 신체에 횡방향인 적어도 한 방향으로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일회용 의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가 20 내지 200% 범위내에서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일회용 의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가 정면 허리 부분, 후면 허리 부분 및 이들 사이의 가랑이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추가로 상기 가랑이 부분의 최외측 부분의 헴 처리된 가장자리로 더 이루어진 일회용 의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구조물이 추가로 상기 흡수 구조물의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에 배치된 가랑이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회용 의료가 추가로 상기 흡수 구조의 가랑이 부분을 상기 외부 커버의 가랑이 부분에 접합시키기 위한 접합 수단으로 이루어진 일회용 의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수단이 자가 접합 수단인 일회용 의류.
  24. 제 20 항에 있어서, 외부 커버가 통기성인 일회용 의류.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가 정면 허리 부분, 후면 허리 부분 및 이들 사이의 가랑이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면 허리 부분과 후면 허리 부분 중 적어도 한 부분에서 직선화를, 위한 허리 직선화 수단을 포함하는 일회용 의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정면 허리 부분과 후면 허리 부분에 대한 허리 직선화 수단으로 이루어진 일회용 의류.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직선화 수단이 상기 정면 허리 부분과 후면 허리 부분 중 적어도 한개의 최외측 부분에서의 단으로 이루어진 일회용 의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허리 부분과 후면 허리부분이 햄 처리된 가장자리를 갖고 있고, 상기 단이 상기 햄 처리된 가장자리의 접혀서 접합된 부분으로 이루어진 일회용 의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햄 처리된 가장자라의 접혀서 접합된 부분이 상기 헴처리된 가장자리의 선택된 위치에 위치된 일회용 의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태된 위치가 상기 정면 및 후면 허리 부분의 최외측 부분으로 부터 상기 정면 및 후면 허리 부분의 중앙 부분까지 연장된 일회용 의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단이 상기 헴 처리된 가장자리를 따라 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일회용 의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길이가 약 0.635 내지 약 1.27㎝(1/4내지 1/2인치)인 일회용 의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위치가 상기 정면 허리부분과 후면 허리 부분의 최외측 부분에 있도록선택된 일회용 의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헴 처리된 가장자리의 접혀서 접합된 부분이 설정된 간격으로 접혀진 일회용의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간격이 약 0.318 내지 약 0.953㎝(1/8내지 3/8인치)인 일회용 의류.
  36. 제35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가랑이 부분의 최외측 부분상의 햄으로 이루어진 일회용 의류.
  37. 제36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외부 커버에 부착된 고정 위치의 전장 체결 수단으로 이루어진 일회용의류.
  3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가 적어도 한 방향으로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고,상기 외부커버 내에 통합적으로 유지되는 일회용 의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측 라니어가 수직 방향으로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고, 상기 신체측 라니너를 제 1장력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방벽 주위에 접합시킴으로써, 상기 탄력있게신장될 수 있는 신체측 라이너에 의해 흡수 구조물이, 제1장력이 제거되었을 때, 접혀진 상태로 되는 일회용 의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측 라이너가 추가로 신체 횡방향으로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고, 상기 신체측 라이너를 제 2장력에 의해 신체 횡방향으로 신장시틴 상태에서 상기 방벽 주위에 접합시킴으로써 상기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신체측 라이너에 의해 흡수 구조물이, 제2장력이 제거되었을때, 신체 횡방향으로컵모양을 나타내는 일회용 의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가 적어도 한 방향으로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일회용 의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가 상기 신체횡방향으로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고, 상기 외부 커버가 정면 허리부분, 후면 허리 부분 및 그 사이의 가랑이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면 허리 부분에 형성된 제1포켓과 상기 후면 허리 부분에 형성된 제 2포켓을 포함하되, 여기에서 상기 흡수 구조물의 제1단부는 상기 제1포켓에 의해 유지된고 상기 구조물의 제2단부는 상기 제2포켓에 의헤 유지되는 일회용 의류.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측 라이너가 수직 방향으로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고, 상기 신체측 라이너가 상기 탄력잇게 신장될 수 있는 외부 커버 주변에 접합된 일회용 의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측 라이너를 제1장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탄력있게신장될 수 있는 외부 커버 주변에 접합시킴으로써,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신체측 라이너에 의해 상기 일회용 의류가, 상기 제1장력이 제거되었을 때, 접혀진 상태로 되는 일회용 의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측 라이너가 추가로 신체 횡방향으로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고, 이 신체측 라이너를 제2장력에 의해 신체 횡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외부 커버 주변에 접합시킴으로써상기 탄력있에 신장될 수 있는 신체측 라이너에 의해 일회용 의류가, 제2장력이 제거되었을 때. 신체 횡방향으로 컵모양을 나타내는 일회용 의류.
  46. 제12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의류를 착용자에게 유지시키기위한 상기 외부 커버 상의 고정 위치의전장 체결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의류.
  47.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외부 커버가 통기성인 일회용 의류.
  48. 정면과 후면 허리 부분을 포함하고, 적어도 한 방향으로 약 20 내지 200% 범위 내에서 탄력있게 신장 될 수 있는 통기성 탄성체 부직포 섬유 외부 커버, 액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 상기 라이너에 부착된 액체 불투과성 방벽과 체액 및 기타 분비물을 흡수 및 내포하도록 상기 방벅과 라이너 사이에 배치된 복합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 구조물 및 상기 흡수 구조물을 상기 외부 커버 내에 통합적으로 부착 및 유지하도록 상기 외부 커버로 부터 형성됨으로써 외부 커버의 신장성을 억제하지 않으며, 그 내부에 상기 흡수 구조물의 제 1 단부가 배치된 상기 외부 커버와 함께 제 1 포켓을 형성하는 정면 허리 플랩과 그 내부에 상기 흡수 구조물의 제 2 단부가 배치된 외부 커버와 함께 제 2 포켓을 형성하는 후면 허리 플랩을 포함하되, 상기 정면 및 후면 처리 플랩은 상기 외부 커버 위로 접혀져서 접합된 외부 커버의 일부로 구성되어지는 유지용 포켓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부학적으로 몸에 맞고, 대체로 자체 조정되는 일회용 흡수 의류.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부직포 섬유가 약 20 내지 약 200% 범위내에서 탄력있게 신장될 수 있는 일회용 흡수 의류.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부직포 섬유가 신장-접합된 라미네이트 재료로 이루어진 일회용 흡수 의류.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접합된 라미네이트 재료가 A-B-A'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일회용 흡수 의류.
  52. 제 50 항 또는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접합된 라이네이트 재료가 압축 가능한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일회용 흡수 의류.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이 신장된 탄성체 재료의 반대 표면에 멜트블로운된 일회용 흡수 의류.
KR1019860007431A 1985-09-06 1986-09-05 완전히 통합된 흡수 구조를 갖는, 몸에 맞으며 자체 조정되는 일회용 의류 KR950000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73,743 1985-09-06
US06/773,744 US4718900A (en) 1985-09-06 1985-09-06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straight waist appearance
US06/773,739 US4701172A (en) 1985-09-06 1985-09-06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fully integrated absorbent structure
US773,739 1985-09-06
US06/773,743 US4710187A (en) 1985-09-06 1985-09-06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a stretchable bodyside liner
US773,744 1985-09-06
US773,741 1985-09-06
US06/773,741 US4701173A (en) 1985-09-06 1985-09-06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absorbent retaining flap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784A KR870002784A (ko) 1987-04-13
KR950000060B1 true KR950000060B1 (ko) 1995-01-09

Family

ID=27505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7431A KR950000060B1 (ko) 1985-09-06 1986-09-05 완전히 통합된 흡수 구조를 갖는, 몸에 맞으며 자체 조정되는 일회용 의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213642B2 (ko)
JP (1) JP2579622B2 (ko)
KR (1) KR950000060B1 (ko)
CA (1) CA1288201C (ko)
DE (1) DE3678511D1 (ko)
MX (1) MX1698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86052C (en) * 1986-12-31 1991-07-16 David P. Kielpikowski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having elastic outer cover and integrated absorbent insert structure
CA1293095C (en) * 1986-12-31 1991-12-17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having elastic outer cover and integrated absorbent insert structure
US4747846A (en) * 1987-04-03 1988-05-31 Kimberly-Clark Corporation Stretchable disposable absorbent undergarment
US5011480A (en) * 1987-12-17 1991-04-30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a nonwoven frictional surface for holding the article in place and a method of use
GB2214085B (en) * 1987-12-17 1992-04-15 Kimberly Clark Co Absorbent pad
GB8801533D0 (en) * 1988-01-23 1988-02-24 Swaddlers Ltd Absorbent garment
JPH0742421Y2 (ja) * 1990-03-28 1995-10-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JP2579379B2 (ja) * 1990-06-12 1997-02-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駆動力制御装置
US5524516A (en) * 1993-02-19 1996-06-11 Makita Corporation Miter saw
JP2558570Y2 (ja) * 1993-06-22 1997-1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アンダーガーメント
US6149638A (en) * 1997-12-31 2000-11-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xtensible absorbent article including folded layers adjacent the absorbent core
US6193701B1 (en) 1997-12-31 2001-02-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care article having zones with different resistance-to stretch
JP3983376B2 (ja) * 1998-04-28 2007-09-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7604624B2 (en) 2003-05-30 2009-10-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overlapping absorbent assembly secured to front and back panels
JP4759276B2 (ja) 2005-01-20 2011-08-31 日立工機株式会社 卓上切断機
JP4794314B2 (ja) * 2006-02-22 2011-10-19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A2787540A1 (en) 2010-01-20 2011-07-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fastenable absorbent article
JP5756004B2 (ja) * 2011-12-20 2015-07-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1524A (en) * 1970-09-21 1973-11-13 H Ralph Diaper garment with interleaved liner and retainer
US4166464A (en) * 1976-06-23 1979-09-04 Johnson & Johnson Absorbent dressing
US4209016A (en) * 1977-09-23 1980-06-24 Colgate-Palmolive Company Diaper with elastic fastener
US4500316A (en) * 1983-06-01 1985-02-19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gar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784A (ko) 1987-04-13
EP0213642A2 (en) 1987-03-11
MX169898B (es) 1993-07-30
JPS62162001A (ja) 1987-07-17
CA1288201C (en) 1991-09-03
EP0213642B2 (en) 2003-02-05
EP0213642A3 (en) 1988-09-21
EP0213642B1 (en) 1991-04-03
JP2579622B2 (ja) 1997-02-05
DE3678511D1 (de) 1991-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954B1 (ko) 탄성처리된 흡수구조를 갖는, 몸에 맞으며 자체 조정되는 일회용 의류
US4701170A (e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fixed position fasteners
US4701171A (e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a zoned stretchable outer cover
US4699621A (e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anchored waist and leg elastics
US4850990A (e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elasticized absorbent structure
US4699620A (e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a multilayered absorbent
US4756709A (e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a 3-section stretchable outer cover
US4701174A (e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angled direction stretchable outer cover
US4704114A (e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two-direction stretchable outer cover
US4701172A (e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fully integrated absorbent structure
US4838885A (e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a multilayered absorbent
US4710187A (e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a stretchable bodyside liner
KR950000060B1 (ko) 완전히 통합된 흡수 구조를 갖는, 몸에 맞으며 자체 조정되는 일회용 의류
US4701176A (e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fixed full-length fasteners
US4701173A (e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absorbent retaining flaps
US4701175A (e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elastic waist and legs
US4701179A (en) Fixed position fasteners for disposable absorbent garments
US4646362A (en) Disposable underpants, such as child's training pants and the like
KR950000059B1 (ko) 고정된 전장 체결부를 갖는, 몸에 맞으며 자체 조정되는 일회용 의류
US4747846A (en) Stretchable disposable absorbent undergarment
US4872871A (en)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having elastic outer cover and integrated absorbent insert structure
CA1286052C (en)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having elastic outer cover and integrated absorbent insert structure
KR950008168B1 (ko) 탄성외부 카버 및 일체식 흡수 삽입부를 갖는 일회용 흡수의류
US4718900A (e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straight waist appearance
CA1330148C (e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elasticized absorben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