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22367A - 노래점수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노래점수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22367A
KR940022367A KR1019930004895A KR930004895A KR940022367A KR 940022367 A KR940022367 A KR 940022367A KR 1019930004895 A KR1019930004895 A KR 1019930004895A KR 930004895 A KR930004895 A KR 930004895A KR 940022367 A KR940022367 A KR 940022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g
score
audio signal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환주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1019930004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22367A/ko
Publication of KR940022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367A/ko

Links

Landscapes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와 마이크를 통하여 들어온 음성신호를 비교판단하여 노래 점수를 표시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노래점수 측정방법은 랜덤방식으로서 무작위로 작성된 점수표를 입력시켜놓고 노래가 끝났을 때 이를 순서대로 화면에 출력하는 것이고, 두번째는 박수계의 원리를 이용한 방식으로 박수소리의 높고 낮음에 따라서 점수의 높낮이를 결정한다.
그런데, 이러한 노래점수 계산장치는 단순한 랜덤 방식이나 박수게의 원리를 이용하여 점수를 계산하기 때문에 점수의 정확도가 거의 없으며 사용자에게 정확한 점수를 출력하지 못함으로써 사용자를 실망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회로구성에 의해 오디오 신호, 즉 반주와 노래의 레벨을 서로 비교하여 점수를 측정함으로써 가정용 또는 업소용 노래장치에서 노래점수를 비교적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노래점수 측정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노래점수 측정 장치 및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2도는 본 발명의 노래점수 측정장치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 노래점수 측정밥법의 흐름도.

Claims (3)

  1. 디스크로부터 픽업(1)을 통해 입력한 RF 신호에서 음성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여 각기 처리하고 비데오 출력시 LD 또는 CDG 신호를 선별하여 출력하는 영상/음성 처리부(50)와, 기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고 노래점수를 판단하여 이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51)과, 사용자가 부르는 노래의 음성신호를 입력 처리하는 마이크 신호 입력부(52)와, 사용자가 부르고 있는 노래의 음성신호와 반주로 사용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그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미터(54)와, 상기 레벨미터()에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음성신호의 레벨을 비교하는 비교부(55)와, 사람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노래를 부르고 있음을 감지하는 음성입력 판단부(53)와, 상기 마이콤(51)으로부터 노래의 점수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디스플래이하도록 제어하는 점수값 출력부(5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점수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55)는 상기 레벨미터(54)의 오디오 신호레벨에 관한 일측출력과 음성신호 레벨에 관한 타측출력이 각기 배타적 오아 게이트(XOR10∼XOR14)에 입력되고, 상기 배타적 오아 게이트(XOR10∼XOR14)의 출력이 각기 오아 게이트(OR11)에 입력되며, 상기 오아게이트(OR11)의 출력은 플립플롭(FF10)에 입력되며, 상기 플립플롭(FF10)의 클럭은 상기 마이콤(51)으로 입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점수 측정장치.
  3. 마이크가 장착되고 디시크의 챕터 넘버가 바뀌었으면 노래를 부르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노래를 부르고 있으면 일정 시간단위로 음성신호와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는 횟수를 카운터로 계수하는 단계와, 노래가 끝났으면 카운터가 계수한 값을 일정 값에서 감산하여 노래 점수로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점수 측정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30004895A 1993-03-27 1993-03-27 노래점수 측정 장치 및 방법 KR9400223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4895A KR940022367A (ko) 1993-03-27 1993-03-27 노래점수 측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4895A KR940022367A (ko) 1993-03-27 1993-03-27 노래점수 측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367A true KR940022367A (ko) 1994-10-20

Family

ID=66912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4895A KR940022367A (ko) 1993-03-27 1993-03-27 노래점수 측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223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398B1 (ko) * 2012-06-29 2014-06-13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사용자 음원 평가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398B1 (ko) * 2012-06-29 2014-06-13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사용자 음원 평가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4223B1 (ko) 가라오케의 채점 방법
US6625549B1 (en) Equipment specifying system
US4429609A (en) Pitch analyzer
US4434697A (en) Indicator apparatus for indicating notes emitted by means of a musical instrument
RU2001105990A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громкости звуко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US20110067555A1 (en) Tempo detecting device and tempo detecting program
JP2017111268A (ja) 技法判定装置
KR940022367A (ko) 노래점수 측정 장치 및 방법
JPH11237890A (ja) 歌唱採点機能付きカラオケ装置における歌唱採点方法
JP4242281B2 (ja) 少なくとも1つの記述子に基づいて音響信号の音色を特徴付けるための方法
JP3577158B2 (ja) 調律器
JP4159961B2 (ja) カラオケ装置
KR970004174B1 (ko) 노래점수 계산장치
KR100612927B1 (ko) 음정의 정확도 검출 기능을 가지는 노래 연습기 및 그 방법
KR970067095A (ko) 음성신호의 무성파열음 구간검출방법 및 장치
KR970005668B1 (ko) 영상가요반주기기의 점수연산장치
JPS5984300A (ja) 音声区間検出回路
JPH0518706Y2 (ko)
JPH03253898A (ja) 自動伴奏装置
JP5768268B2 (ja) 調律器
KR960007943B1 (ko) 가요반주 시스템의 점수 측정장치
Zhongming et al. The design of musical instrument tuning system based on stm32f103 microcomputer
JPH06295194A (ja) 信号比較装置
KR870003461A (ko) 피아노 조율방법과 그 장치
JPH04270392A (ja) カラオ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03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