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461A - 피아노 조율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피아노 조율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461A
KR870003461A KR1019850006652A KR850006652A KR870003461A KR 870003461 A KR870003461 A KR 870003461A KR 1019850006652 A KR1019850006652 A KR 1019850006652A KR 850006652 A KR850006652 A KR 850006652A KR 870003461 A KR870003461 A KR 870003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input
section
waveform
pi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6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자
Original Assignee
노경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경자 filed Critical 노경자
Priority to KR1019850006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3461A/ko
Publication of KR870003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461A/ko

Links

Landscapes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피아노 조율방법과 그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분석도로서, (a)는 일반적인 주파수 카운터의 측정방법 (b)는 주파수 체배방법에 의한 측정방법 (c)는 본 발명에 의한 측정방법.
제3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블록선도.
제4도는 제3도의 상세한 블록선도이다.

Claims (4)

  1. 피아노 또는 다른 악기로부터 발생된 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픽업(A), 상기 픽업(A)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일정하게 증폭하고 이에 포함된 잡음성분을 제거하며 파고치를 일정하게 하고 결함이 있는 파형을 정형하여 양호한 파형을 만드는 입력처리부(B), 상기 입력처리부(B)를 통하여 관측하기 쉽게 만들어진 파형을 직접 시간적으로 볼 수 있는 부분으로 피아노의 이상상태, 즉 현의 불량,향판의 균열, 이상공진, 음색의 양부 등을 감별할 수 있는 파형관측부(C), 상기 파형관측부(C)에 의하여 정형된 파형을 설정된 값만큼 계수하는 부분인 입력계수부(D), 상기 입력계수부(D)가 계수함과 동시에 시간측정에 들어가며 상기 입력계수부의 계수완료 신호로 정지하는 것으로 계수시간을 측정하는 정밀 타이머인 시간 측정부(E), 상기 각 부분에 필요한 데이타의 전송과 각 부분에서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각 회로의 동작상황을 점검 제어하여 분석결과를 출력하는 연산처리부(F), 상기 연산처리부(F)의 부속부분으로 표준 주파수 및 연산 프로그램이 수장된 ROM과 각 회로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기억하는 RAM으로 구성된 메모리부(G), 측정하고자 하는 주파수의 설정, 측정시간, 표준 주파수의 발생 및 표시 등 모든 필요한 입력을 위한 부분으로 키이 보우드로 된 명령 입력부(H), 상기 연산처리부(F)에서 연산된 측정주파수의 결과 및 ROM에 기억된 표준 주파수를 부동 소숫점방식에 의하여 8자리 숫자로 표시하는 부분인 주파수 표시부(I), 2MHz의 주파수를 신데싸이저 회로를 사용하여 88음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부분인 표준 주파수 발생부(J), 상기 입력처리부(B)에 인가된 입력주파수와 상기 표준 주파수 발생부(J)에서 발생된 표준 주파수를 연산처리부(F)에서 비교하고 데이타 버스라인을 통하여 그 오차출력을 표시하는 오차 검출 및 오차 표시부(K), 상기 표준 주파수 발생부(J)에 연결되어 표준음을 발생하는 증폭기 및 스피커부(L)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조율장치.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A)은 입력 주파수 대역이 낮은 (fOL:20Hz-fOH:200Hz) 가동 코일형 마이크로폰과 콘덴서 마이크로폰을 결합하여 저역의 입력을 증강한 이중 마이크로폰을 사용하는 피아노 조율장치.
  3.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단안정 발진기를 사용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결함 펄스를 재성형 삽입하기 위하여 위상 비교기(8), 적분기(9),전압 가변발진기(10)으로 구성된 위상차 추적 동기 발진기를 사용하는 피아노 조율장치.
  4. 피아노 또는 다른 악기로부터 발생된 음을 전기적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픽업(A), 상기 픽업(A)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일정하게 증폭하고 이에 포함된 잡음성분을 제거하며 파고치를 일정하게 하고 결함이 있는 파형을 정형하여 양호한 파형을 만드는 입력처리부(B), 상기 입력처리부(B)를 통하여 관측하기 쉽게 만들어진 파형을 직접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부분으로 피아노의 이상상태, 즉 현의 불량, 향판의 균열, 이상공진, 음색의 양부 등을 감별할 수 있는 파형관측부(C), 상기 파형관측부(C)에 의하여 정형된 파형을 설정된 값만큼 계수하는 부분인 입력계수부(D), 상기 입력계수부 D가 계수함과 동시에 시간측정에 들어가며 상기 입력계수부의 계수완료 신호로 정지하는 것으로 계수시간을 측정하는 정밀 타이머인 시간측정부(E), 상기 각 부분에 필요한 데이타의 전송과 각 부분에서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각 회로의 동작상황을 점검, 제어하여 분석결과를 출력하는 연산처리부(F), 상기 연산리부(F)의 부속부분으로 표준주파수 및 연산 프로그램이 수장된 ROM과 각 회로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기억하는 RAM으로 구성된 메모리부(G), 측정하고자 하는 주파수의 설정, 측정시간, 표준 주파수의 발생 및 표시 등 모든 필요한 입력을 위한 부분으로 키이 보우드로 된 명령 입력부(H), 상기 연산처리부(F)에서 연산된 측정주파수의 결과 및 ROM에 기억된 표준 주파수를 부동 소숫점방식에 의하여 8자리까지 숫자로 표하시는 부분인 주파수 표시부(I), 2MHz의 주파수를 신데싸이저 회로를 사용하여 88음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부분인 표준 주파수 발생부(J), 상기 입력처리부(B)에 인가된 입력주파수와 상기 표준 주파수 발생부(J)에서 발생된 표준 주파수를 연산처리부(F)에서 비교하고 데이타 비스라인을 통하여 그 오차 출력을 표시하는 오차 검출 및 오차표시부(K), 상기 표준 주파수 발생부(J)에 연결되어 표준음을 발생하는 증폭기 및 스피커부(L)로 구성된 피아노조율장치에 있어서, 측정하려는 주파수의 펄스열에서 임의의 개수를 계수하고, 그 임의의 개수를 계수하는 동안의 경과시간을 체크하여 펄스의 개수 및 경과시간을 인산하여 측정 주파수의 해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조율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50006652A 1985-09-11 1985-09-11 피아노 조율방법과 그 장치 KR870003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6652A KR870003461A (ko) 1985-09-11 1985-09-11 피아노 조율방법과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6652A KR870003461A (ko) 1985-09-11 1985-09-11 피아노 조율방법과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461A true KR870003461A (ko) 1987-04-17

Family

ID=69467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652A KR870003461A (ko) 1985-09-11 1985-09-11 피아노 조율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4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109B1 (ko) * 2002-05-21 2005-03-10 학교법인 호서학원 전자식 조율기의 악기음 주파수 측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109B1 (ko) * 2002-05-21 2005-03-10 학교법인 호서학원 전자식 조율기의 악기음 주파수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9609A (en) Pitch analyzer
US6066790A (en) Multiple frequency display for musical sounds
Freedman Analysis of musical instrument tones
RU238389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етектирования и измерения частотных возмущений скорости вращения ротора
KR830003734A (ko) 충격대상물의 크기 검지용방법
US3280937A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frequency of acoustical energy
EP3230976B1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processing a sequence of signals for polyphonic note recognition
US4399732A (en) Pitch identification device
Luce Physical correlates of nonpercussive musical instrument tones
US4319515A (en) Tuning aid for tuning musical instruments
KR870003461A (ko) 피아노 조율방법과 그 장치
US4276445A (en) Speech analysis apparatus
CN1220440A (zh) 钢琴调律标准发生器
JP4242281B2 (ja) 少なくとも1つの記述子に基づいて音響信号の音色を特徴付けるための方法
KR101712334B1 (ko) 화음 음정 정확도 평가 방법 및 장치
JPS595926A (ja) 電子調律器
US5726362A (en) Tension loss/frequency comparison device
JPS62205397A (ja) リズム表示装置
KR840001161B1 (ko) 피아노 조율장치
JPH0687199B2 (ja) テンポ表示装置
SU960921A1 (ru) Одноголосный электромузыка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JPH06202625A (ja) 調律状態表示装置
JP2954978B2 (ja) 構成音寄与度自動出力装置
KR0132493B1 (ko) 가라오케 점수계산장치
JPH03253898A (ja) 自動伴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