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22312A - 기계번역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계번역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22312A
KR940022312A KR1019930003922A KR930003922A KR940022312A KR 940022312 A KR940022312 A KR 940022312A KR 1019930003922 A KR1019930003922 A KR 1019930003922A KR 930003922 A KR930003922 A KR 930003922A KR 940022312 A KR940022312 A KR 940022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dictionary
translation
idiom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3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129B1 (ko
Inventor
김영택
이호석
심광섭
김보령
윤성희
양승현
김성동
이재원
김유섭
Original Assignee
김영택
이호석
심광섭
김보령
윤성희
양승현
김성동
이재원
김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택, 이호석, 심광섭, 김보령, 윤성희, 양승현, 김성동, 이재원, 김유섭 filed Critical 김영택
Priority to KR1019930003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3129B1/ko
Publication of KR940022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1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언어로 기술된 자연언어(원문)를 번역처리하여 제2언어로 기술된 자연언어(번역문)로 출력하도록 하는 기계번역처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숙어와 언어에 의한 문장의 분석과 변환 과정을 이용한 기계번역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두 언어간의 기계번역이 입력문장인 영어문장에 대한 구문분석결과로부터 적절한 한국어 문장을 얻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의 복잡하고 반복적인 구조변환과정과 어휘대치과정을 거침으로 인하여 번역이 복잡해지고 그 내용이 정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 숙어와 연어를 중심으로 하는 구절단위의 번역에 의하여 정확한 번역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우수한 번역문을 얻기 곤란한 원시언어의 다양한 표현 형태들을 숙어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번역구의 대응을 갖춘 번역 사전을 제공하여 번역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계번역장치 및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종래의 기계번역장치의 개략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계번역장치의 블럭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계번역장치의 전역구조화부에서 이루어지는 전역구조분석과정을 일예를 도시한 도이다.

Claims (22)

  1. 제1언어로 된 각종 품사의 단어를 포하하는 어휘사전 ; 상기 어휘사전을 참조하여 제1언어의 입력 문장을 어휘별로 분석하는 어휘분석수단 ; 분석된 어휘자료 및 번역자료를 기록하는 활성챠트 ; 제1언어를 제2언어로 번역하기 위한 어휘자료를 포함하는 번역사전 ; 제1언어의 문법규칙을 포함하는 제1언어규칙부 ; 상기 번역사전에서 제공하는 숙어패턴들을 상기 활성차트에 기록된 데이타들과의 매칭과 숙어변수에 대한 지역적 탐색에 의하여 숙어를 인식하여 이를 비활성에지로서 활성챠트에 기록하는 숙어인식수단 ; 상기 번역사전을 이용하여 상기 제1언어규칙부에 규정되어 있는 문법규칙에 따라 상기 활성챠트에 기록된 테이타로 문장의 분석을 전역적으로 행하기 위한 전역구조화수단 ; 전역적으로 분석된 데이타를 제2언어로 변환하기 위한 어휘정보를 제공하는 생성사전 ; 제2언어의 문법규칙을 포함하는 생성규칙부 ; 및 상기 생성사전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규칙부에 규정되어 있는 문법규칙에 따라 제2언어문장을 생성하기 위한 제2언어무장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번역장치는 상기 전역구조화수단에 의하여 처리된 데이타로부터 상기 번역사전을 참조하여 언어쌍을 검색하여 제1언어의 어휘를 번역하기 위한 언어처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언어는 영어이고 제2언어는 한국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휘사전은 단어들의 기본형태와 불규칙 변형된 형태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챠트는 상향식 제어와 하향식제어를 결합한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사전은 기록되어 있는 각 단어에 대하여 숙어구, 언어상 및 기본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사전은 사전을 고속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인덱스를 구성하고 검색기능을 수행하는 사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챠트내에 등록된 비활성에지는 상기 전역구조화부에서의 전역구조화과정에서 보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사전은 기본사전과 분야사전으로 구성되며, 동일한 어휘에 대하여 분야사전이 기본사전보다 우선적으로 참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부는 조건을 가지는 구절구조규칙들의 집합 및 특정 규칙을 선택하기 위한 규칙선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장치.
  11. 제2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어처리수단에 의하여 연어쌍으로써 처리되는 대상은 타동사와 그 목적어의 쌍, 자동사와 주어의 쌍, 및 형용사와 수식되는 명사의 쌍에 대하여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언어문장생성부는 복수어 표현을 분석하여 구조를 정규화하는 복수어분석수단 ; 상기 복수어분석수단에서 처리된 구조를 생성규칙에 따라 통사전변형 및 어순조정을 행하는 구문생성수단 ; 및 상기 구문생성수단에 의하여 생성된 각 구문들에 대한 형태소의 첨가 및 합성을 행하여 완성된 제2언어의 문장을 생성하는 형태소생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장치.
  13. 제1언어로 이루어진 원시언어 입력문장을 제2언어인 목적언어로 번역하기 위하여 제1언어에 대한 어휘사전, 제2언어의 번역사전, 번역을 위하여 사용되는 구칙부 등을 포함하는 제1언어를 제2언어로 번역하는 기계번역방법에 있어서, 상기 번역방법이 입력된 제1언어의 문장을 어휘사전을 이용하여 각 어휘별로 분석하는 어휘분석단계 ; 분석된 문장의 단어들을 전역자료구조인 활성챠트의 초기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자료구조 초기화단계 ; 상기 초기화된 자료구조에서 번역사전을 이용하여 문법규칙에 따라 특정 단어를 키워드로 하여 문장의 특정 지점을 시작점으로 하는 지역적 탐색과정을 통하여 요구되는 숙어변수를 대치할 구조를 검색하여 인식된 숙어를 비활성에지로서 등옥하는 숙어인식단계 ; 상기 숙어인식단계의 종료후 문법규칙에 따라 인식된 숙어를 중심으로 각 활성에지에 대한 규칙의 선택 및 적용으로 새로운 에지를 추가하는 전역적 탐색과정을 통하여 문장전체를 결합하는 구조를 만드른 전역구조화단계 ; 상기 구조화단계후 분석된 구조중에서 번역되지 않은 나머지 단어들에 대해서는 디폴트 번역어휘를 사용하여 번역을 행하는 디폴트어휘번역단계 ; 및 상기 전역구조화단계에서의 결과를 제2언어의 생성규칙과 생성사전을 참조하여 제2언어의 문장을 생성하는 제2언어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역구조화단계후에 번역사전을 이용하여 상기의 구조내의 어휘에 대한 연어정보를 추출하여 번역처리하는 언어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언어 생성단계는 상기 생성단계이전가지의 처리된 구조에서 복수어 표현을 분석하여 구조를 정규화하는 복수어분석단계 ; 상기 분석단계에서 처리된 구조를 생성규칙에 따라 통사적번형 및 어순조정을 행하는 구문생성단계 ; 및 상기 구문생성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구문들에 대한 형태소의 첨가 및 합성을 해아혀 환성된 제2언어의 문장을 생성하는 형태소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방법.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언어는 영어이고, 제2언어는 한국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방법.
  17.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숙어인식단계에서는 이루어지는 숙어의 유형은 고정된 단어들만의 열으로 이루어지는 단순숙어와 고정단어로 시작되며, 고정단어들과 한개 또는 두개의 숙어변수(메타심볼)를 가지는 메타숙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방법.
  18.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번역사전은 기본사전과 분야사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번역에 있어서는 분야사전이 기본사전에 우선하여 참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언어처리는 타동사와 그 목적어의 쌍, 자동사와 주어의 쌍, 및 형용사와 수식되는 명사의 쌍에 대하여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방법.
  20.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숙어인식단계에서 얻어지는 비활성에지는 그 에지의 시작점과 끝점사이에 존재하는 점들이 전역구조화과정에서 보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방법.
  21.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숙어인식단계에서 얻어지는 비활성에지는 그 에지의 시작점과 끝점사이에 존재하는 점들이 전역구조화과정에서 보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적 탐색은 숙어변수에 대한 예측을 도입하여 전체 규칙집합중에서 부분집합만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30003922A 1993-03-15 1993-03-15 기계번역장치 및 방법 KR950013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3922A KR950013129B1 (ko) 1993-03-15 1993-03-15 기계번역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3922A KR950013129B1 (ko) 1993-03-15 1993-03-15 기계번역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312A true KR940022312A (ko) 1994-10-20
KR950013129B1 KR950013129B1 (ko) 1995-10-25

Family

ID=19352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922A KR950013129B1 (ko) 1993-03-15 1993-03-15 기계번역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31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376B1 (ko) * 2002-12-10 2004-12-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시언어를 대상언어로 번역하기 위한 번역엔진 장치 및 그 번역방법
KR20220062992A (ko) * 2020-11-09 2022-05-17 (주)미소정보기술 도메인 특화된 언어 규칙 생성이 가능한 텍스트 데이터 분석 방법 및 장치
WO2024025184A1 (ko) * 2022-07-26 2024-02-01 최선종 동사의 문형별 및 단어의 품사별 영어 해석편 제공시스템 및 그것을 기록한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586A (ko) * 2000-05-29 2001-12-08 우요섭 의미정보를 이용한 이단계 단문 분할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376B1 (ko) * 2002-12-10 2004-12-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시언어를 대상언어로 번역하기 위한 번역엔진 장치 및 그 번역방법
KR20220062992A (ko) * 2020-11-09 2022-05-17 (주)미소정보기술 도메인 특화된 언어 규칙 생성이 가능한 텍스트 데이터 분석 방법 및 장치
WO2024025184A1 (ko) * 2022-07-26 2024-02-01 최선종 동사의 문형별 및 단어의 품사별 영어 해석편 제공시스템 및 그것을 기록한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129B1 (ko) 1995-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896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speech recognition hypothesis construction and selection in a spoken language translation system
US62825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source language expression recognition and alternative hypothesis presentation and selection
US62436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yntactic analysis and data structure for translation knowledge in example-based language translation
US62231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sing in a spoken language translation system
US6760695B1 (en) Automat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20040254783A1 (en) Third language text generating algorithm by multi-lingual text inputting and device and program therefor
WO1997040453A1 (en) Automat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Chatterjee et al. DEPSYM: A Lightweight Syntactic Text Simplification Approach using Dependency Trees.
KR940022312A (ko) 기계번역장치 및 방법
KR940022311A (ko) 기계번역장치 및 방법
Shukla et al. A Framework of Translator from English Speech to Sanskrit Text
JP2632806B2 (ja) 言語解析装置
JP4033093B2 (ja) 自然言語処理システム及び自然言語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521435B2 (ja) 日本語生成装置
KR100333681B1 (ko) 용언 중심 문틀을 이용한 자동 번역 장치 및 그 방법
Edelman et al. Machine translation using automatically inferred construction-based correspondence and language models
JP4033088B2 (ja) 自然言語処理システム及び自然言語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ukeyev et al. Computational Model of Morphology and Stemming of Karakalpak Words on a Complete Set of Inflectional Endings
Mohinur TRANSLATION DIFFICULTIES IN TEACHING PROCESS
JP2994539B2 (ja) 機械翻訳装置
JP4036172B2 (ja) 自然言語処理システム及び自然言語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Overchenko et al. Some peculiarities of machine translation
JPH02140869A (ja) 文章の構造解析方法
NAGAO 2. 1 A Survey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Machine Translation in Japan
JPH02156376A (ja) 機械翻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