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547B1 - 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 - Google Patents

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547B1
KR940011547B1 KR1019910005006A KR910005006A KR940011547B1 KR 940011547 B1 KR940011547 B1 KR 940011547B1 KR 1019910005006 A KR1019910005006 A KR 1019910005006A KR 910005006 A KR910005006 A KR 910005006A KR 940011547 B1 KR940011547 B1 KR 940011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holder
tape cassette
tape
lo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5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389A (ko
Inventor
구오헤이 야마시다
아끼라 다까기
Original Assignee
닛뽕 비구타 가부시기가이샤
보오가미 다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 비구타 가부시기가이샤, 보오가미 다꾸오 filed Critical 닛뽕 비구타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7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8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
제1도는 본 발명을 따르는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와 연결된 자기기록기/재생기를 포함하는 VTR 시스템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VTR 시스템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도시된 VTR 시스템의 정면도.
제4도는 각자의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의 카세트검출기구의 평면도.
제5a도-제5e도는 자기테이프카세트를 카세트홀더에 위치시키는 점진적인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제6a도-제6e도는 자기테이프카세트를 자기기록기/재생기의 기록/재생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제7a도-제7f도는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로 복귀한 자기테이프카세트를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에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제8도는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의 측면도.
제9도는 플랩의 사시도.
제10도는 트레이 및 카세트홀더의 사시도.
제11도는 트레이를 앞뒤로 움직이게 하는 기구를 도시한 자기기록기/재생기의 앞부분의 측면도.
제12도는 자기기록기/재생기의 앞부분의 평면도.
제13a도-제13d도는 카세트홀더를 내리는 제네바아암의 작동의 점진적인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제14a도-제14d도는 카세트홀더를 이동시키는 점진적인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제15도는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의 카세트배출기구의 정면도.
제16도는 카세트배출기구의 평면도.
제17도는 카세트배출기구의 측면도.
제18도 및 제19도는 트레이 및 카세트홀더를 위치시키는 다른 배열의 평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르는 배출트레이의 평면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는 배출트레이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디오테이프기록기 5 : VTR 데크유닛
100 :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 130 : 배출트레이
103 : 안내판 100a : 우측아암
100b : 좌측아암 101a,101b : 플랩
10 : 카세트홀더 11 : 돌출부
120 : 퓨셔 143 : 모우터
21 : 측판 14 : 검출핑거
본 발명은 비디오테이프기록기 또는 자동테이프기록기와 같은 자기기록기/재생기에 사용되고, 특히 자기테이프를 수용하는 테이프카세트를 자동적으로 교환하는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테이프기록기(VTR), 디지탈 오디오테이프기록기(DAT)와 같은 자기기록기/재생기에 대하여 자동테이프카세트를 자동적으로 삽입 및 배출하는 장치가 일본특개소 58(1983)-153264에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VTR 데크유닛의 정면 패널 위에 설치된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loader/unloader)를 포함한다.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는 VTR 데크유닛의 카세트홀더에 자기테이프카세트를 자동적으로 삽입시키고 카세트홀더로부터 또다른 자기테이프카세트를 배출시킨다.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는 그것의 바닥면에 형성된 삽입/배출통로를 갖는다.
자기테이프카세트가 바닥면 위에서 미끄러져 이동하는 동안 공급로울러에 의해 카세트 삽입/배출통로를 통하여 카세트홀더로 적재되고 분리된다. 만일,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의 삽입/배출통로를 형성하는 바닥면이 카세트홀더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대치되면 자기테이프카세트는 카세트 삽입/배출통로에서 카세트홀더로 삽입된다.
게다가 자기테이프카세트가 삽입 또는 배출할 때 자기테이프의 방향각이 완전히 카세트 삽입/배출통로에 통제되지 않기 때문에 기우는 경향이 있다. 또다른 문제점은 자기테이프카세트 기록기를 완전히 카세트홀더에 미는 메카니즘이 필요한데 그 이유는 자기테이프가 완전히 카세트홀더로 밀쳐주지 않으면, VTR 데크에 수용된 카세트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밀침기구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의 크기가 커지므로 공간을 줄이고 다수의 이러한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를 설치하는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자동카세트를 자기기록기/재생기에 대하여 부드럽게 공급 배출하는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소형인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를 마련하여, 다수의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 공간 감축용으로 도모하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기기록기/재생기로부터 테이프카세트를 교환하는 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는 카세트테이프를 유지하는 카세트홀더와, 카세트테이프를 유지한채로 자기기록기/재생기에 대하여 카세트홀더를 이동시키는 수단, 자기기록기/재생기로부터 이동한 카세트홀더에서 테이프카세트를 제거하는 카세트배출메카니즘 및 빈 및 자기기록기/재생기가 이동한 카세트홀더에 테이프카세트를 위치시키는 카세트 공급기구를 포함한다. 카세트홀더는 트레이(tray) 위에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는데, 그 트레이 위에 설비된 카세트홀더와 함께 자기기록기/재생기의 안으로 또는 밖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카세트홀더는 하나이상의 가이드를 갖고 카세트기구는 테이프카세트의 한쪽이 그들과 접촉해서 가이드로 안내되는 동안 다른쪽은 카세트홀더에 위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테이프카세트의 반대측이 카세트홀더에 위치하게 된다.
카세트배출기구는 테이프카세트의 반대면을 카세트홀더에서 들어올리는 리프터아암(lifter arm) 테이프카세트의 들린쪽이 유도측으로 전진 위치한채로 카세트홀더에서 자기기록기/재생기에 평행하게 테이프카세트를 양측으로 미는 퓨셔(pusher)을 포함한다.
카세트홀더는 제1맞물림 수단을 포함하고 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는 카세트홀더가 자기기록기/재생기에서 이동할 때 제1연결수단을 카세트홀더에 맞물리는 제2연결수단을 포함한다.
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는 또한 카세트테이프가 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에 삽입될 때 테이프카세트를 유도하는 가장자리에 형성된 리세스(recess)와 정면으로 마주한 한쌍의 공간을 둔 아암 및 테이프카세트가 리세스를 통해 삽입될 때 테이프카세트를 유도하는 유도판(guiding plate)를 갖는다.
카세트 배출메카니즘은 자기기록기/재생기에 평행하게 카세트홀더로부터 테이프카세트를 양쪽으로 배출시키는데 이것은 카세트에서 배출한 테이프카세트를 수평으로 바꾸는 카세트기구(cassette turning mechanism)를 포함한다.
카세트 공급기구는 테이프카세트의 각각의 쪽을 지지하는 각을 지어 이동하는 한쌍의 공간을 둔 플랩(flap)을 포함하고 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는 또한 한쌍의 공간을 둔 아암을 포함한다.
그리고 센서는 플랩 위에 지지된 테이프카세트의 옆을 검출하는 아암에 위치되어 있다.
카세트배출기구는 카세트홀더에 이동한 테이프카세트를 받아들이는 양쪽으로 연장한 배출트레이 및 이동된 테이프카세트가 카세트홀더로 리턴하는 것을 방지하는 뱅크(bank)를 갖는 배출트레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열에 있어서, 테이프카세트가 일반 카세트홀더에 의해 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와 자기기록기/재생기 사이에 이동하기 때문에 테이프카세트가 이동하는 동안에 걸림없이 부드럽게 적재 또는 비적재된다. 트레이 위에 지지된 카세트홀더가 있는 트레이는 자기기록기/재생기에 위치한 메카니즘에 의해 작동된다.
따라서, 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의 구조가 매우 간단해지는 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의 크기가 매우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이러한 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에 부착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서술한 설명 및 다른 목적의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외 수반한 도면을 관련지어 설명하므로서 분명해질 것이다.
제1도~제3도는 본 발명을 따라는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교환기)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자기기록기/재생기 또는 VTR 데크유닛(5)이 부착된 비디오테이프기록기(VTR) 시스템(1)을 도시한다. 각각의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은 VTR 데크유닛(5)중 하나의 정면 패널 위에 분리할 수 있게끔 설치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VTR 시스템(1)은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기록 및 재생을 처리하는 처리판을 선택적으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신호프로세서(3)와 VTR 데크유닛(5)을 제어하는 제어기(4)를 갖는다.
신호프로세서(3) 및 제어기(4)는 박스모양의 캐비닛(2)의 한쪽에 위치해 있고 세 수직방향으로 부착된 VTR 데크유닛(5)는 캐비닛(2)에는 신호프로세서(3)와 제어기(4)의 옆쪽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세방향으로 부착된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은 VTR 데크유닛(5)의 각각의 정면 패널 위에 분리할 수 있게끔 설치되어 있다.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는 구조상 서로가 동일하므로,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중 하나만을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은 상응하는 VTR 데크유닛(5)에서 떨어져 돌출한 한쌍의 공간에 우측 및 좌측아암(100a),(100b)를 갖는다. 우측아암(100a)의 정면 위에는 램프(102)를 갖는데 이 램프가 턴온하면 VTR 데크유닛(5)가 작동하게 된다.
배출트레이(130)는 좌측아암(100b)의 바깥쪽에 부착되어 우측아암(100a)에서 멀리 떨어진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VTR 데크유닛(5)에서 멀리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연장한 안내판(103)은 우측아암(100a)과 좌측아암(100b) 사이에 부착되어 위치하고 있다.
가이드(guide)(104)는 우측 및 좌측아암(100a),(100b)의 정면의 뒷쪽에 부착되어, 우측 및 좌측아암(100a),(100b)(제8도에서 또한 도시되어 있음)의 안쪽에 위치되어 있다. 우측 및 좌측아암(100a),(100b)의 정면에는 이 아암의 내측 위 및 아래의 모서리에 리세스(105)를 형성한다.
최하 및 중간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의 정면리세스(105)와 중간 및 최상의 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의 정면리세스(105)가 최하 및 중간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에 끼어질 때 이들이 결합해서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측면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최상의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의 위쪽으로 개방된 리세스(105)가 최상의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에 끼워질 때 그들은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측면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리세스(105)를 통해 끼워질 때 끼워진 자기테이프카세트(c)는 안내판(103) 및 한쌍의 공간을 둔 플랩(101a),(101b) 위의 가이드(104)에 의해 안내된다.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플랩(101a),(101b) 위의 주어진 위치에 놓으면 카세트검출기구에 의해 검출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검출기구는 광배출소자(106a)가 구성된 변속센서(106)와 서로가 일렬로 정렬된 광검출소자(106b)를 포함한다. 광배출소자(106a)는 우측아암(100a)에 지지되어 있고 광검색소자(106a)는 좌측아암(100b)에 지지되어 광배출소자(106a)에서 광검출소자(106b)쪽으로 배출된 광비임을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리드(lid)(Ca)의 윗쪽 모서리에 의해 방해받는다.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플랩(101a),(101b) 위에 적당히 위치하면 광배출소자(106a)의 광비임은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리드(Ca)의 윗쪽 모서리에 의해 방해된다.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알맞게 끼워져 위치할 때 센서(106)는 자기테이프카세트를 검출한 후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아래에 설명되어 있듯이 플랩(101a),(101b)에서 떨어진다.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는 케이블(107)(제3도에 도시)를 통하여 VTR 시스템(1)의 제어기(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VTR 시스템(1)의 작동은 제5a도-제5b도, 제6a도-제6e도 및 제7a도-제7f도와 관련지어 간단히 설명할 것이다.
제5a도-제5e도는 자기테이프카세트를 카세트홀더에 점진적으로 위치시키는 과정을 도시했다.
제6a도-제6e도는 자기테이프카세트를 VTR 데크유닛의 기록/재생위치로 점진적으로 위치시키는 과정을 도시했다.
제7a도-제7f도는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에 리턴한 자기테이프카세트를 배출트레이 위에 점진적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했다.
제5a도 및 제6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테이프카세트(c)는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의 플랩(101a),(101b)위에 세트된다. 이때에 플랩(101a),(101b)는 닫힌 위치에 있게 되고 자기테이프카세트(c)는 대기상태에 있게 된다. 대기상태에서 하나의 플랩(101b)는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을 지어 아래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그런 다음에 다른 플랩(101a)는 제5c도에 도시된 것처럼 시간차를 두고 각을 지어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한쪽이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다른측보다 먼저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의 카세트홀더(10)내로 떨어져 들어간다.
마지막으로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다른쪽은 제5d도, 제5e도 및 제6b도, 제6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홀더(10) 내에 떨어져 들어간다. 이때에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쪽들은 카세트홀더(10)의 확산가이드(spreading guides)(12)의 바깥쪽으로 각각 접한다.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한쪽이 카세트홀더(10)의 가이드(12)와 접촉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그 자기테이프카세트(c)는 카세트홀더(10)내에 세로로 정확히 위치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뒤쪽 끝(제6a도-제6e도에 도시된 좌측)은 카세트홀더(10)의 경사진 돌출부(11)에 접하여 자기테이프카세트(c)는 경사진 돌출부(11)에 의해 VTR 데크유닛(5)로 향해 약간 밀쳐진다.
따라서, 자기테이프카세트(c)는 또한 그것의 가로방향에 정확히 위치하게 된다.
다음, 제6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홀더(10)와 이 카세트홀더(10)를 지지하는 트레이(20)가 VTR 데크유닛(5)과 함께 끌어당겨진다. 그런 다음 제6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있는 카세트홀더(10)는 VTR 데크유닛(5)의 기록/재생위치 아래에 놓이게 되어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자기테이프에서 데이타가 기록 및 재생된다.
데이타 기록 또는 재생과정이 끝나면,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있는 카세트홀더(10)는 제7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VTR 데크유닛(5)에서 자동카세트 적재기(100) 뒤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 다음 제7b도에 도시된 것처럼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한쪽이 아암(110)에 의해 카세트홀더 위로 올려진 다음 제6c도-제6f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셔(120)가 카세트홀더(10)에 대해 양쪽으로 추진되어 기록 또는 재생한 자기테이프카세트(c)를 배출트레이(130)에 배출시킨다.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의 여러소자들이 제8도-제21도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플랩(101a),(101b)를 작동시키는 기계적인 크랭크를 제9도와 관련지어 설명할 것이다.
플랩(101a),(101b)는 브래킷(140a),(140b)을 기재하여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축(141a),(141b)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브래킷(140a),(140b)에는 아암(100a),(100b)내를 통하여 뒤쪽으로 연장된 봉(red)(142a),(142b)가 고착되어 있다.
아암(100a)는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내에 세로로 연장된 축(144)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모우터(143)(제16도에서 볼 수 있음)를 수용하고, 아암(100a)(100b) 사이에 세로로 연장되어 축(144)는 모우터(143)에 의해 축주위를 회전한다.
크랭크핀(146a),(146b)은 각각의 조인트(145a),(145b)에 의해 축(144)의 반대끝에 편심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플랩(101a),(101b)에서 떨어진 봉(142a),(142b)의 끝에 유지되어 있다.
축(144)의 반대끝에 편심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플랩(101a),(101b)에서 떨어진 봉(142a),(142b)의 끝에 유지되어 있다.
축(shaft)(144)이 축(sxis) 주위를 회전할때 플랩(101a),(102b)을 축(141a),(141b) 주위에서 상하로 요동한다.
핀(146a),(146b)은 비스듬하게 각을 지어 다르게 유지되어 있다.
즉 다른각 위치에 놓여 있어 플랩(101b)이 플랩(101a)보다 일찍 아래로 회전하여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한쪽이 다른측보다 일찍 카세트홀더(10)의 떨어져 들어간다.
다른쪽보다 일찍 떨어진 자기테이프카세트(c)쪽은 가이드(12)중 하나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 가이드는 카세트홀더(10)의 모서리쪽 위에 바깥쪽으로 펴진다.
그런 다음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다른쪽은 카세트홀더(10)의 다른 가이드(12)와 연결되어 떨어진다.
결과적으로 자기테이프카세트(c)는 카세트홀더(10)에 대해 정확히 세로로 위치한다.
각이 다르게 위한 핀(146a),(146b) 대신 플랩(146a),(146b)은 다른 폭을 갖고 처음에 다른각 위치로 미리 설정되므로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한쪽이 다른쪽보다 빨리 카세트홀더(10)에 떨어지게 된다.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플랩(101a),(101b)위에 적당히 올려 놓여지면, 센서(106)에 의해 검지되고 자기테이프카세트(c)는 카세트홀더(10)에 떨어진다(제4도에 볼수 있음).
특히, 카세트홀더(10)가 비어서, 소정의 위치에 있음을 다른 센서 및 센서(106)에 의해 확인하면, 모우터(143)의 구동에 의하여 플랩(101a),(101b)을 아래쪽 방향으로 요동시켜서 자기테이프카세트(c)를 카세트홀더(10)에 떨어뜨리고, 계속하여, 위쪽방향으로 요동하여 닫힌 상태에(제5a도 및 제9도에서 볼수 있음)에서 플랩(101a),(101b)은 또 다른 자기테이프카세트(c)를 받아들일 수 있는 시점에서 정지한다.
또, 플랩(101a),(101b)의 스토우피지(stoppage)는 축(144)위에 설치된 디스크(147)의 구멍(148)(제9도 제16도 및 제17도에서 볼수 있음)을 센서(149)에 의하여 검출하므로서 시행된다.
플랩(101a),(101b)가 아래쪽으로 요동한 다음 위쪽으로 요동하며, 약간 아래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플랩(101a),(101b)를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스토우피지가 여러소자의 어셈블리 에러로 인해 검출된 후 플랩(101a),(101b)가 정지하기전에 그들이 시간차 또는 플랩(101a),(101b)의 스토우피지의 검출에러로 인한 상태에서 멈추기 때문이다.
카세트홀더(101)를 제10도와 관련지어 설명할 것이다.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홀더(10)는 프레임식으로 되어 있는 트레이(20)의 부분으로서,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양쪽 사이에 공간을 지닌 한쌍의 측판(21)과 이 측판(21)의 양끝에 결합된 정면판(22)를 포함한다.
측판(21)은 각각의 랙(rack)(23)에 연결되어 있고 측판(21)의 바깥면에 고정되어 있다.
정면판(22)은 측판(21)의 앞끝 부근의 반대끝 부분에 형성된 한쌍의 공간을 두고 위치한 구멍(24)을 지닌다.
트레이(20)가 VTR 데크유닛(5)에서 멀리 떨어진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내의 앞방향에 디스플레이 될때 위치구멍(24)은 아암(100a),(100b)의 정면의 뒷쪽에 설치된 각각의 돌출부분(25)(제8도)과 맞물리어서 트레이(20)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카세트홀더(10)은 평면 트레이와 같은 지지대 식이다.
바깥쪽으로 펼쳐진 가이드(12)는 정면 및 측면 위쪽모서리위에 설치되어 카세트홀더(10)내에 떨어진 자기테이프카세트(c)를 안정하게 받아들인다.
자기테이프카세트(c)를 미는 기울어진 돌출부(11)은 카세트홀더(10)의 앞벽의 내면 위에 설치되어 있다.
VTR 데크유닛(5)부근에 카세트홀더(10)의 끝 반대쪽위에 위치부재(13)을 갖는데 그 앞쪽 끝 또는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리드를 맞물어서 가로방향으로 자기테이프카세트(c)를 위치시킨다.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리드가 카세트홀더(10)에 떨어져서 기울어진 돌출부(11)에 의하여 밀어내지므로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위치부재(13)위에 걸치지 않는다.
카세트홀더(10)의 VTR 데크유닛(5)부근의 끝 중심부에 위치한 검출핑거(detecting finger)(14)를 마련하였으며, 이 검출핑거(14)는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카세트홀더(10)의 전진, 역진 또는 위, 아래쪽으로 위치할때를 검출한다.
특히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정면끝에 요부(凹部)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VTR 데크유닛(5)에서 적재부재를 받아들인다.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카세트홀더(10)에 알맞게 위치할때, 검출핑거(14)가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정면끝에 요부에 삽입된다.
그러나,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카세트홀더(10)에 알맞지 않게 위치한 경우일지라도 자기테이프카세트(c)는 이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검출핑거(14)위에 걸쳐진다.
카세트홀더(10)는 제12도 및 제14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카니즘에 의하여 트레이(20)위에 분리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2도 및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홀더(10)과 트레이(20)은 X형 링크(30)에 의하여 서로가 작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록판(lock plate)(31)은 트레이(20)의 측판(21)의 하면에 미끄러 질 수 있게 부착되어 있고,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바이어스로 인하여 VTR 데크유닛(5)쪽으로 가압된다(제14a도의 오른쪽으로).
카세트홀더(10)는 측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한 핑거(15)를 마련하여 카세트홀더(10)가 트레이(20)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각각의 록판(31)에 배치되어 있다.
트레이(20)은 제11도, 제12도 및 제13a도-제13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카니즘에 의하여 VTR 데크유닛(5)와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 사이를 앞뒤로 움직일 수 있다.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VTR 데크유닛(5)는 그것의 바깥쪽에 고정되게 설치된 모우터(40)가 측벽(5a)를 갖는다.
모우터(40)의 축에 도르래(40)을 설치하고, 도르래(41) 및 측벽(5a)의 바깥쪽위에 회전하게끔 지지된 큰지름의 도르래(42) 사이에 타이밍벨트(43)를 긴장되게 시설한다.
큰 지름의 도르래(42)는 동축의 작은 지름의 기어(44)에 연결되어 있고, 이 기어(44)는 측면벽(5a)위에 회전하게끔 설비된 큰 지름의 기어(45)를 맞물고 있다.
큰 지름의 기어(45)는 동축의 작은 기어(46)에 연결되어 있고, 이 기어(56)는 VTR 데크유닛(5)(제12도 참조)를 통해 양쪽으로 연장한 축(48)에 의해 측벽(5a)위에 회전하게끔 지지되어 있는 기어(47)를 맞물고 있다.
축(48)의 반대끝 부분에는 작은 지름의 기어(52)와 맞물린 동축기어(51)에 연결된 또 다른 세그마트기어(segmental gear)(50)와 맞물리는 세그마트기어(49)가 지지되어 있다.
작은 지름의 기어(52)와 동축인 기어(53)를 랙(23)에 맞물림으로서, 모우터(40)의 구동에 의하여 제13a도-제13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20) 즉 카세트홀더(10)를 VTR 데크유닛(5)로 끌리면 카세트홀더(10)를 VTR 데크유닛(5)과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한다.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VTR 데크유닛(5)로 끌리면 카세트홀더(10)과 함께 VTR 데크유닛(5)의 기록/재생위치로 이동한다.
자기테이프카세트(c)를 VTR 데크유닛(5)의 기록/재생위치로 이동시키는 메카니즘은 제13a도-제13d도 및 제14a도-제14d도와 관련지어 아래에서 설명할 것이다.
제13a도-제13d도 및 제14a도-제14d도는 VTR 데크유닛(5)의 내부구조의 정면부분을 예시하는데 이곳에서 카세트홀더(10)가 이동한다. 간단히 제13a도-제13d도는 카세트홀더(10)을 앞뒤로 이동시키는 기구 및 제네바아암을 예시하는 반면, 제14a도-제14d도는 카세트홀더(10)를 수직으로 이동케하는 캐처(catcher)(70)을 주로 예시한다.
제13a도-제13d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네바아암(60)은 축(61)에 의하여 VTR 데크유닛(5)의 측벽(5a)위에 각을 지어 이동하게끔 지지되어 있다. 제네바아암(60)의 끝에는 슬롯(62)을 형성하고, 슬롯(62)의 각측에 위치한 한쌍의 활모양가이드(63) 및 반대끝에 형성된 구멍(64) 등이 마련되어 있다.
측벽(5a)에는 두개의 수직슬롯(71),(72)는 측벽(5c)의 세로 방향에서 서로가 공간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캐처(70)은 두개의 가이드판(73),(74)를 갖고, 캐처(70)의 측벽위에 위치한 연결핀(75)를 갖는다.
안내핀(73)은 슬롯(71)에 끼워저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연결핀(75)는 슬롯(72)에 끼워져 이동하게끔 되어 있다.
연결핀(75)는 또한 제네바아암(60)의 구멍(64)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캐처(70)은 연결핀(75)를 통해 제네바아암(60)에 의하여 유지된다.
캐처(70)은 자기테이프카세트(c)와 함께 카세트홀더(10)을 받아들이는 평면관 모양이다.
캐처(70)은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윗쪽패널위에 압축기(76)이 있다.
축(48)위에 설치된 기어(47)은 그 안쪽면에서 돌출한 핀(65),(66)를 갖는다.
자기테이프카세트(c)을 VTR 데크유닛(5)의 기록/재생위치로 이동케 하는 기구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기어(47)이 회전할때 기어(49),(50),(51),(52),(53)은 회전하여 랙(23)이 트레이(20)을 제13a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13b로 도시된 위치를 통해 제13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VTR 데크유닛(5)으로 이동시킨다.
제13c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카세트홀더(10) 및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캐처(70)에 위치한다.
이때까지 제네바아암(60)이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기어(47)의 회전하면 핀(65)을 제네바아암(60)의 슬롯(62)에 들어가고, 핀(65)이 제13d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네바아암(60)에 인접한 낮은 활모양의 가이드(63)을 형성한 리세스(67)를 안에서 맞물려서 위쪽으로 밀어올릴때까지 기어(47)의 핀(65)이 최종적으로 축(6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제네바아암(60)을 회전시킨다.
이때 맞물림핀(75)는 제네바아암(60)위에 설치된 스프링(68)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눌려져서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캐처(70)을 개재하여 스프링(66)의 바이어스에 의하여 카세트홀더(10)를 유지시킨다.
이 방법에 있어서 데이타가 기록 또는 자기테이프카세트(c)로 부터 재생되는 동안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진동하는 것을 방해한다.
세그마트기어(49)가 제13c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회전할때, 기어(47)과 동축인 세그마트기어(49)가 회전을 세그마트(50)에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기어(47)이 연속회전할때 트레이(20)은 제13c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VTR 데크유닛(5)에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한다.
제14a도에서 보듯이 카세트홀더(10)가 VTR 데크유닛(5)에 완전히 끼워 지기전에 카세트홀더(10)은 록판(81)에 의하여 트레이(20)에 지지된다.
트레이(20)이 상술한 바와 같이 VTR 데크유닛으로 끌려들어갈때, 록판(31)은 VTR 데크유닛(5)의 측판(5a)의 부분과 접하고,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카세트홀더(10)와 대치된다(제14c도의 왼쪽)
따라서, 록판(31)이 이와같이 대치되면 카세트홀더(10)의 핑거(15)가 록판(31)에서 분리되고, 카세트홀더(10)는 트레이(20)에서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카세트홀더(10)가 이때에 캐처(70)에 위치하기 때문에 카세트홀더(10)이 트레이(20)으로 부터 떨어지지 않는다.
그런다음, 제네바아암(60)이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캐처(70)의 맞물린핀(75)가 제네바아암(60)의 구멍(64)에 연결될 경우 캐처(70)은 제네바아암(60)의 회전운동에 따라 하강한다.
그래서 제14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홀더(10)의 캐처(70)을 수용하게 된다.
카세트홀더(10)의 자기테이프카세트(c)는 VTR 데크유닛(5)의 기록/재생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낮아질 경우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리드락 제14d도에 도시된 것처럼 개방된다. 기록/재생위치에서 자기테이프를 자기테이프카세트(c)로부터 끌어내어서 VTR 데크유닛(5)의 자기헤드와 미끄러져 접촉할때 바람직한 데이타로 자기테이프로부터 기록 또는 재생된다.
기록 또는 재생과정후에 자기테이프카세트(c)를 자동적으로 VTR 데크유닛으로 부터 배출되어 이 배출과정에서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에 들어간다.
이 방출과정은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으로부터 자기테이프카세트(c)를 VTR 데크유닛(5)에 끼우는 상기 과정의 역과정이다.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의 카세트 배출메카니즘을 제15도-제17도와 관련지어 설명할 것이다.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은 세로로 연장되어 있는 레일(150)을 가진다.
퓨셔(20)은 다수의 로울러(151) 수단에 의하여 레일(150)에 지지된다.
퓨셔(120)은 모우터(143)에 연결되어 작동하고, 레일(150)에 평행하게 연장된 타이밍 벨트(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우터(143)의 구동에 의하여 퓨셔(120)는 타이밍 벨트에 의하여 레일(150)을 따라 앞뒤로 이동한다.
퓨셔(120)는 레일(150)에 대하여 가로로 돌출하여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한쪽을 연결하는 레버(121)와, 퓨셔(120)의 하면에 설치되고, 아암(100a)에 위치한 센서(122), (제5도)에 의하여 검출되는 검출부재(123) 및 퓨셔(120)의 상면에 설치된 아암(124)을 장착하고 있다.
축(160)의 안쪽부근에는 아암(100b)이 위치해 있고 레버(161)은 축(160)위의 아래끝을 각을 지어 이동하게끔 지지되어 있다.
리프터아암(162)는 레버(161)의 아래끝에 연결된 기본끝을 갖는다.
레버(161)의 위끝은 피아노선과 같은 도선(164) 또는 아암(100a)의 위쪽 안에 설치된 다른레버(163)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푸셔(120)의 스트로크(stroke)가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왼쪽끝, 즉 대기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루셔(120)의 아암(124)에 의하여 레버(163)은 리프터아암(162)에 작동하는 스프링의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오른쪽으로 끌어당겨진다.
이때에 레버(161) 및 리프터아암(162)은 제15도의 실선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기록 또는 재생된 자기테이프카세트(c)를 카세트홀더(10)와 함께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내에 복귀된 것을 센서에 의하여 검지하면 모우터(143)를 동적하여 푸셔(120)을 왼쪽으로 이동시킨다(제15도 및 제16도).
스프링의 바이어스하에서 레버(163)은 해제되고 리프터아암(162)는 제15도의 가상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들에 의해,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한쪽을 카세트홀더(10)로부터 들어올려서 카세트홀더(10)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때에, 푸셔(120)의 레버(121)은 아직 자기테이프카세트(c)와 접하여 있지 않다.
푸셔(120)을 계속해서 왼쪽으로 이동하므로서 레버(121)가 자기테이프카세트(c)와 접하여 왼쪽방향으로 밀어붙인다.
이와같은 동작은 카세트홀더(10)를 타고 넘어서 자기테이프카세트(c)를 배출트레이(130)에 송출한다.
그런다음 푸셔(120)는 제15도 및 제16도의 실선으로 표시된 원래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센서(122)가 복귀한 푸셔(120)를 검지할 때, 플랩(101a),(101b)가 각 지어 아래쪽으로 요동시키고, 대기하고 있는 새로운 자기테이프카세트(c)를 VTR 데크유닛(5)내에 카세트홀더(10)와 함께 공급한다. 리프터 아암(162)에 의하여 올려진 자기테이프카세트(c)를 다른 환경구성요소 및 기계적인요소와 같은 물리적인 간섭을 예방하려면,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은 자기테이프카세트(c)를 제17도의 왼쪽곁으로 약간 접하게 미는 즉, VTR 데크유닛(5)에서 멀리 떨어지게 카세트홀더(10)위에 즉시 위치된 테이퍼 레지(ledge)(170)(제17도)를 설치한다.
제15도 및 제1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암(10b)에 위치한 배출트레이의 끝의 윗쪽면에 뱅크(bank)[또는 리지(ridge)]를 형성한다.
뱅크(131)는 배출트레이(130)상에 배출된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우연히 복귀하여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으로 위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전의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배출트레이(130) 위에 아직 있을때 다음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카세트배출기구에 의하여 배출트레이(130) 위에서 배출되면, 이전의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강제로 배출트레이(130)에서 떨어지게 되어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아암(100b)에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배출트레이(130) 위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센서(132)를 마련한다.
만일, 센서(132)가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배출트레이(130)에 있는지를 검출하면, 카세트배출기구는 작동하지 않는다.
만일, 센서(132)가 자기테이프카세트(c)를 배출트레이(130) 위에 없는 것을 검지하면, 카세트 배출기구는 자기테이프카세트(c)를 배출트레이(103)에서 배출시킨다.
제18도 및 제19도는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의 트레이 및 카세트적재기를 위치시키는 다른 배열의 정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18도에서, 카세트홀더(100)은 자기테이프카세트(c)를 유지하는 약간 넓은 영역 또는 공간을 두었으며, 그 뒤부분 위치에 한쌍의 피벗한 카세트 압축부(10a)를 갖는다.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있는 카세트홀더(10)이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에 위치할때, 카세트압축부(10a)는 카세트 유지영역의 밖에 위치하게 된다.
카세트홀더(10)을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100)에서 VTR데크유닛(5)로 옮김에 따라 카세트압축부(10a)가 폐쇄된다.
즉, 각을 지어 VTR 데크유닛으로 이동하게 된다.
카세트홀더(10)이 VTR 데크유닛(5)로 이동하므로 카세트압축기(10a)는 카세트홀더(10)에 의하여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쪽을 누른다.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VTR데크유닛(5)에 적재되는 동안 카세트 압축부(10a)에 의하여 자기테이프카세트의 세로방향의 위치결정이 확실하게 안전하게 시행된다.
제19도에서, 카세트홀더(10)는 그 안에 자기테이프카세트(c)를 유지하기 위한 약간넓은 영역 또는 공간을 가지며, 최근에는 한쌍의 피벗한 카세트 압축기(10b)는 정면위치에 간격을 둔다.
자기테이프카세트(c)를 갖는 카세트홀더(10)가 자동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에 위치할때, 카세트압축기(10a)가 카세트유지영역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자동카세트적재기/비적재기로 부터 VTR데크유닛으로 카세트홀더(10)를 변위함에 따라 카세트 압축기(10a)가 폐쇄된다.
즉, 카세트유지영역으로 각을 지어 이동한다.
카세트홀더(10)가 VTR데크유닛으로 이동함에 따라 카세트압축기(10a)는 카세트홀더(10)에 의하여 유지된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뒤쪽끝을 밀친다. 자기테이프카세트(c)는 VTR데크유닛(5)을 향해 미끄러지고, 핑거(도시되지 않음)는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리드의 반대끝에서 리세스를 통해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케이스에 대하여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자기테이프카세트(c)는 이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VTR데크유닛(5)에 적재되는 동안 카세트압축기(10b)에 의하여 가로방향으로 정확히 위치하게 된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배출트레이를 도시하였다. 배출트레이(230)는 카세트 회전기구(231)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 카세트 회전기구는 위치(A)에서 위치(B)로 배출된 자기테이프카세트(c)를 수평으로 회전시킨다. 카세트 회전기구(231)는 배출트레이(230)의 위쪽면에 위치한 할모양의 가이드리지드(232)식이 바람직하고, VTR데크유닛(5)에서 자동카세트적재기/비적재기(100)에서 멀리 떨어진 끝쪽으로 할모양으로 위치하고 있다.
자기테이프카세트(c)는 배출트레이(230)에서 배출될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후셔(120)에 의하여 그것의 한 모퉁이에 밀린다.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마찰로 인해 시계반대방향의 힘을 받아 회전하여 할모양의 가이드 리지드(232)로 미끄러지는 동안 제20도에 도시된것처럼 시계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카세트홀더(10)에 의해 유지된 시계반대방향의 운동과 마찰력의 결함으로 인해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이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유도측(C1)이 VTR시스템의 사용자와 마주하는 위치(B)에 놓이게 된다. 즉, 제20도의 아래쪽에 놓이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측(C1)을 쉽게 잡아 빼낼 수 있다.
제21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따르는 배출트레이를 예시하였다. 배출트레이(330)는 수평면에 대하여 각범위가 30˚~60˚로 기울어진 그것의 왼쪽부분 위에 있는 슈트(shut)(331)와 이 슈트(331)의 왼쪽에 올라간 스톱(332)를 포함한다.
슈트(331)은 자기테이프카세트(c)보다 세로길이가 작고, 세로길이의 반보다도 긴 길이를 갖는다.
자기테이프카세트(c)가 배출트레이(330)에서 배출될때 트레일링측(c2)이 배출트레이(330)에 얹인채로 있고,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유도측(c1)은 슈트(331)밑으로 미끄러진 다음 스톱(332)에 의해 정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기테이프카세트(c)의 올려진 트레일러측(c2)을 쉽게 잡아 자기테이프카세트(c)를 빼낼 수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한 청구범위에 위배됨이 없다면 여러 수정과 변경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Claims (15)

  1. 전면패널을 통하여 자기기록기/재생기로 부터 테이프카세트를 공급, 배출하는 카세트적재기/비적재기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기/재생기는 트레이와, 그안에 테이프카세트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트레이 위에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 카세트홀더와, 이 카세트홀더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를 지니며, 전면패널을 통하여 카세트홀더를 지지한 채로 자기기록기/재생기의 안으로 또는 밖으로 트레이를 이동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카세트적재기/비적재기는 전면패널을 통하여 자기기록기/재생기에서 이동된 카세트홀더로 부터 테이프카세트를 이용하기 위한 전면패널 위에 설치하는데 적합한 카세트 배출기구와, 전면패널을 통하여 자기기록기/재생기의 이동된 상기 카세트홀더내에 테이프카세트를 배치하는 전면패널 위에 설치하는데 적합한 카세트 공급기구와, 테이프카세트의 일측이 이것과 접촉하고 있는 카세트홀더의 가이드에 따라 안내되는 동안 카세트홀더내에 떨어지고, 그 직후에 이 카세트홀더내에 떨어진 카세트테이프의 반대측이 상기 카셋트홀더내에 떨어지도록 하는 상기 카세트 공급기구를 가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적재기/비적재기.
  2. 제1항에 있어서, 카세트 공급기구는 한쌍의 공간을 두고서 테이프 카세트의 각각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각을 이루면서 이동하는 플랩 및 테이프카세트의 측면을 해제시켜서 시간지연을 두고 계속하여 각을 이루면서 플랩을 이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적재기/비적재기.
  3. 제2항에 있어서, 각을 이루면서 플랩을 이동시키는 수단은 한쌍의 축과, 이축에 지지되어 각을 이루면서 이동하는 상기 플랩과, 시간지연을 두고서 계속해서 각을 이루면서 상기 플랩을 이동시키는 크랭크기구 및 이 크랭크 기구를 작동시키는 모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적재기/비적재기.
  4. 제1항에 있어서, 카세트배출기구는 카세트홀더에서 떨어진 테이프카세트의 하나의 반대측을 들어올리는 리프터수단과, 상기 테이프카셋의 올려진 측이 안내측에 따라 앞에 위치한채로 카세트홀더로 부터 자기기록기/재생기에 평행하게 테이프카세트를 양쪽으로 미는 푸셔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적재기/비적재기.
  5. 제3항에 있어서, 카세트배출기구는 테이프카세트의 일측이 리프터 수단에 의해 올려질 때 테이프카세트를 자기기록기/재생기로부터 멀리 밀어버리는 기울어진 레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적재기/비적재기.
  6. 제1항에 있어서, 카세트홀더가 자기기록기/재생기에서 이동할때 카세트홀더의 위치에서 서로 맞물리는 제1, 제2맞물림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맞물림 수단은 카세트홀더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2맞물림 수단은 카세트적재기/비적재기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
  7. 제6항에 있어서, 제1맞물림 수단은 카세트 홀더에 형성된 구멍을, 제2맞물림수단은 상기 구멍에 끼울 수 있는 카세트적재기/비적재기에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적재기/비적재기.
  8. 제1항에 있어서, 테이프카세트가 카세트적재기/비적재기에 끼워질때 카세트테이프를 안내하는 모서리에 형성된 리세스가 있는 앞면을 갖는 한쌍이 공간은 둔 아암과, 테이프카세트가 리세스를 통해 끼워질때 테이프카세트를 안내하는 안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적재기/비적재기.
  9. 제1항에 있어서, 카세트배출기구는 테이프카세트를 카세트테이프 홀더로 부터 자기기록기/재생기에 평행하게 양쪽으로 양쪽으로 배출하는 수단과, 카세트홀더로 부터 배출된 테이프카세트를 수평으로 회전하는 카세트회전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적재기/비적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카세트배출기구는 카세트홀더로 부터 배출된 테이프 카세트를 받아들이는 양쪽으로 신장된 배출트레이와, 마찰력하에서 테이프 카세트를 회전시키는 배출트레이에 위치한 할모양 리지드로 이루어지는 카세트 회전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적재기/비적재기.
  11. 제1항에 있어서, 카세트배출기구는 테이프카세트를 카세트홀더로 부터 자기기록기/재생기로 평행하게 양쪽으로 배출하는 수단과, 카세트홀더로 부터 배출한 테이프카세트를 받아들이는 슈트를 포함하되, 이 슈트는 수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지고, 테이프카세트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적재기/비적재기.
  12. 제1항에 있어서, 카세트공급기구는 한쌍이 공간을 두고, 한쌍의 공간아암을 포함하는 테이프카세트의 각각의 측을 지지하는 각을 이루면서 이동하는 플랩과, 이 플랩에 지지된 테이프카세트의 모퉁이를 검색하는 상기 아암이 위치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적재기/비적재기.
  13. 제1항에 있어서, 카세트배출기구는 테이프카세트가 카세트홀더에 리턴하지 못하게 하는 뱅크를 가지며, 카세트홀더로 부터 제거된 테이프카세트를 받아들이는 양쪽으로 신장된 배출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적재기/비적재기.
  14. 테이프카세트를 유지하는 카세트홀더와, 테이프카세트홀더를 유지하는 카세트홀더를 자기기록기/재생기의 안으로 및 밖으로 이동하는 수단과, 자기기록기/재생기에서 이동된 카세트홀더로 부터 테이프카세트를 제거하는 카세트배출기구와, 자기기록기/재생기에서 이동되어, 비어있는 카세트홀더내에 테이프카세트를 배치하는 카세트공급기구를 포함하는 자기기록기/재생기로 부터 테이프 카세트를 공급, 배출하는 카세트적재기/비적재기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배출기구는 상기 카세트홀더에서 떨어진 테이프 카세트의 하나의 반대측을 들어올리는 리프터 수단과, 테이프카세트의 올려진 측이 안내측에 따라 앞에 위치한 채로 카세트홀더로 부터 자기기록기/재생기에 평행하게 양쪽에서 테이프카세트를 미는 푸셔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 수단은 테이프카세트와 맞물려서 통상 올려지는 각을 이루면서 이동할 수 있는 리프터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푸셔수단은 테이프카세트를 맞물림 다음 밀어서 이동할 수 있는 푸셔를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 배출기구는 푸셔가 테이프 카세트를 맞물고 밀어서 이동시킬때 리프터아암이 테이프카세트와 맞물리어서 각을 이루면서 들어올려서 이동하는 푸셔와 리턴아암을 서로 연결하는 조인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적재기/비적재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카세트 배출기구는 레일과 이 레일 위에 지지되어 이동하는 푸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적재기/비적재기.
KR1019910005006A 1990-03-29 1991-03-29 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 KR940011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2101 1990-03-29
JP02-82101 1990-03-29
JP2082101A JPH03283044A (ja) 1990-03-29 1990-03-29 カセットロー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389A KR910017389A (ko) 1991-11-05
KR940011547B1 true KR940011547B1 (ko) 1994-12-20

Family

ID=1376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006A KR940011547B1 (ko) 1990-03-29 1991-03-29 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25948A (ko)
JP (1) JPH03283044A (ko)
KR (1) KR9400115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4832A (en) * 1992-11-25 1995-07-18 Gte Vantage Incorporated Automated cassette library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cassette along three perpendicular axes
US5427489A (en) * 1992-11-25 1995-06-27 Gte Vantage Incorporate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utomated cassette library
US5341258A (en) * 1992-11-25 1994-08-23 Gte Vantage Incorporated Automated cassette library system
US6215611B1 (en) * 1998-09-25 2001-04-10 Brian L. Gibbons Loader for video playback mechanism
US6129427A (en) * 1998-09-29 2000-10-10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Retention array feature for a magazine of a storage librar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99960A (ko) * 1967-06-15 1967-11-16
US3758122A (en) * 1969-11-05 1973-09-11 Victor Company Of Japan Automatic cassette changing and playing apparatus
JPS5327006A (en) * 1976-08-25 1978-03-13 Sony Corp Casset te changer of recorder/reproducer
US4233638A (en) * 1979-01-22 1980-11-11 Lanier Business Products, Inc. Cassette substitution apparatus
US4381527A (en) * 1979-09-24 1983-04-26 Lanier Business Products, Inc. Cassette changing method and apparatus
JPS5715256A (en) * 1980-07-02 1982-01-26 Sony Corp Auto cassette changer
JPS58153264A (ja) * 1982-03-09 1983-09-12 Sony Corp カセツトオ−トチエンジヤ−
JPS6214903A (ja) * 1985-07-11 1987-01-23 Fuji Photo Film Co Ltd 疎水性の微孔性濾過膜を親水化する方法
JP2535169B2 (ja) * 1987-05-07 1996-09-18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カセットオ−トチェンジャ−の防振機構
AU625987B2 (en) * 1987-08-18 1992-07-23 Sony Corporation Automatic cassette changer
US5089920A (en) * 1989-11-13 1992-02-18 Wangdat, Inc. Loader mechanism for tape cartridge systems
US5144506A (en) * 1990-02-07 1992-09-01 Strongfield International Plc Cassette loader having simultaneous pusher and gripper mov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25948A (en) 1993-07-06
KR910017389A (ko) 1991-11-05
JPH03283044A (ja) 199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6127A (en) Mechanism for transporting and receiving large and small tape cassettes
KR0176699B1 (ko) 대용량 로더 장치
US4918548A (en) Cartridge loader
US4910619A (en) Automatic changing system for cassette-type mediums
US7777985B2 (en) Transport method and apparatus for cartridge library utilizing cam slot and follower for moving a robot carriage
KR940004013B1 (ko) 테이프 카세트 자동 장전 장치
US20080282275A1 (en) Entry/exit port method and apparatus for cartridge library
US4071857A (en) Cassette changer apparatus
KR940011547B1 (ko) 카세트 적재기/비적재기
US6104564A (en) Library apparatus having cartridge direct entry and exit mechanism
US20080282281A1 (en) Cartridge eng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artridge library
US5432656A (en) Library apparatus having recording medium entry and ejection units
US5128816A (en) Automatic cassette changer for front loading type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EP1041552A1 (en)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US6870703B2 (en) Dual feed through cassette transfer apparatus
US200802788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drives in cartridge library
US6480352B1 (en) Drive system equipped with an autoloader mechanism, and autoloading device
JP3522368B2 (ja) 磁気テープ装置
JP3152324B2 (ja) ライブラリ装置
JPH0583980B2 (ko)
JPH0345315Y2 (ko)
JPH0991823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案内装置
KR960002128Y1 (ko) 다중디스크 자동교환장치
JP2001006244A (ja) 磁気テープライブラリ装置
KR950010967B1 (ko) 콤팩트 디스크 오토체인저 플레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