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527B1 - 냉동설비용 축압기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냉동설비용 축압기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527B1
KR940010527B1 KR1019910008930A KR910008930A KR940010527B1 KR 940010527 B1 KR940010527 B1 KR 940010527B1 KR 1019910008930 A KR1019910008930 A KR 1019910008930A KR 910008930 A KR910008930 A KR 910008930A KR 940010527 B1 KR940010527 B1 KR 940010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umulator
processing
tube
throttling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8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955A (ko
Inventor
황광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일
황광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일, 황광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일
Priority to KR1019910008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10527B1/ko
Publication of KR920021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5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18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동설비용 축압기의 제조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축압기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제조장치에 의해 축압기를 제조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 3 도는 교착 가공 진행 싸이클을 표시한 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축압기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장치 2 : 척
3 : 축압기용가공판 4 : 지그
5 : 공구대 6 : 로울
7 : 바이트 8 : 이동장치부
9 : 로울의 축 30 : 축압기(가공이 완료된 완성품)
본 발명은 냉동기, 에어콘, 냉장고 등 냉동설비용 압축기의 냉매가스 흡입구쪽에 부착되어 증발기를 통하여 진입하는 냉매가스중 미처 기화되지 못한 냉매액을 배플막을 통하여 걸러주면서 기체화되도록 하는 냉동 설비용 축압기(냉매액 분리기)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를 간단한 구조로 하여 제작성 및 사용성을 높이고 제품자체에 대해서는 두께의 균일화를 꾀하여 사용에 따른 안전성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종래, 압축기제조장치는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축압기 제조용 관을 고정시키고 이와같이 고정된 관을 회전시키는 회전체가 일측에 설치되고, 이와 대응하여 상기한 회전체에 고정된 관을 교축(좁힘)가공하기 위한 교축기(spinning machine)가 근접설치되는데 이 교축기에는 여러개의 로울이 부착되어 회전하는 가공관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데이터에 의해 관의 축심방향(Y축방향) 혹은 길이방향(X축방향)으로 가압 이동하면서 관의 끝부분을 소정의 형상으로 교축(좁힘)시킬 수 있도록한 장치가 있었으며, 또 다른 장치로서는 프레스 가공장치로서 프레스에 의해 양측 끝부분의 교축 되어야 할 부분을 교축시킨것과 같은 형태로 성형하여 이와같이 성형된 끝부분의 가공된부를 일정 크기로 절단된 원통형의 관체 양측끝부에 용접하므로서 전체로서 소정형상(""형상)의 축압기를 얻도록된 것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장치에 의하여 축압기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대두되었던 것이다.
상기한 회전체와 교축기가 구비된 축압기 제조장치는 첫째 : 교축용로울이 여러개(예로서 3개)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가공물에 가해지는 각 로울들의 압력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 소망하는 크기의 관체를 얻기가 어렵고 가공부의 두께가 고르지 못했으며, 둘째 : 이와같이 로울을 여러개 사용할 경우 각각의 로울의 설치위치가 정확하여야 하므로 가공장치의 제작성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가공장치를 정밀하게 하여야 하므로 장치설비비가 고가로 되어 경제성에 문제가 있게 되며, 셋째 : 로울에 의해 가공이 완료되면 가공물을 가공장치로부터 빼내어 별도의 공작기계에 물려 가공물의 불필요한 끝부분을 절단하여 완성된 축압기를 얻었던 것으로 시간손실은 물론 별도의 절단을 위한 공작기계가 필요하므로 경제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후술한 프레스에 의해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는, 첫째 : 프레스에서 성형된 교축부분을 관의 양단부에 용접접합하여야 함에 따라 시간손실이 따랐으며, 또한 용접시 용접결함의 발생빈도가 크며 향후 제품 사용중 용접부분의 균열발생우려가 있어 제품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요인이 있었고, 둘째 : 소정의 형상으로 좁혀진 축관이 용접에 의해 원통형 관의 양단부에 일체화로 접합되게 되므로 외관 및 작업성이 좋지 않을뿐만 아니라 용접열에 의한 변형의 우려가 커서 비경제적이었으며, 셋째 : 교축부분의 양단부가 두꺼워짐으로 배관시 내경가공을 해야 하며 내경가공시 가공칩이 관체내부로 들어가 불량품 발생률이 많았고, 넷째 : 끝단부가 두꺼워서 용접접합시(브레징 용접시) 필요이상의 열에너지 손실이 발생했으며, 다섯째 : 완성품 도장시 도장피막이 양호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결합을 감안하여 가공시 마찰저항을 최소화시켜 열발생에 의한 변형을 해소시키고, 교축부분의 두께 불균일 발생, 작업중 고열에 의한 파손, 내경가공에 의한 칩의 관체 내부 유입등의 해소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간단한 구조로 하므로서 장치의 설비에 따른 경제성을 부여하고 작업성이 양호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으로 그 구성을 첨부도면을 토대로 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면의 우측으로는 축압기용 가공관(3)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1)가 설치된다.
이 회전장치(1)에는 축압기용가공관(3)을 고정하는 고정용지그(4)를 갖는 척(2)이 설치되며 이 척(2)에 설치되는 지그(4)는 그 길이가 축압기용가공관(3)에 있어서 교축하고자 하는 선단부분(가공부분을 뜻함)을 제외한 나머지 전체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며, 이와같이 지그(4)의 길이를 길게 구성시키므로서 축압기용가공관(3)의 고정이 견실하여 교축가공시 외력에 의한 움직임 혹은 변형등이 최소화된다.
상기한 회전장치(1)와 대응하는 타측(도면의 좌측)에는 축압기용가공관(3)에 연접하여 관(3)의 단부를 교축(좁힘)시키는 1개의 교축용 로울(6)과 교축완료시 축압기용가공관(3)에 있어서 필요없는 끝부를 절단가공하는 바이트(7)가 설치된 공구대(5)가 설치되며, 이 공구대(5)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장치부에 의해 상하 좌우(X, Y축)로 움직이는 통상의 이동장치부(8)의 선단에 고정설치된다.
한편, 상기간 공구대(5)는 일정한 각도(예로서 180°)로 회전되어 축압기용가공관(3)을 교축할 때는 로울(6)이 축압기용가공관(3)과 접하여 교추가공이 이루어지고(제 2 도 참조), 교축가공이 완료되면 공구대(5)가 교축가공시와는 정반대로 180° 회전되어(제어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됨) 반대측에 설치된 바이트(7)가 축압기용가공관(3)과 접하여 가공관(3)의 단부를 절단가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로울(6)은 1개가 설치되고 가공물인 축압기용가공관(3)이 회전함에 따라 같이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이 자유롭게 축(9)에 끼워져 있다.
이하 상기의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축압기(냉매분리기)의 제조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축압기용가공관(3)을 지그(4)에 끼워 고정시킨다. 이때 축압기용가공관(3)의 몸체는 지그(4) 내측에 끼워지며 그 선단의 일부 즉, 교축 가공부만 지그(4)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어서 축압기용가공관(3)이 고정된 척(2)을 회전시킨다. 이때 척(2)은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축압기용가공관(3)이 회전되고 있을때 공구대(5)에 설치된 로울(6)은 축압기용가공관(3)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별도의 도시되지 아니한 제어장치부에 의해 움직이고 있는 이동장치부(8)의 움직임에 의해 함께 움직이면서 축압기용가공관(3)을 교축가공하게 되는데 제 3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일정거리(L)를 지그재그로 이동함과 동시에 가공관(3)에 대하여 축심방향(Y)축으로 압력을 가하여 축압기용가공관(3)의 단부를 소정의 형상(축압기의 형상)이 되도록 서서히 교축시킨다.
이때, 로울(6)은 회전하는 축압기용가공관(3)의 외측 둘레면에 접한 상태에서 축중심방향(Y축 방향)으로 가압됨과 동시에 길이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교축이 이루어지고 축압기용가공관(3)에 대한 마찰저항기 극소화되어 열이 발생하지 않아 고열에 의한 자체변형 및 균열이 발생하지 않으며, 실제 교축가공에 의해 발생되는 열은 손으로 만지더라도 따뜻한 정도의 온도(약 30∼35℃)로서 상온 가공이 이루어진다. 또한, 1개의 로울(6)로 가공되므로 열 발생이 적으며 축압기용가공관(3)의 두께가 편차없이 균일하게 가공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회전하는 축압기용가공관(3)의 외측둘레부를 로울(6)로 가압접촉시켜 교축시킴에 있어서는 제반 가공조건 즉, 교축길이, 교축반경, 판단부의 연결부분의 치수등을 만족시키면서 성형가공될 수 있도록 별도로 설치된 제어장치부에 미리 설정된 데이타가 입력되어 있어 이 데이타가 입력된 제어장치부에 의하여 로울(6)이 "X", "Y"좌표를 따라 이동하므로서 부드러운 곡선형으로 교축 가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 장치에 의한 축압기의 제조과정을 제 4 도에 의해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로울(6)은 "X" "Y"축으로 "L"거리만큼 연속 왕복이동하되 "Y"축방향으로 "T"만큼씩 좁혀지면서 지그재그로 이동하게 되며(제 4 도의 (a)∼(b)→(c)…참조), 이와같이 수회를 연속 반복하므로서 제 4d 도와 같은 교축가공이 완료된 상태의 축압기용가공관(3)이 얻어진다.
이어서 축압기용가공관(3)의 교축가공이 완료되면, 가공관(3) 끝부에 불필요한 여분(S1)이 남게 되는데 이때, 공구대(5)가 제어장치에 의해 180°회전하여 바이트(7)가 가공관(3)측에 접촉됨과 동시에 (제 4d 도 참조) 가공관(3) 끝부의 불필요한 여분(S1)을 바이트(7)가 가압절단하므로서 소망하는 길이(S)의 완성된 축압기(30)를 얻게 되는 것으로 공구대(5)에 로울(6)과 바이트(7)를 함께 설치하므로서 축압기용가공관(3)의 가공과 가공후 불필요한 끝부분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것으로 제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원 발명은 상온에 의해 교축가공을 하게되므로서 제품자체에 열변형이 없어 사용시 안전성이 부여되고, 열에 의해 타거나 찌그러짐이 없으므로 도장피막이 용이하며, 또한 회전하는 가공관(3)의 외측둘레부를 1개의 로울(6)에 의해 가압교축한 구조로된 것으로 구조가 극히 간단함에 따라 제작성이 용이하며 저렴한 가격으로 널리 보급사용될 수 있고 또한 1개의 로울에 의해 축압기가 가공되므로 두께의 균일화를 꾀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간단한 만큼 고장률이 낮아 사용성이 향상된다.

Claims (1)

  1. 척(2)의 선단에 축압기용가공관(3)를 고정하는 지그(2)가 설치된 회전장치(1)에 대응하여 데이타가 입력된 공지의 제어장치부에 의해 X, Y축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상기한 회전장치(1)에 설치된 축압기용가공관(3)을 소정의 형상으로 교축가공하는 이동장치부(8)로 구성된 냉동설비용 축압기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이동장치부(8)의 선단에는 180°로 정·역회전하는 공구대(5)를 설치하되 이 공구대(5)에는 서로 대향하는 부위에 1개의 교축가공용 로울(6)과 교축가공이 완료된 축압기용가공관(3)이 끝부의 불필요한 여분(S1)을 절단하는 바이트(7)를 부착하여 축압기용가공관(3)의 교축가공과 절단을 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설비용 축압기의 제조장치.
KR1019910008930A 1991-05-30 1991-05-30 냉동설비용 축압기의 제조장치 KR940010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8930A KR940010527B1 (ko) 1991-05-30 1991-05-30 냉동설비용 축압기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8930A KR940010527B1 (ko) 1991-05-30 1991-05-30 냉동설비용 축압기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955A KR920021955A (ko) 1992-12-19
KR940010527B1 true KR940010527B1 (ko) 1994-10-24

Family

ID=1931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8930A KR940010527B1 (ko) 1991-05-30 1991-05-30 냉동설비용 축압기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105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955A (ko) 199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0204B1 (ko) 열교환기용 일체형 핀-튜브 제작 장치
WO1992017315A1 (en) Diamond tool machining of materials which react with diamond
CN111822801B (zh) 一种电火花铣削加工涡轮叶片扩张孔的方法
CN109909388A (zh) 一种铜毛细管变径或管件高效高精度加工工装及加工工艺
US20220266388A1 (en) A method for making a ball valve for regulating a fluid, a ball valve and a welding tool for holding and handling valve parts
KR940010527B1 (ko) 냉동설비용 축압기의 제조장치
KR100878506B1 (ko) 관재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관 성형방법
BRPI0621813A2 (pt) laminador de mandril retido para tubos sem costura
WO2005061137A1 (ja) 潤滑剤供給システム、継目無管の製造装置、及び継目無管の製造方法
JPH10314837A (ja) 螺旋状異形管及びそ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装置
CN115179046A (zh) 用于电子刹车系统丝杠螺母加工的机床和复合加工工艺
CN108581376B (zh) 一种曲度可控版辊的制作方法
KR930000436B1 (ko) 냉동설비용 축압기의 제조방법
KR100997053B1 (ko)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
CN220698607U (zh) 一种精密金属件焊接快冷防变形装置
EP4039402B1 (en) A method of bonding a capillary tube and a suction pipe by means of a fiber laser welding head and corresponding apparatus
CN115338598B (zh) 热风炉烟气管道滚动支座的制作方法
CN110293440A (zh) 一种用于五金生产加工的高精度数控机床
Schweibold Titanium tube bending for aerospace
CN217302046U (zh) 一种电机外壳精密钢管
CN211564893U (zh) 一种薄壁零件焊接反变形加工装置
KR100485033B1 (ko) 열교환기용 일체형 핀-튜브 제작 장치
CN219074020U (zh) 一种简易滚圆机
CN220592239U (zh) 一种用于空调消音器的制造装置
KR100997051B1 (ko)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를 이용한 대형 중공체의 내경 가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