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9775B1 - 키폰전화기의 키확인톤 및 링톤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키폰전화기의 키확인톤 및 링톤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775B1
KR940009775B1 KR1019910021138A KR910021138A KR940009775B1 KR 940009775 B1 KR940009775 B1 KR 940009775B1 KR 1019910021138 A KR1019910021138 A KR 1019910021138A KR 910021138 A KR910021138 A KR 910021138A KR 940009775 B1 KR940009775 B1 KR 940009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peaker
tone
speakerphon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521A (ko
Inventor
박성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21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9775B1/ko
Publication of KR930011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키폰전화기의 키확인톤 및 링톤 발생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블럭 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키확인톤 및 링톤 발생회로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키확인톤 및 링톤 발생의 제어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스캐닝부 20 : 중앙처리장치
30 : 데이타 송수신회로 40 : 스피커폰회로
50 : 스피커 음량제어부 60 : 스피커구동부
70 : 인버터 80 : 핸드셋 수신 음량 제어부
90 : 핸드셋 수신 증폭기
본 발명은 키폰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이얼링시에만 키확인톤(key confirm tone)을 발생하여 통화모드(mode)에 따라 핸드셋 또는 스피커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며 키확인톤과 링톤(ring tone)의 발생원을 상호 독립적으로 분리한 키확인톤 및 링톤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폰전화기는 사용자가 다이얼키 및 기능키를 누를 때마다 키확인톤을 발생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며, 외부로부터의 호출에 따라 주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링톤 발생데이타에 의해 링톤을 발생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다이얼키라 함은 다이얼링에 사용되는 "0"∼"9"의 숫자키와 "*","#"등의 키들을 말하고, 기능키라 함은 키폰전화기에서 각종 기능을 서비스하기 위한 키들을 말한다.
키확인톤 및 링톤을 발생하기 위한 종래의 키확인톤 및 링톤 발생회로는 제 1 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 1 도에서 중앙처리장치(1)는 키스캐닝부(2)를 통하여 키의 입력을 스캐닝하여 어느 키든지 눌려질 경우 키확인톤을 발생하며, 데이타 송수신회로(3)를 통하여 주장치로부터 링톤 발생데이타를 수신할 경우 링톤발생 데이타에 해당하는 링톤을 발생한다. 이때 키확인톤 및 링톤은 중앙처리장치(1)의 동일한 하나의 단자(port)에서 일정 주파수의 구형파신호로 일정 기간동안 발생되어 스피커 음량제어부(4)와 스피커 구동부(5)를 거쳐 스피커(SPK)로 출력된다. 키확인톤은 예를 들어 1㎑의 주파수를 가지며 100㎳동안 발생된다.
여기서 스피커 음량제어부(4)는 중앙처리장치(1)의 제어에 의해 키확인톤일 경우에는 일정한 하위레벨로 제어 출력하며 링톤일 경우에는 설정된 레벨로 제어 출력한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1)는 수신되는 링톤 발생데이타에 따라 여러가지 음색의 링톤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키확인톤 및 링톤 발생회로는 첫번째로 기능키가 눌려질 경우에는 해당 기능이 수행됨에 따라 사용자가 바로 알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어느 키가 눌려지든지 항상 키확인톤을 발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소음으로 들리게 되는 단점이 있었고, 두번째로 핸드셋 통화모드와 스피커폰 통화 모드의 구별없이 키확인톤이 스피커로 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세번째로 키확인톤 발생원과 링톤 발생원이 동일함으로써 키확인톤 발생시마다 그에 대응하여 스피커 음량을 제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얼링시에만 키확인톤을 발생하여 불필요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키확인톤 발생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이얼링시 통화모드에 따라 키확인톤을 핸드셋 수화기와 스피커에 선택적으로 인가할 수 있는 키확인톤 발생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링톤 발생원과 키확인톤 발생원을 분리하여 키확인톤 발생시에 스피커 음량을 제어할 필요가 없는 키확인톤 및 링톤 발생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키확인톤 및 링톤 발생회로도로서, 키스캐닝부(10)는 다이얼키와 기능키의 입력을 스캐닝하여 입력되는 키에 해당하는 키데이타를 제어수단인 중앙처리장치(20)에 입력한다. 핸드셋 수신 음량제어부(80)는 키폰 전화기의 스위칭 회로망(도시하지 않았음)을 통한 수화신호의 음량을 설정된 값으로 제어하여 핸드셋 수신증포기(90)를 통해 핸드셋 수화기에 인가한다.
스피커 음량제어부(50)는 스위칭 회로망과 마이크(MC)에 접속되는 스피커폰회로(40)의 출력신호의 음량을 설정된 값으로 제어하여 스피커구동부(60)를 통해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스피커폰회로(40)는 스피커폰 IC인 미합중국 MOTOROLA사의 MC34018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장치(20)는 데이타 송수신회로(30)를 통하여 키폰시스템의 주장치(도시하지 않았음)와 각종 통화기능 수행을 위한 데이타를 송수신하며 주장치로부터 링톤 발생데이타 수신시 링톤 발생데이타에 해당하는 링톤을 출력단자(PB)를 통해 출력하여 스피커 음량제어부(50)를 통해 스피커구동부(60)에 인가한다. 또한 핸드셋 통화모드일 경우 인에이블(enable)시키기 위한 스피커폰 제어신호를 출력단자(PC)를 통해 출력하여 스피커폰회로(40)에 인가한다. 그리고 키스캐닝부(10)로부터 다이얼키 입력시 출력단자(PA)를 통해 키확인톤을 출력하여 핸드셋 수신중폭기(90)에 인가하며 키스캐닝부(10)로부터 기능키 입력시 키확인톤을 뮤트(mute)시킨다.
또한 중앙처리장치(20)의 출력단자(PA)와 스피커구동부(60)의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스위치(SW1)는 스피커폰 통화모드시에 키확인톤을 스피커구동부(60)에 인가하기 위한 아날로그 스위치로서 저항(R5-R6)과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 인버터(70)에 의해 반전된 중앙처리장치(20)의 스피커폰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된다. 스위치(SW1)는 범용 아나로그 스위치 IC인 4066을 사용할 수 있다.
캐패시터(C1-C3)는 DC커플링(Direct Current coupling)용이고 저항(R1-R4.R7-R10)은 신호의 레벨감쇄용 저항이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키확인톤 및 링톤 발생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도의 중앙처리장치(20)의 제어 흐름도로서, 중앙처리장치(20)에 프로그램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의 동작예를 제 3 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은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20)의 키확인톤 발생단자와 링톤 발생단자를 분리하였다. 즉, 키확인톤은 중앙처리장치(20)의 출력단자(PA)를 통해 출력되며, 링톤은 중앙처리장치(20)의 출력단자(PB)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키폰전화기의 소정의 키가 눌러져 입력되면, 중앙처리(20)는 (300)단계에서 키스캐닝부(10)를 통해 키의 입력을 감지한 후(302)단계에서 입력된 키가 다이얼 키인가를 검사한다. 이때 입력된 키가 다이얼키일 경우에는 (304)단계를 수행하고 기능키일 경우에는 (312)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04)단계에서는 현재의 통화모드를 확인하여 핸드셋 통화모드일 경우에는 (306)단계에서 출력단자(PC)를 통해 스피커폰 제어신호를 "하이"로 출력하고 스피커폰 통화모드일 경우에는 출력단자(PC)를 통해 스피커폰 제어신호를 "로우"로 출력한후 (310)단계에서 출력단자(PA)를 통해 키확인톤을 출력한다. 스피커폰 제어신호는 스피커톤회로(40)의 인에이블단자 EN에 인가되는 동시에 인버터(70)에 의해 반전되어 아나로그 스위치(SW1)에 인가된다. 그리고 키확인톤은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1㎑의 주파수를 가지며 100㎳동안 발생한다.
여기서 인버터(70) 및 아날로그 스위치(SW1)로 이루어진 스위칭 수단과 스피커폰회로(40)에 대한 스피커폰 제어신호의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피커폰회로(40)는 스피커폰 제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또는 디제이블시킨다. 이때 사용되는 스피커폰 IC의 특성에 따라 다르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스피커폰 제어신호가 "로우"이면 스피커폰회로(40)가 인에이블되고, "하이"이면 디제이블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아날로그 스위치(SW1)는 제어단자에 입력되는 신호가 "하이"이면 "온"됨으로써 인에이블되고, "로우"이면 "오프"됨으로써 디제이블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아날로그 스위치(SW1)는 키확인톤 대한 스피커(SPK)로의 경로를 제어하므로 스피커폰회로(40)가 인에이블되면 아날로그 스위치(SW1)도 인에이블되어야 하고, 스피커폰회로(40)가 디제이블되면 아날로그 스위치(SW1)도 디제이블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저항(R5-R6)과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 인버터(70)를 사용한다. 스피커폰 제어회로가 "하이"이면 트랜지스터(Q1)는 "온"됨으로써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는 "로우"가 되어 아날로그 스위치(SW1)의 제어단자가 인가되고, 스피커폰 제어신호가 "로우"이면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됨으로써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자는 "하이"가 되어 아날로그 스위치(SW1)의 제어단자에 인가된다. 만일 키폰전화기의 다른 회로에서 인버터 IC를 사용하고 있다면 트랜지스터(Q1)와 저항(R5-R6) 은 그 인버터 IC로 대체하면 된다.
만일 현재의 통화모드가 핸드셋 통화모드일 경우에는 상기한 (306)단계에 의해 중앙처리장치(20)의 출력단자(PC)를 통해 스피커폰 제어신호가 "로우"로 출력되므로 스피커폰회로(40)와 아날로그 스위치(SW1)는 모두 디제이블된다. 이에 따라 중앙처리장치(20)의 출력단자(PA)에서 출력되는 키확인톤은 저항(R7,R8)에 의해 적절하게 감쇄되고 캐패시터(C3)에 의해 DC커플링된후, 저항(R3)을 통해 수신증폭기(90)를 통해 핸드셋 수화기로만 들리게 된다.
상기와 달리 현재의 통화모드가 스피커폰 통화모드 일 경우에는 상기한 (308)단계에 의해 중앙처리장치(20)의 출력단자(PC)를 통해 스피커폰 제어신호가 "로우"로 출력되므로 아날로그 스위치(SW1)가 인에이블된다. 이에 따라 중앙처리장치(20)의 출력단자(PA)에서 출력되는 키확인톤은 저항 (R7,R8)에 의해 적절하게 감쇄되고 캐패시터(C3)에 의해 DC커플링된후, 저항(R4)을 통해 스피커구동부(60)에 입력되어 스피커(SPK)로 제공된다. 이때 키확인톤은 핸드셋 수화기에도 제공되나 스피커폰 통화모드에서는 핸드셋은 사용되지 않고 키폰전화기에 놓여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귀에 대지 않는 한 미약하므로 문제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행-온(hang-on)상태에서 다이얼키를 누르면 핸드셋 수화기로도 들리게 되나 미약하여 거의 들리지 않는다. 이를 원천적으로 막아주기 위해 중앙처리장치(20)의 프로그램에서 행-온 상태일때 키확인톤을 발생시키기 않고 뮤트(mute)시키면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프로그램 제어상 복잡하게 되어 에러 발생 소지가 있으면, 핸드셋이 놓여 있는 상태에서 키확인톤은 사용자에게 거의 들리지 않으므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후 중앙처리장치(20)는 상기 (310)단계 수행후 또는 상기 (302)단계에서 입력된 키를 검사한 결과 기능키일 경우 (312)단계에서 입력 키에 해당하는 데이타 즉, 주장치와 약속된 키데이타를 데이타 송수신회로(30)를 통하여 주장치로 송신한후 종료하고 통상적인 서비스를 수행한다.
따라서 키입력시 다이얼키 입력여부를 확인하여 다이얼링시에만 키확인톤을 발생하여 핸드셋 통화모드시에는 핸드셋으로 제공하고 스피커폰 통화시에는 스피커로 선택적으로 제공하게 되며, 기능키 입력시에는 키확인톤을 뮤트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키입력시 다이얼키 여부를 확인하여 키확인톤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보다 친숙함을 주기 위한 것이다. 즉, 다이얼키는 대부분 다이얼링시 사용되며 제대로 눌려졌는지 여부를 알기가 어려우므로 키확인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반하여, 지능키는 눌려지면 해당 기능이 수행됨으로써 사용자가 바로 알 수 있으므로 키확인톤을 뮤트시키는 것이다.
한편 데이타 송수신회로(30)를 통해 주장치로부터 데이타가 수신되며 중앙처리장치(20)는 (316)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타가 링톤 발생데이타인가를 확인한다. 이때 수신된 데이타가 링톤 발생데이타일 경우에는 (318)단계에서 출력단자(PB)를 통해 링톤을 출력한 후 종료하고 통상적인 서비스를 수행한다. 중앙처리장치(20)의 출력단자(PB)를 통해 링톤은 스피커 음량제어부(50)에 의해 설정된 레벨로 음량이 제어된 후 스피커구동부(60)를 통해 스피커(SPK)에 인가된다. 이와달리 수신된 데이타가 링톤 발생 데이타가 아닐 경우에는 (320)단계에서 수신데이타를 처리하는 통상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링톤 발생단자와 키확인톤 발생단자를 분리함으로써 링톤 발생시에만 스피커 음량을 제어하고 키확인톤 발생시에는 스피커 음량을 제어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이얼링시 다이얼 키가 눌려졌을 때에만 키확인톤을 발생하여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화모드에 따라 핸드셋 통화모드시에는 핸드셋으로 스피커폰 통화시에는 스피커로 키확인톤을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링톤 발생원과 키확인톤 발생원을 분리함으로써 키확인톤 발생시 스피커 음량을 제어할 필요가 없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키폰전화기에 있어서, 다이얼키 및 기능키의 입력을 스캐닝하기 위한 키스캐닝부(10)와, 상기 키스캐닝부(10)에 접속되어 상기 키스캐닝부(10)로부터 상기 다이얼키 입력시 키확인톤을 발생하여 핸드셋 수화기에 제공하며 상기 키스캐닝부(10)로부터 상기 기능키 입력시 상기 키확인톤을 뮤트시키는 제어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확인톤 발생회로.
  2. 키폰전화기에 있어서, 다이얼키 및 기능키의 입력을 스캐닝하기 위한 키스캐닝(10)와, 스위칭 회로망과 마이크(MC)에 접속되어 스피커폰 통화를 제공하는 스피커폰회로(40)와, 상기 키스캐닝부(10)에 접속되어 상기 키스캐닝부(10)로부터 다이얼키 입력시 키확인톤을 발생하여 핸드셋 수화기에 출력하며 통화모드에 따라 상기스피커폰회로(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피커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스피커폰(40)의 출력단자에 접속되며 스피커(SPK)를 구동하기 위한 스피커구동부(60)와,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단자와 상기 스피커구동부(60)의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스피커폰회로(40)가 인에이블될시 상기 스피커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수단의 키확인톤을 상기 스피커구동부(60)에 인가하는 스위칭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확인톤 발생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이 상기 제어수단의 스피커폰 제어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70)와,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단자와 상기 스피커구동부(60)의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반전된 스피커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스피커구동부(60)에 상기 제어수단의 키확인톤이 인가되는 것을 스위칭하는 스위칭(SW1)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확인톤 발생회로.
  4. 키폰전화기에 있어서, 다이얼키 및 기능키의 입력을 스캐닝하기 위한 키스캐닝부(10)와, 키폰시스템의 주장치와의 데이타 송수신을 위한 데이타 송수신회로(30)와, 스위칭 회로망과 마이크(MC)에 접속되어 스피커폰 통화를 제공하는 스피커폰회로(40)와, 상기 키스캐닝부(10)와 상기 데이타 송수신회로(30)에 접속되며 상기 키스캐닝부(10)로부터의 다이얼키 입력시 키확인톤을 발생하여 출력단자(PA)를 통해 핸드셋 수화기에 출력하며, 통화모드에 따라 상기 스피커폰회로(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피커폰 제어신호를 출력단자(PC)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데이타 송수신회로(30)를 통해 링톤 발생데이타 수신시 링톤을 출력단자(PB)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스피커(SPK)를 구동하기 위한 스피커구동부(60)와,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 링톤과 상기 스피커구동부(60)에 스피커 음량제어부(5)와, 상기 스피커폰회로(40)가 인에이블될시 상기 스피커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키확인톤을 상기 스피커구동부(60)에 인가하는 스위칭수단으로 구성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확인톤 및 링톤 발생회로.
KR1019910021138A 1991-11-25 1991-11-25 키폰전화기의 키확인톤 및 링톤 발생회로 KR940009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1138A KR940009775B1 (ko) 1991-11-25 1991-11-25 키폰전화기의 키확인톤 및 링톤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1138A KR940009775B1 (ko) 1991-11-25 1991-11-25 키폰전화기의 키확인톤 및 링톤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521A KR930011521A (ko) 1993-06-24
KR940009775B1 true KR940009775B1 (ko) 1994-10-17

Family

ID=19323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138A KR940009775B1 (ko) 1991-11-25 1991-11-25 키폰전화기의 키확인톤 및 링톤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97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521A (ko) 199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6467B1 (ko) 통화처리장치 및 그 방법
US5216705A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n abbreviated dial key having a plurality of dial data and capable of selecting one of two communication functions
US4907258A (en) Key telephone apparatus
US5220601A (en) Keypad status reporting system
KR940009775B1 (ko) 키폰전화기의 키확인톤 및 링톤 발생회로
EP0478140B1 (en) Keypad monitor
KR930001158B1 (ko) 다이얼링 확인음 출력장치 및 다이얼링 확인음의 음량 제어방법
JPH07111680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840002494B1 (ko) 무선전화기의 녹음기 원격제어장치
KR0120014B1 (ko) 무선 전화기의 프리다이얼 장치 및 방법
KR960014221B1 (ko) 키폰전화기의 키톤 발생제어방법
JPH10173763A (ja) 携帯電話用ハンドフリー装置
KR940001695B1 (ko) 다기능 전화기의 통화로 제어장치
JP3425970B2 (ja) 小型無線機
KR100255615B1 (ko) 유,무선전화기의착신음조절및자동응답기능수행방법
JP2979056B2 (ja) インターホーン付コードレス電話機
JP3088379B2 (ja) スピーカホン通話機能を備えた通信端末装置
KR920004373B1 (ko) 자동차용 전화기
KR960010574Y1 (ko) 음소거 기능을 가진 전화기회로
KR950004952B1 (ko) 페이징 시스템의 터미널과 송신기간의 인터페이스회로
KR980013188A (ko) 전화기에 있어 시간 대역별 벨소리 변환장치 및 방법
JPH0338953A (ja) 電話機のダイアル送出用集積回路
JP3306080B2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63951B2 (ja) 拡声電話機
JPH06119095A (ja) キー走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