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9520B1 - 유도등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유도등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520B1
KR940009520B1 KR1019920010743A KR920010743A KR940009520B1 KR 940009520 B1 KR940009520 B1 KR 940009520B1 KR 1019920010743 A KR1019920010743 A KR 1019920010743A KR 920010743 A KR920010743 A KR 920010743A KR 940009520 B1 KR940009520 B1 KR 940009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input
switching
fluorescen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0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1768A (ko
Inventor
이창희
Original Assignee
엘리트전자주식회사
육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리트전자주식회사, 육길수 filed Critical 엘리트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0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9520B1/ko
Publication of KR940001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도등 구동회로
제 1 도는 종래 유도등 구동회로의 회로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축전지의 상태에 따른 동작 파형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축전지의 단선시의 동작 파형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 구동회로의 회로도.
제 5 도는 제 4 도에 도시된 축전지의 상태에 따른 동작 파형도.
제 6 도는 제 4 도에 도시된 축전지의 단선시의 동작 파형도.
본 발명은 형광등의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방 설비용 유도등의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 설비용 유도등 회로라 함은 일반 조명용 형광등회로에 축전지(예비전원)에 의한 점등회로를 부가하고, 상기 축전지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유도등 회로는 상시 전원(상용 교류전원)이 입력시에는 일반 형광등 구동회로와 같이 점등 및 소등되며, 정전시에는 축전지에 충전된 예비전원에 의해 미리 예정된 소정시간 동안 형광등이 점등되도록 한 회로를 말한다. 이때 미리 예정된 소정의 시간이라 함은 법정시간을 말하는 것으로서 약 20분 이상의 시간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유도등 회로는 상전시와 정전시 점등회로의 동작 모드를 절환하는 스위칭 회로가 필요로 하며, 이러한 절환에 유용한 형태는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전원을 절환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제 1 도는 종래의 유도등 구동 회로도로서, 이는 교류 릴레이(Relay)를 사용하여 상전시와 정전시에 따른 전원의 절환을 수행도록 구성된 회로의 일예이다.
이와 같은 회로의 구성은 제 1, 제 2 의 필라멘트(F1, F2)를 가지는 통상의 형광등(14)과,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압을 소정레벨의 전압으로 강하시키어 정류출력하는 정류회로와,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양단에 접속되어 소정 전압을 충전하고 방전하는 충방전회로와,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 양단자에 접속된 상기 충방전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충방전회로의 충전전압 상태를 표시하는 예비전원 감시회로(10)와, 상기 충방전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변환회로(12)와, 상기 상용 교류전압의 일측에 접속되어 상기 형광등(14)의 제 1 필라멘트(F1)의 일측에 교류전압을 공급하는 안정기(CH2)와, 상기 형광등(14)의 제 2 필라멘트의 일측에 일측이 접속되어진 점등관(ST1)과,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단자와 상기 전압 변환회로(12)의 사이에 제 1 스위치(r1)이 접속되며, 상기 전압변환회로(12)의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과 상기 점등관(ST1)의 타측와 상기 형광등(14)의 제 1 필라멘트의 타측 사이에 제 2 스위치(r2)가 접속되고, 상기 상용 교류전압의 타측과 상기 형광등(14)의 제 2 필라멘트의 타측 사이에 제 3 스위치(r3)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교류전압의 입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제 1, 제 2, 제 3 스위치(r1, r2, r3)를 스위칭하는 릴레이(RY)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도의 구성중 정류회로는 전원 변압기(T1)과, 정류용 다이오드(D1, D2)와, 전류 제한저항(R1)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원 변압기(T1)의 출력을 전파정류 출력한다. 그리고, 충방전회로는 축전지(BA)와 휴우즈(F2)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압변환회로(14)는 쵸우크 코일(CH1)과 저항(R5)과 두개의 트랜지스터(Q1, Q2)와 펄스 변압기(T2)와 두개의 캐패시터(C1, C2)로 구성되어 입력 직류전압을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소정레벨의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 2 도의 제 1 도에 도시된 축전지의 상태에 따른 동작 파형도로서, 이는 제 1 도에 도시된 축전지(BA)의 정상 유무의 상태에 따른 동작 파형도이다.
제 2 도중 실선으로 도시된 파형은 축전지(BA)의 충전전압이 정상일때의 파형이며, 점선은 상기 축전시(BA)의 충전전압이 비정상적인 상태의 동작 파형도이다.
제 3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축전지의 단선시의 동작 파형도로서, 이는 제 1 도에 도시된 축전지(BA)의 단선 혹은 휴우즈(F2)의 단선 상태에 따른 동작 파형도이다.
상기 한 제 2 도 및 제 3 도의 도면중, (a)는 전파정류된 전압의 파형도이며, (b)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압 파형도, (c)는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의 전압 파형도이다.
지금 제 1 도와 같이 구성된 회로의 단자(B)(W)에 상응 교류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교류전압은 상기 입력단자(B)(W) 사이에 접속된 교류 릴레이(RY)로 입력됨과 동시에 전원 변압기(T1)의 일차측으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교류 릴레이(RY)의 양단자로 전류가 흐르므로써 상기 릴레이(RY)가 구동되어지며, 상기 변압기(T1)의 이차권선에는 일차측 권선에 흐르는 교류전압에 대응전압이 유도된다. 즉, 일차권선과 이차측권선의 권선비에 따른 전압이 유기되어 다이오드(D1, D2)의 에노드로 각각 입력된다.
상기와 같이 교류 릴레이(RY)가 구동되며, 릴레이 접점들인 스위치들은(r1, r2, r3) 노말 크로스 단자(NC1, NC2)에서 노말 오푼단자(NO1, NO2)로 스위칭 접속된다. 이때 상기 교류전압 입력단자(W, B)로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은 안정기(CH2), 형광등(14)의 제 1 필라멘트(F1) 및 제 3 스위치(r3), 형광등(14)의 제 2 필라멘트(F2)를 통해 점등관(ST1)의 양전극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두 단자(B, W)로 교류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점등관(ST1)의 양전극에는 교류전압이 인가되어짐으로써 점등관(ST1)내에 채워진 가스가 글로우 방전되며, 상기 글로우 방전에 의해 바이메탈로 된 점등관(ST1)의 두전극이 쇼트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점등관(ST1)의 두 전극이 쇼트되어지면, 단자(B)로 입력되는 교류전압의 전류가 안정기(CH2)→형광등(14)의 제 1 필라멘트(F1)→제 2 스위치(r2)→점등관(ST1)→형광등(14)의 제 2 필라멘트(F2)→제 3 스위치(r3)를 통해 단자(W)로 흐르므로써 상기 형광등(14)의 제 1, 제 2 필라멘트(F1, F2)가 예열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형광등(14)의 제 1, 제 2 필라멘트(F1, F2)의 예열은 형광등(14)의 전자 방출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교류전압의 전류 루우프가 형성되면, 상기 안정기(CH2)에서 입력전압을 약 50볼트의 전압으로 전압강하 시킴으로써 점등관(ST1)내의 글로우 방전이 정지되어 상기 점등관(ST1)의 두 전극을 떨어 지게 된다.
이때 상기 안정기(CH2)와 형광등(14)의 제 1, 제 2 필라멘트(F1, F2)를 통하여 흐르던 전류가 급격히 감소되므로 상기 안정기(CH2)에 약 500볼트 내지 600볼트의 높은 역기전압이 순간적으로 발생되어 형광등(14)의 양끝에 공급되므로 전가자 상기 형광등(14)의 관내를 이동하여 점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형광등(14)이 점등되면, 상기 안정기에서 50볼트의 전압으로 강하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전압 강하되어진 50볼트의 전압만이 형광등(14)의 제 1, 제 2 필라멘트(F1, F2)의 일측전극에 공급되므로 형광등(14)은 계속 켜지고 점등관(ST1)의 방전동작은 멈춘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광등(14)이 점등되어진 상태에서 제 1 스위치(r1)는 오프되어진 상태(스위치 접점이 노말 오푼단자 NO1과 NO2에 접속된 상태)로 있음으로 전압변환회로(12)는 동작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압 변압기(T1)의 이차측으로 유도된 전압은 정류 다이오드(D1, D2)에 의해 제 2a 도의 V1과 같이 전파정류된 후 전류제한용 저항(R1)을 통해 일정한 전류로서 축전지(BA)(예비전원)에 충전됨과 동시에 예비전원 감시회로(10)내의 저항(R2)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감시램프인 발광 다이오드(LED)의 에노드로 입력된다.
상기 예비전원 감시회로(10)는 축전지(BA)의 충전전압 상태가 일정전압 이하이거나 휴우즈(F1)의 단선등 정상적인 상태가 아닐때 발광 다이오드(LED)를 점등하여 이의 상태를 모니터링되도록 한 회로로서 이의 상세한 동작은 하기와 같다.
지금 전술한 바와 같이 상용 교류전압이 입력되어 제 2a 도의 V1과 같은 정류전압이 저항(R1)을 통해 출력되면, 이는 휴우즈(F2)를 통하여 축전지(BA)에 공급되어 충전되어 진다. 이때 상기 축전지(BA)의 충전전압이 정상 상태라면 저항(R3, R4)로 구성된 분압회로로는 제 2a 도의 V2와 같이 축전지(BA)의 전압에 전파정류된 전압이 중첩된 전압이 인가된다. 즉, 축전지(BA)의 전압레벨 만큼 상승된 전압이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분압회로(R3, R4)는 상기 제 2a 도의 V2와 같은 전압을 두 저항비에 분압하여 소정레벨의 전압을 제너 다이오드(ZD)의 캐소드로 출력한다. 상기 제너 다이오드(ZD)의 제너 전압은 제 2b 도의 P1과 같이 설정된 트랜지스터(Q1)의 동작전압 이상의 레벨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축전지(BA)의 충전전압을 분압하여 상기 제너 다이오드(LED)의 에노드로 공급하는 상기 분압저항(R3, R4)의 출력전압이 제 2b 도의 30과 같이 트랜지스터(Q1)의 동작전압(P1) 이상일때 상기 트랜지스터(Q1)은 도통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어지면 콜렉터(C점)의 전위가 제 2c 도의 34와 같이 "로우"상태로 됨으로써 감시램프인 발광 다이오드(LED)는 소등된다.
따라서, 축전지(BA)의 충전전압이 정상상태이면, 발광 다이오드(LED)는 소등되어 정상상태임을 모니터링한다.
만약 상기 축전지(BA)의 충전전압이 비정상적인 충전전압, 예를 들어 상기 축전지(BA)의 충전전압이 형광등(14)을 점등할 수 있는 전압레벨 이하로 방전되어 떨어지면 저항(R1)을 통한 전파정류 전압은 휴우즈(F2)를 통해 축전지(BA)로 공급됨으로써 저항(R3, R4)에 의한 분압전압은 상기 제너 다이오드(ZD)의 제너전압 이하로 떨어져 상기 제너 다이오드(ZD)의 에노드의 전위는 제 2b 도의 31과 같이 "0"볼트로 된다. 즉, 상기 제너 다이오드(ZD)의 에노드전압은 제 2b 도의 P1과 같이 설정된 트랜지스터(Q1)의 동작전압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위가 "0"볼트로 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어 짐으로써 콜렉터에는 제 2c 도의 32와 같이 전파정류되어 저항(R2)을 통한 전파정류전압이 나타난다. 따라서 감시램프인 발광 다이오드(LED)는 제 2c 도의 전파정류 전압에 의해 점등되어 축전지(BA)의 이상상태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상태 즉, 교류전압이 입력되어 다이오드(D1, D2)로부터 전파정류된 전압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축전지(BA)에 직렬 접속된 휴우즈(F2)가 단선되거나 축전지(BA) 자체가 단선되어지면, 상기 다이오드(D1, D2)의 출력전압은 제 3a 도의 V1과 같이 된다. 따라서 저항(R3, R4)은 저항(R1)을 통해 입력되는 전파정류 전압만을 분압하여 출력함으로써 트랜지스터(Q1)의 동작전압(P1) 이상으로 설정된 제너 다이오드(ZD)의 제너전압 이상인 전파정류 전압의 피크(Peak) 구간에서만 제 3b 도의 30과 같은 전압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Q1)는 베이스로 입력되는 제 3b 도의 30과 같은 전압이 동작점(P1) 이하인 제 3 도의 t0∼t1의 구간과 t2∼t3의 구간에서 오프되고, 제 3b 도의 30과 같은 전압이 동작점(P1) 이상인 t1∼t2의 구간과 t3∼t4의 구간에서 "온"되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의 전위는 t1∼t2의 구간과 t3∼t4의 구간에서 제 3c 도와 같이 로우 레벨의 전위로 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LED)는 t0∼t1, t1∼t2, t2∼t3, t3∼t4, t4∼t5의 주기로 "온"-"오프"-"온"-"오프"-"온" 점멸되어 축전지(BA) 혹은 휴우즈(F2)의 단선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한편 교류전압이 입력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정상 동작되는 상태에서 정전등으로 인하여 단자(B)와 (W)로 입력되는 교류전원이 차단되면, 교류 릴레이(RY)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됨으로써 상기 교류 릴레이(RY)의 스위칭 접점인 제 1, 제 2, 제 3 스위치(r1, r2, r3)들의 접점은 모두 노말 오푼(Nomal open) 단자(NO1, NO2)에서 노말 크로스 단자(NC1, NC2)로 복구(Release)된다.
이때 제 1 스위치(r1)에 의해 직류전압의 전류 루우프가 형성됨으로써 축전지(BA)의 충전전압이 쵸우크코일(CH1)을 통해 전압 변환회로(12)로 공급된다. 여기서 쵸우크 코일(CH1)은 전압변환회로(12)내의 펄스 변압기(T2)의 일차측 권선(NA, NB)로 공급되는 직류전류는 통과시키는 한편 전압변환회로(12)의 펄스변압기(T2)에서 발진되어 흐르는 교류전류에 대해서는 교류 임피던스의 상승으로 억제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상기 전압변환회로(12)는 트랜지스터(Q2, Q3)의 에미터 단자가 직류전원인 축전지(BA)의 부(-)단자에 공통으로 접속된 푸시-풀 형태이며, 각 트랜지스터(Q2, Q3)의 콜렉터 양단에 결합된 펄스 변압기(T2)의 일차측 권선(NB)은 인버터 회로 구성용 부하를 형성한다. 상기 트랜지스터(Q2, Q3)는 펄스 변압기(T2)의 일차측 권선(NA)의 출력전압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전압변환회로(12)는 제 1 스위치(r1)의 온 스위칭에 의해 동작중이며 트랜지스터(Q2)가 도통상태에 있고, 트랜지스터(Q3)가 비-도통 상태에 있다고 가정할때 바이어스 저항(R5)를 통한 직류전압의 전류가 펄스 변압기(T2)의 일차측 권선(NA)을 통해 흐르면,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압이 상승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압이 동작점에 이르면 상기 트랜지스터(Q2)는 턴온되어 그의 콜렉터 전류는 상승하고, 트랜지스터(Q3)는 턴-오프한다.
반대로 트랜지스터(Q3)가 턴온하면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Q2)와 (Q3)은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 교차 동작하게 되며 펄스 변압기(T2)의 일 1 차권선(NB)의 전류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이차권선(NC)에는 이에 대응하는 높은 전압이 유도된다. 상기와 같이 유도된 이차권선의 출력전압은 형광등(14)를 높은 전압으로 점등시키게 된다.
여기서 콘덴서(C2)는 펄스파형의 과도형상을 제거하여 트랜지스터(Q1, Q2)를 보호하며, 전원입력측의 테스트 스위치(TS)는 교류전원 입력을 차단하여 축전지(예비전원) 사용시의 회로동작이 양호한가를 시험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도등 회로는 상전시와 정전시에 동작회로의 전환을 기구적 동작을 하는 교류 릴레이를 스위치로써 사용함으로 스위칭 열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수명이 한정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트랜지스터(Q1)와 저항(R2, R3, R4) 및 제너 다이오드(ZD)로 구성된 예비전원의 감시회로에 있어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접속된 감시램프(LED)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Q1)이 비-도통시간인 t0∼t1의 구간과 t2∼t3의 구간에서 점등하게 되나 점등구간의 전위가 낮고 점등시간이 짧아 감시램프의 식별이 불명확하게 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스위치를 사용하여 형광등의 전원을 상전시와 정전시의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동 절환하여 공급도록 하는 유도등 구동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축전지를 내장하는 유도등회로에 있어서, 축전지의 상태 및 충전전압의 출력 상태를 검출하여 정확히 모니터링하는 예비전원 감시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 구동 회로도로서, 제 1, 제 2의 필라멘트(F11, F21)를 가지는 통상의 형광등(28)과,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압을 소정레벨의 제 1 전압(VO1)과 제 2 전압(VO2)으로 강하시키고, 상기 제 2 전압(VO2)을 반파정류하여 제 3 전압(VO3)을 충전전압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전압(VO2)을 반파정류 및 평활하여진 제 4 전압(VO4)을 스위칭 전압으로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제 3 전압(VO3)의 출력단자 사이에 휴우즈(F2)와 축전지(BAT)가 직렬 접속되어 소정 전압을 충전하고 방전하는 충방전회로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제 4 전압(VO4)의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하며, 상기 충방전회로의 출력 양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압에 응답 스위칭하여 상기 입력된 제 4 전압(VO4)의 출력레벨로 상기 충방전회로의 전압상태를 표시하는 예비전원 감시회로(22)와, 동작개시 제어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충방전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형광등(28)의 제 1, 제 2 필라멘트(F11, F21)의 타측전극(112), (108)으로 공급하는 전압변환회로(26)와, 상기 충방전회로의 충전전압 출력단자와 상기 전압변환회로(26)의 제어신호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제 4 전압(VO4)의 차단에 응답 스위칭하여 상기 충전전압을 상기 전압변환회로(26)의 제어신호로 제공하는 모드 절환부(24)와, 상기 상용 교류전압의 일측에 접속되어 상기 형광등(28)의 제 1 필라멘트(F11)의 일측전극(110)에 교류전압을 공급하는 안정기(CH21)와, 상기 상용 교류전압의 일측 입력단자(B)와 상기 형광등(28)의 제 2 필라멘트(F21)의 일측전극(106) 사이에 제 1, 제 2 전극(101)(102)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제 1 전압(VO1) 출력에 트리거 되어 상기 제 2 필라멘트(F21)의 일측전극(106)에 교류전압을 공급하는 트라이액(TRI)과, 상기 형광등(28)의 제 1, 제 2 필라멘트(F11, F21)의 타측전극(112), (108) 사이에 소정의 인덕턴스를 가지는 유도성 소자(L11)와 글로우 방전을 하는 점등관(ST12)이 직렬 접속되어 있으며, 상용 교류전압의 입력에 응답하여 소정 시간동안 상기 제 1, 제 2 필라멘트(F11, F21)의 타측전극(112)(108)에 상기 안정기(CH21)을 통한 교류전압을 공급하는 필라멘트 예열부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제 4 도의 구성중 전원 공급부는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압을 일차측으로 입력하여 소정 레벨의 제 1 전압(VO1)을 일차측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이차측으로 이에 대응되어 강하된 제 2 전압(VO2)을 출력하는 전원 변압기(T10)과, 상기 전원 변압기(T10)의 이차측 권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전압(VO2) 출력단자에 에노드가 각각 접속되어 반파정류된 제 3, 제 4 전압(VO3)(VO4)을 각각 출력하는 다이오드(D11)(D21)와, 상기 다이오드(D21)의 출력단자에 병렬 접속되어 반파정류된 제 4 전압(VO4)을 평활하여 출력하는 캐패시터(C11)로 구성된 정류부(2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충방전회로는 축전지(BAT)와 휴우즈(F21)로 구성되어 상기 다이오드(D11)의 캐소드에 접속되어 있으며, 전압변환회로(26)는 쵸우크 코일(CH11)과 두개의 트랜지스터(Q11, Q21)와 두개의 일차권선(NA)(NB)과 하나의 이차권선(NC)을 가지는 펄스 변압기(T20)와 두개의 캐패시터(C21, C31)로 구성되어 상기 일차권선(NA)로 입력되는 직류전압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일차권선(NB)으로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소정레벨의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펄스변압기(T20)의 이차측권선(NC)의 인덕턴스의 값은 상기 유도성 소자(L11)의 인덕턴스 값보다 매우 크게 되어있다.
예비전원 감시회로(22)는 상기 충방전회로의 양단자에 저항(R11)과 저항(R21)이 직렬 접속되어 상기 충방전회로의 양단자의 전압을 저항 분압하여 출력하는 충전전압 검출회로(24a)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제 4 전압(VO4) 출력단자 사이에 저항(R31)과 콜렉터 및 에미터가 직렬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전압 검출회로(24a)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전압에 응답하여 스위칭하는 트랜지스터(Q31)와, 상기 트랜지스터(Q31)의 콜렉터와 에미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31)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구동되는 감시램프(LD1)로 구성되어 있다.
모드 절환부(24)는 저항(R41)(R61)과 하나의 트랜지스터(Q41)로 구성되어 있다.
제 5 도는 제 4 도에 도시된 축전지의 상태에 따른 동작 파형도로서, 이는 제 4 도에 도시된 축전지(BAT)의 정상 유무의 상태에 따른 동작 파형도이다.
제 5 도중 실선으로 도시된 파형은 축전지(BAT)의 충전전압이 정상일때의 파형이며, 점선은 상기 축전지(BAT)의 충전전압이 비정상적인 상태의 동작 파형도이다.
제 6 도는 제 4 도에 도시된 축전지의 단선시의 동작 파형도로서, 이는 제 4 도에 도시된 축전지(BAT)의 단선 혹은 휴우즈(F21)의 단선 상태에 따른 동작 파형도이다.
상기 한 제 5 도 및 제 6 도의 도면중, (a)는 반파정류 후 평활된 전압의 파형도이며, (b)는 트랜지스터(Q31)의 베이스의 전압 파형도, (c)는 트랜지스터(Q31)의 콜렉터의 전압 파형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 4 도의 동작예를 제 5 도 및 제 6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금 상용 교류전압(교류 110볼트 혹은 220볼트)이 제 4 도의 전원 입력단자(B)(W)에 인가되면, 전원 변압기(T10)의 이차권선에는 대응전압이 유도되어 제 2 전압(VO2)이 출력되며, 일차권선 중앙탭 단자로는 제 1 전압(VO1)이 출력된다. 이때 상기 전원 변압기(T10)의 일차권선의 중탭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전압(VO1)은 트리거 전류 제한용 저항(R81)을 통하여 트라이액(TRI)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트라이액(TRI)의 게이트에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교류전압의 입력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TRI)이 턴온되어짐으로써 상기 입력단자(W, B)로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은 안정기(CH2)와 형광등(28)의 제 1 필라멘트(F11)와 코일(L11)을 통해 점등관(ST12)이 일측전극 및 트라이액(TRI)과 형광등(14)의 제 2 필라멘트(F21)를 통해 점등관(ST1)의 타측전극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두 단자(W, B)로 교류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점등관(ST1)의 양전극에는 교류전압이 인가 되어짐으로써 제 1 도에서 전술한 바와같이 점등관(ST12)내에 채워진 가스가 글로우 방전되며, 상기 글로우 방전에 의해 바이메탈로된 점등관(ST12)의 두전극이 쇼트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점등관(ST12)내의 두전극이 쇼트되면, 상기 단자(W)로 입력된 교류전압은 안정기(CH21)와 형광등(28)의 제 1 필라멘트(F11)의 제 1, 제 2 전극(110)(112)와 코일(L11)과 점등관(ST12) 및 상기 형광등(28)의 제 2 필라멘트(F21)의 제 2, 제 1 전극(108)(106)와, 상기 트라이액(TRI)을 통해 단자(B)로 흐르므로써 상기 형광등(28)의 제 1, 제 2 필라멘트(F1, F2)가 예열된다.
상기와 같은 교류전압의 전류 루우프가 형성되면, 상기 안정기(CH21)에서 입력전압을 약 50볼트의 전압으로 전압강하 시킴으로써 점등관(ST12)내의 글로우 방전이 정지되어 상기 점등관(ST12)의 두 전극은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점등관(ST12)의 두전극이 떨어지면 안정기(CH21)와 형광등(28)의 제 1, 제 2 필라멘트(F11, F21)를 통하여 흐르던 전류가 급격히 감소되므로 상기 안정기(CH21)에 약 500볼트 내지 600볼트의 높은 역기전압이 순간적으로 발생되어 형광등(28)의 제 1 필라멘트(F11)의 제 1 전극(110)과, 제 2 필라멘트(F21)의 제 1 전극(106)에 공급되므로 전자가 상기 형광등(28)의 관내를 이동하여 점등되며, 이와같은 점등상태는 상기 안정기(CH21)에서 전압강하되어 출력되는 50볼트의 전압에 의해 지속된다.
이때 상기 직렬접속된 코일(L11)과 점등관(ST12)에 병렬로 접속된 펄스변압기(T20)의 이차권선(NC)과 콘덴서(C3)의 합성 임피던스는 매우 크기 때문에 60Hz의 상용 교류전압이 입력시 여기에 흐르는 전류는 매우 작아 상기 점등관(ST12)의 동작에 영향을 줄수 없으며, 상기 점등관(ST12)와 직렬로 접속된 코일(L11)의 인덕턴스는 적기 때문에 상용 교류전원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는 작고 전압변환회로(26)에 의한 20KHz∼25KHz의 발진주파수에서 임피던스는 커지므로 점등관(ST12)에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L11)은 상용 교류전압이 초기 입력시 이를 상기 점등관(ST12)에 공급한다.
한편, 전원변압기(T10)의 이차권선에 유도된 전압 제 2 전압(VO2)는 다이오드(D11, D21)에 의해 반파정류되어, 제 3, 제 4 전압(VO3)(VO4)로서 각각 출력된다. 이때 상기 다이오드(D11)에서 반파정류되어 출력되는 제 3 전압(VO3)은 전류제한용 저항(R71)를 통해 일정한 전류로서 축전지(예비전원)(BAT)에 충전전류로 공급되며, 상기 다이오드(D21)에서 반파정류된 제 4 전압(VO4)은 캐패시터(C11)에 의해 제 5a 도의 V11와 같이 평활되어 저항(R31)과 (R41)을 통해 트랜지스터(Q31)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41)의 베이스로 각각 공급된다. 즉, 상기 캐패시터(C11)에 의해 평활된 전압은 잠시 램프(LD1)의 구동용 전원과 전원 변환회로(26)의 구동을 온, 오프시키는 트랜지스터(Q41)의 바이어스 전압원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교류전압이 인가되어 다이오드(D11)(D21)로 부터 제 3, 제 4 전압(VO3)(VO4)이 출력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41)의 베이스에는 역바이어스 전압이 인가 됨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Q41)는 턴오프되어진다. 상기 트랜지스터(Q41)이 턴오프되어 지연, 전압변환회로(26)내의 펄스 변압기(T20)의 일차권선(NA)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음으로 트랜지스터(Q11, Q21)가 오프상태를 유지하여 전압변화 동작을 하지 않게된다.
이때 예비전원 감시회로(22)내의 충전전압 검출회로(24a)는 다이오드(D11)의 출력과 휴우즈(F2)를 통한 축전지(BAT)의 충전전압을 분압검출하여 트랜지스터(Q31)의 베이스로 출력한다. 즉, 상기 충전전압 검출회로(24a)는 축전지(BAT)와 병렬접속된 저항(R11, R21)의 분압된 바이어스 전압으로 트랜지스터(Q31)를 동작시키는데, 상기 축전지(BAT)에 충전된 전압이 정상일때에는 제 5b 도의 36과 같이 트랜지스터(Q31)의 동작전압(P2) 이상의 레벨을 가지는 전압으로 출력되어 트랜지스터(Q31)는 턴온되어진다.
그러므로 축전지(BAT)의 충전전압이 정상상태에서 교류전압이 인가되어 다이오드(D11)(D21)로 부터 제 3, 제 4 전압(VO3)(VO4)이 출력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31)가 턴온됨으로써 콜렉터 전압이 강하되며 이로인해 축전지 감시램프(LD1)는 소등된다. 따라서 축전지(BAT)의 충전전압이 정상상태이면 감시램프(LD1)는 소등되어 정상상태임을 모니터링한다.
그러나, 상기 축전지(BAT)의 충전전압이 비정상적인 충전 전압, 예를들어 상기 축전지(BAT)의 충전전압이 형광등(28)을 점등할수 있는 전압레벨 이하로 방전되어 떨어지면 저항(R11, R21)에 의한 분압전압은 제 5b 도의 P2과 같이 설정된 트랜지스터(Q31)의 동작전압 이하의 전압(제 5b 도의 42참조)으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저항(R11, R21)의 분압 전압이 상기 트랜지스터(Q31)의 베이스-에미터간의 순방향 바이어스 전압 이하로 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31)가 오프되어 짐으로써 콜렉터에는 제 5c 도의 38과 같이 반파정류 평활된 전압이 나타난다. 따라서 감시램프(LD1)는 제 5c 도의 반파정류 평활된 전압에 의해 점등되어 축전지(BAT)의 이상상태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상태 즉, 교류전압이 입력되어 다이오드(D11)로부터 반파정류된 제 3 전압(VO3)이 출력되고, 다이오드(D21)과 캐패시터(C11)에 의해 제 6a 도와 같이 반파정류 평활된 제 4 전압(VO4)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축전지(BAT)에 직렬 접속된 휴우즈(F2)가 단선되거나 축전지(BAT) 자체가 단선되어지면, 저항(R11, R21)은 저항(R71)을 통해 제 6b 도의 42와 같이 반파정류되어 입력되는 제 3 전압(VO3)을 분압하여 출력함으로써 트랜지스터(Q31)의 동작전압(P2) 이상인 반파정류 전압의 피크(Peak) 구간에서만 제 6b 도의 46과 같은 분압 전압에 의해 트랜지스터(Q31)의 베이스와 에미터간을 순바이어스 시킨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Q31)는 베이스로 입력되는 제 6b 도의 전압(46)이 동작점(P2) 이하인 제 6 도의 t10∼t11의 구간과 t21∼t31의 구간과 t41∼t51구간에서 오프되고, 제 6b 도의 전압(46)이 동작점(P2) 이상인 t11∼t21의 구간과 t31∼t41의 구간에서 "온"되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트랜지스터(Q31)의 콜렉터의 전위는 t10∼t11의 구간과 t21∼t31, t41∼t51의 구간에서 제 6c 도와 같이 하이레벨의 전위로 됨으로써 감시램프(LD1)는 t10∼t11, t11∼t21, t21∼t31, t31∼t41, t41∼t51의 주기로 "온"-"오프"-"온"-"오프"-"온" 점멸되어 축전지(BAT) 혹은 휴우즈(F2)의 단선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제 6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축전지 감시램프(DL1)를 점등시키는 구간이 종래와 같이 전위가 낮거나 점등시간이 짧지 않으므로 축전지 감시램프의 점등상태가 어둡고 명확치못한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할 수 있어 비상시 축전지(BAT)의 단선 혹은 휴우즈(F2)에 의하여 비상구의 안내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정전등으로 인하여 단자(B)와 (W)로 입력되는 교류전원이 차단되면, 전원 공급부의 전원 변압기(T10)에서 출력되는 제 1 전압(VO1)과 제 2 전압(VO2)이 차단된다. 상기와 같이 교류전압이 차단되면, 트라이액(TRI)의 게이트 전류가 차단됨으로써 상기 트라이액(TRI)는 오프되고, 다이오드(D11)(D21)에 의한 제 3, 제 4 전압(VO3)(VO4)도 차단된다. 이때 축전지(BAT)의 충전전압을 에미터로 입력하고, 상기 다이오드(D21)의 출력을 베이스로 입력하는 트랜지스터(Q41)가 순바이어스되어 짐으로써 전압 변환회로(26)의 동작을 스위칭하는 트랜지스터(Q41)가 "온"스위칭 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트랜지스터(Q41)가 "온"스위칭되면, 축전지(BAT)의 전압이 쵸크 코일(CH11)를 통해 펄스 변압기(T20)의 일차 권선(NB)의 중간탭으로 입력됨과 동시에 상기 트랜지스터(Q41)의 에미터 콜렉터간 및 저항(R61)을 통해 상기 펄스 전압기(T20)의 일차권선(NA)의 중간탭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정전이되어 교류전압의 입력이 차단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41)가 순바이어스되어 "온"스위칭 됨으로써 예비전원인 축전지(BAT)의 충전전압이 상기 트랜지스터(Q41)의 에미터-콜렉터, 저항(R61)을 통해 전압변환회로(26)의 펄스변압기(T20)의 일차권선(NA)에 흘러 트랜지스터(Q11, Q21)를 제 1 도의 동작 설명에서 전술한 바와같이 180°의 위상차를 가지고 교차 동작시키므로써 펄스 변압기(T20)의 일차권선(NB)에는 중간탭을 중심으로 전류 루우프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며, 이로 인해 상기 펄스변압기(T20)의 이차권선(NC)에는 고압이 유도출력된다. 상기 펄스변압기(T20)의 이차측 권선(NC)에서 유도출력되는 전압이 형광등(28)의 제 1, 제 2 필라멘트(F11, F21)의 타측 전극(112)와 (108)으로 각각 입력됨으로써 상기 형광등(28)은 계속적으로 점등되어진다.
이때 상기 펄스 변압기(T20)의 이차권선(NC)과 콘덴서(C3)에 병렬접속된 코일(L11)은 상기 펄스 변압기(T20)의 이차권선(NC)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주파수의 상승에 비례하여 임피던스가 상승(코일의 임피던스 ZL=jWL, 여기서 W는 2πF함으로 방전관(ST12)에 흐르는 전류를 억제한다. 따라서 상기 코일(L11)은 60Hz의 상용교류 전원에 대하여서는 작은 임피던스를 가지며, 전압변환회로(26)에서 출력되는 20KHz-25KHz의 교류전압에 대하여는 높은 임피던스를 가짐으로써 상기 펄스 변압기(T20)의 이차권선(NC)로 부터 출력되어 방전관(ST12)으로 입력되는 전압을 차단하여 방전관(ST12)의 간섭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전원 입력단자(W)와 단자(G)를 라인(16)으로 연결하여 형광등(28)의 점등동작을 설명하였으나, 전원 입력단자(B)(W)를 제외한 단자(G)는 전기의 절약을 목적으로 평상시에는 오픈시켜 형광등(28)를 소등시키고, 화재시에는 화재감시 설비를 이용하여 상기 단자(G)를 단자(W)와 연결하므로서 형광등(28)를 점등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상전시와 정전시의 형광등의 전원을 전자 스위치로서 절환하여 공급함으로써 전원 절환을 정확히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도등회로의 수명연장을 꾀할 수 있고, 예비전원의 전원상태 및 단선상태를 정확히 검출표시 함으로써 비상시 정확히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제 1, 제 2 의 필라멘트를 가지는 형광등(28)과, 소정 전압을 충전하고 방전하는 축전지(BAT)와, 상용교류전압의 일측에 접속되어 상기 형광등(28)의 제 1 필라멘트의 일측전극에 교류전압을 공급하는 안정기(CH21)을 구비한 유도등 구동회로에 있어서, 입력되는 상용교류 전압을 소정레벨의 제 1 전압(VO1)과 제 2 전압(VO2)으로 강하시키고, 상기 제 2 전압(VO2)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제 1 출력패스를 통해 상기 축전지(BAT)의 충전 전압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제 2 출력패스를 통해 모드절환 스위칭 전압으로 출력하는 전원 공급수단과, 동작개시 제어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축전지(BAT)의 충전전압을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형광등(28)의 제 1, 제 2 필라멘트의 타측전극으로 공급하는 전압 변환수단과, 상기 축전지(BAT)의 충전전압 출력단자와 상기 전압 변환수단의 제어신호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 공급수단의 제 2 출력패스의 전원 차단에 응답 스위칭하여 상기 충전전압을 상기 전압변환수단의 제어신호로 제공하는 모드 절환수단과, 상기 상용 교류전압의 타측과 상기 형광등(28)의 제 2 필라멘트의 일측 전극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 공급수단의 제 1 전압(VO1) 출력에 응답 스위칭하여 상기 제 2 필라멘트의 일측전극에 교류전압을 공급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형광등(28)의 제 1, 제 2 필라멘트의 타측전극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상용 교류전압의 초기 입력에 응답하여 소정 시간동안 상기 제 1, 제 2 필라멘트의 타측전극에 상기 교류전압을 공급하는 필라멘트 예열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필라멘트 예열수단은, 상기 상용 교류전압의 입력에 응답하여 미리 예정된 소정 시간동안 상기 제 1, 제 2 필라멘트 각각의 타측전극에 상기 입력되는 교류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두 필라멘트를 예열도록 상기 형광등(28)의 제 1, 제 2 필라멘트의 타측전극 사이에 상기 교류전압의 주파수에 대하여 낮은 임피던스를 가지는 유도성 소자(L11)와 글로우 방전을 하는 점등관(ST12)이 직렬 접속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회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원공급 수단은,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압을 일차측으로 입력하여 소정 레벨의 제 1 전압(VO1)를 일차측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이차측으로 이에 대응되어 강하된 제 2 전압(VO2)을 출력하는 전원 변압기(T10)과, 상기 전원 변압기(T10)의 이차측 권선으로 부터 출력된 상기 제 2 전압(VO2)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제 1 출력패스를 통해 상기 축전지(BAT)의 충전 전압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제 2 출력패스를 통해 상기 모드 절환수단의 모드 스위칭전압으로 공급하는 정류부(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모드 절환수단은, 상기 제 2 출력패스에 베이스가 접속되고 상기 제 1 출력패스와 상기 전압 변환수단의 제어신호 입력단자 사이에 에미터와 콜렉터 및 전류 제한저항이 직렬접속된 스위칭 트랜지스터(Q41)로 구성되어 상기 제 2 출력패스를 통한 모드 스위칭 전압이 차단시에 응답 스위칭하여 상기 제 1 출력패스를 통한 축전지(BAT)의 충전전압을 상기 전압변환수단의 제어신호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스위칭 수단은 상기 상용 교류전압의 타측과 상기 형광등(28)의 제 2 필라멘트의 일측전극 사이에 제 1, 제 2 전극이 접속되고, 상기 전원 공급수단의 제 1 전압(VO1) 출력단자에 게이트단자가 접속되어 상기 제 1 전압(VO1)의 입력에 응답 스위칭하는 트라이액(TRI)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6. 제 1, 제 2 의 필라멘트를 가지는 형광등(28)과, 소정 전압을 충전하고 방전하는 축전지(BAT)와, 상용 교류전압의 일측에 접속되어 상기 형광등(28)의 제 1 필라멘트의 일측전극에 교류전압을 공급하는 안정기(CH21)을 구비한 유도등 구동회로에 있어서, 입력되는 상용교류 전압을 소정레벨의 제 1 전압(VO1)과 제 2 전압(VO2)으로 강하시키고, 상기 제 2 전압(VO2)를 반파정류하여 상기 축전지(BAT)의 양단이 연결된 제 1 패스를 통해 충전 전압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제 2 전압(VO2)을 반파정류 평활하여 제 2 패스로 출력하는 전원 공급수단과, 상기 제 2 패스에 직렬접속된 표시램프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패스의 전압레벨에 응답스위칭하여 상기 제 2 패스에 직렬접속된 표시램프를 스위칭 구동하여 상기 축전지(BAT)의 충전전압상태를 표시하는 예비전원 감시수단과, 동작개시 제어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축전지(BAT)의 충전 전압을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형광등(28)의 제 1, 제 2 필라멘트의 타측전극으로 공급하는 전압 변환수단과, 상기 제 1 패스와 상기 전압변환수단의 제어신호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되어있으며, 상기 제 2 패스의 전압차단에 응답 스위칭하여 상기 제 1 패스를 통한 축전지(BAT)의 충전전압을 상기 전압변환수단의 제어신호로 공급하는 모드 절환수단과, 상기 상응 교류전압의 타측과 상기 형광등(28)의 제 2 필라멘트의 일측 전극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 공급수단의 제 1 전압(VO1) 출력에 응답 스위칭하여 상기 제 2 필라멘트의 일측전극에 교류전압을 공급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형광등(28)의 제 1, 제 2 필라멘트의 타측전극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상용 교류전압의 입력에 응답하여 소정 시간동안 상기 제 1, 제 2 필라멘트의 타측전극에 상기 교류전압을 공급하는 필라멘트 예열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예비전원 감시수단은 상기 제 1 패스에 접속된 축전지(BAT)의 양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축전지(BAT)의 충전전압 레벨을 검출하고, 그 검출에 따라 제 1, 제 2, 제 3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충전전압 검출회로와, 상기 제 2 패스의 반파정류 평활전압의 정부전압 사이에 직렬 접속되어 있으며, 소정에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표시기와, 상기 표시기에 병렬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전압 검출회로(24a)로 부터 출력되는 제 1, 제 2, 제 3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기를 소등, 점등, 점멸구동하는 표시기 구동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8. 제 6 항에 있어서, 예비전원 감시수단은 상기 제 1 패스 접속된 축전지(BAT)의 양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축전지(BAT)의 단선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축전기(BAT)가 단선시에 상기 제 1 패스로 입력되는 반파정류전압의 피이크 전압을 점멸제어 신호로 출력하는 전압 검출회로와, 상기 제 2 패스의 반파정류 평활전압의 정부전압 사이의 직렬 접속되어 있으며, 소정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표시기와, 상기 표시기에 병렬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압검출회로 부터 출력되는 점멸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기를 상기 점멸 제어신호의 위상 반전된 주기로 점멸구동하는 표시기 구동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9. 제 6 항에 있어서, 예비전원 감시수단은 상기 제 1 패스에 접속된 축전지(BAT)의 양단자에 저항(R11)과 저항(R21)이 직렬 접속되어 상기 충전전압을 저항 분압하여 출력하는 충전전압 검출회로(24a)와, 상기 제 2 패스의 반파정류 평활전압의 정부전압 사이에 저항(R31)과 콜렉터 및 에미터가 직렬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전압 검출회로(24a)로 부터 출력되는 검출전압에 응답하여 스위칭하는 트랜지스터(Q31)와, 상기 트랜지스터(Q31)의 콜렉터와 에미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31)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구동하는 표시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전원공급 수단은,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압을 일차측으로 입력하여 소정 레벨의 제 1 전압(VO1)을 일차측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이차측으로 이에 대응되어 강하된 제 2 전압(VO2)을 출력하는 전원 변압기(T10)과, 상기 전원 변압기(T10)의 이차측 권선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출력된 제 2 전압(VO2)을 반파정류하여 상기 제 1 패스를 통해 상기 축전지(BAT)의 충전 전압으로 공급하는 제 1 정류기와, 상기 제 2 전압(VO2)을 반파정류 평활하여 상기 제 2 패스를 통해 상기 모드 절환수단의 모드 스위칭전압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기로 출력하는 제 2 정류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회로.
KR1019920010743A 1992-06-20 1992-06-20 유도등 구동회로 KR940009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0743A KR940009520B1 (ko) 1992-06-20 1992-06-20 유도등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0743A KR940009520B1 (ko) 1992-06-20 1992-06-20 유도등 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768A KR940001768A (ko) 1994-01-11
KR940009520B1 true KR940009520B1 (ko) 1994-10-14

Family

ID=19334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0743A KR940009520B1 (ko) 1992-06-20 1992-06-20 유도등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95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768A (ko) 199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2054A (en) Fluorescent lamp ballast with selectable power levels
US5475284A (en) Ballast containing circuit for measuring increase in DC voltage component
US5574335A (en) Ballast containing protection circuit for detecting rectification of arc discharge lamp
JPH0878177A (ja) 放電灯の点灯回路
EP1718132B1 (en) Load failure protection circuit and discharge lamp driving apparatus
KR940009520B1 (ko) 유도등 구동회로
KR200168319Y1 (ko) 비상구 유도등 점등제어장치
US6674251B2 (en) Multiple discharge lamp ballast with equalizer voltage protection
CN114802349A (zh) Led铁路信号灯系统及其智能点灯单元
KR100231792B1 (ko) 안정기 없는 유도등 구동회로
US20070216321A1 (en) Electronic Ballast with Life-Ended Protection
EP0061730A2 (en) Transistor inverter device
JPH09322553A (ja) 電源装置、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CN218055192U (zh) Led铁路信号灯系统及其智能点灯单元
KR200354204Y1 (ko) 비상 유도등의 점등 및 스타트 회로
JP2818595B2 (ja) 放電灯点灯装置
JPH11307280A (ja) 非常用照明装置
JPS62232896A (ja) 放電灯回路異常状態検出装置
JP2868240B2 (ja) 放電灯点灯装置
JPH01258396A (ja) 蛍光ランプ点灯装置
KR920007039Y1 (ko) 조명등의 비상점등장치
JP3829342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200346512Y1 (ko) 비상구 유도등
KR200369326Y1 (ko) 비상 유도등의 전자식 점등 및 스타트 회로
JPH01186595A (ja) 放電灯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