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204Y1 - 비상 유도등의 점등 및 스타트 회로 - Google Patents

비상 유도등의 점등 및 스타트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204Y1
KR200354204Y1 KR20-2004-0009381U KR20040009381U KR200354204Y1 KR 200354204 Y1 KR200354204 Y1 KR 200354204Y1 KR 20040009381 U KR20040009381 U KR 20040009381U KR 200354204 Y1 KR200354204 Y1 KR 200354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ircuit
lighting
lamp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텔
Priority to KR20-2004-0009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2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2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02J9/06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for light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 또는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 법으로 정해진 법정시간 동안 점등하여 어두움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는 한편, 대피통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 유도등 점등 회로의 구성 요소를 간소화하여 작동에 따른 정확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원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비상 유도등의 점등 및 스타트 회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상 유도등의 점등 및 스타트 회로{A FLUORESCENT LAMP LIGHTING AND START CIRCUIT OF EMERGENCY LAMP}
본 고안은 비상 유도등의 점등 및 스타트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 또는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 법으로 정해진 법정시간 동안 점등하여 어두움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는 한편, 대피통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 유도등 점등 회로의 구성 요소를 간소화하여 작동에 따른 정확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원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비상 유도등의 점등 및 스타트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 유도등은 정전이나 화재와 같이 일반 조명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점등되어 비상사태를 수습하거나 비상사태로부터 대피할 수 있도록 점등되는 전등으로서, 소방법 제 108 조의 제 2 항 비상조명등법 제 17 조 제 1 항 법 제 30 조 제 1 항 및 제 4 항의 규정에 의하여 소방대상물의 각 거실과 그로부터 지상에 이르는 피난구 복도계단 및 그 밖의 통로에 설치하여야 하는 비상용 전등이다.
이와 같은 비상 유도등은 점등상태를 60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의 축전지와 예비전원 충전장치를 내장하여 정전 시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점등하게 되는데, 평상시 상용전원으로 형광등을 점등하는 이때 필요한 회로가 점등램프를 점등시키는 형광등에 안정기 전원 공급 및 스타트 회로이다.
상기 형광등 점등 및 스타트 회로는 현재까지 무수히 많은 공지된 기술이 소개되고는 있으나, 대부분 다수개의 캐패시터를 사용하여 시정수에 따라 그 충전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려 비상등의 스타트 시간이 지연되며, 장시간 설치되었을 경우 캐패시터의 절연재가 제 구실을 하지 못하여 작동하지 않는 등 비상등의 동작과 안정성에 따른 문제점과 형광램프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타트 회로의 구성 요소가 많고 복잡하여 제조 원가가 상승하여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화재 또는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 법으로 정해진 법정시간 동안 점등하여 어두움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는 한편, 대피통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 유도등점등 회로의 구성 요소를 간소화하여 작동에 따른 정확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원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비상 유도등의 점등 및 스타트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 필라멘트와 제 2 필라멘트를 가지는 점등램프와, 소정 전압을 충전하고 방전하는 축전지와, 상용 교류전압의 일측에 접속되어 상기 점등램프 중 제 1 필라멘트의 일측 전극에 교류전압을 공급하는 안정기가 구비된 비상 유도등의 점등 및 스타트 회로에 있어서,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압을 소정레벨의 제 1 전압과 제 2 전압으로 강하시키고, 상기 제 2 전압을 반파 정류하여 제 3 전압을 충전전압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전압을 반파 정류 및 평활 하여서 된 제 4 전압을 스위칭 전압으로 출력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제 3 전압의 출력단 사이에 휴우즈와 축전지가 직렬 접속되어 소정 전압을 충전하고 방전하는 충/방전회로와; 전원공급부의 제 4 전압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하며, 상기 충/방전회로의 출력 양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압에 응답 스위칭 하여 상기 입력된 제 4 전압의 출력레벨로 상기 충/방전회로의 전압상태를 표시하는 예비전원 감시회로와; 동작개시 제어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충/방전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점등램프의 제 1, 제 2 필라멘트의 타측 전극으로 공급하는 전압변환회로와; 충/방전회로의 충전전압 출력단자와 상기 전압변환회로의 제어신호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제 4 전압의 차단에 응답 스위칭 하여 상기 충전전압을상기 전압변환회로의 제어신호로 제공하는 모드 절환부와; 점등램프 중 제 1 필라멘트에 연결된 고주파필터의 일측 단과 점등램프의 제 2 필라멘트에 직렬 연결되는 저항11,12와, 저항11,12의 연결 중간에 일측 단이 연결된 저항13의 타측 단이 게이트에 연결되고, 전극 양단이 저항11,12의 연결에 병렬 연결된 트라이액으로 이루어진 스타트회로1 및 전압변환회로에 연결된 점등램프 중 제 1 필라멘트와 연결되는 고주파필터 사이에 접속되는 트라이액-1과, 트라이액-1과 병렬 연결되는 저항14,15와, 저항14,15의 연결 중간에 일측 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트라이액-1의 게이트에 연결된 저항16으로 이루어진 스타트 회로2로 구성되는 비상 유도등의 점등 및 스타트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설명*
1 ... 전원공급부 2 ... 충/방전회로
3 ... 예비전원 감시회로 4 ... 전압변환회로
5 ... 모드절환부 6 ... 스타트회로1
7 ... 스타트회로2
본 고안의 설명에 참고가 되는 첨부 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인 스타트 회로(6)(7)에 적용된 트라이액(TRI)은 스위치용 반도체의 일종이며,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회사의 상품명으로서, p-n-p-n-p의 5층의 반도체를 포개서 만든 것이다.
트라이액은 양단(兩端)의 전극 외에 제 3 의 제어전극(게이트)을 가지고 있으며, 마치 3극관(트라이오드)처럼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단, 사인파 모양인 교류전류의 통과개시를 제어하는 것으로 평균전류를 제어할 수 있을 뿐이며, 순간적인 진폭(振幅)의 제어나 전류의 차단은 할 수 없다.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필라멘트와 제 2 필라멘트를 가지는 점등램프와, 소정 전압을 충전하고 방전하는 축전지와, 상용 교류전압의 일측에 접속되어 상기 점등램프 중 제 1 필라멘트의 일측 전극에 교류전압을 공급하는 안정기가 구비된 비상 유도등의 점등 및 스타트 회로에 있어서,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압을 소정레벨의 제 1 전압과 제 2 전압으로 강하시키고, 상기 제 2 전압을 반파 정류하여 제 3 전압을 충전전압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전압을 반파 정류 및 평활 하여서 된 제 4 전압을 스위칭 전압으로 출력하는 전원공급부(1)와, 상기 전원 공급부(1)의 제 3 전압의 출력단 사이에 휴우즈(F2)와 축전지(B)가 직렬 접속되어 소정 전압을 충전하고 방전하는 충/방전회로(2)와, 전원공급부(1)의 제 4 전압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하며, 상기 충/방전회로(2)의 출력 양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압에 응답 스위칭 하여 상기 입력된 제 4 전압의 출력레벨로 상기 충/방전회로(2)의 전압상태를 표시하는 예비전원 감시회로(3)와, 동작개시 제어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충/방전회로(2)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점등램프(L)의 제 1, 제 2 필라멘트(F11,F21)의 타측 전극으로 공급하는 전압변환회로(4)와, 충/방전회로(2)의 충전전압 출력단자와 상기 전압변환회로(4)의 제어신호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1)로부터 출력되는 제 4 전압의 차단에 응답 스위칭 하여 상기 충전전압을 상기 전압변환회로(4)의 제어신호로 제공하는 모드 절환부(5)와, 점등램프(L) 중 제 1 필라멘트(F11)에 연결된 고주파필터(CH2)의 일측 단과 점등램프(L)의 제 2 필라멘트(F21)에 직렬 연결되는 저항11,12(R11,R12)와, 저항11,12(R11,R12)의 연결 중간에 일측 단이 연결된 저항13(R13)의 타측 단이 게이트에 연결되고, 전극 양단이 저항11,12(R11)(R12)의 연결에 병렬 연결된 트라이액(TRI)으로 이루어진 스타트회로1(6) 및 전압변환회로(4)에 연결된 점등램프(L) 중 제 1 필라멘트(F11)와 연결되는 AC3RE측 입력단의 고주파필터(CH2)사이에 접속되는 트라이액-1(TRI-1)과, 트라이액-1(TRI-1)과 병렬 연결되는 저항14,15(R14,R15)와, 저항14,15(R14,R15)의 연결 중간에 일측 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트라이액-1(TRI-1)의 게이트에 연결된 저항16(R16)으로 이루어진 스타트 회로2(7)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는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압을 일차측으로 입력하여 소정 레벨의 제 1 전압을 일차측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이차측으로 이에 대응되어 강하된 제 2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변압기(T1)와, 상기 전압변압기(T2)의 이차측 권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전압 출력단에 에노드가 각각 접속되어 반파정류된 제 3, 제 4 전압을 각각 출력하는 다이오드1,2,3(D1,D3,D2)과, 상기 다이오드2(D2)의 출력단자에 병렬 접속되어 반파정류된 제 4 전압을 평활 하여 출력하는 캐패시터3(C3)으로 이루어진 정류부로 구성되어 있다.
충/방전회로(2)는 축전지(B)와 휴우즈(F21)로 구성되어 상기 다이오드3(D3)의 캐소드에 접속되어 있으며, 전압변환회로(4)는 쵸우크 코일(CH2)과 두개의 트랜지스터3,4(Q3,Q4)와, 두개의 일차권선과 하나의 이차권선을 가지는 펄스 변압기(T3)와, 두개의 캐패시터5,6(C5,C6)으로 구성되어 상기 일차권선로 입력되는 직류전압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일차권선으로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소정레벨의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비전원 감시회로(3)는 상기 충방전회로의 양단자에 저항3(R3)과 저항4(R4)가 직렬 접속되어 상기 충/방전회로(2)의 양단자의 전압을 저항 분압하여 출력하는 충전전압 검출회로와, 상기 전원공급부(1)의 제 4 전압 출력단 사이에 저항5(R5)와 콜렉터 및 에미터가 직렬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전압 검출회로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전압에 응답하여 스위칭 하는 트랜지스터1(Q1)과, 상기 트랜지스터1(Q1)의 콜렉터와 에미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구동되는 감시램프(LED)로 구성되어 있다.
전압변환회로(4)는 쵸우크 코일(CH2)과, 두 개의 트랜지스터3,4(Q3,Q4)와, 두 개가 일차권선과 하나의 이차권선을 가지는 펄스변압기(T3)와 하나의 캐패시터5(C5)로 구성되어 있다.
모드 절환부(5)는 다이오드4(D4)와 저항8(R8)과 하나의 트랜지스터2(Q2)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교류전압(교류 110볼트 혹은 220볼트)이 전원입력단(RE)에 인가되어, 전압이 저항11,13(R11,R13)을 통하여 트라이액(TRI)으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트라이액(TRI)의 게이트에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교류전압의 입력에 의해 상기 트라이액(TRI)이 턴온되어 교류전원은 점등램프(L)의 제 2 필라멘트(F21)로 전류가 흘러 점등된다.
그리고, 상용 교류전압(교류 110볼트 혹은 220볼트)이 전원 입력단(WH,BL)에 인가되면 전원변압기(T2)의 이차권선에는 대응전압이 유도되어 제 2 전압이 출력되며, 일차권선 중앙탭 단자로는 제 1 전압이 출력된다.
한편, 전원변압기(T2)의 이차권선에 유도된 전압 제 2 전압은다이오드1,3(D1,D3) 및 다이오드2(D2)에 의해 반파 정류되어, 제 3, 제 4 전압으로 각각 출력된다.
이때, 상기 다이오드1(D1)에서 반파정류되어 출력되는 제 3 전압은 전류제한용 저항2(R2)를 통해 일정한 전류로서 축전지(B)에 충전전류로 공급되며, 상기 다이오드(D2)에서 반파정류된 제 4 전압은 캐패시터3(C3)에 의해 평활 되어 저항5(R5)와 감시램프(LED)를 통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2(Q2)의 베이스로 각각 공급된다.
즉, 상기 캐패시터3(C3)에 의해 평활된 전압은 감시 램프(LED)의 구동용 전원과 전압변환회로(4)의 구동을 온, 오프 시키는 트랜지스터2(Q2)의 바이어스 전압원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교류전압이 인가되어 다이오드1,2(D1,D2)로 부터 제 3, 제 4 전압이 출력되면, 상기 트랜지스터2(Q2)의 베이스에는 역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2(Q2)는 턴오프되어진다.
상기 트랜지스터2(Q2)가 턴오프되어 지연되므로, 펄스 변압기(T3)의 일차권선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트랜지스터3,4(Q3,Q4)가 오프상태를 유지하여 전압변화 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이때, 예비전원 감시회로(3)내의 충전전압 검출회로는 다이오드1(D1)의 출력과 휴우즈(F2)를 통한 축전지(B)의 충전전압을 분압검출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출력한다.
즉, 상기 충전전압 검출회로는 축전지(B)와 병렬 접속된 저항3,4(R3,R4)의분압된 바이어스 전압으로 트랜지스터1(Q1)을 동작시키는데, 상기 축전지(B)에 충전된 전압이 정상일 때에는 트랜지스터1(Q1)의 동작전압 이상의 레벨을 가지는 전압으로 출력되어 트랜지스터1(Q1)은 턴온되어진다.
그러므로, 축전지(B)의 충전전압이 정상상태에서 교류전압이 인가되어 다이오드(D1,D2)로부터 제 3, 제 4 전압이 출력되면, 상기 트랜지스터1(Q1)이 턴온됨으로써 콜렉터 전압이 강하되며 이로 인해 축전지 감시램프(LED)는 소등된다.
따라서 축전지(B)의 충전전압이 정상상태이면 감시램프(LED)는 소등된다.
한편, 정전 등으로 인하여 단자(BL)와 (WH)로 입력되는 교류전원이 차단되면, 전원공급부(1)의 전원 변압기(T2)에서 출력되는 제 1 전압과 제 2 전압이 차단된다.
상기와 같이 교류전압이 차단되면, 트라이액(TRI)의 게이트 전류가 차단됨으로써 상기 트라이액(TRI)은 오프 되고, 다이오드1,2(D1,D2)에 의한 제 3, 제 4 전압도 차단된다.
이때 축전지(B)의 충전전압을 에미터로 입력하고, 상기 다이오드3(D2)의 출력을 베이스로 입력하는 트랜지스터2(Q2)가 순바이어스되어 짐으로써 전압 변환회로(4)의 동작을 스위칭 하는 트랜지스터2(Q2)가 "온"스위칭 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트랜지스터2(Q2)가 "온"스위칭 되면, 축전지(B)의 전압이 쵸크 코일(CH2)을 통해 펄스 변압기(T3)의 일차 권선의 중간탭으로 입력됨과 동시에 상기 트랜지스터2(Q2)의 저항(R61)을 통해 상기 펄스 변압기(T2)의 일차권선의 중간탭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정전이 되어 교류전압의 입력이 차단되면, 상기 트랜지스터2(Q2)가 순바이어스되어 "온"스위칭 됨으로써 예비전원인 축전지(B)의 충전전압이 상기 트랜지스터2(Q2)의 저항7,8(R7,R8)을 통해 전압변환회로(4)의 펄스변압기(T3)의 일차권선에 흘러 트랜지스터3,4(Q3,Q4)를 180°의 위상차를 가지고 교차 동작시킴으로써 펄스 변압기(T3)의 일차권선에는 중간탭을 중심으로 전류 루우프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며, 이로 인해 상기 펄스변압기(T3)의 이차권선에는 고압이 유도 출력된다.
상기 펄스변압기(T3)의 이차측 권선에서 유도 출력되는 전압이 저항R11,13(R11,R13)을 통하여 트라이액(TRI)으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트라이액(TRI)의 게이트에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교류전압의 입력에 의해 상기 트라이액(TRI)이 턴온되어 교류전원은 점등램프(L)의 제 2 필라멘트(F21)로 전류가 흘러 점등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형광등으로 유사시에는 비상등으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 화재시 또는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 일정시간(법으로 정해진 법정시간) 점등하여 어두움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는 한편, 대피통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 유도등 점등 회로의 구성 요소를 간소화하여 작동에 따른 정확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원가 절감 효과를 얻는다.

Claims (7)

  1. 제 1필라멘트와 제 2 필라멘트를 가지는 점등램프와, 소정 전압을 충전하고 방전하는 축전지와, 상용 교류전압의 일측에 접속되어 상기 점등램프 중 제 1 필라멘트의 일측 전극에 교류전압을 공급하는 안정기가 구비된 비상 유도등의 점등 및 스타트 회로에 있어서,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압을 소정레벨의 제 1 전압과 제 2 전압으로 강하시키고, 상기 제 2 전압을 반파 정류하여 제 3 전압을 충전전압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전압을 반파 정류 및 평활 하여서 된 제 4 전압을 스위칭 전압으로 출력하는 전원공급부(1)와; 상기 전원 공급부(1)의 제 3 전압의 출력단 사이에 휴우즈(F2)와 축전지(B)가 직렬 접속되어 소정 전압을 충전하고 방전하는 충/방전회로(2)와; 전원공급부(1)의 제 4 전압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하며, 상기 충/방전회로(2)의 출력 양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압에 응답 스위칭 하여 상기 입력된 제 4 전압의 출력레벨로 상기 충/방전회로(2)의 전압상태를 표시하는 예비전원 감시회로(3)와; 동작개시 제어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충/방전회로(2)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점등램프(L)의 제 1, 제 2 필라멘트(F11,F21)의 타측 전극으로 공급하는 전압변환회로(4)와; 충/방전회로(2)의 충전전압 출력단자와 상기 전압변환회로(4)의 제어신호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1)로부터 출력되는 제 4 전압의 차단에 응답 스위칭 하여 상기 충전전압을 상기 전압변환회로(4)의 제어신호로 제공하는 모드 절환부(5)와; 점등램프(L) 중 제 1 필라멘트(F11)에 연결된 고주파필터(CH2)의 일측 단과 점등램프(L)의 제 2 필라멘트(F21)에 직렬 연결되는 저항11,12(R11,R12)와, 저항11,12(R11,R12)의 연결 중간에 일측 단이 연결된 저항13(R13)의 타측 단이 게이트에 연결되고, 전극 양단이 저항11,12(R11,R12)의 연결에 병렬 연결된 트라이액(TRI)으로 이루어진 스타트회로1(6); 및 전압변환회로(4)에 연결된 점등램프(L) 중 제 1 필라멘트(F11)와 연결되는 AC3RE측 입력단의 고주파필터(CH2)사이에 접속되는 트라이액-1(TRI-1)과, 트라이액-1(TRI-1)과 병렬 연결되는 저항14,15(R14,R15)와, 저항14,15(R14,R15)의 연결 중간에 일측 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트라이액-1(TRI-1)의 게이트에 연결된 저항16(R16)으로 이루어진 스타트 회로2(7)로 구성되는 비상 유도등의 점등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1)는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압을 일차측으로 입력하여 소정 레벨의 제 1 전압을 일차측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이차측으로 이에 대응되어 강하된 제 2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변압기(T1)와, 상기 전압변압기(T2)의 이차측 권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전압 출력단에 에노드가 각각 접속되어 반파정류된 제 3, 제 4 전압을 각각 출력하는 다이오드1,2,3(D1,D3,D2)과, 상기 다이오드2(D2)의 출력단자에 병렬 접속되어 반파정류된 제 4 전압을 평활 하여 출력하는 캐패시터3(C3)으로 이루어진 정류부로 구성되는 비상 유도등의 점등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충/방전회로(2)는 축전지(B)와 휴우즈(F21)로 구성되어상기 다이오드3(D3)의 캐소드에 접속되어 있으며, 전압변환회로(4)는 쵸우크 코일(CH2)과 두개의 트랜지스터3,4(Q3,Q4)와, 두개의 일차권선과 하나의 이차권선을 가지는 펄스 변압기(T3)와, 두개의 캐패시터5,6(C5,C6)으로 구성되는 비상 유도등의 점등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예비전원 감시회로(3)는 상기 충방전회로의 양단자에 저항3(R3)과 저항4(R4)가 직렬 접속되어 상기 충/방전회로(2)의 양단자의 전압을 저항 분압하여 출력하는 충전전압 검출회로와, 상기 전원공급부(1)의 제 4 전압 출력단 사이에 저항5(R5)와 콜렉터 및 에미터가 직렬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전압 검출회로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전압에 응답하여 스위칭 하는 트랜지스터1(Q1)과, 상기 트랜지스터1(Q1)의 콜렉터와 에미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구동되는 감시램프(LED)로 구성되는 비상 유도등의 점등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전압변환회로(4)는 쵸우크 코일(CH2)과, 두 개의 트랜지스터3,4(Q3,Q4)와, 두 개가 일차권선과 하나의 이차권선을 가지는 펄스변압기(T3)와 하나의 캐패시터5(C5)로 구성되는 비상 유도등의 점등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모드 절환부(5)는 다이오드4(D4)와 저항8(R8)과 하나의 트랜지스터2(Q2)로 구성되는 비상 유도등의 점등회로.
  7. 제 1필라멘트와 제 2 의 필라멘트를 가지는 점등램프와, 소정 전압을 충전하고 방전하는 축전지와, 상용 교류전압의 일측에 접속되어 상기 점등램프 중 제 1 필라멘트의 일측 전극에 교류전압을 공급하는 안정기가 구비된 피난구 유도등의 스타트 회로에 있어서, 점등램프(L) 중 제 1 필라멘트(F11)에 연결된 고주파필터(CH2)의 일측 단과 점등램프(L)의 제 2 필라멘트(F21)에 직렬 연결되는 저항9,10(R9.R10)과, 저항9,10(R9,R10)과 병렬 연결되는 트라이액(TRI)과, 저항9,10(R9,R10)의 연결 중간에 일측 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트라이액(TRI)의 게이트에 연결된 다이액(DIA)과, 다이액(DIA) 양단에 병렬 연결되는 캐패시터6,7(C6,C7)로 구성된 스타트 회로(6)로 구성되는 비상 유도등의 스타트 회로.
KR20-2004-0009381U 2004-04-06 2004-04-06 비상 유도등의 점등 및 스타트 회로 KR200354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381U KR200354204Y1 (ko) 2004-04-06 2004-04-06 비상 유도등의 점등 및 스타트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381U KR200354204Y1 (ko) 2004-04-06 2004-04-06 비상 유도등의 점등 및 스타트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204Y1 true KR200354204Y1 (ko) 2004-06-23

Family

ID=49347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381U KR200354204Y1 (ko) 2004-04-06 2004-04-06 비상 유도등의 점등 및 스타트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2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4582B2 (en) Electronic ballast system having emergency lighting provisions and electronic chip
US6433493B1 (en) Electronic power converter for triac based controller circuits
CN107637169B (zh) 可延时照明电路及装置
US20050269972A1 (en) Ballast with end-of-lamp-life protection circuit
JP2012014879A (ja) 半導体発光素子の点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US20110228565A1 (en) Switchmode power supply for dimmable light emitting diodes
JP2005108847A (ja) Hidランプの簡略化トポロジ
JP2003264090A (ja) 照明装置
JP2020036419A (ja) 非常用照明装置
JP2021531634A (ja) 駆動回路及び関連ランプ
KR200354204Y1 (ko) 비상 유도등의 점등 및 스타트 회로
KR20110060936A (ko) 발광 엘리먼트를 조광하기 위한 회로 및 방법
KR200369326Y1 (ko) 비상 유도등의 전자식 점등 및 스타트 회로
JP3607428B2 (ja) 蛍光ランプ点灯装置
KR200256195Y1 (ko) 상시전원/비상전원 자동 절환장치
US10779375B2 (en) LED driving circuit and protection circuit for DC/DC converter
JP2014217135A (ja) 電源装置
KR102254002B1 (ko) Led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치
JPH01258396A (ja) 蛍光ランプ点灯装置
JP2018181454A (ja) 直流発光負荷を備える駆動装置及び照明装置
JP3735874B2 (ja) 照明装置
KR101691768B1 (ko) 전자파 발생을 감소시키는 led 구동장치
KR200275615Y1 (ko) 엘리베이터 비상조명등 전원 장치
RU2215382C2 (ru) Пускорегу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азоразрядных ламп
JP3763837B2 (ja) 蛍光ランプ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