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9347B1 - 관계수 - Google Patents

관계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347B1
KR940009347B1 KR1019900015548A KR900015548A KR940009347B1 KR 940009347 B1 KR940009347 B1 KR 940009347B1 KR 1019900015548 A KR1019900015548 A KR 1019900015548A KR 900015548 A KR900015548 A KR 900015548A KR 940009347 B1 KR940009347 B1 KR 940009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diameter
small
diameter portion
co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5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677A (ko
Inventor
다까히로 요꼬마쓰
겐지 미네
신이찌로오 가또오
Original Assignee
브리지스톤 플로우테크 가부시끼가이샤
이노우에 요시히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지스톤 플로우테크 가부시끼가이샤, 이노우에 요시히도 filed Critical 브리지스톤 플로우테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900015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9347B1/ko
Publication of KR920006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3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16L37/2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by means of ball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계수
제1~4도는 본 발명의 관계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도는 그 일부 종단면도.
제2a도는 호오스를 삽입할때의 그 일부 종단면.
제2b도는 호오스를 꽉죌때의 일부 종단면도.
제3도는 그 콜레트의 일부 종단면도.
제4도는 그 콜레트의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관계수의 제2실시예의 콜레트의 일부 종단면도.
제6~10도는 본 발명의 관계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6도는 그 일부 종단면도.
제7도는 호오스를 꽉죌때의 그 일부 종단면도.
제8a도는 그 체결링의 일부 종단면도.
제8b도는 그 체결링의 정면도.
제9도는 그 고정나사의 일부 종단면도.
제10도는 그 체결링의 다른 예를 도시한 일부 종단면도.
제11도 및 제12도는 본 발명의 관계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그 종단면도.
제12도는 호오스를 꽉죌때의 일부 종단면도.
제13~15도는 종래의 관계수를 도시한 도면.
제13도는 호오스를 체결할 때의 그 종단면도.
제14a도는 그 종단면도.
제14b도와 제15도는 각각 호오스를 체결 할때의 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41 : 관계수 22 : 계수본체(제1통부재)
24 : 심부재(제2통부재) 26 : 슬리이브
26a : 경사면부 27 : 환상공간
28,43 : 콜레트 29 : 호오스 삽입공간
30 : 고정링 31 : 제1환상돌기
33 : 제2환상돌기 35 : 호오스
46 : 체결링 61 : 중간관계수
본 발명은 관계수 예컨대 내관, 보강층 및 외피 등으로 된 복합 구조를 가진 호오스를 관계수에 체결하는데 있어서, 죔기구 또는 치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사람의 손의 1동작에 의한 이른바 원터치식으로 체결할 수 있고, 또 관계수에 유체압이 가해지지 않을때, 외주부에 기름 등이 묻은 호오스를 삽입하여도 호오스를 잡아당겨 빠지지 않고, 또 관계수를 고압유체용의 기기와 접속하는데 있어서 접속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또 한 호오스가 비틀리지 않는 관계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용압력 30kg/㎠ 이상의 고압유체의 유로에 사용하는 호오스는 내관, 보강층 및 외피 등으로 된 복수의 층부재를 조합한 복합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호오스의 관계수에는 죄는 타입의 것과 죄지않는 타입의 것이 있다.
종래의 죄는 타입의 관계수로서는, 예컨대 제13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것이 있다. 제13도에 있어서, 1은 관계수이고, 관계수(1)는 심철구(2)와 심철구(2)와 심철구(2)에 부착된 죔철구(3)를 가지고 있다. 관계수(1)에 내관(5), 보강층(6) 및 외피(7)로 이루어지는 호오스(8)를 체결하는 경우, 호오스(8)는 관계수(1)의 심철구(2)의 통형상의 심부(2a)와 통형상의 죔철구(3)와의 사이에 삽입되고, 호오스 메이커 등의 공장에 있어서, 죔기구에 의하여 죄어진다. 이 때문에, 이러한 관계수(1)는 관계수(1)에 호오스(8)를 체결하는데 있어서 전용의 죔기구가 필요할 뿐만아니라, 호오스(8)의 길이 조절이 필요하게 되는 배관작업의 현장에 있어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죄지 않는 타입의 것으로서는, 예컨대 제14a도, b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것이 있다. 제14a도, b도에 있어서 11은 관계수로서의 이른바 재사용가능한 철구이고, 재사용가능한 철구(11)는 통형상의 심철구(12)와 심철구(12)의 심부(12a)의 외주의 나사에 나사결합하는 플랜지부(13a)를 가진 죔철구(13)를 가지고 있다. 재사용가능한 철구(11)에 복합구조의 호오스(8)를 체결하는 경우, 먼저 바이스 등을 사용하여 죔철구(13)의 내주의 나사부를 호오스의 외주부에 나사결합으로 부착해두고, 다음에 죔철구(12)의 심부(12a)를 스패너 등으로 호오스(8)의 안쪽에 나사를 꽂아넣어 재사용가능한 철구(11)와 호오스를 체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체결시에 바이스나 스패너 등의 죄어붙임용의 치공구가 필요함과 동시에, 체결에 시간이 걸려, 작업효율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원터치식의 관계수로서는, 예컨대 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본국 실개소 55-98888호 공보, 실공소 61-4796호 공보 등에서 제안된 것이 있다.
제15도에 도시한 원터치식의 관계수(15)는 관형상의 계수본체(16)와, 계수본체(16)내에 삽입된 단층의 튜브(17)에 외접하는 시일부재로서의 0링(18)과, 튜브(17)의 외주부(17)의 외주부에 파고드는 척(19)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튜브(17)내의 유체의 시일은 튜브(17)의 외측으로부터 0링(18)을 압접함으로써 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들 공지의 원터치관계수에 복합구조의 호오스를 체결하면, 호오스의 보강층이 섬유를 편조한 공극이 존재하는 층이기 때문에 호오스내의 유체가 호오스의 단부로부터 보강층내에 침입하여 호오스에 볼록이 생기거나, 또는 유체의 누출이 생기는 등의 결함이 발생한다. 또, 척(19)에 의한 튜브(17)의 파지가 튜브(17)의 바깥쪽을 척(19)의 예리한 클릭형상부(19a)에 의하여 거의 축방향 길이를 가지지 않는 선단부에서 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원터치 관계수(15)는 호오스의 외피를 찢거나 호오스가 빠지는 등의 결함이 발생하고, 복합구조의 호오스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튜브 자체의 내압력이 낮은 것과, 그 원터치 관계수(15)가 주로 상용압력 20kg/㎠ 이하의 단층구조의 튜브용으로 설계되어 있는 것 등의 이유에 의하여 상용압력이 30kg/㎠을 넘는 고압사용에는 견디지 못하는 것이었다.
또, 일본국 실공소 58-17193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는 것이 었다. 이것은 내압에 의하여 미끄럼운동하는 미끄럼운동관의 축방향력에 의하여, 튜브의 안쪽에 위치하는 팽출부와 튜브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클릭이 튜브를 안쪽 및 바깥쪽으로부터 서로 압축하여 걸어맞추는 구조이다. 그러나, 걸어맞춤부재가 거의 축방향 길이를 가지지 않으므로, 유체의 반복 충격압력이 30kg/㎠ 이상을 넘는 경우에는 반복응력이 걸어맞춤부분에 집중하여, 마침내 호오스의 외피가 찢어지거나, 호오스가 빠지는 등의 결함이 생기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고압유체용의 기기의 비관 등에 있어서, 호오스의 일부분에 외상이 생겨서, 호오스의 일부분만을 보수하는 경우, 먼저 호오스의 보수부분을 잘라내고, 남은 양호한 호오스의 2개의 단부에 커넥터를 가체기 등에 의하여 부착한 후, 각각의 호오스의 단부를 접속할 필요가 있었다. 그런데, 가체기 등에 의하여 커넥터를 부착하려면, 기기로부터 한번 호오스를 빼지 않으면 안되고, 또 호오스에 커넥터를 부착한 후, 다시 배관을 해야 할 필요가 있어, 매우 수고와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신품호오스의 경우, 제조가능한 길이를 초과하는 길이의 호오스가 필요한 때에, 호오스는 취급상 및 유지보수상 호오스의 길이가 제한되므로, 중간의 접속 계수가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제1통부재의 대구경부 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2통부재와 대구경부내의 환상 공간내에 경사면부를 가지는 슬리이브 및 그 경사면부에 접촉가능하고 직경을 확대축소할 수 있는 콜레트를 갖추고, 콜레트의 내주부에 호오스의 외경에 대하여 소정의 내경을 가진 날카로운 내주에지를 갖춘 제1환상돌기 및 평탄한 내주정상면을 가진 제2환상돌기를 설치함으로써 관계수내에 호오스를 삽입하여, 소구경부 내에 유체압이 가해지면, 콜레트의 직경이 축소하여 호오스와 체결하도록하여, 호오스와의 체결이 죔기구 및 치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호오스를 삽입하는 1동작만으로 이른바 원터치식으로 체결할 수 있으며, 또 호오스에 손상를 주지않고, 호오스를 비틀지 않고 배관할 수 있어서 배관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소구경내부에 유체압이 가해지지 않을때, 내주에지가 호오스의 외주부에 파고들어 호오스가 당겨지더라도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관계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가지로 검토한 결과, 기름 등으로 외주면이 더러워진 호오스를 관계수에 삽입한 경우, 유체압이 가해지지 않을때, 호오스를 잡아당기면, 호오스가 관계수로부터 빠지는 일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 판명되어, 이것을 해결하는 것에 대하여도 여러가지 검토를 행한 끝에 하기와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본 발명의 관계수는 소구경부 및 소구경부에 연이어 소구경부 보다 구멍직경이 큰 대구경부를 가진 제1통부재와, 외주부에 시일부재를 가진 플랜지부, 플랜지부에 연이은 축부 및 플랜지부와 축부에 형성된 축구멍을 갖추고 제1통부재의 대구경부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축구멍이 소구경부에 연이어 통하는 제2통부재와, 상기 대구경부 및 축부에 의하여 형성된 환상공간내에 설치되어 내주면의 직경이 축방향으로 및 소구경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감소되도록 경사진 경사면부를 가진 슬리이브와, 상기 환상공간내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축부의 외경보다도 큰 내경을 가지고 있어서 축부와의 사이에 호오스 삽입 공간이 형성되고 슬리이브의 경사면부에 접촉가능한 외주면을 가지며 직경의 확대 축소가 가능한 콜레트와, 상기 대구경부내에 슬리이브와 콜레트를 위치시키도록 대구경부에 걸린 걸림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콜레트는 내주부가 예리하고 또한 호오스의 외경과 같거나 호오스의 외경보다도 작은 내경을 가진 내주에지를 갖춘 제1환상돌기와, 제1환상돌기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지며 평탄하고 또 제1환상돌기의 내주에지의 내경과 같거나 내주에지의 내경보다도 큰 내경을 가진 내주정상면을 가진 제2환상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대구경부쪽으로부터 소구경부쪽을 향하여 상기 호오스 삽입공간내에 호오스를 삽입하여 소구경부내의 유체압이 가해지면, 이 유체압이 제2통부재를 축방향으로 및 소구경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콜레트의 외주면이 슬리이브의 경사면부에 접촉하여 콜레트의 직경이 축소되어 호오스가 축부와 콜레트에 의하여 꽉죄어짐과 동시에, 소구경부내에 유체압이 가해지지 않고 호오스를 축방향으로 및 소구경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겼을때, 상기 제1환상돌기의 내주에지가 호오스의 외주부에 파고들어 호오스가 축방향으로 및 소구경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겨져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제2통부재의 축부의 외주부에는 호오스의 내관과의 밀착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시일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콜레트의 부재로서는 폴리아세틸, 나일론6, 나일론66 등의 합성수지, 스틸의 스프링재 등의 금속을 들수 있다. 또, 콜레트는 호오스를 압축하여 죄는 하중하에서, 또는 사용시의 내압력에 의하여 부하가 걸린 상태에서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진 것이면 된다. 또한 콜레트는 직경을 확대ㆍ축소하는 작용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축선방향으로 슬릿을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콜레트는 호오스의 삽입쪽의 단부에 콜레트의 외단에 가까워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개구한 개구면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괸계수는 제1통부재의 대구경부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2통부재와, 대구경부내의 환상공간내에 슬리이브 및 슬리이브의 내주면의 경사면부에 접촉가능한 외주면을 가져서 직경의 축소ㆍ확대가 가능한 콜레트를 갖추고, 콜레트의 내주부가 호오스의 외경에 대하여 소정치수의 내경을 가진 예리한 내주에지를 갖춘 제1환상돌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대구경부측으로부터 소구경부측을 향하여 호오스 삽입공간내에 호오스를 삽입하면, 호오스의 선단부는 제1환상돌기의 내면에지에 맞닿아 콜레트의 직경을 확대하여 제2통부재의 플랜지부에 이른다. 이때, 직경을 확대한 콜레트는 복원력에 의하여 내주에지가 호오스의 외주부에 파고들어, 호오스를 소구경부측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및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겼을때, 내주에지가 호오스의 외주부에 더욱 깊이 파고들어 호오스가 축방향으로 및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져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 콜레트의 내주부가 제1환상돌기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져, 제1환상돌기의 내주에지의 내경에 대하여 소정치수의 내경을 가진 평탄한 내주정상면을 가진 제2환상돌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호오스 삽입 공간내에 호오스를 삽입하여, 소구경부내에 유체압이 가해지면, 이 유체압이 제2통부재를 축방향으로 및 소구경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콜레트의 외주면이 슬리이브의 경사면부에 접촉하여 콜레트의 직경이 축소되고, 콜레트의 내주정상면의 넓은 주위에서 호오스의 외주부에 파고들어, 호오스가 축부와 콜레트에 의하여 꽉죄어져, 호오스와 관계수는 단단히 체결한다. 즉, 호오스를 관계수에 삽입한다는 1동작만으로 유체압이 가해짐으로써 관계수와 호오스는 단단히 체결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관계수에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21은 관계수이고, 관계수(21)는 축방향으로 소구경부를 가진 소구경부(22a) 및 소구경부(22a)에 연이어 소구경부(22a)보다 구멍직경이 큰 대구경부(22b)를 가진 제1통부재로서의 계수본체(22)와, 계수본체(22)의 대구경부(22b)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2통부재로서의 심부재(24)를 갖추고 있다. 심부재(24)는 외주부에 0링(25)을 가진 플랜지부(24a), 플랜지부(24a)에 연이은 축부(24b) 및 플랜지부(24a)와 축부(24b)에 형성된 축구멍(24c)은 소구경부(22a)의 소직경구멍에 연통되어 있다. 26은 슬리이브이고, 슬리이브(26)는 계수본체(22)의 대구경부(22b)와 축부(24b)에 의하여 형성된 환상공간(27)내에서 소구경부(22a)로부터 멀리 있는 개구(22c)쪽에 설치되고, 대구경부(22b)의 내벽에 접하여 단차부(22e)와 개구(22c)의 근방의 둘레홈(22f)에 걸어맞추는 걸림부재로서의 고정링(3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즉, 고정링(30)은 대구경부(22b)내에 슬리이브(26) 및 후술의 콜레트(28)를 위치시키도록 대구경부(22b)의 둘레홈(22f)에 걸어맞추어지고, 슬리이브(26)가 개구(22c)로부터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슬리이브(26)는 내주면의 직경이 축방향으로 및 소구경부(22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감소되도록 경사진 경사면부(26a)를 가지고 있다.
28은 콜레트이고, 통상의 콜레트(28)내에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콜레트(28)는 심부재(24)의 축부(24b)보다도 큰 내경을 가지며, 콜레트(28)와 축부(24b)의 사이에 호오스 삽입공간(29)이 형성되어 있다. 콜레트(28)는 슬리이브(26)의 경사면부(26a)에 접촉가능한 외주면(28a)을 가지며, 슬리이브(26)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할때 직경을 확대ㆍ축소할 수 있고 복원력도 가지고 있다. 콜레트(28)는 제3, 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둘레위에 복수의 축방향 슬릿(28c)이 설치되고, 후술하는 호오스의 압축하여 죄는 하중하에서도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직경의 축소가 확실히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콜레트(28)의 슬리이브(26)쪽의 단부(28e)는 슬리이브(26)쪽 일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개구된 개구면부(28f)를 가지고 있다.
콜레트(28)의 내주부(28d)는 콜레트(28)의 슬리이브(26)쪽의 단부에 예리한 내주에지(31a)를 갖춘 제1환상돌기(31)와, 제1환상돌기(31)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져서 평탄한 내주정상면(33a)을 가진 제2환상돌기(33)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제1환상돌기(31)의 내주에지(31a)의 내경(D31)은 호오스 삽입공간(29)에 삽입되는 호오스(35)의 외경(D35)과 같거나 호오스(35)의 외경(D35)보다도 작다. 이 실시예에서는 작은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제2환상돌기(33)의 내주정상면(33a)의 내경(D33)은 제1환상돌기(31)의 내주에지(31a)의 내경(D31)과 같거나 내주에지(31a)의 내경(D31)보다도 크다. 이 실시예에서는 내경(D33)은 내경(D31)보다도 큰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호오스(35)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내관(36), 보강층(37) 및 외피(38)를 배치한 복합구조의 고압호오스이다. 호오스(35)의 재질은 내관(36)이 나일론수지, 보강층(37)이 폴리에스테르섬유의 1층짜기구조이고, 외피(38)가 폴리우레탄 고무이다.
39는 0링이고, 0링(39)은 심부재(24)의 축부(24b)의 외주부에서 콜레트(28)의 제2환상돌기(33)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삽입된 호오스(35)의 내관과 밀착되어 내관과 축부(24b)의 사이를 밀봉하도록 되어 있다.
호오스(35)가 제2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계수본체(22)의 대구경부(22b)쪽으로부터 소구경부(22a)쪽을 향하여 심부재(24)의 축부(24b)와 콜레트(28)의 사이의 호오스 삽입공간(29)내에 플랜지부(24a)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되어, 소구경부(22a)에 유체압이 가해지지 않고 호오스(35)를 소구경부(22a)쪽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및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겼을때, 제1환상돌기(31)의 내주에지(31a)가 호오스(35)의 외주부(35a)에 파고들어, 호오스(35)가 축방향으로 및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져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있다.
또, 상기한 바와같이, 호오스(35)가 호오스 삽입공간(29)내에 플랜지부(29a)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되어, 소구경부(22a)에 유체압이 가해지면, 제2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유체압이 심부재(24)를 축방향으로 및 소구경부(22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콜레트(28)의 외주면(28a)이 슬리이브(26)의 경사면부(26a)에 접촉하여 콜레트(28)이 직경이 축소되고, 호오스(35)가 축부(24b)와 콜레트(28)에 의해 꽉죄어지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호오스(35)가 제2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계수본체(22)의 대구경부(22b)쪽으로부터 소구경부(22a)쪽을 향하여 호오스 삽입공간(29)내에서 축부(24a)와 콜레트(28)의 사이에 삽입되면, 호오스(35)의 단부(35b)는 콜레트(28)의 슬리이브(26)쪽의 단부(28e)의 개구면부(28f)에 맞닿아서 콜레트(28)의 단부(28e)를 넓혀서 직경을 확대하여 삽입되어, 플랜지부(24a)에 맞닿는다. 콜레트(28)는 내주부(28d)에 호오스(35)의 외경(D35)보다 작은 내경(D31)으로된 내주에지(31a)를 가진 제1환상돌기(31)를 갖추고 있으므로, 호오스(35)는 콜레트(28)의 복원력에 의하여 내주부(28d)의 내주에지(31a)에 걸어맞춘다. 소구경부(22a)내에 유체압이 가해지지 않고 호오스(35)를 축방향으로 및 소구경부(22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내주부(28d)가 호오스(35)의 외주부(35a)에 파고들어, 호오스(35)가 축방향으로 및 소구경부(22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져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문에, 호오스(35)의 부착작업시에 예컨대 호오스(35)의 외주부(35)에 기름 등이 묻어도 호오스(35)는 관계수(21)에 충분히 파고들어, 호오스(35)가 빠지는 일은 없다.
또, 콜레트(28)는 내주부(28d)에 내주에지(31a)의 내경(D31)보다 큰 내경(D33)을 가지는 제2환상돌기(33)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2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구경부(22a)내에 유체압이 가해지면, 이 유체압이 심부재(24)를 소구경부(22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콜레트(28)의 외주면(28a)이 슬리이브(26)의 경사면부(26a)에 접촉하여, 콜레트(28)가 슬릿(28c)의 간극을 좁혀서 직경을 축소하고, 제2환상돌기(33)의 폭넓은 복수의 내주정상면(33a)이 호오스(35)의 외주부(35a)에 넓은 둘레면으로 파고든다. 호오스(35)는 충분히 죄어지면서 개구(22c)쪽으로 이동하고, 호오스(35)는 충분히 꽉죄어져서 호오스(35)내의 유체는 새어나오는 일이 없다. 또, 제2환상돌기(33)의 내주 정상면(33a)이 폭넓은 면으로 되고, 폭넓은 면에서 호오스(35)의 외주부(35a)에 파고 들어가 압접하므로 호오스(35)의 외주부(35a)가 파손되거나, 상처가 나는 일은 없다. 호오스(35)는 관계수(21)의 소구경부(22a)내의 내압에 의해서만 죄어져 관계수(21)에 원터치식으로 꽉죄어진다. 따라서, 죔용의 기기 및 기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죔작업이 극히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 관계수(21)를 고압유체용의 기기에 접속할때, 호오스(35)를 심부(24)의 축부(24b)와 콜레트(28)사이에 삽입하여 호오스(35)와 관계수(21)가 걸어맞춤 상태에 있어서는, 호오스는 심부재(24)에 대하여 또는 계수본체(2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므로, 관계수(21)는 호오스(35)를 비틀지 않고 계수본체(22)를 회전하에 기기의 접속부에 나사를 꽂아 접속가능하다.
또 호오스(35)와 관계수(21)는 체결후라도, 내압을 무부하로하면, 호오스(35)는 슬리이브(26)와 함께 계수본체(22)에 대하여 회전능하므로, 관계수(21)는 호오스(35)를 비틀지않고도 기기의 접속부에 나사를 꽂아 접속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관계수의 제2실시예의 콜레트(40)을 도시한 도면이고, 콜레트(40) 이외는 제1실시예와 같다.
제5도에서 제1실시예와 같은 구성부품에는 같은 부호를 붙인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환상돌기(31)가 콜레트(40)의 내주부(28d)의 축방향중앙부에 설치되고, 제2환상돌기(33)가 제1환상돌기(31)에서 축방향 양쪽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경우이다. 콜레트(40)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콜레트(28)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도~제9도는 본 발명에 관한 관계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 관계수(41)가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슬리이브(26) 및 고정링(30) 대신에, 슬리이브(26)와 고정링(30)을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제9도에 도시한 고정나사(45)로 하고, 고정나사(45)를 대구경부(22b)의 개구(22c)의 근방에 나사고정함과 동시에, 제8a도 및 제8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콜레트(28) 대신에 콜레트(28)를 단면대형상으로하여, 축방향의 절결부(46a)을 가진 체결링(46)으로 한 경우이다. 체결링(46)은 단면형상의 양측면의 직경이 대형의 중심으로부터 축방향의 바깥쪽으로 감소하도록 경사지고, 축선에 대한 각도가 약 60℃로 바깥쪽으로 향한 외측면부(46b)를 가지고 있다. 체결링(46)의 내주부(46c)는 제1환상돌기(31) 및 제2환상돌기(33)로 구성되며, 제1환상돌기(31)는 축방향에서 소구경부(22a)로부터 멀어지는 쪽에 설치하며, 제2환상돌기(33)는 제1환상돌기(31)로부터 소구경부(22a)에 가까워지는 쪽에 3개 설치한 경우이다. 체결링(46)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환상돌기(31)를 축방향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제6도에 있어서 심부재(24)의 플랜지부(24a)에는 플랜지(24a)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통상의 통부(24e)가 설치되어 있다. 통부(24e)는 체결링(46)의 소구경부(22e)쪽의 외측면부(24b)에 접촉가능한 내주면부(24f)를 가지고 있다. 상기한 것이외는 제1실시예와 같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관계수가 고압유체용의 기기의 부착나사 구멍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나사를 계수본체(22)의 소구경부(22a)에 가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11도, 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2개의 호오스(35)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중간관계수(61)라도 좋다. 중간관계수(61)는 도면의 중심선(c)에 대하여 각 구성부품을 좌우대칭이 되도록 되어있는 것으로서, 좌우의 관계수(61A, 61B)는 중앙의 소구경구(22a)에 의하여 각각의 소구경이 연통하도록 일체적으로 연결한 것이외는 제1실시예와 같다.
제11도는 중앙선(c)의 오른쪽은 호오스(35)를 관계수(61B)에 삽입하여 걸어맞춤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제12도는 내압이 부하되어, 호오스(35)의 단부(35a)와 관계수(61B)가 단단히 체결된 것으로 된 것이다. 이 중간관계수(61)에 의하면, 호오스에 외상이 생겼을 때에 외상부를 절제하여 중간관계수(61)를 통하여 호오스의 재연결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종래의 접속시와 같이, 죔기구, 나사부 및 스패너를 걸기위한 6각구멍의 치공구 등이 불필요하게 된다. 호오스를 접속하기위해서는 이 중간관계수에 양쪽으로부터 호오스(35)를 각각 삽입하는 것만으로 좋으므로, 호오스의 접속은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운송시의 단위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통부재의 대구경부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2통부재와, 대구경부내의 환상공간내에 경사면부를 가진 슬리이브 및 그 경사면부에 접촉가능하고 직경을 확대ㆍ축소할 수 있는 콜레트를 갖추고, 콜레트의 내주부에 호오스의 외경에 대하여 소정의 내경을 가진 날카로운 내주에지를 갖춘 제1환상돌기 및 평탄한 내주정상면을 가진 제2환상돌기를 설치함으로써 관계수내에 호오스를 삽입하고, 소구경부내에 유체압이 가해지면, 콜레트의 직경이 축소하여 호오스와 체결하도록하여 호오스와의 체결이 죔기구 및 치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호오스를 삽입할 수 있는 1동작만으로 이른바 원터치식으로 체결할 수 있고, 또 호오스에 손상을 주지않고 호오스를 비틀지 않고 배관할 수 있으며, 배관의 작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소구경부내에 유체압이 가해지지 않을 때, 내주에지가 호오스의 외주부에 파고드는 호오스가 당겨져도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소구경부(22a) 및 소구경부(22a)에 연이어 소구경부(22a)보다 구멍의 직경이 큰 대구경부(22b)를 가진 제1통부재(22)와, 외주부에 시일부재(25)를 가진 플랜지부(24a), 플랜지부(24a)에 연이은 축부(24b) 및 플랜지부(24a)와 축부(24b)에 형성된 축구멍(24c)을 갖추고 제1통부재(22)의 대구경부(22b)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축구멍(24c)이 소구경부(22a)에 연이어 통하는 제2통부재(24)와, 상기 대구경부(22b)와 축부(24b)에 의하여 형성된 환상공간(27)내에 설치되어 내주면의 직경이 축방향으로 및 소구경부(22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감소하도록 경사진 경사면부(26a, 45a)를 가진 슬리이브(26, 45)와, 상기 환상공간(27)내에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축부(24b)의 외경보다도 큰 내경을 가지고 있어서 축부(24b)와의 사이에 호오스 삽입공간(29)이 형성되고 슬리이브(26, 45)의 경사면부(26a, 45a)에 접촉가능한 외주면(28a)을 가지며 직경의 확대ㆍ축소가 가능한 콜레트(28, 46)와, 상기 대구경부(22b)내에 슬리이브(26, 45) 및 콜레트(28, 46)를 위치시키도록 대구경부(22b)에 걸린 걸림부재(30, 45)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콜레트(28, 46)는 내주부가 예리하고 또한 호오스(35)의 외경(D35)과 같거나 호오스(35)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D31)을 가지는 내주에지(31a)를 갖춘 제1환상돌기(31)와, 제1환상돌기(31)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져서 평탄하고 또 제1환상돌기(31)의 내주에지(31a)의 내경과 같거나 내주에지(31a)의 내경보다 큰 내경(D33)을 가진 내주정상면(33a)을 가진 제2환상돌기(33)를 구비하고, 상기 대구경부(22b)쪽으로부터 소구경부(22a)쪽을 향하여 상기 호오스 삽입공간(29)내에 호오스(35)를 삽입하여 소구경부(22a)내에 유체압이 가해지면, 이 유체압이 제2통부재(24)를 축방향으로 및 소구경부(22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콜레트(28, 46)의 외주면(28a)이 슬리이브(26, 45)의 경사면부(26a)에 접촉하여 콜레트(28, 46)의 직경이 축소되어 호오스(35)가 축부(24b)와 콜레트(28, 46)에 의하여 꽉죄어짐과 동시에, 소구경부(22a)내에 유체압이 가해지지 않고 호오스를 축방향으로 및 소구경부(22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겼을때, 상기 제1환상돌기(31)의 내주에지(31a)가 호오스(35)의 외주부(35a)에 파고들어 호오스(35)가 축방향으로 및 소구경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져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계수.
  2. 제1항에 있어서, 슬리이브(26, 45)와 걸림부재(30, 45)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계수.
KR1019900015548A 1990-09-28 1990-09-28 관계수 KR940009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5548A KR940009347B1 (ko) 1990-09-28 1990-09-28 관계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5548A KR940009347B1 (ko) 1990-09-28 1990-09-28 관계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677A KR920006677A (ko) 1992-04-28
KR940009347B1 true KR940009347B1 (ko) 1994-10-07

Family

ID=19304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5548A KR940009347B1 (ko) 1990-09-28 1990-09-28 관계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93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677A (ko) 199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8375A (en) Quick attach, reusable hose fittings
JPH01153891A (ja) 管継手
US3055682A (en) Adjustment fitting for reinforced hose in which a seal is maintained during adjustment
US3150889A (en) Coupling with rigidly fixed sealing ring
US3030130A (en) Fitting for flexible conduit
JP2642387B2 (ja) 圧力機器のホース接続構造
JP2004526911A5 (ko)
US5472244A (en) Plastic coupling for plastic tubing
CA2049741C (en) High pressure port fitting system
US5150925A (en) Hose fitting
CA2698587C (en) Sealable drain pipe coupling
US6494233B2 (en) Insert with connecting outlet, particularly for flexible hoses for hydraulic and industrial applications
US3030129A (en) High pressure fitting for flexible conduits
KR940009347B1 (ko) 관계수
US2974980A (en) Reusable hose end coupling
US5149145A (en) Hose fitting
KR200325060Y1 (ko) 원 터치 배관 연결구조
JP2758019B2 (ja) 管継手
JPH0262498A (ja) 管継手
JPH03249496A (ja) 管継手
KR200210909Y1 (ko) 호스 연결구
JPH01279194A (ja) 管継手
JPH1019176A (ja) 管継手
RU2156396C2 (ru)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напорного рукава с ниппелем
JPH011775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