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548Y1 - 콘트롤 박스가 착탈가능한 모니터 - Google Patents

콘트롤 박스가 착탈가능한 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548Y1
KR940008548Y1 KR2019910022805U KR910022805U KR940008548Y1 KR 940008548 Y1 KR940008548 Y1 KR 940008548Y1 KR 2019910022805 U KR2019910022805 U KR 2019910022805U KR 910022805 U KR910022805 U KR 910022805U KR 940008548 Y1 KR940008548 Y1 KR 9400085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control box
circuit board
contro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2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159U (ko
Inventor
김재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2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8548Y1/ko
Publication of KR9300171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1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5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5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트롤 박스가 착탈가능한 모니터
제1도는 종래의 모니터에 콘트롤 박스가 일체로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제3도는 이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4도는 이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트롤 패널 1a, 1b : 관통공
1c : 가이드편 1d : 고정편
2 : 회로기판 2a : 컨넥터
2b : 돌기 3 : 브라켓
3a : 나사공 3b : 관통공
3c : 장홈 3d : 홈
3e, 3f : 체결부재 4 : 모니터
4a, 4b : 나사공 4c : 케이블
4d, 4e, 4f : 컨넥터 5 : 콘트롤 박스
이 고안은 전기·전자제품의 모니터의 콘트롤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국이나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모니터의 콘트롤 박스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의 고정작업이 용이하고 콘트롤 박스를 모니터의 전. 후방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모니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콘트롤 박스가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용되는 모니터(1)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 및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P)등과 같은 각종 전기·전자제품의 기기본체를 구성하고 모니터(1)의 전방 하부에 각종 모드변환버튼(1a)과 스위치(1b)등이 장착된 콘트롤 박스(1c)가 연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콘트롤 박스(1c)가 일체로 장착된 모니터(1)를 높은 위치에 올려 놓고 시청하거나 멀티비젼을 사용하게 될때에는 의자등의 물체를 이용하어 상기 콘트롤 박스(1c)가 도드 변환버튼(1a)을 조작해야 함으로써 사용상의 불편함이 뒤따르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무선 리모콘이 갖추어진 모니터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멀티비젼이나 다수의 모니터가 같은 공간안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 모니터를 제어하고자 할때에는 무선 리모콘으로부터 발신되는 신호가 모든 모니터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무선 리모콘을 유효하게 사용할수 없게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콘트롤 박스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을 고정하는 경우 나사등의 체결부재로서 고정시켜 결합하고 분리시에는 상기 체결부재를 풀어서 분해를 시키게 됨으로써 조립공수가 많아져 제품의 가격상승의 원인을 제공하는 또다른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모니터의 콘트롤 박스에 내장되는 회로기판을 나사등의 체결방식이 아닌 끼워맞춤으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이로인한 조립공수를 줄여 제품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있는 것이다.
한편, 이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모니터의 전, 후방에 케이블을 이용하여 콘트롤 박스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하여 같은 공간에 존재하는 다수의 모니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콘트롤 박스가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모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특징은, 전기·전자제품의 모니터의 진방하부에 콘트롤 박스를 착탈가능하도록 장착함에 있어서, 전면에 스위치와 각종 도드 변환버튼이 장착된 콘트롤 폐널의 후방에 컨넥터가 상면 일측에 형성된 회로기판과 형합하는 브라켓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콘트롤 박스와, 상기 콘트롤 박스가 전방 하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체결부재로서 고정되는 모니터와, 일단부는 상기 콘트롤 패널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모니터에 연결되는 케이블과로 이루어진것이다.
이하, 이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와 제3도는 이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분해사시도와 단면도로서, 전면에 스위치(1e)와 각종 모드 변환버튼(1f)이 장착되는 콘트롤 페널(1)의 양측에 관통공(1a),(1b)을 형성하고 후방 안쪽으로는 홈(도시되지 않음)을 갖는 가이드핀(1c)과 나사공(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고정편(1d)을 각각 용접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면에 컨텍터(2a)와 각종 회로부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다수의 돌기(2b)가 후방으로 일체로 형성된 회로기판(2)을 상기 콘트롤 패널(1)에 형성된 가이드편(1c)의 홈에 끼우는 한편, 후면의 소정위치에 장홈(3c)과 다수의 홈(3d)이 형성된 브라켓(3)을 상기 회로기판(2)과 형합시켜서 양측에 형성된 관통공(3b)을 상기 콘트롤 패널(1)에 형성된 고정편(1d)의 나사공에 일치시키어 체결부재(3e), (3f)를 이용하여 회로기판(2)이 콘트롤 패널(1)에 장착되도록 고정한다.
또한, 상기 콘트롤 패널(1)에 형성된 관통공(1a),(1b)과 모니터(4)의 전방 하부에 형성된 나사공(4a), (4b)을 일치시켜 체결부재(1g),(1h)로서 콘트롤 박스(5)를 모니터(4)에 고정시킨다.
한편, 콘트롤 박스(5)의 후방 일측에 형성된 컨넥터(2a)와 모니터(4)의 전, 후방 소정위치에 형성된 콘텍터(4d), (4e)를 다른 컨넥터(4f)를 갖는 케이블(4c)로서 연결되도록 하였다.
이와같은 이 고안의 콘트롤 박스가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모니터는 모니터(4)를 테이블이나 사용자의 가까운 위치에 놓고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모니터(4)의 전방 하부에 콘트롤 박스(5)를 장착한 상태에서 각종모드 변환버튼(1f)을 조작하여서 모니터(4)를 제어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모니터가 멀리떨어지게 설치되는 경우나 같은 공간에 다수의 모니터가 설치되어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모니터(4)의 진방 하부에 콘트롤 박스(5)를 고정한 체결부재(1g), (1h)를 풀어서 모니터(4)로부터 콘트롤 박스(5)를 분리하고, 케이블(4c)의 일단부를 상기 콘트롤 박스(5)의 후방일측에 형성된 컨넥터(2a)에 연결하고 타단부는 모니터(4)의 후방 일측에 형성된 컨넥터(4e)에 연결하여서 콘트롤 박스(5)의 각종 도드 변환버튼(1f)을 조작하여 모니터(4)를 제어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콘트롤 박스(5)의 컨넥터(2a)에 연결되는 케이블(4c)의 일단부를 모니터(4)의 전방하부에 형성된 컨넥터(4d)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모니터(4)에 연결되는 콘트롤 박스(5)의 연결선택의 범의를 넓혀주었다.
그리고, 모니터(4)로부터 콘트롤 박스(5)를 분리하고 케이블(4c)의 일단부를 모니터(4)의 후방일측에 형성된 컨넥터(4e)와 연결하고 타단부는 컴퓨터(도시하지 않음)의 후방 통신 컨넥터에 연결하여 컴퓨터의 프로그램으로 모니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모니터가 광범위하게 사용될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다수의 모니터를 컴퓨터 한대로 제어하고자 할때에는 컴퓨터와 각각의 모니터 사이에 인터페이스 아답터를 중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이 고안은 콘트롤 박스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의 고정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여 이로인한 조립공수를 줄임으로써 인건비를 줄이고 같은 공간에 존재하는 다수의 모니터를 콘트롤 박스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킨 것이다.

Claims (3)

  1. 전기·전자제품의 모니터의 전방 하부에 콘트롤 박스를 착탈가능하도록 장착함에 있어서, 전면에 스위치(1e)와 각종 모드 변환버튼(1f)이 장착된 콘트롤 패널(1)의 후방에 컨넥터(2a)가 상면 일측에 형성된 회로기판(2)과 형합하는 브라켓(3)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콘트롤 박스(5)와, 상기 콘트롤 박스(5)가 전방 하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체결부재(1g), (1h)로서 고정되는 모니터(4)와, 일단부는 상기 콘트롤 패널(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모니터(4)에 연결되는 케이블(4c)과, 로 이루어지는 콘트롤 박스가 착탈가능한 모니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2)은 후방으로 다수의 돌기(2b)가 형성되며 이와 형합하는 브라켓(3)의 소정위치에 다수의 홈(3d)이 형성되는 콘트롤 박스가 착탈가능한 모니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4c)의 일단부는 상기 콘트롤 박스(5)의 컨넥터(2a)와 연결되고 케이블(4c)의 타단부는 상기 모니터(4)의 전. 후방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컨넥터(4d), (4e)에 연결되는 콘트롤 박스가 착탈가능한 모니터.
KR2019910022805U 1991-12-19 1991-12-19 콘트롤 박스가 착탈가능한 모니터 KR9400085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2805U KR940008548Y1 (ko) 1991-12-19 1991-12-19 콘트롤 박스가 착탈가능한 모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2805U KR940008548Y1 (ko) 1991-12-19 1991-12-19 콘트롤 박스가 착탈가능한 모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159U KR930017159U (ko) 1993-07-29
KR940008548Y1 true KR940008548Y1 (ko) 1994-12-22

Family

ID=19324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2805U KR940008548Y1 (ko) 1991-12-19 1991-12-19 콘트롤 박스가 착탈가능한 모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85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698B1 (ko) * 2002-03-27 2004-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Lcd모니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698B1 (ko) * 2002-03-27 2004-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Lcd모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159U (ko) 199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8548Y1 (ko) 콘트롤 박스가 착탈가능한 모니터
KR100248514B1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100317006B1 (ko) 전자제품의전원플러그
CN214068592U (zh) 一种家具开关及沙发
JPH0856318A (ja) 表示部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0139030Y1 (ko) 디지트론 고정장치
KR200161362Y1 (ko) 전자제품용 파워버튼
JPH0530261Y2 (ko)
KR19980030052U (ko) 모니터의 잭브래킷
KR0133881Y1 (ko) 가전제품의 잭 커버장치
KR200160560Y1 (ko) 인쇄회로기판 고정구를 구비한 텔레비전용 노브장치
KR200161360Y1 (ko) 조립이 용이한 전자제품용 파워버튼
KR200154488Y1 (ko) 분리 가능한 비디오 비전
JPH0614336Y2 (ja) スイッチ
JP2001188651A (ja) 表示操作装置
KR19990028446U (ko) 텍트스위치와 일체로 된 콤팩트한 전자제품의 파워버튼장치
KR19990001419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JPS6325801Y2 (ko)
KR200265686Y1 (ko) 착탈 가능한 텔레비젼 입력단자판
KR200163937Y1 (ko) 전자제품의 노브 이탈 방지구조
KR20000011116U (ko) 다기능 모니터
KR19990023664U (ko) 조립이 용이한 전자제품용 버튼장치
KR20000005597U (ko) 텔레비젼 캐비넷의 버튼 결합장치
KR19980066869U (ko) 텔레비젼 버튼스위치의 인쇄회로기판 결합장치
KR19980018320U (ko) 가변 av단자를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