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1419U -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1419U
KR19990001419U KR2019970014873U KR19970014873U KR19990001419U KR 19990001419 U KR19990001419 U KR 19990001419U KR 2019970014873 U KR2019970014873 U KR 2019970014873U KR 19970014873 U KR19970014873 U KR 19970014873U KR 19990001419 U KR19990001419 U KR 199900014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pusher
pressing plate
front pane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48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택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700148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1419U/ko
Publication of KR199900014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419U/ko

Links

Landscapes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프론트 패널에 형성된 설치구멍 보다 작은 지름의 노브가 누름판에 고정되지 않고 단순히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조립되므로 노브가 설치구멍의 중심에 정확시키는 작업이 난해하며, 또한 사용중 노브가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프론트 패널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설치구멍 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하고, 배면 바깥 부분에 하나 이상의 안내홈(21)을 형성한 노브(20)와; 상기 노브(20)의 안내홈(21)이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의 안내핀(33)을 돌출형성하고, 각각의 안내핀(33) 배면방향에는 푸셔(32)를 형성하며, 이 푸셔(32)의 안쪽으로는 다수개의 텐션리브(34)를 형성하고, 상기 푸셔(32)의 바깥 부분에는 다수개의 결합구멍(31)을 형성한 누름판(30);을 구비하여 누름판의 안내핀에 의해 안내되는 노브를 형성하여 노브가 설치구멍의 중심에 정확히 위치시키게 된다.
따라서, 간편하게 노브의 조립과 위치 설정작업이 이루어지면서 노브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본 고안은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브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면서 설치구멍의 중심에 자동으로 위치할 수 있는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은 그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의 기능선택 노브가 장착되어 전자제품의 기능을 설정하게 되는 것으로, 전자제품의 예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ideo cassette recorder)를 살펴보면,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파워(power), 플레이(play), 이젝트(eject), 리뷰(review) 등과 같은 모드(mode)는 사용자에 의한 기능선택 노브의 조작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자제품의 일예로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는 메인 섀시(main chassis;MC)의 전면에 프론트 패널(front panel;10)이 장착되고, 이 프론트 패널(10)상에는 다수의 노브 조립체가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브 조립체의 조작에 의해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의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 섀시(MC)의 바닥에는 도시되지 않은 메인 회로기판(PM)이 장착되며, 프론트 패널(10)의 배면에 프론트 회로기판(FP)이 수직으로 장착된다. 프론트 회로기판(FP)의 전면에는 노브 조립체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도시하지 않은 택트 스위치(tact switch;TS) 등과 같은 전자부품이 장착되어 전자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노브 조립구조는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패널(10)의 전면에 다수개의 설치구멍(11)이 형성되고, 이 설치구멍(11)이 형성된 프론트 패널(10)의 배면 상하부에는 결합핀(12)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설치구멍(11)에는 프론트 패널(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20)가 삽입되며, 이 노브(20)는 배면에 호 형상의 탄성리브(22)가 다수개 형성되고, 이 탄성리브(22)의 안쪽으로는 긴 원통형상의 푸셔(32)가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노브(20)에는 이 노브(20)를 견고하게 받쳐주는 누름판(30)이 프론트 패널(10)의 배면방향에서 끼워 조립되며, 이 누름판(30)은 상기한 노브(20)의 푸셔(32)를 안내하도록 안내구멍(33)을 다수개 형성하고, 이 안내구멍(33)의 외측에는 다수개의 결합구멍(31)을 형성하여 프론트 패널(10)의 결합핀(12)과 용착, 즉, 결합핀(12)의 끝 부분을 녹여 상기한 누픔판을 조립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누름판(30)의 배면 방향으로는 프론트 회로기판(FP)이 구비되며, 이 프론트 회로기판(FP)에는 상기한 노브(20)의 푸셔(32)와 접촉되는 부분에 각각이 택트스위치(TS)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한 노브(20)를 사용자가 누르게 되면, 이 노브(20)는 배면에 형성된 호 형상의 탄성리브(22)에 의해 후방으로 눌려지므로, 이 노브(20)의 배면에 형성된 푸셔(32)가 누름판(30)에 형성된 안내구멍(33)에 의해 안내되면서 프론트 회로기판(FP)에 장착된 택트스위치(TS)를 눌러주므로 사용자가 선택한 노브(20)의 기능이 설정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노브 조립구조는 프론트 패널(10)과 누름판(30) 사이에 위치되는 노브(20)가 누름판(30)에 형성된 안내구멍(33)과 노브(20)에 형성된 탄성리브(22)에 의해 위치가 설정되므로,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에서 조립된 노브(20)를 볼 경우, 노브(20)가 설치구멍(11)의 중심에 정확하게 위치되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치게 조립되며, 더욱이 상기한 노브(20)는 프론트 패널(10)이나 누름판(30)에 고정되어 있지 않음으로 노브(20) 사용중 노브(20)가 프론트 패널(10)의 외부로 이탈되는 등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 등의 전자제품의 상품성과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상기한 노브(20)는 누름판(30)에 형성된 안내구멍에 삽입되므로 노브(20)의 위치가 설치구멍(11)상에서 설정된다. 그러나, 누름판(30)의 안내구멍(33)은 노브(20)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노브(20)의 푸셔(32)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므로 이 안내구멍(33)에 삽입된 노브(20)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앉게 되어 작업자는 누름판(30)을 윗방향으로 이동시켜 노브(20)를 설치구멍(11)의 중심에 위치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노브의 조립구조는 노브(20)에 형성된 푸셔(32)와 누름판(30)에 형성된 안내구멍(33)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지 않음으로 노브(20)를 프론트 패널(10)의 설치구멍(11)에 정확히 일치시키는 작업이 매우 난해하며, 더욱이 노브(20)의 윗 부분을 누르는 경우, 푸셔(32)의 저면과 안내구멍(33)이 접촉된 상태에 의해 노브(20)가 자연스럽게 눌려지지 못하는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누름판의 안내핀에 의해 안내되면서 설치구멍이 형성된 프론트 패널의 배면부 걸려져 노브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면서 설치구멍의 중심에 자동으로 위치할 수 있는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전자제품의 일예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노브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노브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 2의 좌측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노브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노브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 4a의 좌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노브에 설치된 누름판을 나타낸 배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론트패널 11; 설치구멍
12; 결합핀 20; 노브
21; 안내홈 30; 누름판
31; 결합구멍 32; 푸셔
33; 안내핀 34; 텐션리브
FP; 프론트 회로기판 TS; 택트스위치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는 프론트 패널의 외부로 노출되며, 설치구멍 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하고, 배면 바깥 부분에 하나 이상의 안내홈을 형성한 노브와; 노브의 안내홈이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의 안내핀을 돌출형성하고, 각각의 안내핀 배면방향에는 푸셔를 형성하며, 이 푸셔의 안쪽으로는 다수개의 텐션리브를 형성하고, 푸셔의 바깥 부분에는 다수개의 결합구멍을 형성한 누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노브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노브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 a의 좌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노브에 설치된 누름판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 및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패널(10)의 전면에는 하나 이상의 설치구멍(11)이 형성되고, 상기한 프론트 패널(10)의 배면에는 설치구멍(11)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결합핀(12)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설치구멍(11)에는 프론트 패널(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20)가 삽입되며, 이 노브(20)는 프론트 패널(10)에 형성된 설치구멍(11) 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하고, 배면 바깥 부분에 하나 이상의 안내홈(21)을 형성한다.
또한, 이 노브(20)의 배면에 형성되는 안내홈(21)은 노브(20)가 3가지 기능을 가지는 경우 3개의 안내홈(21)을 형성하는 등 노브(20)의 기능 수(數)에 따라 대응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노브(20)에는 이 노브(20)를 견고하게 받쳐주는 누름판(30)이 프론트 패널(10)의 배면방향에서 끼워져 조립되며, 이 누름판(30)은 노브(20)의 안내홈(21)과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의 안내핀(33)을 돌출형성하고, 각각의 안내핀(33) 배면방향에는 푸셔(32)를 형성하며, 이 푸셔(32)가 형성되는 위치는 가급적 안내핀(33)의 중심방향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품에 따라 약간의 오차가 발생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푸셔(32)의 안쪽에는 다수개의 텐션리브(34)를 형성하고, 푸셔(32)의 바깥 부분에는 다수개의 결합구멍(31)을 형성하여 프론트 패널(10)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핀(12)과 용착, 즉, 결합핀(12)의 끝 부분을 녹여 상기한 누름판(30)을 조립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누름판(30)의 배면 방향에는 프론트 회로기판(FP)이 구비되며, 이 프론트 회로기판(FP)에는 상기한 노브(20)의 푸셔(32)와 접촉되는 부분에 각각이 택트스위치(TS)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프론트 패널(10)의 외부로 노출된 노브(20)의 윗 부분을 먼저 누르게 되면, 이 노브(20)는 배면 상부에 형성된 안내홈(21)에 누름판(30)의 안내핀(33)이 삽입되면서 이 안내핀(33)의 배면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푸셔(32)가 도 4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프론트 회로기판(FP)에 장착된 택트스위치(TS)를 눌러, 이 택트스위치(TS)를 작동시키므로 사용자가 선택한 노브(20)의 기능이 수행된다.
즉,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노브(20)는 평상시, 노브(20)의 배면에 형성된 안내홈(21)에 누름판(30)의 안내핀(33)이 약간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르게 되면, 누름판(30)의 안내핀(33)이 노브(20)의 안내홈(21)에 완전히 삽입된 후, 안내핀(33)이 주변이 누름판(30)의 텐션리브(34)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후방으로 눌려지게 된다. 따라서, 안내핀(33)의 배면에 형성된 푸셔(32)는 후방으로 움직이게 되어 프론트 패널(10)에 장착된 택트스위치(TS)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노브(20)의 아랫 부분을 누르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더욱이 이러한 노브(20)는 전체적인 지름이 프론트 패널(10)의 설치구멍(11)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빈번한 사용이나 유아 및 어린이가 강제로 노브(20)를 잡아 당기는 경우에도 노브(20)가 설치구멍(11)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노브(20)는 작업자가 누름판(30)의 안내핀(33)에 끼우는 작업만으로 설치구멍(11)의 중심에 정확히 위치하게 되어 노브(20)의 조립작업이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나 오디오 등과 같은 각종 가전제품과 전자,전기 제품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누름판의 안내핀에 의해 안내되는 노브를 형성하여 노브가 설치구멍의 중심에 정확히 위치시키므로 작업자가 설치구멍상에서 노브의 위치를 조절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노브의 조립과 위치 설정작업이 이루어져 노브의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설치구멍 보다 큰 지름의 노브에 의해 빈번히 사용되거나 외부에서 노브를 잡아당기는 경우에도 이 노브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프론트 패널의 설치구멍상에 조립되어 프론트 회로기판의 택트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노브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설치구멍 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하고, 배면 바깥 부분에 하나 이상의 안내홈(21)을 형성한 노브(20)와;
    상기 노브(20)의 안내홈(21)이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의 안내핀(33)을 돌출형성하고, 각각의 안내핀(33) 배면방향에는 푸셔(32)를 형성하며, 이 푸셔(32)의 안쪽으로는 다수개의 텐션리브(34)를 형성하고, 상기 푸셔(32)의 바깥 부분에는 다수개의 결합구멍(31)을 형성한 누름판(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2019970014873U 1997-06-19 1997-06-19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199900014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873U KR19990001419U (ko) 1997-06-19 1997-06-19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873U KR19990001419U (ko) 1997-06-19 1997-06-19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419U true KR19990001419U (ko) 1999-01-15

Family

ID=69686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4873U KR19990001419U (ko) 1997-06-19 1997-06-19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141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9058B1 (en) Operating device having operating button adapted to slide in housing while being pushed to effect switching operation
KR100248514B1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19990001419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200163937Y1 (ko) 전자제품의 노브 이탈 방지구조
KR19990009676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200167626Y1 (ko) 누름 스위치의 오동작 방지 장치
KR20000012466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200160484Y1 (ko)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KR19990014593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19990008540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19990009669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19990013593U (ko) 전자제품용 노브
KR19990009677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19990003027U (ko)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KR19990003028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연동 방지구조
KR200167625Y1 (ko) 누름 스위치의 오동작 방지 장치
KR19990018626U (ko)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
KR20000013863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19990001421U (ko) 전자제품용 노브연동 방지구조
KR19990001430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연동방지 구조
KR20000002973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연동방지구조
KR19990009667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20000007964U (ko) 전자제품용 노브조립체의 조립구조
KR19990018615U (ko)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
KR19990009671U (ko)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