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9677U -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677U
KR19990009677U KR2019970022977U KR19970022977U KR19990009677U KR 19990009677 U KR19990009677 U KR 19990009677U KR 2019970022977 U KR2019970022977 U KR 2019970022977U KR 19970022977 U KR19970022977 U KR 19970022977U KR 19990009677 U KR19990009677 U KR 199900096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antistatic
rib
button
assembl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2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교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22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9677U/ko
Publication of KR199900096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677U/ko

Links

Landscapes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설치구멍의 원둘레에 정전기방지리브가 배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노브의 버튼부가 충분히 후방으로 눌려지지 못하고, 버튼의 외주면이 정전기방지리브의 양쪽 끝 부분에 걸리기 때문에 노브의 버튼 지름을 설치구멍 보다 현저하게 작게 형성하므로 노브가 설치되는 전자제품의 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설치구멍(21)의 배면 둘레에 배면방향으로 짧게 돌출되는 정전기방지리브(23)를 형성하고, 노브(30)의 지지판(32) 중앙 윗부분에는 정전기방지리브(23)의 배면중앙 윗부분과 접촉되도록 걸림턱(36)을 형성하여 설치구멍(21)에 삽입.장착된다.
따라서 노브의 버튼부와 설치구멍의 간격이 적으므로 노브가 설치된 전자제품의 전면 외관을 향상시키게 되고, 또한 사용자는 접촉저항이 없이 자연스럽게 눌려지는 노브에 의해 보다 부드러운 감각을 느끼게 되는 등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본 고안은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론트패널의 설치구멍 및 정전기방지리브와 접촉되지 않고 원할하게 작동될 수 있는 있는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에 설치되는 노브(Knob)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전자제품의 한 예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ideo Cassette Recorder)의 경우, 전면에 파워, 플레이(Play), 이젝트(Eject), 리뷰(Review) 등과 같은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노브가 설치된다.
이러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섀시(Main Chassis; 1)의 전면에 프론트패널(Front Panel; 2)이 장착되고, 이 프론트패널(2)상에는 다수의 노브(3)가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브(3)를 조작하여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와 같은 전자제품의 여러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를 구성하는 메인섀시의 바닥에는 도시되지 않은 메인회로기판(4)이 장착되며, 상술한 프론트패널(2)의 배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프론트회로기판이 수직으로 장착된다. 그리고 프론트회로기판의 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택트스위치(tact switch; 4a)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프론트패널(2)의 전면에 노출된 노브(3)를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노브(3)의 움직임에 의해 상술한 택트스위치(4a)가 눌려져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설정된다.
이러한 종래의 노브 조립구조는 도 2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패널(2)의 전면에 다수개의 설치구멍(2a)이 형성되고, 이 설치구멍(2a)의 원주에는 배면방향으로 정전기방지리브(2c)가 길게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설치구멍(2a)의 배면 아랫부분에는 결합핀(2b)이 배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술한 결합핀(2b)과 결합되는 노브(3)는 전방에 버튼부(3a)가 형성되고 버튼부(3a)의 배면에는 지지판(3b)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판(3b)의 아랫부분에는 푸셔(3c)가 배면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되고, 푸셔(3c)의 양쪽에는 텐션리브(3d)가 형성된다.
또한 텐션리브(3d)의 아랫부분에는 결합편(3e)이 형성되고, 결합편(3e)에는 결합구멍(3f)이 형성되어 상술한 프론트패널(2)의 결합핀(2b)과 용착되며, 이러한 용착과정은 결합구멍(3f)에 돌출된 결합핀(2b)의 끝 부분을 가열된 용착기에 의해 녹여서 결합편(3e)과 결합·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노브(3)는 사용자가 노브(3)의 버튼부(3a)를 눌러주는 경우에 노브(3)가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하게 되므로 노브(3)의 푸셔(3c)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푸셔(3c)의 아랫방향에 위치한 택트스위치(4a)는 푸셔(3c)에 의해 눌려지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설정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노브 조립구조는 설치구멍(2a)의 원둘레에 정전기방지리브(2c)가 배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노브(3)의 버튼부(3a)가 충분히 후방으로 눌려지지 못하고, 버튼부(3a)의 외주면이 정전기방지리브(2c)의 양쪽 끝 부분에 걸리기 때문에 도 2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노브(3)의 버튼부(3a) 지름을 설치구멍(2a) 보다 현저하게 작게 형성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술하면, 노브(3)의 버튼부(3a)와 설치구멍(2a) 사이의 간격이 적을 때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후방으로 회전·눌려지는 노브(3)의 버튼부(3a)가 설치구멍(2a)의 전단 윗부분과 정전기방지리브(2c)의 후단 아랫부분과 접촉되므로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노브(3)의 버튼부(3a)가 더 이상 눌려지지 않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노브(3)의 버튼지름과 설치구멍(2a)의 지름 간격을 크게 할 수밖에 없으므로 큰 간격(지름) 차이에 의해 노브(3)가 충분이 눌려진 상태에서도 노브(3)의 버튼부(3a)와 설치구멍(2a) 및 정전기방지리브(2c)가 접촉은 방지되나, 프론트패널(2)의 전면에서 노브(3)를 보았을 때에는 큰 간격 차이에 의해 노브(3)의 외관미를 떨어뜨리고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와 같은 전자제품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쉽게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구멍에 형성된 정전기방지리브를 길게 형성하지 않고도 노브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전자제품의 일예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a는 종래의 노브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b은 종래의 노브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 2의 좌측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노브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본 고안의 노브 조립구조를 나타낸 도 4의 좌측면도,
도 4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프론트패널 21; 설치구멍
22; 결합핀 23; 정전기방지리브
30; 노브 31; 버튼부
32; 지지판 33; 푸셔
34; 텐션리브 35; 결합편
35a; 결합구멍 36; 걸림턱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는 설치구멍의 배면 둘레에 배면방향으로 정전기방지리브 짧게 돌출한 프론트패널과; 지지판의 중앙 윗부분에 걸림턱을 형성한 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노브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노브 조립구조를 나타낸 도 3a의 좌측면도이고,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프론트패널(20)에는 다수개의 설치구멍(21)을 형성하고, 이 설치구멍(21)의 배면 둘레에는 배면 방향으로 짧게 돌출한 정전기방지리브(23)를 형성한다. 이때, 정전기방지리브(23)는 설치구멍(21)의 지름보다 약간 큰 지름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치구멍(21)에 삽입·장착되는 노브(30)는 상술한 설치구멍(21)에 삽입되는 전면에 버튼부(31)가 형성되고, 이 버튼부(31)의 배면에는 지지판(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판(32)의 전면 윗부분의 중앙에는 상술한 정전기방지리브(23)의 윗부분 중앙부분과 접촉되는 걸림턱(36)을 형성한다.
또한, 지지판(32)의 아랫부분에는 배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푸셔(33)를 형성하며, 이러한 푸셔(33)의 양쪽 아래에는 텐션리브(34)를 형성한다. 그리고 텐션리브(34)의 아랫부분에는 결합편(35)을 형성하며, 이 결합편(35)에는 결합구멍(35a)을 형성하여 상술한 프론트패널(20)의 결합핀(22)과 용착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제품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프론트패널(20)의 외부로 노출된 여러개의 노브(30)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노브(30)의 버튼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프론트패널(20)의 배면 방향으로 눌려지게 된다. 이때 눌려지는 노브(30)의 형태를 보면, 대략 노브(30)가 텐션리브(34)를 중심으로 약간 회전하는 형태를 보이게 된다.
이때, 눌려지는 노브(30)의 버튼부(31)는 배면 윗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나, 설치구멍(21) 및 정전기방지리브(23)와는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정전기방지리브(23)의 돌출 길이가 현저하게 짧고, 또한 정전기방지리브(23)의 지름이 설치구멍(21)의 지름보다 큰지름으로 형성되므로 노브(30)의 버튼부(31)와 정전기방지리브(23)가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접촉저항이 없이, 자연스럽게 눌려지는 노브(30)에 의해 보다 부드러운 감각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이 눌려지는 노브(30)는 지지판(32)에 형성된 푸셔(33)가 메인회로기판(4)에 설치된 택트스위치(4a)를 눌러주므로 사용자가 선택한 전자제품의 기능이 설정된다.
한편, 기능 설정이 이루어진 노브(30)는 도 3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과다하게 눌려진 노브(30)가 설치구멍(21)쪽으로 과다하게 움직이는 경우에는, 지지판(32)에 형성된 걸림턱(36)이 정전기방지리브(23)의 배면 윗부분의 중앙과 접촉하여 노브(30)를 일정위치에 위치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걸림턱(36)은 반복적으로 눌려지는 노브(30)를 항상 일정위치에 위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더욱이 걸림턱(36)에 의해 정전기방지리브(23)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노브(30)의 작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노브(30)의 버튼부(31) 지름과 설치구멍(21)의 지름차, 즉 간격이 기존 보다 현저하게 적으므로 노브(30)가 설치된 프론트패널(20)의 전면 외관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노브(30)의 조립구조는 정전기방지리브(23)의 길이와 걸림턱(36)를 합한 길이가 기존의 정전기방지리브(23)의 길이와 같으므로 노브(30)를 따라 전달되는 정전기가 노브(30)의 버튼부(3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더욱이 정전기방지리브(23)와 노브(30)의 걸림턱(36)이 떨어져 있으므로 정전기가 버튼부(31)로 전달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나 오디오 등과 같은 각종 가전제품과 전자,전기 제품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설치구멍의 배면에 정전기방지리브를 짧게 돌출 형성하고 설치구멍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노브를 삽입·장착하여 노브가 설치구멍이나 정전기방지리브와 접촉되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된다. 따라서 노브의 버튼부와 설치구멍의 간격이 적으므로 노브가 설치된 전자제품의 전면 외관을 향상시키게 되고, 또한 사용자는 접촉저항이 없이 자연스럽게 눌려지는 노브에 의해 보다 부드러운 감각을 느끼게 되는 등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프론트패널의 설치구멍에 조립되어 전자제품의 기능을 설정하는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설치구멍(21)의 배면 둘레에 배면방향으로 정전기방지리브(23)을 짧게 돌출 형성한 프론트패널(20)과;
    상기 정전기방지리브(23)의 배면중앙 윗부분과 접촉되도록 버튼부(31)가 형성된 지지판(32)의 중앙 윗부분에 걸림턱(36)을 형성한 노브(3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방지리브(23)는 노브(30)의 버튼부(31)와 접촉되지 않도록 설치구멍(2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2019970022977U 1997-08-25 1997-08-25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199900096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977U KR19990009677U (ko) 1997-08-25 1997-08-25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977U KR19990009677U (ko) 1997-08-25 1997-08-25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677U true KR19990009677U (ko) 1999-03-15

Family

ID=69688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2977U KR19990009677U (ko) 1997-08-25 1997-08-25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967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8514B1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19990009677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20000012466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19990013593U (ko) 전자제품용 노브
KR200160484Y1 (ko)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KR19990014593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19990009676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200163937Y1 (ko) 전자제품의 노브 이탈 방지구조
KR19990024006U (ko) 전자제품의 스위치 장치
KR19990008540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19990001419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200156871Y1 (ko) 전자제품의 스위치조작노브 장착구조
KR19990009669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19990001430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연동방지 구조
KR19990003028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연동 방지구조
KR0123528Y1 (ko) 노브체 변형 방지구조
KR19990001421U (ko) 전자제품용 노브연동 방지구조
KR100797023B1 (ko) 전자제품의 탑노브장치
KR19990020663U (ko)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
KR19990018625U (ko)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
KR20000013863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19990018616U (ko)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
KR20000002973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연동방지구조
KR19980040310U (ko) 눌림방지용 노브
KR19990016669U (ko) 노브의 정전기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