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123B1 - 통신 시스템내에서 신호 분산 특성을 결정하는 기술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내에서 신호 분산 특성을 결정하는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123B1
KR940008123B1 KR1019910003643A KR910003643A KR940008123B1 KR 940008123 B1 KR940008123 B1 KR 940008123B1 KR 1019910003643 A KR1019910003643 A KR 1019910003643A KR 910003643 A KR910003643 A KR 910003643A KR 940008123 B1 KR940008123 B1 KR 940008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sequence
signal
sequence
transmitter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3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878A (ko
Inventor
왕 진-더
Original Assignee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데이빗 알. 팻니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데이빗 알. 팻니즈 filed Critical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Publication of KR910017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878A/ko
Priority claimed from CA 2111170 external-priority patent/CA2111170C/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2Systems in which the television signal is transmitted via one channel or a plurality of parallel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신 시스템내에서 신호 분산 특성을 결정하는 기술
제1도 및 2도는 본 발명에 속하는 송신되는 트레인닝 시퀀스의 신호 포맷을 도시한 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공고된 실시예가 이용된 제1도의 트레이닝 시퀀스 송신에 선행하고 후속하는 신호를 포함한 신호를 도시한 도.
제4도는 본 발명과 협동하는 송신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 개요도.
제5도 및 6도는 본 발명과 협동하는 기저대 수신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대안적인 블럭 개요도.
제7도는 제5도의 동위상 상관기(515)의 출력 신호를 도시한 도.
제8도 및 9도는 본 발명과 협동하는 통과 대역 수신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대안적인 블럭 개요도.
제10도는 제5도, 6도, 8도 또는 9도의 상관기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 개요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트레인닝 시퀀스 401 : 정보 소스
402 : 트레인닝 시퀀스 발생기 403 : 타이밍 발생기
404 : 송신 필터 405 : 신호 게이트 웨이
406 : 변조기 505 : 캐리어 소스
510 : 복소수 등가기 520 : 논리 회로
521 : 위상 평가기 804 : 힐버트 필터
본 발명은 신호 분산(dispersion)을 결정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신호 분산 특성이 정확하게 정해지는 시간 구간(interval)을 만들기 위하여 트레인닝 시퀀스(training sequence)를 송신하여 수신기에서 처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트레인닝 시퀀스는 소정 시간에 신호 송신기에 신호 수신기로 송신되는 선험적인 공지된 일련의 심벌이다. 상기 시퀀스는 수신기내에 있는 신호 분산 보상 장치 가령 등가기(equalizer), 반향 제거기(echo canceller)등의 동작을 조정하기 위하여 오랜동안 사용되어 왔다.
가령 반향 또는 신호 "고스트(ghost)"와 같은 신호 분산은 통신 시스템에서 고질적인 문제이고 상기 문제의 심각성은 시스템 응용에 따라 상기 분산이 변화한다는 것이다. 예를들어, 시청자에게 큰 지장을 초래하고 고화질 텔레비젼(HDTV) 신호를 분명치 않게 하는 신호 고스트 또는 반향은 종래의 텔레비젼 송신 시스템에서 빈번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신호 분산에 대한 보상은 종래 텔레비젼 시스템에 매우 바람직하고 실지 HDTV 및 많은 다른 통신 응용에서도 요구된다. 게다가, 등가기 및 제거기와 같은 신호 분산 보상장치가 만족할만한 보상을 제공하는 동안에, 신호 분산 특성 예를들어 진폭, 딜레이 및 위상에 관한 지식은 시스템 개시 및 동작 동안 상기 장치를 조정하는데 있어 유용하다.
종래 기술은 신호 분산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술은 수신기내에서 검출되고 해석되는 펄스 또는 트레인닝 시퀀스와 같은 특정 신호를 전형적으로 송신한다. 이들 기술은 진폭이 크고 지속(duration)이 짧은 신호 분산 특성에 적용시 만족스런 평가를 얻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진폭이 작고 특히 채널 노이즈, 흔들림(jitter) 또는 유사한 결함이 존재하는 신호 분산일 때 부정확한 결과를 제공하고 지속이 긴 신호 분산일 때 모호한 결과를 제공한다. 이들 결점은 항상 정밀한 신호 분산 보상 및 더욱 정확한 신호 분산 특성의 결정을 필요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개발을 방해해 왔다.
가장 최근에, 챠오씨 등이 출원하여 1989년 11월 30일에 등록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443,772호에 공고되어 있고 본 양수인에게 양도된 특허출원에서, 앞서 언급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그 기술은 상이한 심벌수를 각각 갖는 두개의 상이한 트레인닝 시퀀스를 송신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보다 나은 정확성을 제공하는 동안에, 이 기술은 항상 이용할 수 없는 두개의 상이한 트레인닝 시퀀스 송신을 위하여 어느 정도의 시간 지속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소진폭이고 긴 지속 신호 분산을 결정시에 보다 큰 정확성을 제공하고 보다 짧은 시간 지속을 요구하는 기술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선험적으로 공지된 다수의 심벌을 포함하고 예상되는 신호 분산 지연 범위와 적어도 동등한 시간 지속을 갖는 트레인닝 시퀀스를 송신하므로서 신호 분산의 진폭, 위상 및 지연을 결정하는 개념에 관한 것이다. 수신기에서, 트레인닝 시퀀스는 재생되고 나서 상관성(correlation) 및 신호 복사(repl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처리한다. 그리고나서, 이 처리된 트레인닝 시퀀스는 상기 언급된 신호 분산 특성중 적어도 한 특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활용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다양한 여러가지 통신 시스템에 응용이 가능하고 특히 텔레비젼 신호 송신에 적합한 것이며, 여기서 트레인닝 시퀀스는 수직 소거 구간 동안 송신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그러한 분산이 긴 지속이고, 소진폭을 갖거나 또는 채널 노이즈, 흔들림 및 유사한 결함을 동반할 때 신호 분산 특성 결정의 정확성을 크게 개선시키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시간 구간(102)동안 트레인닝 시퀀스(101)를 포함하는 향상된 네셔널 텔레비젼 시스템 커미티(NTSC) 텔레비젼 신호 포맷을 도시한 부분(100)이다. 이 경우에서, 본 발명은 상기 텔레비젼 신호 포맷의 이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어떠한 텔레비젼 신호 포맷 예를들어 Sequence Electronique Couleur Avec Memoire(SECAM), Phase Alternation Line(PAL)및 HDTV 뿐만 아니라 텔레비젼 송신 이외의 통신 시스템용 신호 포맷에도 활용될 수 있다. 본 도시한 포맷에서, 시퀀스(101)는 시간 구간(102)이 35.6×10-6(μs)의 지속을 갖도록 7.160×106심벌/초의 비율로 송신되는 255개의 심벌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시퀀스(101)는 의사무작위(pseudo-random) 시퀀스이다. 게다가, 도시된 것처럼, 시퀀스(101)는 수평 동기 펄스(104 및 105) 사이에서 확장되는 63.56μs인 수평 라인 주기(period)(103)동안에 송신되는 장점이 있다. 수평 주기(103)는 비디오 프레임내의 수직 소거 구간에서 다수의 라인 주기중 하나의 주기이다. 수평 라인 주기(103)내의 비사용된 시간 구간내에서 트레인닝 시퀀스의 포함은 시퀀스(101) 전후에 송신되는 텔레비젼 신호의 어떠한 변화도 요구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포락선(envelope)(106 및 107)은 NTSC 포맷에서 펄스(104 및 105) 각각에 후속하는 칼라 버스트이다. 본 발명과 관계없이 NTSC 포맷내의 신호는 구간(109 및 110)내에서 공지되어 있고 널리 공지된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서술된 것처럼, 이들 구간에서 공지된 신호 특성은 기억-및-공제(store-and-subtract)처리에 의해 송신된 트레인닝 시퀀스(101)의 정확한 복사를 허용하기 위해 본 발명이 활용되는 장점이 있다. 구간(109)은 적어도 어떤 포스트커서(postcursor) 고스트의 최대 지연만큼 길고 구간(110)은 적어도 최대 포스트커서 고스트 지연 및 프리커서(precursor) 고스트 지연의 합만큼 길다. 전자의 지연은 전형적으로 양의 시간값으로 표시되고 후자의 지연은 전형적으로 음의 시간값으로 표시된다. 어떤 대수(algebraic) 사인을 무시하는 최대 포스트커서 고스트 지연 및 프리커서 고스트 지연 시간 값의 합은 이하부터 예상되는 신호 분산 지연 범위라 칭한다.
제2도는 NTSC 텔레비젼 신호 포맷을 도시한 부분(200)이며, 여기서 부분(200)은 소거 구간내에서 수평 라인 주기(201)를 포함하는 부분(100)에 후속한다. 수평 라인 주기(103)는 수평 동기 펄스(202 및 203) 사이에 배치된다. 포락선(204 및 205)은 칼라 버스트를 표시하고 제1도의 포락선(106 및 107)과 동일하다. 부분(100 및 200)은 트레인닝 시퀀스(101)가 수평 라인 주기(201)동안 송신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다.
제3도는 NTSC 텔레비젼 신호 포맷의 8개 부분(300-307)내에서 트레인닝 시퀀스의 주기적인 특성을 도시한다. 각각의 부분(300 내지 307)은 동일한 시간 지속을 갖고 8개의 연속 수직 소거 구간에서 하나의 수평 라인 주기(308 내지 315)를 각각 포함한다.
용어 트레인닝 시퀀스 주기는 각 수직 소거 구간중 하나의 수평 라인 주기내에서의 시간 구간이라 규정된다. 이트레인닝 시퀀스 주기 동안, 트레인닝 시퀀스(101) 또는 제로 dc 신호 둘중 하나가 송신된다. 따라서, 제3도의 표시(308 내지 315)는 이 트레인닝 주기를 표시한다.
제3도에 도시된 NTSC 신호 포맷에서, 어떤 트레인닝 시퀀스 주기를 둘러싸는 신호는 후속하는 트레인닝 시퀀스 주기를 즉각적으로 둘러싸는 신호와 상이하다. 예를들어, 트레인닝 시퀀스 주기(308)에 즉각적으로 선행하고 후속하는 구간(316 및 317)에서의 신호는 트레인닝 시퀀스 주기(309)에 즉각적으로 선행하고 후속하는 구간(318 및 319)에서의 신호와 상이하다. 트레인닝 시퀀스 주기(309)는 수직 소거 구간동안 트레인닝 시퀀스 주기(308)를 포함하여 후속하는 수직 소거 구간을 즉각적으로 발생시킨다. 그러나, 어떤 주어진 트레인닝 시퀀스 주기를 둘러싸는 신호는 주어진 트레인닝 시퀀스 주기를 둘러싸는 신호와 동일하다. 이점에서, 부분(300 및 304)은 트레인닝 시퀀스(101)를 제외하면 동일하다. 이 동일성은 부분(301 및 305)간에, 부분(302 및 306)간에 그리고 부분(303 및 307)간에서도 또한 나타난다. 따라서, 만일 앞서 쌍을 진 신호 부분에서 신호가 기억되고 나서 각각의 쌍에 기억된 신호 하나가 다른 하나로부터 공제된다면, 송신된 트레인닝 시퀀스의 정확한 복사가 재생된다. 예를들어, 트레인닝 시퀀스(101)는 부분(304)을 공제하고, 부분(305)에서 부분(301)을 공제하고, 부분(302)에서 부분(306)을 공제하고 부분(307)에서 부분(303)을 공제하므로서 수신기내에서 재생된다. 트레인닝 시퀀스 주기를 각각 포함하는 상기 서술된 신호 부분을 쌍을 지게하는 이 공정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수신기에 사용된다.
제4도를 참조하면, 제4도는 본 발명과 협동하는 송신기(400)를 도시한다. 도시한 실시예가 종래의 NTSC 포맷 신호인 송신된 정보 신호는 정보 소스(401)에 의해 발생된다. 그리고 나서, 이 신호는 타이밍 제어하에서 타이밍 발생기(403)로부터 신호 케이트웨어(405)에 연결된다. 트레인닝 시퀀스 발생기(402)는 타이밍 신호의 제어하에서 수평 라인 주기(308,310,313 및 315)내의 트레인닝 시퀀스(101)를 발생시키고 이들 시퀀스를 신호 게이트웨어(405)에 연결한다. 양호하게, 각각의 이들 의사무작위 시퀀스는 신호 게이트웨이(405)에 연결되기전 상승된 코사인 송신 필터(404)에 의해 스펙트럼 형상을 갖는다. 싱글폴(single-pole) 즉 멀티-스로우(multi-throw) 스위치로 표현된 게이트웨이(405)는 상기 신호를 소스(401) 또는 발생기(402)에서 변조기까지 연결시키고, 상기 변조기(406)는 도시한 NTSC 텔레비젼 응용에서 잔류 측파대(VSB) 진폭 변조 또는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 직각(quadrature) 진폭 변조(QAM)를 제공한다.
제5도 및 6도 각각은 본 발명과 협동하는 기저대 수신기(500 및 60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트레인닝 시퀀스(101)를 포함하는 수신 변조된 신호는 자동 이득 제어(AGC) 회로(502)를 통과하는 리드(lead)를 경유하여 복조기(503 및 504)에 연결된다. 각 복조기는 캐리어 소스(505)에 의해 발생된 캐리어 신호로서 수신된 신호를 멀티플시킨다. 이들 캐리어 신호중 하나는 cos(ωct+θe)로 표시되며, 반면에 나머지는 sin(ωct+θe)로 표시되며, 여기서 ωc는 제4도의 송신기 변조에 사용되는 캐리어 주파수이고 θe는 캐리어 소스(504)에 의해 공급되는 캐리어 신호 및 송신기 변조에 의해 활용되는 캐리어 신호 사이의 위상각이다.
각 복조기 출력은 저역 필터(LPF)(506 및 507)를 통하여 아날로그-대-디지탈 변환기(A/D)(508 및 509)에 연결된다. 이들 변환기의 디지탈 출력은 복소수 등가기(510)에 공급되며, 상기 복소수 등가기는 송신된 정보 신호를 정확하게 재생하기 위하여 수신된 신호에서 왜곡을 제거하고 종래 텔레비젼 처리를 위해 한쌍의 출력 신호(511)를 제공한다. 등가기(510)에 참조된 용어 "복소수(complex)"는 실제 등가기가 이용하는 복소수 즉 실수 및 허수 성분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변환기(508 및 509)의 디지탈 출력은 또한 기억-및-공제 회로(512 및 513)에 연결된다.
기억-및-공제 회로(512 및 513)의 기능은 제3도의 쌍을 진 파형 즉(300 및 304), (301 및 3.5), (302 및 306) 및 (303 및 307)을 저장하므로서 수신된 신호로부터 트레인닝 시퀀스(101)를 재생하고 나서 나머지 하나로부터 각각의 쌍에서 하나의 파형을 공제시키는 것이다. 적당한 시간에서, 입력 신호 파형을 추출하기 위하여, 회로(512 및 513)는 타이밍회로(514)에 의해 각각의 이들 쌍을 진 파형을 재생시키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인에이블된다. 회로(512 및 513)에 의해 재생된 트레인닝 시퀀스는 각각 SI및 SQ로 표시된다.
상관기(515 및 516)는 트레인닝 시퀀스를 검출하자마자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디자인된다. 보통 상관기 출력에 따르는 이들 출력 펄스는 트레인닝 시퀀스의 길이와 동일한 공간에서 이동-및-가산(shift-and-add) 회로(517)내에서 3번 복사된다. 트레인닝 시퀀스 지속에서 상관기 출력 펄스 및 그들의 복사는 신호 PI및 PQ를 발생시킨다. 결합기(519)는 신호 PI및 PQ를 수신하고 이들 신호의 제곱의 합을 발생한다. 이 합은 P로 표시된다. 논리 회로(520)는 신호 P에 응답하는 신호 분산의 진폭 및 지연 특성을 결정한다.
이동-및-가산 회로의 이용은 마치 트레인닝 시퀀스(101)가 연속하여 4번 송신되는 것처럼 상관기 출력 펄스를 재생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것이 수행되는 동안, 그것의 지속이 적어도 신호 분산 지연 범위와 동일한 트레인닝 시퀀스의 상기 연속 송신은 연속 송신이 활용 가능한 것보다 큰 시간 지속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종래의 송신된 텔레비젼 신호 가령 NTSC, PAL 또는 SECAM과 같은 경우에 특히 해당되며, 여기서 다른 신호 송신을 위해 사용되지 않은 구간은 상기 연속 트레인닝 시퀀스 송신에 대해 충분히 길지 않아야 한다.
논리 회로(520)에 의해 결정된 진폭 및 지연 특성이 단일 상관기 예를들어 상관기(515) 및 그와 관계된 이동-및-가산 회로(517)를 단지 사용하고 그러므로서 상관기(516), 이동-및-가산 회로(518) 및 결합기(519)의 이용이 제거되는 동안, 상관기 및 결합기 둘다의 이용은 캐리어 소스(505)에 의해 발생된 캐리어 위상 및 AGC 회로(502)에 의해 제공된 자동 이득 제어를 조정하기 위한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게다가, 신호 PI및 PQ둘다의 이용은 캐리어 위상 조정이 여전히 발생하는 동안에 고스트 특성 평가를 허용한다.
올바른 캐리어 위상 평가는 위상 평가기(521)내에서 널리 공지된 수신에 의해 신호 PI및 PQ를 이용하므로서 결정되며, 상기 공지된 수신은 PQ/ PI의 아아크 탄젠트를 근사시킨다. 그리고나서, 캐리어 위상의 조정은 위상 평가기의 출력에서 나타나는 θe로 표시되어 평가된 캐리어 위상을 결합하므로서 캐리어 소스(505)에 쉽게 제공된다. 유사하게 신호 P를 이용하므로서 수신된 신호 진폭은 수신기의 이득을 보정하도록 평가된다. 제5도에서 신호 P는 이득 조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AGC회로(502)에 연결된다.
신호 PI및 PQ에 따르는 논리 회로(520)에 의해 제공된 진폭 및 지연 특성은 복소수 등가기(510)에 연결되며, 여기서 상기 특성은 복소수 등가기의 동작을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특히, 널리 공지된 방식에서, 진폭 및 지연 특성은 등가기 계수가 비제로 인가를 결정하도록 이용되고 신호 PI및 PQ는 이들 비제로 계수 값을 조정하도록 이용된다.
제6도에 도시된 수신기는 상관기와 이동-및-가산 회로의 직렬 접속이 역전된 것을 제외하고 제5도에 참조되어 이미 서술된 수산기의 기능 및 동작과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제6도에서 트레인닝 시퀀스는 제5도에서의 상관기 출력을 복사하는 것과 반대인 상관기 출력을 복사한다. 이 역전은 등가이다.
PI리 표시된 제5도의 동위상 이동-및-가산 회로(517)의 도시된 출력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PQ라 표시된 직각 이동-및-가산 회로(518)의 출력은 통신 매체의 위상 이동 기능에 의하여 PI와 관계되며, 여기서 수신된 신호는 통신 매체를 통하여 전파된다. 보통, 상관기 출력은 모호하고 상관기 출력 진폭은 트레이닝 시퀀스 검출될 때 보다 실제 작다.
신호 PI는 네개의 신호 피크(701 내지 704)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 피크는 트레인닝 시퀀스 또는 제5도의 이동-및-가산 회로에 의해 발생된 트레인닝 시퀀스의 복사를 표시한다. 이들 피크는 35.6μs시간 구간만큼 떨어져서 이격된다. 피크(701 및 702) 및 피크(703 및 704) 사이의 구간은 트레인닝 시퀀스 불완전하게 상관된 포스트커서 및 프리커서 고스트에 의해 각각 보정된다. 이들 불완전하게 상관된 포스트커서 및 프리커서 고스트는 파형(705 및 706)에 의해 각각 표시된다. 상기 불완전하게 상관된 고스트의 존재는 파형(705 및 706)을 포함하는 구간(707 및 708)의 그들 부분에서 고스트 특성을 명백히 구별시키는 능력을 경감한다. 그러나, 이들 구간의 둘중 하나는 신호 분산 특성을 결정하도록 이용되고 결국 수신기내에서 이동-및-가산 회로는 그것의 입력중 적어도 하나를 단지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러한 회로는 도시된 4개의 피크(701 내지 704)를 제공하기 위하여 입력 신호를 3개 복사하여 제공하며 그것에 의해 "콰이어트 존(quiet zone)"이라 표시된 가장 깊숙한 구간(709)에 대하여 버퍼 구간(707 및 708)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버퍼 구간은 콰이어트 존(709)을 불완전하게 상관된 코스트로 부터 제때에 충분히 분리하므로서 완전히 상관성을 받은 송신된 트레인닝 시퀀스의 신호를 제외한 모든 고스트 신호를 제거한다. 그러한 고스트는 예를들어 상기 고스트가 트레인닝 시퀀스 이후에 수신되는 포스트커서 고스트이거나 또는 예를들어 상기 고스트이거나 또는 예를들어 상기 고스트가 송신된 트레인닝 시퀀스 전에 수신기에 도달되는 프리커서 고스트중 하나이다.
제7도는 피크(702)에 후속하여 시간 구간(711)에서 위치된 신호 피크(710)와 같은 하나의 포스트커서 고스트이고 피크(703)에 선행하여 시간 구간(713)에서 위치된 하나의 프리커서 고스트를 도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고 논리 회로(519)내에 제공된 방법론은 그러한 신호의 소정 레벨과 크기 이상인 콰이어트 존내에서 어떤 신호의 존재를 결정하는 진폭 비교기를 사용하므로서 어떤 고스트의 진폭을 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어떤 상기 고스트의 지연은 피크(702 또는 703)에 관계하는 이 임계 이상의 어떤 검출된 신호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콰이어트 존(709)의 지속이 전형적으로 음의 시간 값으로 표시되는 최대 지연된 프리커서 고스트에서 전형적으로 양의 시간 값으로 표시되는 최대 지연된 포스트커서 고스트까지 확장하는 최소 범위로 확장될 때 포스트커서 및 프리커서 고스트간의 구별에 있어서 거의 모호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제8도 및 9도는 본 발명과 협동하는 통과 대역 수신기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들 수신기에서, 리드(801)상에 수신된 QAM 신호는 AGC회로(802)를 통하여 A/D변환기(803)에 연결되고 나서 통과 대역 힐버트(Hiller) 필터쌍(804 및 805)에 연결된다. 필터(804 및 805)는 복소수 등가기(810) 및 기억-및-공제 회로(812 및 813)에 연결되는 출력을 제공한다. 복소수 등가기(810)의 출력은 출력(826)상에 송신된 정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회전자(825)에 접속된다. 기억-및-공제 회로(812 및 813)의 동작, 상관기(815 및 816), 이동-및-가산 회로(817 및 818), 결합기(819), 논리 회로(820) 및 위상 평가기(821)는 기저대 수신기내에 있는 그들의 대응물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
제9도는 직렬 접속하는 이동-및-가산 회로(817 및 818)과 상관기(815 및 816)를 제외하고 제8도와 유사한 동작을 한다.
제5도, 6도, 8도 및 9도에서, 상관기 필터 계수는 상기 계수가 두값 예를들어 +1 및 -1중 단지 하나의 값을 갖기 때문에 트레인닝 시퀀스의 2진 수에 해당하는 2진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것이 수행을 간단하게 한다. 그러나, 상관기 및 송신기 트레인닝 시퀀스 발생기 둘다에서 상기 2진 계수의 이용은 콰이어트 존내에서 dc 바이어스를 발생시킨다. 의사무작위의 자동 상관성으로 인해 본질적인 상기 dc 바이어스는 널리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그런 기술 한가지를 예를들어, dc바이어스는 측정되고 나서 PI및 PQ로부터 또는 신호 결합기 출력 신호 P로부터 공제된다. 또다른 기술 가령 신호 자체에서 신호의 지연된 버션(version)을 공제하는 기술처럼, dc 바이어스는 PI및 PQ를 통과하므로서 제거되거나 또는 적당하게 선택된 dc 블록킹 필터(도시되지 않음)를 통과하는 P에 의하여 제거된다.
수정된 의사무작위 시퀀스는 의사무작위 시퀀스 대신에 송신될 수 있다. 수정된 의사무작위 시퀀스에서, dc 상수는 의사무작위 시퀀스의 각 심벌에 가산되므로서, 송신된 심벌은 원래 의사무작위 심벌의 동일한 양 또는 음값 보다 큰 제로 또는 양값 둘중 하나가 된다. 수정된 의사무작위 시퀀스를 사용하는 장점은 원래의 의사무작위 시퀀스와 다른 것처럼 어떤 콰이어트 존내에서의 dc가 바이어스가 상관기의 출력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2진수 상관기 및 수정된 의사무작위 트레인닝 시퀀스 둘다를 활용하는 것이다. 또다른 장치에 대해, +1 및 -1 심벌값을 갖는 의사무작위 시퀀스는 송신되고 2진수 상관기의 계수는 +1 및 -1값 대신에 -1 또는 0 둘 중 하나의 값을 취한다.
제5도, 6도, 8도 및 9도에서, A/D변환기(508), 기억-및-공제(512), 상관기(15) 및 이동-및-가산 회로(517)는 신호 분산 지연의 보다 높은 해상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심벌비 n을 멀티플하는 비율로 동작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여기서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상기 장치와 더불어서 제10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관기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0도에 도시된 것처럼, 예를들면(515)는 상관기 두배의 심벌비 2Fc에서 클럭되어 탭된 지연 라인(1001), 승산기(1002) 및 합산기(1003)을 활용하므로서 수행된다. 각 승산기는 지연 라인(1001)의 탭중 하나에 저장된 심벌값을 멀티플하는 고정된 상관 계수를 활용한다.
합산기(1003)에 의해 결합되는 지연 라인 탭은 심벌비만큼 떨어져서 이격되어 있다. 중간(intermediate)탭은 승산기와 연관되어 있지 않고 그러므로 합산기(1003)에 입력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진수 상관기가 활용되는 곳에서 상관성 계수는 +1, -1 또는 +1.0 둘중 하나이다. 상기 계수와 더불어서, 승산기(1002)는 +1 승산용 소자, -1 승산용 사인 인버션(inversion)소자 및 0 승산용 신호 블록킹 소자를 통과하므로서 실현된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서술되는 동안에, 본 기술에 통상적으로 숙련된 사람들은 수많은 다른 경지를 명백히 이해할 것이다.
예를들어 본 발명은 VSB 또는 QAM을 참조하여 서술되는 동안에도, 본 발명은 변조의 존재, 부재 또는 형태에 관계없이 어떠한 아날로그 또는 디지탈 통신 시스템에 응용이 가능하다. 게다가, 본 발명은 의사무작위 또는 수정된 의사무작위 트레인닝 시퀀스에만 국한되지 않고 실제로 어떠한 트레인닝 시퀀스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제5도, 6도, 8도 및 9도에 도시된 복소수 등가기는 그것의 출력이 각 상관기 출력에 연결되도록 위치된다. 그러한 장치에서, 등가기는 시스템 초기화동안 유니트 임펄스로서 고정된 필터를 동작시키고 그에 따라서 적당한 등가기로서 동작한다.

Claims (30)

  1. 신호 분산이 예상되는 지연 범위를 갖는 통신 시스템에 이용하기 위한 송신기 장치(400)에 있어서, 다수의 소정 심벌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지연 범위와 동일한 지속을 갖는 트레인닝 시퀀스를 발생시키는 수단(402)과, 연관된 시간 구간내에서 소정 심벌비로 상기 크레인닝 시퀀스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403,405,40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트레인닝 시퀀스가 의사무작위 시퀀스인 송신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무작위 시퀀스내에서 상기 소정 심벌이 동일한 양 및 음값을 갖는 송신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무작위 시퀀스내에서 상기 소정 심벌이 제로 및 비제로인 값을 갖는 송신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수단에 의해 상기 트레인닝 시퀀스가 상수값이 각 소정 심벌에 가산되어 수정된 의사무작위 시퀀스인 송신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이 송신전에 상기 트레인닝 시퀀스를 스펙트럼 형상으로 하기 위한 수단(404)을 추가로 포함하는 송신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펙트럼 형상화 수단이 상기 소정 심벌비의 승산에서 클럭되는 탭된 지연 라인을 포함하는 송신기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펙트럼 형상화 수단이 상승된 코사인 스펙트럼 형상을 제공하는 송신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이 상기 연관된 시간 구간을 둘러싸는 시간 구간내에서 정보 신호를 또한 송신하는 송신기 장치.
  10. 송신된 텔레비젼 신호가 수평 라인 주기를 포함하고 예상된 지연 범위를 갖는 신호 분산이 통신 매체를 통해 전파한 후에 송신된 텔레비젼 신호내에 나타날 때는 텔레비젼 신호 송신기에 이용하기 위한 송신기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소정 심벌을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지연 범위와 동일한 지속을 갖는 트레인닝 시퀀스를 발생시키는 수단(402)과, 소정의 상기 수평 라인 주기중 한 주기내에서 소정의 심벌비로 상기 트레인닝 시퀀스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403,405,40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트레인닝 시퀀스가 의사무작위 송신기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이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또한 송신하는 송신기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이 소정 텔레비젼 신호 포맷내에서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이 송신전에 상기 트레인닝 시퀀스를 스펙트럼 형상으로 하기 위한 수단(404)을 추가로 포함하는 송신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펙트럼 형상화 수단이 상기 소정 심벌비의 승산에서 클럭되는 탭된 지연 인을 포함하는 송신기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펙트럼 형상화 수단이 상승된 코사인 스펙트럼 형상을 제공하는 송신기 장치.
  17. 어떤 수신된 신호가 신호 분산이 존재하는 통신 매체를 통하여 전파되는 통신 시스템에 이용하기 위한 수신기 장치에 있어서, 소정 심벌비에서 발생하는 다수의 소정 심벌을 포함하는 수신된 트레인닝 시퀀스에 응답하며 상관성 및 신호 복사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트레인닝 시퀀스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515,517)과, 상기 신호 분산의 적어도 한 특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된 트레인닝 시퀀스에 응답하는 수단(5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n배의 상기 소정 심벌비인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상관성을 제공하며 여기서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수신기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인닝 시퀀스가 의사무작위 시퀀스이고 상기 처리 수단이 상기 의사무작위 시퀀스에 응답하는 수신기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이 소정 셋트의 계수를 갖는 상기 트레인닝 시퀀스를 상관시키고 상기 상관된 트레인닝 시퀀스를 복사하는 수신기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각 계수는 2진수인 상기 소정 셋트의 계수인 수신기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2진수가 동일한 양 및 음 값을 갖는 수신기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2진수가 제로 및 비제로 값을 갖는 수신기 장치.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이 적어도 한번 상기 수신된 트레인닝 시퀀스를 복사하고 소정 셋트의 계수를 갖는 상기 수신된 트레인닝 시퀀스를 상관시키고 상기 소정 셋트의 계수를 갖는 상기 수신된 트레인닝 시퀀스의 복사를 상관시키는 수신기 장치.
  25.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신호의 소스(505)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결정 수단이 상기 신호 분산의 위상 특성을 결정하고 상기 캐리어 신호 소스를 제어하는 수신기 장치.
  26. 제17항에 있어서, 등가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결정 수단이 상기 등가기 동작을 조정하는 수신기 장치.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이 상기 신호 분산의 진폭 및 지연 특성을 결정하는 수신기 장치.
  28. 제17항에 있어서, 자동 이득 제어 회로(502)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트레인닝 시퀀스가 자동 이득 회로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결정 수단이 상기 자동 이득 제어 회로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수신기 장치.
  29. 상기 신호 분산이 예상되는 지연 범위를 갖는 통신 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의 신호 분산 특성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소정 심벌 및 상기 지연 범위와 적어도 동일한 지속을 갖는 트레인닝 시퀀스를 발생시키고, 연관된 시간 구간내에서 상기 트레인닝 시퀀스를 송신하고, 상기 트레인닝 시퀀스를 수신하고 상관성 및 신호 복사를 이용하여 상기 트레인닝 시퀀스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트레인닝 시퀀스에 응답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신호 분산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산 결정 방법.
  30. 예상된 지연 범위를 갖는 신호 분산이 존재하는 통신 매체에 의해 분리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소정 심벌로 포함하고 상기 지연 범위와 적어도 동일한 지속을 갖는 트레인닝 시퀀스를 발생시키는 수단과, 연관된 시간 구간내에서 상기 트레인닝 시퀀스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상기 송신기, 다수의 소정 심벌을 포함하는 수신된 트레인닝 시퀀스에 응답하며, 상관성 및 신호 복사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트레인닝 시퀀스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신호 분산의 적어도 한 특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처리된 트레인닝 시퀀스에 응답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KR1019910003643A 1990-03-13 1991-03-07 통신 시스템내에서 신호 분산 특성을 결정하는 기술 KR940008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9301790A 1990-03-13 1990-03-13
US493,017 1990-03-13
CA 2111170 CA2111170C (en) 1990-03-13 1993-12-10 Technique for determining signal dispersion characteristics in communications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878A KR910017878A (ko) 1991-11-05
KR940008123B1 true KR940008123B1 (ko) 1994-09-02

Family

ID=25676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3643A KR940008123B1 (ko) 1990-03-13 1991-03-07 통신 시스템내에서 신호 분산 특성을 결정하는 기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446523B1 (ko)
JP (1) JPH04220892A (ko)
KR (1) KR940008123B1 (ko)
CA (1) CA2033931C (ko)
DE (1) DE6902271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6586A (en) * 1991-07-09 1995-04-11 At&T Corp. Signal correlation technique
FI108975B (fi) * 1993-03-09 2002-04-30 Nokia Corp Opetusjakso digitaalisessa solukkopuhelinjärjestelmässä
US6084862A (en) * 1997-09-26 2000-07-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Time dispersion measurement in radio communications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12839B2 (en) * 1985-07-16 1994-10-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Ghost cancell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JP2594639B2 (ja) * 1989-03-23 1997-03-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ジョン映像受信信号波形歪み検出方法並びにそれに使用するテレビジョン映像信号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46523B1 (en) 1995-09-27
EP0446523A3 (en) 1992-06-03
CA2033931C (en) 1995-06-27
DE69022715D1 (de) 1995-11-02
KR910017878A (ko) 1991-11-05
JPH04220892A (ja) 1992-08-11
EP0446523A2 (en) 1991-09-18
DE69022715T2 (de) 199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5386B1 (ko) 통신 시스템의 신호 분산 특성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5260972A (en) Technique for determining signal dispersion characteristics in communications systems
US5406586A (en) Signal correlation technique
US4567599A (en) Automatic adaptive equalizer having improved reset function
US5675608A (en) Synchronous transmitter and receiver of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method
US4262360A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 pseudo-random sequence of carrier phase changes of 0° and 180° in a data receiver
KR930007219A (ko) Ntsc 텔레비젼 전송에서 고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JPH05211670A (ja) 搬送波電力対雑音電力比検出回路
JP2971028B2 (ja) ディジタル残留側波帯変調通信装置の位相検出方法及び位相トラッキングループ回路
JP3041171B2 (ja) Ofdm受信同期回路
GB1405437A (en) Data transmission systems
KR940008123B1 (ko) 통신 시스템내에서 신호 분산 특성을 결정하는 기술
JPS6364103B2 (ko)
CA1218116A (en) Circuit for reducing errors in a data receiver
US4364093A (en) Television ghost cancellation system with phase-controlled remodulation
US3581207A (en) Joint setting of demodulating carrier phase, sampling time and equalizer gain parameters in synchronous data transmission systems
US5764708A (en) Device for identifying a predetermined sequence of signals in a modem
CA2111170C (en) Technique for determining signal dispersion characteristics in communications systems
AU6916400A (en) Estimating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 system
JPS648937B2 (ko)
US5210607A (en) Ghost reduction device for removing ghost components of a television signal
US4207528A (en) Timing-phase control system for duobinary transmission
JP2001285147A (ja) 自動等化回路
KR100413786B1 (ko) 협대역 잡음 제거장치
US4651212A (en) Signal offset circuitry for digital deghos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