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972Y1 - 중장비의 상,하부간 전기배선용 선회배선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중장비의 상,하부간 전기배선용 선회배선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972Y1
KR940007972Y1 KR92009242U KR920009242U KR940007972Y1 KR 940007972 Y1 KR940007972 Y1 KR 940007972Y1 KR 92009242 U KR92009242 U KR 92009242U KR 920009242 U KR920009242 U KR 920009242U KR 940007972 Y1 KR940007972 Y1 KR 9400079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eavy equipment
electrical wiring
slip ring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9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5518U (ko
Inventor
이찬희
Original Assignee
김연수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수,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연수
Priority to KR92009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972Y1/ko
Publication of KR9300255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55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9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6Ground engaging part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5Trac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중장비의 상, 하부간 전기배선용 선회배선 연결 장치
제 1 도는 종래 유압굴삭기의 유압 선회연결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기 배선연결장치가 설치된 선회연결부의 요부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기배선용 선회배선 연결장치의 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A-A선을 따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2', 2", 2"' : 유압라인 3 : 전기배선 장치
5 : 유압식 터닝조인트 축 6 : 전기배선장치 하부커버
7 : 전기배선장치 8 : 전기배선장치 상부커버
9 : 접점지지대 10 : 접점지지대 고정용볼트
11 : 연결고리 12 : 접점
13 : 가압수단 14, 17 : 전기배선
15 : 슬립링(SLIP RING) 16 : 절연체
18 : 베어링 20 : 유압식 터닝조인트 허브
본 고안은 상부의 조종부와 하부의 차체처럼 2개 이상의 부위로 구성된 중장비에서 상부와 하부간의 전기배선을 위한 배선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의 조종부와 하부자체가 선회 연결부로 연결되어 상부 조종부가 하부차체에 대해 선회할 수 있는 중장비에서 상기 상, 하부의 전기배선을 서로 접촉연결시키기 위한 전기배선용 선회 배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굴삭기, 크레인등과 같은 중장비 차량에서 상부의 조종실, 즉 선회부는 하부의 차체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선회연결부는 중량이 무거운 조종실의 선회중심이 되어 조종실을 용이하게 선회시킬 수 있도록 매우 세심하게 제작되어야 한다. 또한 굴삭기의 경우 엔진의 구동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하부차체의 주행 모우터에 공급하여 차체를 주행 구동시키고, 동시에 보조 유압펌프로 부터의 파일럿 압유를 상기 주행모우터의 변속 실린더측에 공급하여 주행모우터를 변속시켜야 하므로 주 유압펌프 및 보조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하부차체의 주행모우터측에 급속시키기 위한 최소 2개 이상의 유압라인이 상기 선회 연결부를 통과하고 있다.
제 1 도는 종래의 선회연결부를 도시하기 위해 상부의 조종실을 떼어낸 크롤러식 중장비의 하부차체 부분사시도로서, 이 도면에 의하면 유압식 선회연결부(유압식 터닝조인트)(20)에 다수개의 유압라인(2,2',2")가 설비되어 하부 주행부를 주행구동시키기 위한 압유를 공그하는 것을 알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유압식 선회연결부(20)에는 중장비의 상부 조종실과 하부차체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기배선장치가 설비되지 않아 상부 조종실로부터 하부차체측으로 전기배선을 실시할 수 없도록 되어 있었다. 따라서, 하부차체에 배치되는 전기소자들에 대한 상부 조종실로 부터의 전원공급이나 작동제어가 불가능하여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각종 유압식 중장비의 상, 하부를 선회연결하는 선회연결부에 전기적 신호 전달 및 전원공급을 위한 선회식 전기배선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중장비의 상부 조종실의 하부차체에 대해 선회연결부에서 선회하더라도 전기배선이 꼬이지 않도록 선회식 접점부를 갖는 전기 배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선회식 전기 배선연결장치를 구비하는 중장비의 선회연결부를 도시하는 요부사시도이며, 제 3 도 및 제 4 도는 본 고안의 선회식 전기 배선연결장치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의 선회식 전기배선연결장치(3)는 통상의 유압식 선회연결부의 허브(20)상에 조립,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압식 선회연결부의 허브(20)에는 입력측 유압라인(2',2")이 설치되고, 하부차체에 결합되는 선회연결축(유압식 터닝조인트 축)(5)에는 출력측 유압라인(2")가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선회식 전기 배선연결장치(3)은 제 3 도 및 제 4 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처럼, 유압식 선회연결부의 허브(20)상에 고정되는 하부커버(6), 상기 하부커버(6)상에 끼워지는 실린더형의 전기배선장치허브(7), 상기 허브(7)의, 상기 허브(7)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커버(8)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6), 허브(7) 및 상부커버(8)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 내에는 한쌍의 수직형 접점지지대(9)가 고정볼트(10)에 의해 상기 하부커버(6)에 수직 고정된다. 또한, 링측끝에는 선회연결축(5)에 고정연결되는 연결고리(11)가 조립되어 있다.
상기 접점지지대(9)에는 다수개의 접점(12)이 수직열 상에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채로 반경방향 안쪽으로 설치되고, 이 접점(12)을 가압하기 위한 압축코일 스프링과 같은 가압수단(13)이 배치된다. 상기 접점(12)에는 상부 조종실로 부터 연장되는 전기배선(14)이 제 3 도에 도시되는 것처럼 각각 병렬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점(12)에 대응하는 링축상에는 다수개의 슬립링(15)이 배치되고, 각각의 슬립링(15)사이에는 이 슬립링(15)간의 전기적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체(16)가 일정간격으로 끼워져 있다. 상기 슬립링(15)에는 하부차체로부터 연장된 전기배선(17)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링축은 연결고리(11)에 의해 하부차체에 고정되는 선회연결축(5)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통상적으로 회전하지 않는 고정구조이며, 상기 접점지지대(9)는 고정볼트(10)에 의해 전기배선장치의 허브(7)와 상부 커버(8), 하부커버(6)간에 고정연결되고, 하부커버(6)가 다시 선회 연결부의 회전허브(1)에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접점지지대(9)는 링축(슬립링 및 절연체의 조립체)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식구조가 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같이 접점지지대(9)의 각 접점(12)들은 가압수단(13)에 의해 반경방향 안쪽으로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슬립링(15)의 표면에 대해 확실한 접촉이 가능하다.
여기서, 하나의 슬립링(15)에 대해 접점(12)을 2개씩 설치하는 것은 슬립링(15)과 접점(12)간의 전기적 저항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다음식에 의해 알수 있는 바와같이 전체 저항 RT(또는 Rt)를 줄일 수 있는 병렬저항 연결방식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R1 및 R2는 각 슬립링(15)에 대한 2개의 접점(12)에서의 저항값이다.
또한, 상기 접점(12)과 슬립링(15)은 표면을 정밀 가공 처리하고, 특히 접점(12)의 재질은 은(Ag)으로 하고, 슬립링(15)은 황동으로 구성하되 표면을 은 도금하여 전기저항을 가급적 줄임으로써 전기적 신호전달의 오차를 감소시킨다. 아울러 상기 접점지지대(9)와 절연체(16)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Engineering plastic)으로 구성하여 접점(12)과 슬립링(15)이 다른 접점 또는 슬립링들과 전기적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중 참조번호 18은 상부커버(8)의 내측에서 링축을 소정위치에 지지하며 회전을 원활히 하기위한 베어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한 배선장치에 따르면 상부 조종실로부터 나온 전기배선(14)은 이 상부 조정실과 고정연결되어 함께 선회동작되는 유압식 터닝조인트(20) 및 전기 배선장치(3)에 고정결합되는 접점 지지대(9)에 접촉되는 접점(12)에 병렬연결되어 있고, 하부차체로부터 나온 전기배선(17)은 이 하부차체와 고정연결된 연결고리(11)에 설치된 슬립링(15)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접점(12)은 각각 대응하는 슬립링(15)에 대해 압축코일 스프링과 같은 가압수단(13)에 의해 가압 접촉되므로 조종실의 하부차체에 대한 선회동작에 관계없이 접점(12)이 항상 슬립링(15) 주위를 회전하면서 접촉할 수 있으므로 중장비의 상, 하부간 배선연결 상태를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아울러 하나의 슬립링(15)에 대해 2개의 접점(12)을 접촉시키고, 전기적 저항을 줄일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전기적 신호전달의 오차를 줄일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적절한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물론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5)

  1. 상부 선회부와 하부차체를 선회연결부로 연결한 중장비의 상, 하부간 전기 배선연결장치에 있어서, 상부 선회부를 하부차체에 대해 선회시키는 유압식 터닝조인트 허브(20)상에 상기 상부 선회부로부터 연장된 전기배선(14)을 각각 연결시킨 다수개의 접점(12)을 구비하는 접점 지지대(9)를 고정연결하여 상기 유압식 터닝조인트 허브(20)와 더블어 이 접점 지지대(9)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접점 지지대(9)의 접점(12)과 밀착 접촉하고 상기 하부차체로부터 연장된 전기배선(17)을 각각 연결시킨 다수개의 슬립링(15)을 구비하는 링축을 상기 하부차체와 고정연결하여 상기 하부차체에 대한 상부 선회부의 회전 또는 정지시 항상 상기 접점(12)과 상기 슬립링(15)이 서로 접촉함으로써 중장비의 상부 선회부와 하부차체간에 전기적 신호전달 및 전원공급을 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선회식 전기 배선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지지대(9)는 상기 유압식터닝조인트 허브(20)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커버(6)상에 고정볼트(10)로 고정되는 한쌍의 접점 지지대(9)로 구성되어 상부 선회부로 부터의 전기배선(14)과 하부차체로 부터의 전기배선(17)이 병렬 저항 연결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선회식 전기 배선 연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지지대(9)의 접점(12)은 가압수단(13)에 의해 상기 링축의 슬립링(15)에 밀착 가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선회식 전기 배선 연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축의 슬립링(15) 사이에는 다수개의 절여체(16)가 구비되어 각 슬립링(15)간의 전기적 간섭을 방지하고, 상기 접점 지지대(9)도 절연체로 구성하여 각 접점(12)간의 전기적 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선회식 전기 배선 연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12)과 슬립링(15)은 전기저항이 낮은 재료로 구성하여 접점(12)과 슬립링(15)간의 전기적 신호전달의 오차를 줄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선회식 전기 배선 연결장치.
KR92009242U 1992-05-27 1992-05-27 중장비의 상,하부간 전기배선용 선회배선 연결 장치 KR9400079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9242U KR940007972Y1 (ko) 1992-05-27 1992-05-27 중장비의 상,하부간 전기배선용 선회배선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9242U KR940007972Y1 (ko) 1992-05-27 1992-05-27 중장비의 상,하부간 전기배선용 선회배선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5518U KR930025518U (ko) 1993-12-20
KR940007972Y1 true KR940007972Y1 (ko) 1994-11-16

Family

ID=19333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9242U KR940007972Y1 (ko) 1992-05-27 1992-05-27 중장비의 상,하부간 전기배선용 선회배선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9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760Y1 (ko) * 2015-03-19 2016-07-05 주식회사 서울스탠다드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군용차량용 슬립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760Y1 (ko) * 2015-03-19 2016-07-05 주식회사 서울스탠다드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군용차량용 슬립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5518U (ko) 199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5221B1 (ko) 고무타이어휠로움직이는크레인의휠방향전환방법및장치
CA1070357A (en) Rotational grapple
US6079743A (en) Motor vehicle steering column unit
EP0287062B1 (en) Joint mechanism of industrial robot
CA2379517A1 (en) Cam shaft support and enclosure assembly
KR19980081492A (ko) 차륜의 조타각 검출장치 및 회전량 검출기의 부착구조
US3191109A (en) Steering mechanism with manual and electric drive for motor vehicles
US4633966A (en) Sensor mounting arrangement
KR940007972Y1 (ko) 중장비의 상,하부간 전기배선용 선회배선 연결 장치
US5064031A (en) Motor operated actuator with position encoder for stopping actuator at desired position
US4523488A (en) Single lever control device for multiple functions
EP0596039A1 (en) COMPENSATING FOR THE KINEMATIC SHORTENING EFFECT IN A STEP CONTROL SYSTEM FOR AERODYNE WITH TURNING WING.
JP3343511B2 (ja) 建設機械の電気・油圧用スイベルジョイント装置
CN1013844B (zh) 制动时置变速箱于空挡的控制机构
KR100844569B1 (ko) 자동차의 차체 조립 라인용 턴 테이블 장치
EP0827892A3 (fr) Valve d'assistance pour direction assistée de véhicule automobile
CA1036871A (en) Dual station rotary cable steering system
US5025884A (en) Free wheel hub system
KR200247105Y1 (ko) 트랙터용 굴삭기의 붐회전장치
DE102021128293B4 (de) Radstruktur mit radnabenlager und fahrzeug, das selbiges aufweist
US4392698A (en) Industrial crane with rotary electrical connector
KR100199754B1 (ko) 조향핸들장착용 혼구조
JPS61241269A (ja) 電動式動力舵取装置
CN212387591U (zh) 十字轴万向节传动的中心集电器
JPH041783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