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516Y1 - 펌프의 압력스위치 지연장치 - Google Patents

펌프의 압력스위치 지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516Y1
KR940007516Y1 KR92007689U KR920007689U KR940007516Y1 KR 940007516 Y1 KR940007516 Y1 KR 940007516Y1 KR 92007689 U KR92007689 U KR 92007689U KR 920007689 U KR920007689 U KR 920007689U KR 940007516 Y1 KR940007516 Y1 KR 9400075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ump
pipe
pumping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7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5933U (ko
Inventor
오세민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92007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516Y1/ko
Publication of KR9300259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59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5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5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09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05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by using valves
    • F04D15/0022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by using valves throttling valves or valves varying the pump inlet opening or the outlet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펌프의 압력스위치 지연장치
제 1 도는 종래 펌프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 펌프의 압력스위치 지연장치를 보인 단면도.
제 3 도는 펌프 양수특성상 펌프내 압력상태를 보인 그래프.
제 4 도는 펌프내 압력시 압력스위치의 폐압력에 도달하는 시간을 보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흡입관 2 : 토출관
7 : 이동바 8 : 다이아프램
9 : 지연장치부 12 : 패킹부
13 : 압력관
본 고안은 펌프가 소량 정압운전시 펌프의 토출관 고압력수를 흡입관의 저압부로 이동시켜 동일지점에서 압력스위치의 폐압력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데 적당한 펌프의 압력스위치 지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펌프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흡입관(1)의 양수를 토출관(2)으로 토출시키는 펌프(3)와, 상기 펌프(3)동작시 일정압력에 의해 자동개폐시키는 소형압력탱크(4)와, 펌프(3)의 전원을 개폐시키는 압력스위치(5)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펌프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원인가시 펌프(3)가 동작하면서 흡상능력에 의해 흡입관(1)의 양수가 상기 펌프(3)내에 유입된다.
이와같이 유입된 양수는 펌프(3)내의 임펠러(IMPELLER)의 동작에 의해 압력수가 되어 토출관(2)을 통해 토출된다.
이때 소량의 토출량을 얻기 위해 상기 토출관(2)의 밸브를 어드정도 닫으면 양수량이 감소되어(P→P')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펌프 양수특성상 펌프(3)내 압력이 Q→Q'로 높아지게 된다.
즉, 펌프(3)압력이 압력스위치(5)의 폐압력에 이르게 되면 자동적으로 전원부와 단락되어 펌프(3)의 동작이 멈추면서 양수동작이 정지되며, 펌프(3)압력이 낮아져서 압력스위치(5)의 개압력에 이르게 되면 펌프(3)가 동작하면서 재양수된다.
그러나 종래 펌프는 소량의 양수량에 의해 지속적으로 사용하려면 높은 단절 압력상태에서 운용되어 단시간 내에 펌프(3)압력이 압력스위치(5)의 폐압력에 도달하게 되어 소량의 양수량으로 지속적인 운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토출관측에 연결된 압력관을 저압부의 흡입관에 체결된 지연장치에 체결하여 소량 정압운전시 압력스위치의 폐압력 도달시간을 지연시키도록 하므로서 소량의 양수량으로 장시간 사용가능하도록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 펌프의 압력스위치 지연장치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탄성체(6)가 체결된 이동바(7)가 다이아프램(8)에 부착된 지연장치부(9)와, 상기 지연장치부(9)의 다이아프램(8)에 부착된 지연장치부(9)와, 상기 지연장치부(9)의 나사부(10)가 흡입관(1)의 나사부(11)에 체결되어 양수를 차단하도록 이동바(7)에 부착된 패킹부(12)와, 토출관(2)의 양수압력이 흡입관(1)에 흐르도록 상기 흡입관(1)에 체결된 지연장치부(9)의 상단에 체결되어 토출관(2)에 연결된 압력관(13)으로 구성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3은 펌프, 4는 소형 압력탱크, 5는 압력스위치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원인가시 펌프(3)가 동작하면서 흡상능력에 의해 흡입관(1)의 양수가 펌프(3)내에 유입된다.
이와같이 유입된 양수는 펌프(3)내의 임펠러 동작에 의해 압력수가 되어 토출관(2)으로 토출된다.
이때 소량의 토출량을 얻기 위해 토출관(2)의 밸브를 어드정도 닫으면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펌프 양수특성상 펌프(3)내의 단절압력이 Q→Q'로 높아지게 되면서 상기 양수압력이 압력관(13)을 통해 지연장치부(9)의 다이아프램(8)에 도달한다.
즉, 다이아프램(8)에 도달한 일정압력에 의해 상기 다이아프램(8)과 다이아프램(8)에 부착된 이동바(7)가 화살표방향(A)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바(7)에 부착된 패킹부(12)가 열리면서 지연장치부(9)의 고압력수를 흡입관(1)의 저압력부로 내보낸다.
따라서 소량의 양수량에서 펌프(3)내의 압력이 압력스위치(5)의 폐압력에 도달하지 않아 펌프(3)가 계속 동작되어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압력스위치(5)의 폐압력에 도달하는 시간이 t1→t2로 길어지게 되어 상기 폐압력이 도달하는 시간만큼 지연요소가 발생하여 소량 정압운전을 지속적으로 운용할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토출관으로 토출괸 양수압력이 지연장치부에 연결된 압력관을 통해 상기 지연장치부의 다이아프램과 다이아프램에 부착된 이동바가 이동하므로서 상기 이동바에 부착된 패킹부가 열려 지연장치부의 양수 고압력을 흡입관의 저압력부로 압력수를 배출한다.
즉, 펌프내의 압력스위치의 폐압력에 도달하는 시간이 길어져 소량 정압운전을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여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토출관(2)측의 고압력을 흡입관(1)측으로 귀환시키는 압력관(13)과, 상기 압력관(13)의 고압력을 이용하여 펌프 압력스위치의 개폐를 일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장치부(9)로 구성된 펌프의 압력스위치 지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연장치부(9)는 고압력에 의해 이동하는 다이아프램(8)과, 상기 다이아프램(8)과 연동하여 패킹부(12)를 개폐시키는 탄성체(6)로 체결된 이동바(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압력스위치 지연장치.
KR92007689U 1992-05-07 1992-05-07 펌프의 압력스위치 지연장치 KR9400075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689U KR940007516Y1 (ko) 1992-05-07 1992-05-07 펌프의 압력스위치 지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689U KR940007516Y1 (ko) 1992-05-07 1992-05-07 펌프의 압력스위치 지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5933U KR930025933U (ko) 1993-12-24
KR940007516Y1 true KR940007516Y1 (ko) 1994-10-22

Family

ID=19332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7689U KR940007516Y1 (ko) 1992-05-07 1992-05-07 펌프의 압력스위치 지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5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5933U (ko) 199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2205B1 (ko) 냉동사이클
US2488506A (en) Hydrostatic control for pumps
US5558503A (en) High-pressure cleaning device with bypass mechanism and pulsation dampeming
US2563862A (en) By-pass arrangement for pumping apparatus
KR940007516Y1 (ko) 펌프의 압력스위치 지연장치
EP0795687A3 (en) Reciprocating pump
US3870436A (en) Air release valve for self-priming pumps
NO994581D0 (no) Doseringspumpe for dosert levering av vaeske
US5190443A (en) Hydropneumatic constant pressure device
US3253547A (en) Sewage pumping system
JPS58170866A (ja) ベロ−ズポンプ
KR900009127Y1 (ko) 자동식 펌프의 마중물 탱크
KR970005845Y1 (ko) 공기압축기의 오일공급 및 배출장치
ATE149057T1 (de) Flüssigkeitsdosierpumpe
KR900004694Y1 (ko) 고압펌프의 압력조절용 우회밸브
SU1323751A1 (ru) Насосна станци
JPS6155393A (ja) 深井戸用自動運転ポンプ装置
KR20000052746A (ko) 펌프 장치
KR900009126Y1 (ko) 자동식 펌프의 압력탱크
JPH0646029B2 (ja) 圧送装置構造
KR850000029Y1 (ko) 사출성형기의 절전형 유압장치
KR860002062Y1 (ko) 어항용 물 순환기
KR940000699Y1 (ko) 수격펌프용 압력조절 탱크
KR200269814Y1 (ko) 동력분무기에 있어서 송출구의 자동개폐장치
SU170361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ливани жидкостей из емкост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