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151Y1 - 난방용 합성수지관의 연결구 - Google Patents
난방용 합성수지관의 연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7151Y1 KR940007151Y1 KR92010285U KR920010285U KR940007151Y1 KR 940007151 Y1 KR940007151 Y1 KR 940007151Y1 KR 92010285 U KR92010285 U KR 92010285U KR 920010285 U KR920010285 U KR 920010285U KR 940007151 Y1 KR940007151 Y1 KR 94000715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heating
- socket
- connection
- nu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난방용 온수분배기에 다수의 난방관을 연결한 상태도.
제2도는 종래 온수분배기에 난방관연결접속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5도는 일차적으로 접속구를 관체에 끼운 상태로 소켓관에 연결하는 상태도
제6도는 연결접속완료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난방관체 2 : 소켓관
3 : 너트 10 : 전단부
12 : 접속구 13 : 플랜지
14 : 삽입구
본고안은 난방용 온수분배기에 온수관을 연결접속 하는데 사용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시공작업이 간편하고 긴밀한 접속을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또는 아파트의 난방배관을 함에 있어서는 제1도의 상태처럼 각방에 설치된 난방관들을 온수분배기에 연결하여 각각 개폐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난방이 불필요한 곳은 잠그어 줄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각각의 난방관을 합성수지재질로 사용하고 난방관의 단부를 온수분배기에 연결접속하고 있다.
종래에는 난방관을 연결접속 할때에는 제2도 및 3도에서 처럼 먼저 온수분배기(5)에 소켓관(2)을 고정시키고 난방관체(1)에는 너트(3)를 끼워준 상태로 소켓관(2)의 니플관(4) 외연에 난방관체(1)를 억지끼움으로 결합시키면서 너트(3)를 소켓관(2)에 나사 결합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연결구는 시공조립이 불편하여 연결작업이 매우 힘이들고 조립후에는 긴밀한 결합이유지되지 못하여 누수현상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는것이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소켓관(2)은 제3도의 상태처럼 접속부가 이중관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사이의 접속홈(A)에 난방관체(1)를 깊숙히 밀어 끼워야 하는데 난방관체(1)는 이미 바닥면에 매설된 상태이므로 노출된연결부의 길이가 넉넉치 못하여 힘껏 당겨서 접속홈(A)에 깊숙히 삽입하기가 어려우며 대개는 약간만 끼운상태로 너트조임하게 되므로 누수현상이 많은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첫째는 소켓관(2)에 니플관(4)이 일체로 형성되고, 둘째는 소켓관(2)의 온수분배기(5)에 결합된 상태로 시공하기 때문이며, 셋째는 난방관체(1)가바닥면(콘크리트)에 매설상태이므로 관체 끝단부를 힘껏 끌어 당기거나 밀어 끼우기가 힘들다는데 기인한다.
따라서 본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연결구에서의 문제점을 시정보완하기 위해서 소켓관을 독립체로 형성하고 이와는 별도로 독립된 니플형 접속구를 난방관체에 끼운 상태로 손쉽게 소켓관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안출한것인바, 이와같은 본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켓관(2)과 너트(3)를 이용하여 난방관체(1)를 온수분배기(5)에 연결접속하는 것에 있어서 소켓관(2)의 전단부(10)를 단일관체로 형성하고 전단에는 다수의 걸림턱(11)을 가진 독립체의 접속구(12)를 형성하여 그 후단에 플랜지(13)를 형성하며, 그 윗쪽에는 소켓관(2)에 끼워지는 삽입부(14)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고안은 먼저 온수분배기(5)에 소켓관(2)을 끼워서 고정시킨 후 난방관체(1)에 너트(3)를 끼워준 다음, 제5도의 상태처럼 관체(1)에 본고안의 접속구(12)를 억지 끼움으로 삽입하여 준다.
이러한 작업은 각각의 난방관체(1)를 힘들여서 당기지 않고도 손쉽게 작업할 수 있으며 접속구(12)를 난방관체(1) 깊숙히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접속구(12)가 결합된 난방관체(1)를 소켓관(2)에 연결하는바, 접속구(12)의 삽입부(14)를 소켓관 전단부(10)에 삽입시키면서 너트(3)를 나사조임하면 소켓관(2)과 일체로 결합되며, 이때의 접속구 플랜지(13)는 소켓관(2)의 전단부(10)에 걸려지고 너트(3) 후단부의 걸림테두리(B)는 관체 및 플랜지(13)를 압착하면서 조여지므로 긴밀한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접속구 플랜지(13) 전후방에는 패킹이 설치되므로 압착력이 강화되고 체결후에도 누수의 우려가 없게된다.
이렇게 된 본고안은 독립된 접속구(12)를 난방관체(1)와 소켓관(2) 사이의 연결매개체로 사용하므로서 손쉽게 연결시킬 수 있고 시공조립작업이 종래의 소켓관과 니플관이 일체로된 것에 비해서 월등히 간편하고 신속히배관 작업할 수 있으며, 난방관체(1)를 접속구(12)에 깊이 끼워서 체결하므로 조립후에도 누수의 우려가 없이 사용될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 소켓관(2)과 너트(3)를 이용하여 난방관체(1)를 온수분배기(5)에 연결접속하는것에 있어서 소켓관(2)과 너트(3) 사이에 전단은 난방관체에 연결되는 통상의 니플관으로 형성되고, 후단은 소켓관 접속용 삽입부(14)와플렌지(13)로 형성된 접속구(12)를 연결매개체로 개재 시킴을 특징으로한 난방용 합성수지관의 연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2010285U KR940007151Y1 (ko) | 1992-06-10 | 1992-06-10 | 난방용 합성수지관의 연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2010285U KR940007151Y1 (ko) | 1992-06-10 | 1992-06-10 | 난방용 합성수지관의 연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01423U KR940001423U (ko) | 1994-01-03 |
KR940007151Y1 true KR940007151Y1 (ko) | 1994-10-14 |
Family
ID=1933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92010285U KR940007151Y1 (ko) | 1992-06-10 | 1992-06-10 | 난방용 합성수지관의 연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40007151Y1 (ko) |
-
1992
- 1992-06-10 KR KR92010285U patent/KR940007151Y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01423U (ko) | 1994-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50832B1 (en) | Self-aligning, rain-tight conduit coupling/connector assembly | |
SE8802513D0 (sv) | Schnellverbindung zum verbinden einer schlauchoder rohrleitung | |
CA2079843A1 (en) | Pipe coupling arrangement | |
KR940007151Y1 (ko) | 난방용 합성수지관의 연결구 | |
JPH07269764A (ja) | 管継手 | |
NO920912L (no) | Koplingsroerstykke | |
KR200365477Y1 (ko) | 수밀성과 작업성이 향상된 배관 연결구 | |
JPS6016685Y2 (ja) | 水栓用ユニオン | |
JPH0454398U (ko) | ||
JPH051750Y2 (ko) | ||
KR930004991Y1 (ko) | 합성수지관 연결 접속구 | |
KR200227410Y1 (ko) | 농업용 급수관 | |
KR200385731Y1 (ko) | 관체 접속구조 | |
JPS5914546Y2 (ja) | 通水管凍結防止装置における連結管 | |
KR840002620Y1 (ko) | 파이프 죠인트 장치 | |
KR890003128Y1 (ko) | 관 연결구 | |
JP2544628Y2 (ja) | プラスチック管の継手装置 | |
KR200209164Y1 (ko) | 플랜지 어댑터 | |
SE9704047D0 (sv) | Rörfog, särskilt vid plaströr | |
JPS6114782Y2 (ko) | ||
JP3059135B2 (ja) | 管材の継手構造 | |
KR890007077Y1 (ko) | 합성수지제 이음관 | |
JPS633606A (ja) | 配線器具用ボツクス | |
JPS63235795A (ja) | 二重配管の接続部 | |
KR960014742A (ko) | 합성수지제 나선파형관용 접속구 및 그 접속구를 착설한 합성수지제 나선파형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