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757Y1 - 해상용 부륜선의 부륜구조 - Google Patents

해상용 부륜선의 부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757Y1
KR940006757Y1 KR2019910021635U KR910021635U KR940006757Y1 KR 940006757 Y1 KR940006757 Y1 KR 940006757Y1 KR 2019910021635 U KR2019910021635 U KR 2019910021635U KR 910021635 U KR910021635 U KR 910021635U KR 940006757 Y1 KR940006757 Y1 KR 940006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ub
blade
wat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1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4155U (ko
Inventor
임종기
Original Assignee
임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기 filed Critical 임종기
Priority to KR2019910021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757Y1/ko
Publication of KR9300141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41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7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04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s to propulsive direction
    • B63H1/06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s to propulsive direction with adjustable vanes or blades
    • B63H1/08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s to propulsive direction with adjustable vanes or blades with cyclic adjus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해상용 부륜선의 부륜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부륜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1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작용예시 측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설치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륜 2 : 원통체
3 : 회전축 4 : 발포성 경물질
5 : 익편 6 : 지지 고정축
7, 7', 7" : 고정 편심캠 8 : 편심부
9 : 작동바아 10 : 수장홈
11 : 안내관 12 : 인장스프링
S : 부륜선
본 고안은 해상수송용으로 이용하는 부륜선의 부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큰 원통속에 발포성 경물질이 충전되어진 부륜의 외측둘레에 설치되는 익편을 중심고정축상의 편심캠과 작동바아에 의해서 연계동작할 수 있게 구성하여 부륜에서 수중에 잠기는 익편들만 점차적으로 외측에 돌출하여 물을 끌어 당기며 부륜선을 전진시킬 수 있고, 수중에서 나올때에는 다시 부륜의 익편수장홈에 삽입되어지는 동작이 반복하면서 부륜이 회전하여 부륜선을 전진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해사용 부륜선의 부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부륜선을 보면 선체 좌,우측에 부륜이 설치되어 부양되고, 그 회전에 의해 추진되므로 홀수고가 낮고 유체저항과 조파저항이 적어도 비교적 빠르며, 특히 안전성 및 적하처리등 작업성면에서 뛰어난 기능을 가지고 있어 침몰, 전복, 좌초 등의 우려가 극히 적다. 뿐만 아니라 부륜의 회전에 의해 부륜선이 추진 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부륜선의 부륜은 회전 추진시 유체저항이 적어야 하고, 부양력이 좋아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해상용 부륜선의 부륜을 보면 모두가 부륜의 원통과 일체로 익편들이 돌출되게 구성되어 있어, 부륜의 회전시 상기 익편들이 돌출되어진 상태로 있기 때문에 익편이 수면에 잠입하는 순간시점에서 공기의 저항과 함께 기포가 생기며 익편이 수면을 타격하게 되므로 요란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익편이 수중에서 나올때에는 물을 걷어 올리므로 저항이 커지며 대기중에서 회전할 때도 공기와의 저항이 심하다. 이러한 현상은 부륜의 회전이 빠를수록 현저하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부륜에 익편을 고정형으로 할 경우 부륜의 회전동작시 유체저항과 공기저항이 심하여 부륜선의 추진력이 떨어지고, 동작시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져 부륜선에 설치되는 부륜의 익편을 수중으로 잠입되는 부위에서만 돌출되게 하고, 수중에서 나오게 되면 익편들이 부륜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부륜의 회전시 유체저항과 공기 저항을 최소한으로 줄여 부륜선의 추진력을 향상시키고, 소음발생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을 보면 제1도와 제2도 및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축(3)과 일체로 되는 원통체(2) 내부로는 발포성 경물질(4)이 충진되고, 그 외부로는 다수의 익편(5)들이 일체로 돌출구성되는 부륜(1)에 있어서, 상기 부륜(1)의 회전축(3)이 내부로 지지고정축(6)을 삽입설치하고, 이 고정축(6)상에 일정간격(익편의 길이에 따라 조정)으로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편심부(8)를 갖는 고정편심캠(7)(7')(7")을 설치하여 각 익편(5)과 연결되는 작동바아(9)와 접동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작동바아(9)는 익편 수장홈(10)과 연결되는 안내관(11) 내부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안내관(11)과 작동바아(9) 사이로는 인장스프링(12)이 각각에 탄력설치구성되고, 상기 작동바아(9)와 일체로 되는 익편(5)은 인장스프링(12)의 인장력에 의해서 항시 수장홈(10)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S)는 부륜선,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설치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상기 부륜(1)을 부륜선(S)에 회전축(3)과 함께 다수의 익편(5)이 수장홈(10) 내부로 삽입되어진 원통체(2)를 회전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3) 내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고정편심캠(7)(7')(7")을 갖는 지지고정축(6)은 회전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축(6)상의 고정편심캡(7)의 편심부(8)는 부륜(1)이 물에 잠기는 쪽, 즉 하측으로 향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이 상태에서 부륜선(S)에 동력을 가하여 부륜(1)을 회전시키면 제3도와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축(3)과 함께 원통체(2)가 익편(5)들과 함께 회전동작하게 된다.
이 상태로 일정각도 회전이 이루어지면 각 익편(5)들과 연결된 작동바아(9)가 고정축(6)상의 고정편심캠(7)둘레를 접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작동바아(9)가 고정편심캠(7)의 편심부(8) 외면과 접동할 때에 작동바아(9)가 편심부(8)의 편심량 만큼 외측으로 밀려가게 되고, 이 힘에 의해서 이와 일체로된 익편(5)들이 부륜(1) 원통체(2)의 수장홈(10) 외측으로 돌출되어진다.
이 순간 돌출되어진 익편(5)들을 물속에 잠입되어 물을 차주어 부륜선(S)에 추진력을 제공하여 주게되고, 부륜(1)이 더 회전하게 되면, 상기 작동바아(9)가고정축(6)상의 고정편심캠(7)의 편심부(8)에서 벗어나면서 원래의 자리로 즉 인장스프링(12)의 인장력에 의해서 원통체(2)의 수장홈(10) 내부로 삽입되어 익편(5) 자체가 돌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륜(1)의 익편(5)들이 수중으로 잠입될 때에만 점차적으로 돌출되어 물을 차주어 부륜선(S)에 추진력을 제공하고, 또한 익편(5)이 수중에서 나올 때에는 다시 원통체(2)의 수장홈(10)으로 삽입되어 물의 저항과 공기의 저항을 줄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륜의 익편들이 물속으로 잠입될때에만 돌출되어 부륜선에 추진력을 제공하고, 수중에서 나올때에는 원통체의 수장홈으로 삽입되어져 종래처럼 익편이 수면에 잠입하는 순간의 저항과 수면과의 타격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수중에서 나올때에도 물을 익편에 걷어올리는 현상이 없어져 물과 공기의 저항을 최소한 줄여 줄 수 있고 이에따라 부륜선의 추진력을 극대화시키고, 연료의 손실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고자 한 것이다.

Claims (1)

  1. 통상적으로 회전축(3)과 일체로 되는 원통체(2) 내부로 다수의 익편(5)들이 돌출 구성되는 부륜(1)에 있어서, 상기 부륜(1)의 회전축(3) 내부로 지지고정축(6)을 설치하고 이 축상에 편심부(8)를 갖는 고정 편심캠(7)(7')(7")을 일정위치에 설치하여, 상기 익편(5)과 일체로 연결되는 작동바아(9)와 접동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작동바아(9)는 익편수장홈(10)과 연결되는 안내관(11) 내부에 인장스프링(12)을 설치구성하여 항시 익편(5)을 수장홈(10) 내부로 당겨 줄 수 있게 설치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해상용 부륜선의 부륜구조.
KR2019910021635U 1991-12-06 1991-12-06 해상용 부륜선의 부륜구조 KR9400067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1635U KR940006757Y1 (ko) 1991-12-06 1991-12-06 해상용 부륜선의 부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1635U KR940006757Y1 (ko) 1991-12-06 1991-12-06 해상용 부륜선의 부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155U KR930014155U (ko) 1993-07-27
KR940006757Y1 true KR940006757Y1 (ko) 1994-09-28

Family

ID=19323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1635U KR940006757Y1 (ko) 1991-12-06 1991-12-06 해상용 부륜선의 부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7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155U (ko) 199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8375B2 (en) Small waterplane area multihull (SWAMH) vessel
US3845733A (en) Boat propulsion means
NO337466B1 (no) Fremdriftsenhet for skip omfattende en motorkasse for installasjon under skipets skrog
US9260173B2 (en) Shallow-draft watercraft propulsion and steering apparatus
US6213042B1 (en) Small waterplane area multihull (SWAMH) vessel with submerged turbine drive
KR940006757Y1 (ko) 해상용 부륜선의 부륜구조
US8894453B2 (en) Shallow-draft watercraft propulsion and steering apparatus
US2568903A (en) Propeller construction for watercraft
DK2987719T3 (en) Vessel comprising a propulsion unit
KR890001619B1 (ko) 프로펠러 구동 배수형 선박
US3056374A (en) Auxiliary steering and propulsion unit
JP2005053434A (ja) 水陸両用船
CN103832568A (zh) 一种船舶动力传动装置
RU2107009C1 (ru) Роторный движитель
CN101391645A (zh) 一种低阻力高效船体结构
US2524938A (en) Boat having a buoyant propeller
JPH0676080B2 (ja) 船舶の舵機構
US2303437A (en) Means for the propulsion of ships
US3847109A (en) Underwater vane motive apparatus
JP2022519972A (ja) 航行中での前進に対する抵抗を減少させる回転体のタンデム配置によって形成される輸送用浮体構造
CN216834230U (zh) 一种双层螺旋桨侧推装置
CN214241195U (zh) 一种船用推进器的悬挂装置
CN112888624B (zh) 用以减小船舶航行期间的船体阻力的船首和/或船尾装置
JPH11208581A (ja) 水上スクータ装置
JP2005178721A (ja) 船尾上がりのプロペラ軸を持つ船尾形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9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