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750Y1 - 자동차용 접촉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접촉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750Y1
KR940006750Y1 KR92012712U KR920012712U KR940006750Y1 KR 940006750 Y1 KR940006750 Y1 KR 940006750Y1 KR 92012712 U KR92012712 U KR 92012712U KR 920012712 U KR920012712 U KR 920012712U KR 940006750 Y1 KR940006750 Y1 KR 940006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roller
bumper
obstac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2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215U (ko
Inventor
박근석
Original Assignee
박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근석 filed Critical 박근석
Priority to KR92012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750Y1/ko
Publication of KR9400032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2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7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48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obstacle sensors of electric or electron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접촉경보장치
제1도는 본고안의 실시상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2a도는 장애물과의 접촉전 상태도, 제2b도는 장애물과의 접촉된 상태도.
제3도는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도.
제4도는 제3도 결합상태의 일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차 범버 2, 22 : 로울러
3, 33 : 축봉 4, 4' : 상,하 횡대
5, 5' : 스프링 6 : 격벽
7 : 접점단자 8 : 연질커버
9 : 장애물 11 : 범버부착식 로울러지지판
본고안은 자동차 범버의 모서리에 구성되는 자동차용 접촉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범버는 운행중 잦은 접촉에 의해 훼손이 심한 부분인데 운전자는 이와같은 접촉사실을 즉시 감지하지 못하여 차체의 더 큰 훼손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좁은 골목길 등에서의 주행, 회전 및 마주오는 차량등을 비켜갈때 더욱 세심한 주의가 요망되는데 이 경우 범버의 접촉사실을 모르는 운전자가 자동차를 계속 주행시켜 본인의 차는 물론 마주오는 차에까지 손상을 가하게 되며 특히 초보 운전자의 경우 조작이 미숙하여 상당한 경제적 불이익을 당하게 된다.
지금까지는 자동차 범버의 모서리에 별도의 보호판을 부착한다던가 또는 로울러 등을 설치하여 범버 자체를 보호하고 있으나 접촉 사실을 즉시 간파하여 차체의 더 큰 훼손을 방지하게는 미흡하다.
즉, 본고안의 구성적 특징은 자동차 범버 모서리에 통상의 로울러를 설치하되 상기 로울러는 이를 축설한 축봉의 상,하단으로 스프링에 탄설된 상,하 횡대와 연동되어 있어 장애물과의 접촉시 스프링을 수축시키며, 후방으로 이동되어 이와 근접 설치된 접점단자를 접속시켜 주므로서 경보등의 점등 또는 경보음을 발생케하여 운전자가 장애물과 접촉사실을 감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고안의 실시상태로서, 즉 상,하부쪽은 좁고 중앙부는 넓게 형성된 로울러(2)가 자동차 범버(1)의 모서리에 설치된다
이를 제2도에서 살펴보면, 상기 로울러(2)는 그 중심부의 축봉(3)으로 축설되어 회동자재하도록 되어있으며, 이 축봉(3)의 상.하단으로는 상.하 횡대(4)(4')를 횡설하되 이 상.하 횡대(4)(4')는 스프링(5)(5')으로 각각 탄력설치되어 있다.
또한, 자동차 범버(1)의 내측, 즉 상기로울러(2)의 후방쪽에는 격판(6)을 설치하여 도시하지 않은 경보등 및 경보음 발생기와 도선으로 연결된 접점단자(8)을 구성한다.
물론 이 접점단자(8)는 자동차 범버(1)의 내측에서 로울러(2)와 근접,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시하지 않은 경보등 및 경보음 발생기는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는 자동차 실내에 구성된다.
한편,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별도의 범버부착식 로울러 지구판(11)을 구비하고 상기한 로울러(2)와 동일한 다수의 로울러(기타 구체라도 무방함)(22)를 상기 범버부착식 로울러 지지판(11)에 축봉(33)으로 회동자재하게 축설하여 된 것이다.
이는 이미 운행되고 있는 기존의 자동차 범버(1)를 개조하지 아니하고 그 모서리에 상기 로울러(22)가 축설된 범버부착식 로울러 지판(11)을 융착 또는 보울트등의 결합수단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범버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 부호중 (8)은 연질커버, (9)는 장애물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a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가 주행 또는 회전시 그 자동차 범버(1)의 모서리가 장애물(9)에 근접된 상태이며, 제2b는 상기 근접된 상황에서 더욱 진행하여 장애물(9)과 접촉된 상태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차가 장애물(9)을 비켜갈때에는 운전자가 극히 서행운전할때이며, 이때 장애물(9)과의 접촉이 이루어질 경우 자동차 범버(1)가 아닌 로울러(2)가 장애물(9)에 닿게 된다.
이경우 로울러(2)는 장애물(9)과의 접촉에 의하여 그 축봉(3)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타 접촉물체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한편 접촉상태가 더욱 심화되면 로울러(2)는 자동차 범버(1)의 내측으로 밀려지게 되는데 이때의 로울러(2)는 그 축봉(3)과 함께 밀려지게 되고 동시에 축봉(3)의 상,하단에 횡설된 상,하 횡대(4)(4')가 스프링(5)(5')을 수축시키며 이동됨에 따라 로울러(2)는 무리없이 자동차 범버(1)내측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동되는 로울러(2)는 이와 근접되게 격판(6)에 설치된 접점단자(7)를 압압하여 접속시켜 주므로서 자동차 실내에 설치된 경보등의 점등 또는 경보음이 발생되게 되며, 따라서 운전자는 진행을 중지하고 후진한 다음 전방을 파악한 후 다시 진행을 하게 된다.
또한, 로울러(2)는 장애물(9)과의 접촉이 해지되면 스프링(5)(5')의 탄성으로 원상복귀되는 상,하 횡대(4)(4')에 의해 원상태로 돌출되며, 다음 접촉시 상기한 작동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축봉(3)으로 축설된 로울러(2)의 회동으로 마주오는 차량과의 접촉시 그 상대방 차량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이어 접점단자(7)와의 접속에 의한 접촉사실을 즉시 간파하여 차체의 더큰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 범버(1)모서리에 축봉(3)으로 회동자재하는 로울러(2)를 축설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축봉(3)의 상,하단으로는 스프링(5)(5')으로 탄설된 상,하 횡대(4)(4')를 횡착하고 로울러(2)와 근접된 후방에는 접점단자(7)를 설치하여 이를 경보등 또는 경보음 발생기와 도통하여 된 자동차용 접촉경보장치.
KR92012712U 1992-07-10 1992-07-10 자동차용 접촉경보장치 KR940006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2712U KR940006750Y1 (ko) 1992-07-10 1992-07-10 자동차용 접촉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2712U KR940006750Y1 (ko) 1992-07-10 1992-07-10 자동차용 접촉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215U KR940003215U (ko) 1994-02-18
KR940006750Y1 true KR940006750Y1 (ko) 1994-09-28

Family

ID=1933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2712U KR940006750Y1 (ko) 1992-07-10 1992-07-10 자동차용 접촉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7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215U (ko) 199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59405295D1 (de) Diebstahlschutz für Kraftfahrzeuge mit mehreren Steuergeräten für Fahrzeugkomponente
DE68908659D1 (de) Kraftfahrzeugdiebstahlsicherungsvorrichtung.
FR2684057B1 (fr) Dispositif pour proteger la tete d'un occupant de vehicule automobile.
BR9100777A (pt) Sistema anti-furto de veiculos automotores
KR940006750Y1 (ko) 자동차용 접촉경보장치
FR2684763B1 (fr) Dispostif integre de detection et d'identification d'obstacles embarque notamment a bord d'un vehicule automobile.
FR2671773B1 (fr) Lave-projecteur escamotable pour vehicule automobile.
US5678505A (en) Warning device for tractor trailer skirts
FR2692709B1 (fr) Dispositif de contrôle actif du bruit dans l'habitacle d'un véhicule automobile.
BR9402123A (pt) Anti-furto de direção para veículo automotor
FR2725411B1 (fr) Dispositif antivol combine pour vehicule automobile
DE69201888T2 (de) Diebstahlsicherungsschalter für Kraftfahrzeuge.
FR2714646B1 (fr) Module de direction de véhicule automobile.
FR2711596B1 (fr) Dispositif pare-chocs de véhicule automobile.
DE69405940T2 (de) Kraftfahrzeug-Diebstahlsicherungssystem
FR2706394B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contre le vol, notamment d'un véhicule automobile.
FR2699476B1 (fr) Dispositif antivol pour volant de direction de véhicule automobile.
KR100260186B1 (ko) 후부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R2713171B3 (fr) Dispositif de démarrage de secours de véhicule automobile.
DE9315648U1 (de) Kraftfahrzeug-Lenkraddiebstahlsicherung
FR2702434B1 (fr) Dispositif antivol pour voiture automobile.
KR960004429Y1 (ko) 자동차의 무인경보장치
FR2658760B1 (fr) Dispositif de surveillance de pneumatiques de roues de vehicules automobiles.
KR100205725B1 (ko) 차량용 번호판 도난방지장치
KR0138816B1 (ko) 차량의 번호판이탈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