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529B1 - 자장을 이용한 발모촉진기 - Google Patents

자장을 이용한 발모촉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529B1
KR940006529B1 KR1019920000429A KR920000429A KR940006529B1 KR 940006529 B1 KR940006529 B1 KR 940006529B1 KR 1019920000429 A KR1019920000429 A KR 1019920000429A KR 920000429 A KR920000429 A KR 920000429A KR 940006529 B1 KR940006529 B1 KR 940006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air growth
wool
magnetic field
sca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115A (ko
Inventor
이덕중
Original Assignee
이덕중
전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중, 전재식 filed Critical 이덕중
Priority to KR1019920000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529B1/ko
Priority to JP5020866A priority patent/JPH05261162A/ja
Publication of KR930016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5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 Cosmetic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장을 이용한 발모촉진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장을 이용한 발모촉진기의 사시도.
제 2도는 본 발명의 분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종단정면도.
제4도는 본체의 브러시부의 종단정면도.
제5도는 양모제 누출방지장치의 상세도.
제 6 도는 제 3 도의 I - I 선 단면도.
제7도는 브러시판의 단면도.
제8도는 자석봉의 일부 절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0b,20b : 대롱공
10c : 공기소통공 16 : 보조자석판
18 : 망 20 : 브러시판
20a : 식입공 22 : 양모제 저장용기
22a : 주입구 24 : 대롱
24a : 접촉구 24b : 완충호스
26 : 주입구 마개 28 : 누출방지장치
30 : 실린더 32와 34 : 변판
36 : 피스톤 38과 40 : 탄생패킹
42 : 해면체 44 : 유출관
46 : 빗살 48 : 자석봉
본 발명은 탈모예방 및 발모를 촉진하는데 유용한 발모촉진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자장을 이용하여 탈모방지 및 탈모촉진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발모촉진기에 관한 것이다.
탈모증은 유전적 요인, 약물부작용, 정신적 스트레스등에 기인하여 모세혈관이 수축되면서 가려움증과 함께 머리카락이 두피로 부터 이탈하는 현상이다.
탈모가 국소적으로 일어나는 원형탈모증의 경우 탈모방지 내지는 발모치료에 있어서는 특별한 기구없이 그저 손으로 약물을 찍어서 두피에 바르는 구태의연한 방법뿐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치료방법은 탈모예방이나 탈모치료효과를 거두기에는 미흡한 수단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레스등 후천적 요인때문에 생기는 두피조직내 모세혈관의 가려움증을 해소할 수 있는 자장을 이용한 발모촉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장을 이용하여 두피조직내의 국소혈관의 혈류를 왕성하게 촉진시켜 모낭으로부터 새로운 모의 생성을 촉진할 수 있는 발모촉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두피에 자장을 조사한 결과, 표피를 뚫고 나오는 강한 모를 발견하고, 이를 토대로 계속 연구한 끝에 마침내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에 이로운 발모촉진기의 완성을 보고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인체에 끼치는 자기장의 영향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살아있는 세포는 담체라는 특별한 구조로서 필요한 에너지를 선별적으로 운반하는 한편, 물리화학적인 측면에서는 세포를 통하여 물질의 농도가 짙은 분자가 낮은 쪽으로 이동하는 경우도 있다. 이같은 확산에 의한 경우에는 출입하는 물질의 크기, 지용성의유무, +·- 전하의 성질등과 같은 관게가 있고, 또한 1價 이온은 적헐구의 세포막을 쉽게 통과할 수 있지만 2價 양이온은 거의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데, 원자가 전자를 방출하면 양이온이 되고 전자를 받아들이면 전체로써 음(-)의 전기를 띄게 되며, 이 상태의 원자는 결국 음이온이 되어 세포막이 뚫린 매우 작은 1mm의 약 1억분지 1의 구멍을 통과한다고 생각되며, 이렇게 하여 염소이온 C1-는 나트륨 이온 Na+이나 칼륨이온 K+보다도 무려 10.6배나 빨리 통과한다.
또한,2가 또는 3가 음이온(황산이온 SO4 2-),(안산이온 PO4 3-)등도 세포막을 쉽게 통과한다. 이처럼 이온화된 상태에서 세포의 빈혈조직이 원활한 순환활동을 하는 현상을 본 발명에 응용하였다. 이에따라 +자기장으로 두피내의 -이온화 현상을 유발하여 모세혈관의 혈행 개선에 도움을 줌으로써 발모촉진효과를 거둘 수 있고, 나아가 탈모증치료에도 획기적인 성가를 나타내면서도 사용하기가 한결 편리한 발모촉진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즉, 두피에 자장을 상당기간 반복적으로 조사하면 진피(眞皮)내의 모근이 자극을 받아서 그 조직내의 모세혈관은 +자기장에 의해 두피내의 -이온화현상으로 발전되어 헤모글로빈의 동화작용을 촉진하고, 그 결과 진피조직내에 있어서의 단백질의 구성을 도화서 모근을 강화한다. 그 영향으로 모낭이 살아있다면 거기서 강한 모가 새롭게 탄생하게 된다. 이같은 현상은 탈모방지치료 및 발모촉진치료에 있어선 아주 중요한 발견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촉진기에는 기존의 액상 양모제를 편리하게 투입할 수 있는 투입기구가 내장되어 있고, 또한 +자력이 두피내의 세포를 -이온화함으로써 모세혈관의 스트레스로 인해 수축된 모낭에 강한 모근을 생성할 수 있는 요소도 함께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발모촉진기는 브러시형태로 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발모촉진기 본체와, 브러시부, 손잡이부, 양모제 저장용기, 및 자석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양모제 저장용기와 브러시부에 소속된 대롱이 곧 액상 양모제 투입기구이다. 발모촉진기 본체는 전반부를 브러시부로 하고 후반부는 손잡이부로 한다. 브러시부는 발모촉진기 본체의 전반부중에서도 그 저면에 형성된다. 이 브러시부에는 두피에 부드럽게 접촉하여 두피를 손상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탄성을 가진 빗살을 듬성듬성 형성하는 동시에 각 빗살 사이에는 빗살과 형상이 흡사한 자석봉을 심어서 이 자석봉으로 하여금 본래의 자장을 형성하는 기능의에 빗살의 일부기능도 맡긴다.
또한, 빗살과 자석봉이 심어지지 아니한 브러시판상에는 대략 빗살과 대등할 정도의 길이를 가진 액상 양모제 적출용 대롱을 관통시켜서 저장용기에 저장시킨 액상 양모제를 적출하여 두피에 도포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이것도 빗살의 일부를 대신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발모촉진기 본체에 있어서 손잡이부의 내부공간에는 액상 양모제를 저장하는 저장용기와,발모촉진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그속에 들어있는 양모제가 공기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출방지장치가 내장된다. 또, 상기 액상 양모제는 그 저장용기의 선단에 둔 유출구를 통하여 유출관으로 전량 유출되고, 이 유출관은 본체의 전반부에 형성한 공간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하며 그 후단은 상기 유출구에 접속한다. 이 유출관에서는 여러 가닥의 대롱이 분기되어 내부적으로 서로 통하게 배치된다. 그래서, 유출구로 유출되는 액상 양모제는 유출관과 대롱을 거쳐 그 선단으로 유출되고, 이렇게 유출되는 액상 양모제는 모두 두피의 표면으로 유포되어 비로소 탈모방지 또는 발모를 촉진하게 되는 것이다.
양모제는 저장용기가 다 비워지고 나면 저장용기의 마개를 열고 새로이 양모제를 충진한 다음에 마개를 닫고 게속해서 되풀이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애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발모촉진기의 겉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체(10)의 전반부는 브러시부(A)이고 후반부는 손잡이부(B)를 이루며, 이들의 속은 모두 비어있다. 상기 본체(10)의 상부는 틔워서 앞뒷 부분으로 나뉜 덮개(12)(14)를 씌워서 가린다. 덮개중에서 앞덮개(12)는 발모촉진기의 최종 조립과정에서 일단 한번 덮어 씌우면 그 후로는 좀체로 벗겨낼 일이 없으나 뒷덮개(14)만은 액상 양모제를 새로 주입할 때마다 열고 닫는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발모촉진기의 분해도로서, 위로 부터 앞덮개(12)와 뒷덮개(14), 보조자석판(16), 본체·(10), 망(18), 브러시판(20), 브러시판 고정구(50)를 표시한다. 앞뒤 덮개(12) (14)가 서로 만나 맞물리는 부분(12a)(14a)은 돌쩌귀식 요철을 이룸과 동시에 이들이 서로 맞닿는 면에는 비록 도시하진 않았지만 탄성톱니같은 구조를 부여하여 이들 덮개(12)(14)를 본체(10)의 상부에 씌웠을 때 서로 맞물려서 지탱하는 힘을 발휘토록 하여 함부로 벗겨지는 일이 없게 한다. 여기서 뒷덮개(14)는 양모제 저장용기(22)에 액상 양모제를 새로 주입할 때에 한하여 여닫는다.
본체(10)의 윗둘레에는 앞뒤 덮개(12)(14)를 씌워서 안전하게 걸쳐있게 하기 위한 턱(10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브러시부(A)의 바닥면에는 대롱(24)이 수직으로 관통할 대롱공(10b)이 여러 개 뚫려 있으며, 뒷면에는 양모제 저장용기(22)내부의 진공화를 방지하는데 긴요한 공기소통공(10c)도 함께 뚫려 있다(제4도). 그리고, 손잡이부(B)의 바닥면에는 액상 양모제를 담아두는 저장용기(22)도 내장되어 있다. 이 저장용기(22)는 액상 양모제를 주입할 때 이용하는 주입구(22a)를 가지며, 그 주입구(22a)는 마개(26)에 의해개폐된다. 이 저장용기(22)내에는 또 액상 양모제의 누출을 방지하는 누출방지장치(28)도 설치되어 있다.
상기 누출방지장치(28)는 제5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주입구 마개(26)의 상면 중앙을 관통해 내려간 실린더(30)와, 이 실린더(30)내에서 브러시부(A)의 빗살(46)이 아래를 향할 때와 위를 보도록 발모촉진기를 놓았을 때에 자기무게에 의하여 항상 실린더(30)의 아래쪽으로 쏠려서 아래쪽에 놓이는 변판(34)의 공기구멍(34a)은 봉쇄하고 위쪽 변판(32)의 공기구멍(32a)은 개방도록 내장한 피스톤(36)과, 한 복판에 공기구멍(38a)(40a)을 뚫어 가진 탄성패킹(38)(40), 그리고 상기 변판(32)(34)의 외측 실린더부분에 채운 해면체(42)로 구성된다. 피스톤(36)은 실린더(30)내에서도 상, 하 변판(32)(34) 사이에서만 활동하면서 그 상면중앙에 돌출시킨 뿔(36a)로 하여금 상부 변판(32)의 공기구멍(32a)을 개폐하게 한다.
즉, 빗살(46)이 아래를 보도록 잡고 빗질을 하든가 혹은 그와 흡사한 자세를 취하도록 놔둔 경우에는 피스톤(36)이 하강하여 상부 변판(32)의 공기구멍(32a)을 열어서 이곳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저장용기(22)내로 유입되게 하여 액상 양모제의 적출에 따른 저장용기(23)내부의 진공화를 방지하므로서 액상 양모제의 적출이 원활히 이뤄지게 하고, 발모촉진기를 옆으로 뉜 자세가 수평이하로 기울어진 경우에는 피스톤(36)이 즉시 상부 변판(32) 쪽으로 내려가서 그 공기구멍(32a)을 뿔(36a)이 끼어들어가 틀어막게 한다. 때문에 주입구(22a)가 수평이하로 놓일 적에는 외부공기가 저장용기(22)내로 유입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반대로 저장용기(22)내의 액상 양모제가 하부 변판(34)의 공기구멍(34a)과 상부 공기구멍(32a)을 거슬러 주입구(22a)로 누출되는 일도 철저히 예방된다.
해면체(42)는 솜 또는 작은 기공이 잘 발달되어 공기의 유통은 원활하지만 액상 양모제의 통과는 수월치않는 스펀지 등이며, 이는 저장용기(22)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정화목적과 위에서 말한 바와같이 저장용기(22)내의 액상 양모제에 대한 누출억제효과 및 발모촉진기가 움직일 때마다 저장용기(22)내에 들어있는 액상 양모제에 의하여 작용하게 될 용기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변판(32)(34)의 내측에 덧댄 탄성패킹(38)(40)에 대한 피스톤(36)의 접촉충격을 줄이기 위하여 실린더(30)의 상, 하단부분에 채우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저장용기(22)의 유출구에는 유출관(44)이 연결된다. 이 유출관(44)은 브러시부(A)내 공간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놓이며, 또한 밑면에는 여러 가닥의 대롱(24)이 연결된다. 이들 대롱(24)은 유출관(44)을 통해서 저장용기(22)에 내부적으로 접속되어 거기서 유출되는 액상 양모제를 외부로 인도하는 역할을 주된 임무로 한다. 또한, 각 대롱(24)의 유출단에는 볼펜 팁에서 혼히 볼 수 있는 그와같은 형태로 내장한 접촉구(24a)가 있다. 이 접촉구(24a)는 빗질할 대에 발모촉진기의 방향에 상관없이 항상 두피에 접촉하여 액상 양모제를 도포하기 쉽고 또한 두피와의 마찰시에도 두피가 긁혀서 상처를 입는다거나 통증을 느기게 하는 일이 없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3도 및 제6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대롱(24)의 상단과 상기 유출관(44)과의 사이에는 완충호스(24b)로 연결된다. 발모촉진기로 빗질을 하다보면 빗질이 자칫 불규칙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때, 만약에 대롱(24)의 유연성이 불충분하다면 두피에 통증을 안겨 주거나 더욱 심할 경우 상처를 내기 쉽다. 상기 완충호스(24b)는 바로 이런 우려를 염두에 두고 형성한 것인데, 빗질할 때에 자칫 지나친 힘이 가해질 경우에는 완충호스(24b)가 일순간 자석봉(48)의 축방향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수축되는 완충력을 발휘할 여유를 부여하므로서 빗질을 잘못함으로 인해 겪을 두피의 손상, 통증을 주지않게 할 수가 있다. 이에 더불어 필요한것은 브러시판(20)의 유연성인데, 이점에 대하여는 브러시판(20)에 관한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7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브러시판(20)의 저면에는 빗살(46)이 형성되어 있고, 빗살(46)과 빗살(46) 사이에는 자석봉(48)을 심기위한 식입공(20a)과 상기 대롱(24)이 뚫고 나갈 대롱공(20b)이 천공돼 있다. 또,브러시판(20)은 탄성을 지닌 합성고무제 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빗질할 때 지나친 힘이 가해질 경우에 완충호스(24b)가 일순간 자석봉(48)과 함께 축방향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수축될 수 있는 여유를 부여하므로서 빗질을 잘못함으로 인해 겪을 두피의 손상, 통증을 주지않게 하기 위한데 있다. 그럼으로써 대롱(24)의 딱딱한 접촉충격으로 부터 두피를 보호할 있음은 물론 두피의 마사지효과마저 곁들일 수 있어 좋다.
제8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자석봉(48)의 상단에는 약간의 사이들 띄우고 두 개의 칼라(48a,b)가 형성된다. 자석봉(48)의 상단부를 상기 식입공(20a)에 끼웠을 때에 상부 칼라(48a)는 식입공(20a)의 윗언저리에 걸리고 하부 칼라(48b)는 식입공(20a)의 밑언저리에 걸려서 안팎으로 무단히 바지는 것을 방지하는 요소이다. 이 자석봉(48)은 또, 인장강도가 높은 탄소강에다 보자력(報磁力)이 높은 적정한 결정입자 300-500Å정도의 단자구(端子具)구조를 취하고 이것을 CO-Ni 합금욕을 실시하며, 여기에다 차아린산염 또는 인산을 가하여 CO-Ni-P계 자성도금 즉, 코발트-니켈-인계 자성도금처리하는 방법으로 제조한다.
다른방법으로서는 순철 또는 여기에 버금가는 철을 열처리 한 후에 표면경화도금과 친화성이 있는 금을 도금처리하고 칼라(48a,b)부분에 자장을 입력하거나 레오듐, 헤라이트, 아르니코등을 사용하여 적절한 크기로 연마가공한 다음에 자장을 입력하는 방법도 있다.
또는 제2,3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두피와의 마찰로 인한 자석봉(48)의 자연손실을 줄이는 방법의 일환으로써, 앞덮개(12)의 밑면에 1500-2000가우스의 자력을 입력할 수 있는 재질, 이를테면 아르니코, 헤라이트등으로 이뤄지는 보조자석판(16)을 부착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S극에서 N극으로 자력선이 움직이는 자장특유의 성질에 의하여 그 자장은 모두 자석봉(48)으로 집중되어 자속밀도를 증대시켜 주므로 자석봉(48)의 선단에 강력한 자화영역이 형성되고, 이에따라 자석봉(48)에서 나오는 자력선이 두피내의 진피를 -이온화시켜 진피내의 헐류를 개선하게 되며, 이로서 모낭내의 모근에서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돼 두피의 미용효과는 물론 탈모증을 억제하고 동시에 발모를 촉진시켜 탈모증 환부에 대한 보다 높은 치료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리고, 망(18)은 자석봉(48)의 식입상태를 안정시키기 위하여 브러시판(20)의 안쪽에 부착하는 것으로서, 섬유제 또는 가느다란 철사로 만든 금망이 적합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작용과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도 및 제6도에 있어서, 뒷덮개(14)와 마개(26)를 차례로 열고 주입구(22a)로 액상 양모제를 주입하여 가득 채운다. 그런 다음에 마개(26)과 뒷덮개(14)를 다시 닫은 후에 사용에 임한다. 빗살(46)이 아래를 향하게 손잡이부(B)를 잡으면 피스톤(36)은 자기무게때문에 상부 변판(32)에서 하부 변판(34)쪽으로 내려간다. 이때, 상부 변판(32)의 공기 구멍(32a)이 자연스레 열려서 공기소통공(10c)을 통하여 작용하는 대기압이 저장용기(22)내에 까지 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대기압의 영향을 받은 저장용기(22)내의 액상 양모제는 유출관(44)으로 유출되고, 이어서 곧바로 대롱(24)을 타고 아주 느린 유속으로 흘러 나간다. 그리고이 액상 양모제는 대롱(24)의 선단에 이르러서는 표면장력현상 때문에 접촉구(24a)의 표면에 유착된 채로 머물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발모촉진기로 머리를 빗으면 접촉구(24a)에서는 액상 양모제가 묻어나와 두피에 도포되고 자석봉(48)에서 나오는 자력은 두피와 모낭주변의 모세혈관을 자극하는 동시작용이 일어난다. 이때, 자석봉(48)의 선단에서는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 +자기장이 두피에 조사되면 자기장의 성질에 의하여 두피는 -이온화되므로 왕성한 헐류를 촉진하게 된다. 그 결과, 두피조직내에 있어서의 헤모글로빈의 동화작용과 단백질 공급이 활발히 이뤄지고, 살아있는 모낭의 활동에도 자극을 줘서 생동감을 불러 일으키므로서 비로소 탁월한 탈모방지 빛 발모촉진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이와함께 빗살(46)과 자석봉(48) 및 대롱(24)의 각 선단은 두피와 마찰할 때 두피에 대하여 일종의 맛사지작용도 아울러 거둬진다.
본 발명의 발모촉진제의 사용효과를 실증하기 위하여 및 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
(동물실험)
12주된 숫토끼 10마리의 등을 모두 단위면적 2O㎠ 내의 털을 말끔히 깎아냈다. 실험방법으로서는,깎은면적의 1/2을 비교면으로 하여 기존의 양모제를 도포하고, 나머지 부분은 60-70가우스가 입력된 자석봉(48)을 장착한 발모촉진기로 1일 2회씩, 매회 단위면적 10㎠당 40회씩 가볍게 빗질하는 방법으로 1주일간 반복 실시한 후에 토끼의 등에 자라난 털의 길이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표 1] (단위 : mm)
주) : A : 비교면의 성장한 털의 길이 및 표준편차
B : 시험면의 성장한 털의 길이 및 표준편차
C : 비교면에 대한 시험면 털의 성장평균치
위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순수 양모제에 의한 발모효과 보다도 자장을 이용한 본 발명의 발모촉진기를 사용하여 성장한 발모효과가 월등하다.
[실험 2]
(인체의 두피에 대한 적응실험)
자석봉(48)과 두피와의 마찰시(맛사지시)에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저장용기(22)에 양모제 대신 올리브유를 주입하고 빗질을 하였다. 이때, 대롱(24)의 액상 양모제가 흘러내리는등 올리브유의 낭비를 줄이려고 올리브유에 파라핀 왁스를 혼합하여 교반하고, 그 점도를 일반 점도측정법에 의거 200센티스트크로 조정하였다.
적용대상자중 A군과 B군은 원형탈모증, C군은 노인성 탈모증환자를 적용대상으로 하고, 또한 A군은60-70가우수스 B군은 80-100가우수스, C군은 150-200가우스 짜리 자석봉(48)으로 하며, 가려움증을 동반한 원형탈모증이 진행중이면 사람에게 단위면적 10㎠당 1일 2회, 매회 40번씩 가법게 빗질하며 50일간반복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냈다.
[표 2]
주) - : 없음
0 : 병변의 치료전후에 차이가 없는 경우
+ : 모발량이 조금 나타난 경우
++ : 생모(生毛)가 나타난 경우
+++ : 경모(硬毛)가 나타난 경우
원형 탈모증과 노인성 탈모증이 진행중인 9명에 대하여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위 표에서 확인되는 바와같이, 가려움이 없어지고 모발의 양도 현저히 늘어난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두피조직내에 있어서 모공주위의 진피내에서 원활한 혈액순환이 모근의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기에 충분하고, 또한 두피가 자장의 접촉에 의하여 진피의 미세혈관내 혈류가 -이온화되므로서 미세혈관의 빈혈조직을 완화시킨 결과에서 비롯되는 것이라는 사실도 아울러 확인할 수 있었다.
탈모증에 수반되는 가려움증은 두피외부의 진균에 의한 영향뿐만 아니라 진피조직내의 미세혈관의 빈혈조직으로 인한 혈액순환장애도 가려움증과 탈모현상이 일어나는 중요한 원인이었는데, 위 실험1에서 기존의 양모제를 도포한 것을 비교군으로 하고 발모촉진기를 토끼의 등에 실시한 결과에서 발모효과가 현저한 사실이 확인되었고, 또한 실험2의 결과에서1도 원형 탈모증이나 유전적 노인성 탈모증등의 치료방법으로도 효과가 아주 크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치료도중에 빗질의 부작용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으며, 탈모변방이 건성으로 변질되어 있던 머리결도 부드러워졌고 윤기나는 건강한 머리결도 발전되었음은 물론 발모속도 또한 빨랐다.
이상을 종합하면, 본 발명의 발모촉진기는 지금까지 양모제만을 두피에 도포하여 발모를 기대하던 탈모방지 또는 발모치료방법과는 달리 자석봉의 +자장의 집중현상으로 자속밀도가 높아지고, 그 결과 자석봉의 선단에는 강력한 자화영역이 확보되므로서 그 자장이 곧 두피내의 진피를 -이온화시키고 이는 결국 진피내의 혈류를 개선하여 모낭내의 모근에 단백질의 합성을 도와주므로 두피에 대한 미용 맛사지효과, 탈모억제내지는 방지, 발모촉진과 같은 탁월한 이용효과를 가쳐오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기모부와 손잡이부로 이뤄지고 위는 틔워서 앞덮개(12)와 뒷덮개(14)를 덮어서 가릴 수 있는 속이 빈 본체(10)내에는 액상 양모제 저장용기(22)를 내장하고, 이 양모제 저장용기(22)의 선단 유출구에는 유출관(44)의 후단을 연결하며, 기모부의 저면에는 다수의 자석봉(48)과 빗살(46)을 양모제 주출용 대롱(24)과 함께 동일 방향으로 관통시킨 브러시판(20)을 부착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장을 이용한 발모촉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액상 양모제 저장용기(22)는 그 주입구(22a)에 양모제 누출방지장치(28)를 내장한 자장을 이용한 발모촉진기.
  3. 제1항에 있어서, 유출관(44)과 양모제 주출용 대롱(24)을 접촉압 완화용 완충호스(24b)로 접속한 자력을 이용한 발모촉진기.
  4. 제1항에 있어서, 대롱(24)과 빗살(46) 및 자석봉(48)의 선단을 둥글게 형성한 자장을 이용한 발모촉진기.
KR1019920000429A 1992-01-14 1992-01-14 자장을 이용한 발모촉진기 KR940006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0429A KR940006529B1 (ko) 1992-01-14 1992-01-14 자장을 이용한 발모촉진기
JP5020866A JPH05261162A (ja) 1992-01-14 1993-01-14 磁場を利用した発毛促進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0429A KR940006529B1 (ko) 1992-01-14 1992-01-14 자장을 이용한 발모촉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115A KR930016115A (ko) 1993-08-26
KR940006529B1 true KR940006529B1 (ko) 1994-07-21

Family

ID=19327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429A KR940006529B1 (ko) 1992-01-14 1992-01-14 자장을 이용한 발모촉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261162A (ko)
KR (1) KR9400065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1593B2 (en) 2015-12-28 2020-02-18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Hair growth composition and method
WO2021149963A1 (ko) * 2020-01-23 2021-07-29 주식회사 연우 개인용 케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815B1 (ko) * 2003-02-26 2005-06-16 황하욱 모발 생성기
KR200422915Y1 (ko) * 2006-03-31 2006-08-02 임규수 자석과 전기를 이용한 두피 마사지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5358A (en) * 1981-01-06 1982-07-17 Y Ii Data:Kk Driving method for hammer of dot type line printer and drive circuit thereof
JPS58211234A (ja) * 1982-06-03 1983-12-08 Fujitsu Ltd ペ−ジ切替装置
JPS59125510A (ja) * 1983-01-02 1984-07-19 北浜 清 養毛用ブラ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1593B2 (en) 2015-12-28 2020-02-18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Hair growth composition and method
US10925824B2 (en) 2015-12-28 2021-02-23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Hair growth composition and method
US11185487B2 (en) * 2015-12-28 2021-11-30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Hair growth composition and method
WO2021149963A1 (ko) * 2020-01-23 2021-07-29 주식회사 연우 개인용 케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261162A (ja) 1993-10-12
KR930016115A (ko) 1993-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nold et al. Expression of c-fos in regions of the basal limbic forebrain following intra-cerebroventricular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in unstressed or stressed male rats
DE15160406T1 (de) Behandlung eines intermediären und hochgradigen Non-Hodgkins-Lymphoms mit Anti-CD20-Antikörper
ATE65697T1 (de) Stimulation des haarwachstums.
KR20200037342A (ko) 향상된 고정 기능과 의료 안전 기능을 갖춘 모발 이식
KR101153366B1 (ko) 눈썹 시술방법
CN107233271A (zh) 一种氨基酸真姜洗发水及其制备方法
KR940006529B1 (ko) 자장을 이용한 발모촉진기
KR102197242B1 (ko) 두부 마사지기구 및 이를 이용한 두부 마사지방법
KR102120245B1 (ko) 눈썹 발모 시술 방법
Brafield Water movements in the pennatulid coelenterate Pteroides griseum
Norström et al. Effect of suckling and parturition on axonal transport and turnover of neurohypophysial proteins of the rat
KR102670374B1 (ko) 두피용 문신장치
CN208464600U (zh) 一种容易清洁的香氛按摩梳子
Van Vleck The anatomy of the nasal rays of Condylura cristata
KR20140071885A (ko) 피부재생용 금사 주입 장치
Knoll et al. Illustrated Atlas of Esthetic Mesotherapy
CN214550239U (zh) 防治头皮屑的点穴棒
KR102615607B1 (ko) 두피 관리방법
Jasiński et al. Model of skin vascularization in Rana esculenta L.: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microcorrosion casts
Pachghare et al. Role of Abhyanga in Skin and Hair Care
KR20100049185A (ko) 건강 모발용 기능성 마사지 브러쉬
Chuhraev et al. Hardware methods in cosmetology. Programs of face care
US20240156235A1 (en) Brush-Type Container-Integrated Eyebrow Perm Device and Perm Method Using the Same
CN210542450U (zh) 一种直入病灶喂药的针灸针
CN1097147A (zh) 利用磁场的毛发生长促进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