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960Y1 - 봉상물조출용기 - Google Patents

봉상물조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960Y1
KR940005960Y1 KR92018246U KR920018246U KR940005960Y1 KR 940005960 Y1 KR940005960 Y1 KR 940005960Y1 KR 92018246 U KR92018246 U KR 92018246U KR 920018246 U KR920018246 U KR 920018246U KR 940005960 Y1 KR940005960 Y1 KR 9400059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outer cylinder
cylinder
holder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8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431U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쇼우지 야스니시
요시히데 미츠야
Original Assignee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가게야마 도시히코
Priority to KR92018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960Y1/ko
Publication of KR9400074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4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9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봉상물조출용기
제1도는 본 고안 용기의 1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제2A도, 2B도, 2c도는 각각 본 고안에서의 나선축의 1례를 도시한 정면도와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제3도는 종래 용기의 1례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1A : 선단부
1B : 바닥부 2 : 내통
3 : 봉상물(수정봉) 4 : 호울더
5A : 안내부 6 : 나선홈
7 : 접속부 7A : 돌출부
8 : 캡 9 : 키이
10 : 키이홈 11 : 오목부
12 : 블록부 13 : 빠짐방지구
본 고안은 수정봉이나 칼러스틱, 봉형상풀, 봉형상지우개고무, 립스틱, 눈썹화장요필십, 파스등과 같은 봉상물을 회전조작으로 조출시키는 봉상물조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제3도는 종래의 봉상물조출용기의 1례의 구성을 종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외통(1)내에 호울더(4)가 키이(9)와 키이홈(10)에 의해 회전하지 못하고 축방향이동만 할 수 있도록 설치되면서, 호울더(4)의 뒷부위 암나사(15)에 숫나사축(16)이 나사결합되는 한편, 이 숫나사축(16)의 근원부에 형성된 환상의 돌출부(17)와 큰 직경축부 환상돌기(18) 및 뒷끝 플렌지부(19)가 각각 외통(1)의 안쪽방향 돌출부(20)의 안쪽과 큰 직경 원통부 환상홈(21) 및 뒷끝에 축방향이동을 할 수 없고 회전만 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져 있다.
즉, 근원부 환상돌출부(17)가 안쪽방향 돌출부(20)를 넘어 안쪽으로 미끄럼 접촉하게 되고, 큰 직경축부 환상돌기(18)가 큰 직경원통부 환상홈(21)에 끼워맞춰지며, 뒤끝 플렌지부(19)가 외통(1)의 뒷끝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통(1)의 선단부(1A)에는 바깥쪽에 캡(8)이 착탈될 수 있도록 씌워져 있는 바, 예컨대 선단부(1A)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의 돌출부(23)가 캡(8)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상홈(24)에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예는, 사용할 때 외통(1)에서 캡(8)을 뽑아낸 다음 외통(1)에 대해 뒷끝 플렌지부(19)를 회전시키면 숫나사축(16)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이 숫나사축(16)에 암나사부(15)가 나사결합된 호울더(4) 및 이에 보유지지된 수정봉(3)이 외통(1)의 키이(9)와 호울더(4)의 키이홈(10)의 결합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해서 외통(1)의 선단부(1A)로부터 돌출시켜져 수정한 곳을 도포하는데 쓰여질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수정봉(3)을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뒷끝 플렌지부(19)를 상기와는 반대쪽으로 회전시키면 숫나사축(16)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이 나사축(16)에 암나사부(15)에 의해 나사결합된 호울더(4) 및 이 호울더(4)에 보유지지된 수정봉(3)이 외통(1)의 키이(9)와 호울더(4)의 키이홈(10)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와는 반대쪽의 축방향으로 이동해서, 외통(1)의 선단부(1A)로부터 끌어들여지게 되고, 이렇게 끌어들여진 다음 외통(1)의 선단부(1A)에 캡(8)을 씌워 수정봉(3)의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해서 건조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예에 있어서는, 캡(8)을 씌울 때 외통(1)에 대해 뒷끝 플렌지부(19)가 회전시켜지면, 수정봉(3)이 외통(1)의 선단부(1A)로부터 돌출되어지기 때문에, 캡(8)의 머리부위내면에 수정봉(3)의 앞끝이 찌그러지게 되는 등의 염려가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의 봉상물조출용기는,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닥부(1B)를 가진 외통(1)의 외주면에 나선홈(6)이 형성된 나선축(5)에 끼워지면서, 이 나선축(5)의 뒷쪽부위에 형성된 안내부(5A)가 외통(1)내에 회전은 못하고 축방향이동만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편, 나선축(5)의 앞쪽부위에 형성된 접속부(7)에 봉상물(3)을 보유지지한 호울더(4)가 착탈될 수 있도록 연결되고, 나선축(5) 및 호울더(4)의 외주면이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지는 한편 뒷쪽부위내면에 형성된 돌출부(7A)가 나선홈(6)에 걸어맞춰진 내통(2)이 외통(1)으로부터 돌출되어 외통(1)내에 축방향이동은 못하고 회전만 할 수 있도록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됨으로써, 외통(1)에 대해 내통(2)을 회전시키면, 내통(2)의 돌출부(7A)가 나선축(5)의 나선홈(6)에 걸어맞춰지고 나선축(5)의 안내부(5A)가 외통(1)내에 회전은 못하고 자유로이 축방향이동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나선축(5) 및 이 나선축(5)의 접속부에 연결된 호울더(4)가 내통(2)내를 축방향으로 이동해서, 호울더(4)에 보유지지된 봉상물(3)이 내통(2)의 회전방향에 대응해서 내통(2)의 선단부로부터 조출되거나 끌어들여질 수 있게 된다.
또, 외통(1) 및 내통(2) 양쪽이나 또는 어느 한쪽에 캡(8)을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고 착탈될 수 있게 끼워지는 구성으로 해 놓게 되면, 캡(8)을 씌울 때 외통(1) 또는 내통(2)에 대해 내통(2) 또는 외통(1)을 회전시킬 수가 없게 되므로, 봉상물(3)이 내통(2)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캡(8)의 머리부위내면에 닿아 봉상물(3)의 앞끝이 찌그러지게 되는 등의 염려가 없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의 구성을 종단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제2a,2b,2c도는 본 고안에서 나선축의 1례를 도시한 정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인 바, 도면에서 참조부호 1은 바닥부(1B)를 가진 외통이고, 5는 외주면에 나선홈(6)이 형성된 나선축(5)으로서 이는 외통(1)내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나선축(5)의 후단부내에 안내부(5A)인 원통부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어서 나선축(5)과 안내부(5A) 2가지의 부품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나, 이들을 1개의 부품으로 구성시켜도 좋다.
또 나선축(5)의 안내부(5A)는 외통(1)내에 회전하지 못하고 축방향 이동만 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조립이 쉽도록 하기 위해 외통(1)의 내주면과 이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안내부(5)의 끝판 외주면중 어느 한쪽, 예컨대 안내부(5A)의 끝판 외주면에 다수의 키이홈(10)이 형성되고(제2c도 참조), 다른쪽인 외통(1)의 마주보는 내주면 2곳에 키이(9)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참조부호 13은 제2A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내부(5A)의 끝판으로부터 나선홈(6)으로 돌출시켜진 빠짐방지구이다.
또한, 나선축(5)의 앞쪽부위에는 접속부(7)가 형성되면서, 이 접속부(7)에는 수정봉(3)을 내면 안나사부(4A)에 걸려지도록 보유지지한 호울더(4)가 착탈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바, 예컨대 접속부(7)는 제2A, 2B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형이 8각형으로 되면서 외주면에 오목부(11)를 갖는 4분할로 이루어지는 한편, 호울더(4)는 내부형상이 8각형으로 되면서 내주면에 상기 오목부(11)에 걸려지는 볼록부(12)가 나선축(5)의 나선홈(6)내에 걸어맞춰지고, 또 외통(1)의 키이(9)가 나선축(5)의 안내부(5A)의 키이홈(10)에 끼워맞춰져 있기 때문에, 내통(2)의 회전에 의해 돌출부(7A)가 나선홈(6)을 따라 이동함과 더불어 나선축(5)이 그의 접속부(7)에 연결된 호울더(4) 및 키이(9)와 키이홈(10)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해서, 호울더(4)에 보유지지된 수정봉(3)이 내통(2)의 앞끝으로부터 돌출시켜지게 된다.
또 외통(11)의 회전에 따라 키이(9)가 나선축(5)의 안내부(5A)의 키이홈(10)에 끼워맞춰짐과 더불어 나선축(5)의 나선홈(6)에 내통(2)의 돌출부(7A)가 걸어맞춰져 있기 때문에 나선축(5)이 회전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호울더(4)에 보유지지된 수정봉(3)이 내통(2)의 앞끝으로부터 돌출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정봉(3)을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외통(1) 도는 내통(2)에 대해 내통(2) 또는 외통(1)을 상기와는 반대쪽을 회전시키면, 내통(2)의 반대방향 회전에 따라 돌출부(7A)가 나선홈(6)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나선축(5) 및 그 접속부(7)에 연결된 호울더(4)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해서, 호울더(4)에 보유지지된 수정봉(3)이 내통(2)의 앞끝으로부터 끌어들여지게 된다.
또는 외통(1)의 반대방향회전에 따라 나선축(5)이 반대쪽으로 회전하면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수정봉(3)이 내통(2)의 앞끝로부터 끌어들여지게 된다.
또 캡(8)을 씌울 때는 캡(8)이 내통(2)에 대해 자유로이 회전하기 때문에, 캡(8) 또는 외통(1)이 회전하게 되더라도 수정봉(3)이 내통(2)의 앞끝으로부터 돌출해서 캡(8)의 머리부위내면에 닿아 수정봉(3)의 앞끝이 찌그러지게 되는 등의 염려가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통(2)의 외주면과 내부캡(8B)의 안쪽방향 돌기형상링(14)사이가 밀접되어 있고, 또 외부캡과 내부캡(8A,8B)의 안쪽방향 돌기형상링(22)과 바깥방향 돌기형상링(25)이 각각 내부캡(8B)의 외주면과 외부캡(8A)의 내주면에 밀접되면서 양 링(22,25)이 밀착되며, 내통(2)의 바깥쪽 원통부(2A)의 바깥방향 돌기형상링(26)과 외부캡(8A)의 안쪽방향 돌기형상링(27)이 각각 외부캡(8A)의 내주면 및 바깥쪽 원통부(2A)의 외주면에 밀접되어져 있고, 나선축(5)의 앞쪽부위 오목부에 끼워진 씨일링(28)에 의해 내통(2)과 나선축(5)의 앞쪽부위사이가 밀봉되어져 있기 때문에, 수정봉(3)의 수분이 외부로 증발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건조가 장기에 걸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수정봉(3)을 사용할 때까지 다 쓴 경우에는, 잔여분이 든 호울더(4)를 접속부(7)에서 뽑아내는 한편, 케이스내에 수정봉(3)과 이를 보유지지한 호울더(4)를 수납시켜 케이스 뚜껑을 씌운 카셋트를 준비하고서, 뚜껑을 벗겨낸 다음 호울더(4)를 접속부(7)에 연결하여 내통(2)을 회전시켜, 나선축(5) 및 그 접속부(7)에 연결된 호를 끌어들여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손을 더럽히지 않고서도 케이스로부터 인출하여 내통(2)내에다 수납시켜 수정봉(3)을 충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봉상물(3)로서 수정봉이나 건조성이 있는 칼러스틱, 봉형상풀과 같은 건조되는 것 이외에는 캡(8)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바닥부(1B)를 가진 외통(1)내에 오주면에 나선홈(6)이 형성된 나선축(5)이 끼워지면서, 이 나선축(5)의 뒷부위에 형성된 안내부(5A)가 외통(1)내에 회전하지 못하고 축방향으로만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기워지고, 나선축(5)의 앞쪽부위에 형성된 접속부(7)에 봉상물(3)을 보유지지한 호울더(4)가 착탈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나선축(5) 및 호울더(4)의 외주면이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지는 한편, 뒷쪽내면에 형성된 돌출부(7A)가 나선홈(6)에 끼워진 내통(2)이, 외통(1)으로부터 돌출되어 외통(1)내에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기 때문에, 외통(1) 및 내통(2)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캡(8)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짐으로써 캡(8) 또는 외통(1)이 회전하게 되더라도 봉상물(3)이 내통(2)의 앞끝으로부터 돌출해서 캡(8)의 머리부위내면에 닿아 봉상물(3)의 앞끝이 찌그러질 염려가 없게 된다.

Claims (6)

  1. 바닥부(1B)를 갖춘 외통(1)내에 외주면에 나선홈(6)이 형성된 나선축(5)이 설치되면서, 이 나선축(5)의 뒷쪽부위에 설치된 안내부(5A)가 외통(1)내에서 회전하지 못하고 축방향이동만 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나선축(5) 및 호울더(4)의 외주면이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지면서 뒷쪽부위내면에 형성된 돌출부(7A)가 나선홈(6)에 걸어맞춰진 내통(2)이 외통(1)으로부터 돌출되어 외통(1)내에 축방향이동은 할 수 없고 회전만 할 수 있도록 설치된 봉상물조출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 및 내통(2)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캡(8)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고 착탈될 수 있도록 씌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조출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의 내주면과 이 내주면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안내부(5A)의 외주면 어느 한쪽에 다수의 키이홈(10) 또는 키이(9)가, 다른쪽에는 키이(9) 또는 키이홈(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조출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7)가 외부형상이 다각형을 이루면서 외주면에 오목부(11)를 가져 복수로 분할되고, 상기 호울더(4)가 내부형상이 다각형을 이루면서 내주면에 상기 오목부(11)에 걸려지는 볼록부(12)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조출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축(5)의 안내부(5A)에 나선홈(6)으로 돌출된 빠짐방지구(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조출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7)에 호울더(4)가 착탈될 수 있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조출용기.
KR92018246U 1992-09-25 1992-09-25 봉상물조출용기 KR9400059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8246U KR940005960Y1 (ko) 1992-09-25 1992-09-25 봉상물조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8246U KR940005960Y1 (ko) 1992-09-25 1992-09-25 봉상물조출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431U KR940007431U (ko) 1994-04-15
KR940005960Y1 true KR940005960Y1 (ko) 1994-08-31

Family

ID=19340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8246U KR940005960Y1 (ko) 1992-09-25 1992-09-25 봉상물조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9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431U (ko) 199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3560A (en) Propel-repel solid stick dispenser
ES344971A1 (es) Estuche para barra de producto pastoso.
US10674802B2 (en) Pen type cosmetics case
US6368001B1 (en) Pencil
KR200441749Y1 (ko) 휘발성 아이라이너 용기
KR101733569B1 (ko) 원터치 화장펜슬 수납용기
KR940005960Y1 (ko) 봉상물조출용기
US3215264A (en) Cosmetic holder
JP2549743Y2 (ja) 棒状物繰り出し容器
GB1346470A (en) Holders for housing sticks of pasty materials such as lipsticks
JPH0747053Y2 (ja) 液状化粧料容器
KR920019553A (ko) 봉상물조출용기
GB2170696A (en) Liquid applicator
JPH10304932A (ja) 両軸繰出式棒状化粧材容器
JPH0236408Y2 (ko)
JPH0233703Y2 (ko)
KR940005256Y1 (ko) 봉상물 조출용기
KR940005959Y1 (ko) 봉상물조출장치
JPH0111131Y2 (ko)
JPH11276247A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
US2529079A (en) Lipstick container
JPH0744256Y2 (ja) 繰出容器
JPH0752657Y2 (ja) 化粧料塗布具
JPH1191294A (ja) 固形糊等の繰出容器
JPH031778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